KR101146321B1 -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321B1
KR101146321B1 KR1020060078735A KR20060078735A KR101146321B1 KR 101146321 B1 KR101146321 B1 KR 101146321B1 KR 1020060078735 A KR1020060078735 A KR 1020060078735A KR 20060078735 A KR20060078735 A KR 20060078735A KR 101146321 B1 KR101146321 B1 KR 10114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mponent
substrate
bed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558A (ko
Inventor
최부관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321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공되는 부품 실장기는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어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상기 부품이 실장되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되도록 상기 베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헤드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헤드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이송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Chip mounter and chip mounting system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부품 실장기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부품 실장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품 실장기에 구비되는 헤드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0 : 헤드이송기구
330 : 회전유닛
340 : 헤드
350 : 기판운송장치
370 : 부품공급장치
390 : 헤드이송장치
본 발명은 기판 상에 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기라 함은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기판 상에 집적 회로, 고밀도 집적회로, 다이오드, 콘덴서, 저항 등의 전자부품(이하, '부품'이라 칭하기로 한다)을 실장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부품 실장기를 이용한 부품 실장작업은 미리 설정된 일정위치에서 부품을 흡착하고, 또 이 흡착된 부품을 미리 설정된 일정위치의 기판 상에 실장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부품 실장기의 경우, 이러한 정밀도가 최대한 충족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부품 실장기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부품 실장기(100)는 XY 좌표계 즉, 직교좌표계를 이용하여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된 구성으로, 베드(110), 베드(110)의 양측에 장착되어 부품(80)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170), 부품(80)이 실장되도록 베드(110)의 중앙으로 기판(90)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150), 부품공급장치(170)로부터 공급된 부품(80)을 픽업한 후 이를 기판(90) 상에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 즐(145)을 구비한 헤드(140), 헤드(140)의 Y축 방향 이송을 위해 베드(110)의 양측에 장착되되 베드(110)의 Y축 방향으로 나란히 장착되는 Y축 이송기구(120), 헤드(140)의 X축 방향 이송을 위해 Y축 이송기구(120)에 장착되되 베드(110)의 X축 방향으로 나란히 장착되는 X축 이송기구(130), X축 이동기구(130)를 Y축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미도시) 및, 헤드(140)를 X축 이송기구(130)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 부품 실장기(100)는 XY축 이송기구(120,130) 및 제1제2구동부를 이용하여 노즐(145)이 구비된 헤드(140)를 X축으로 일정거리 움직이거나 Y축으로 일정거리 움직임으로써,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고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부품 실장기는 기판 공급장치, 솔더 도포장치, 실장 검사장치 및 리플로우 장치 등과 함께 하나의 부품 실장 시스템을 이루어서 부품 실장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통상, 부품 실장 시스템은 기판 공급장치, 솔더 도포장치, 부품 실장기, 실장 검사장치 및 리플로우 장치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부품 실장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품 실장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실장공정에 있어서, 부품 실장작업은 기판 공급작업이나 솔더 도포작업 및 검사 작업 등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공정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부품 실장기는 다수의 대(臺)가 함께 배치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 시스템에는 3대 이상의 부품 실장기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있다.
즉, 종래 부품 실장 시스템의 경우, 기판 공급장치, 솔더 도포장치, 3대의 부품 실장기, 실장 검사장치 및 리플로우 장치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부품 실장공정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3대의 부품 실장기의 경우, 모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교좌표계의 부품 실장기(100)가 이용되기 때문에, 종래 부품 실장 시스템(200)에 구비되는 부품 실장기들(100)의 경우, 모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라인(in line)으로 배치되고, 기판공급장치(미도시)와 솔더 도포장치(미도시)는 그 인라인으로 배치된 부품 실장기들(100)의 전방향에 배치되며, 실장 검사장치(미도시) 및 리플로우 장치(미도시)는 그 인라인으로 배치된 부품 실장기들(100)의 후방향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종래 부품 실장기(100)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200)의 경우, 상호 인라인으로 배치되는 부품 실장기들(100)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 부품 실장 시스템(200)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설치 장소의 선정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종래 부품 실장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부품 실장공정을 진행할 경우, 부품 실장 시스템(200)의 라인 상에 작업자가 배치되어 공정을 관리해야만 하는데, 종래 부품 실장 시스템(200)의 경우,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배치되기 때문에 부품 실장공정을 관리하는 작업자의 동선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발생되며, 이는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평면 극좌표계 방식을 이용하여 헤드를 이송시킬 수 있는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어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상기 부품이 실장되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되도록 상기 베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헤드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헤드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가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송장치는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베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이송기구; 상기 베드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이송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 및, 상기 헤드이송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를 상기 헤드이송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왕복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소정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헤드이송기구로 전달하는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유닛은 상기 헤드에 연결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를 직선 왕복이동시킴으로 상기 헤드를 왕복 이송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운송장치는 상기 기판을 운송하되, 상기 기판의 운송 방향이 상기 기판에 상기 부품이 실장된 이후 변경되도록 상기 기판을 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판의 운송 방향이 상기 기판에 부품이 실장된 이후에도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을 운송하면서 상기 운송되는 기판에 상기 부품을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부품 실장기; 및, 상기 제1부품 실장기로부터 기판을 전달받도록 상기 제1부품 실장기에 연결되되, 상기 기판의 운송 방향이 상기 기판에 부품이 실장된 이후 변경되도록 상기 기판을 운송하면서 상기 운송되는 기판에 상기 부품을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부품 실장기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부품 실장기는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상기 부품이 실장되도록 상기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되도록 상기 베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된 위치를 축으로 상기 헤드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헤드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부품 실장기에 대한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부품 실장기에 구비되는 헤드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300)는 평면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된 구성으로, 베드(310), 베드(310)에 장착되어 부품(80)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370), 부품(80)이 실장되도록 기판(90)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350), 부품(80)을 부품공급장치(370)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80)을 기판(90)에 실장하는 헤드(340), 헤드(340)가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헤드(340)를 이송시키는 헤드이송장치(390) 및, 부품 실장기(3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베드(310)는 정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부품공급장치(370)는 베드(310)의 일측과, 이 베드(310)의 일측에 인접한 베드(310)의 타측에 장착된다. 즉, 부품공급장치(370)는 베드(310)의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그 모서리의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기판운송장치(350)는 베드(310) 상에 마련되는 부품실장영역으로 기판(90)을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로, 부품실장영역은 베드(310)의 중앙부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기판운송장치(350)는 베드(310)의 중앙부로 기판(90)을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기판운송장치(350)는 컨베이어일 수 있다. 그리고, 베드(310)의 일측과 이 베드(310)의 일측에 인접한 베드(310)의 타측에는 각각 부품공급장치(370)가 장착되므로, 기판운송장치(350)는 베드(310)의 중앙부로 기판(90)을 운송하되, 그 기판(90)의 운송 방향이 부품공급장치(370)가 장착되지 아니한 베드(310)의 일측에서부터 부품공급장치(370)가 장착되지 아니한 베드(310)의 타측으로 설정되도록 한 채로 기판(90)을 운송한다. 따라서, 기판(90)은 그 운송 방향(A)이 상기 기판(90)에 부품(80)이 실장된 이후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기판운송장치(350)는 '┓' 형태 또는 '┗' 형태 등의 1회 굴절된 형태로 형성되어 베드(310)의 중앙부로 기판(90)을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판(90)은 도 3에 도시된 α와 같이 베드(310)의 중앙부에서 약 90걍??돈ㅞ 꺽이면서 운송될 수 있다.
한편, 기판운송장치(350)가 이상과 같이 형성될 경우, 기판운송장치(350)의 중앙부 즉, 그 굴절된 부분의 하부에는 운송되는 기판(90)의 방향을 변경시켜주는 기판회전장치(3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헤드(340)는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소정 진공압 등이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345)을 구비한다. 이때, 노즐(345)은 헤드(340)에 설치되되, 헤드(340)로부터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부품공급장치(370)로부터 부품(80)이 공급되면, 노즐(345)은 공급되는 부품(80)을 흡착하여 픽업하고, 픽업한 후에는 이 픽업된 부품(80)을 기판(90) 상에 실장한다.
헤드이송장치(390)는 헤드(340)에 연결되도록 베드(31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되, 그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헤드(340)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그 설치된 위치로부터 헤드(340)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헤드(34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헤드이송장치(390)는 헤드(340)를 평면 극좌표계 방식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헤드이송장치(390)는 헤드(340)에 연결되되 일정길이를 가지며 베드(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이송기구(320)와, 베드(310)에 설치되며 헤드이송기구(320)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330) 및, 헤드이송기구(320)에 설치되며 헤드(340)를 헤드이송기구(32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왕복이송유닛(360)을 포함한다.
이때, 헤드이송기구(320)는 로드 타입으로 형성된 프레임일 수 있다. 그리 고, 회전유닛(330)은 소정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부(331)와, 이 제1구동부(331)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은 헤드이송기구(320)에 연결되어 제1구동부(331)의 회전력을 헤드이송기구(320)로 전달하는 연결축(335)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헤드이송기구(320)는 제1구동부(331)에서 발생시키는 회전력만큼 회전된다. 여기서, 제1구동부(331)는 소정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구동부(331)는 모터와 커플링, 모터와 벨트, 모터와 기어, 모터와 감속기, 랙과 피니언, 회전형 리니어 모터(torque motor)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왕복이송유닛(360)은 헤드(340)에 연결되는 이동체(363)와, 이 이동체(363)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363)를 직선 왕복 이동시킴으로 헤드(340)를 왕복 이송시키는 제2구동부(3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구동부(365)는 상기 이동체(363)를 직선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구동부(365)는 랙과 피니언, 볼스크류, 리니어 모터(linear motor)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에 언급되지 않은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2구동부(365)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361)와, 모터(361)에 연결되며 모터(36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볼스크류 축(362)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체(363)는 상기 볼스크류 축(362)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볼스크류 축(362)에 끼워지되 일측이 상기 헤드(340)와 연결된 너트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참조부호 364는 볼스크류 축(362)이 회전되도록 볼스크류 축(362)의 일측단을 지지하는 지지대(364)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400)는 정사각형 형태의 베드(410), 베드(410)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장착되어 각각 부품(80)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470), 부품(80)이 실장되도록 베드(410)의 일측에서 베드(410)의 타측으로 기판(90)을 운송하여 기판(90)의 운송 방향(A)이 직선이 되도록 하는 기판운송장치(450), 부품(80)을 부품공급장치(470)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80)을 기판(90)에 실장하도록 각각 노즐(445a,445b)을 구비한 한쌍의 헤드(440a,440b), 상기 한쌍의 헤드(440a,440b)가 각각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각각의 헤드(440a,440b)에 연결되어 각각의 헤드(440a,440b)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헤드이송장치(490a,490b) 및, 부품 실장기(4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한쌍의 헤드이송장치(490a,490b)는 베드(41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되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각각 그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각각의 헤드(440a,440b)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각각 그 설치된 위치로부터 각각의 헤드(440a,440b)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헤드(440a,440b)를 각각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각각의 헤드이송장치(490a,490b)는 전술한 제 1실시예와 같이, 헤드(440a,440b)에 연결되되 일정길이를 가지며 베드(4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이송기구(420a,420b)와, 베드(410)에 설치되며 헤드이송기구(420a,420b)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430a,430b) 및, 헤드이송기구(420a,420b)에 설치되며 헤드(440a,440b)를 헤드이송기구(420a,420b)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왕복이송유닛(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부호 431a와 431b는 회전유닛(430a,430b)을 이루는 제1구동부를 지칭한 것이고, 435a와 435b는 회전유닛(430a,430b)을 이루는 연결축을 지칭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500)는 정육각형 형태의 베드(510), 상호 연속되지 않도록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된 채로 베드(510)의 삼(三)면에 각각 장착되어 각각 부품(80)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570), 부품(80)이 실장되도록 베드(510)의 일측에서 베드(510)의 타측으로 기판(90)을 운송하되 부품(80)이 실장된 이후의 기판 운송 방향(A)은 양측으로 나누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나누어지는 방향은 기판(90)의 유입된 방향에 대하여 약 120걍???도 6의 β)의 각도를 갖도록 하는 기판운송장치(550), 기판운송장치(550)의 중앙부 곧, 기판(90)이 나누어지는 부분의 하부에 구비되며 운송되는 기판(90)의 방향을 변경시켜주는 기판회전장치(580), 부품공급장치들(570)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부 품(80)을 부품공급장치(570)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80)을 기판(90)에 실장하도록 각각 노즐을 구비한 3대의 헤드(540a,540b,540c), 상기 헤드들(540a,540b,540c)이 각각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각각의 헤드(540a,540b,540c)에 연결되어 각각의 헤드(540a,540b,540c)를 이송시키는 3대의 헤드이송장치(590a,590b,590c) 및, 부품 실장기(5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3대의 헤드이송장치(590a,590b,590c)는 부품공급장치들(570)의 사이에 위치하는 베드의(510)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 그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각각의 헤드(540a,540b,540c)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각각 그 설치된 위치로부터 각각의 헤드(540a,540b,540c)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헤드(540a,540b,540c)를 각각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각각의 헤드이송장치(590a,590b,590c)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헤드(540a,540b,540c)에 연결되되 일정길이를 가지며 베드(5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이송기구(520a,520b,520c)와, 베드(510)에 설치되며 헤드이송기구(520a,520b,520c)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530a,530b,530c) 및, 헤드이송기구(520a,520b,520c)에 설치되며 헤드(540a,540b,540c)를 헤드이송기구(520a,520b,520c)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왕복이송유닛(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부호 531a와 531b 및 531c는 회전유닛(530a,530b,530c)을 이루는 제1구동부를 지칭한 것이고, 535a와 535b 및 535c는 회전유닛(530a,530b,530c)을 이루는 연결축을 지칭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부품 실장기(600)는 육각형 형태의 베드(610), 베드(61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직선 형태로 기판(90)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650), 기판운송장치(650)의 일측에 위치한 베드(610)의 일측과 기판운송장치(650)의 타측의 위치한 베드(610)의 타측에 각각 한쌍씩 장착되며 각각 기판(90)에 실장되도록 부품(80)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670), 각각의 부품공급장치(670)로부터 부품(80)을 픽업하여 이 픽업된 부품(80)을 기판(90)에 실장하도록 각각 노즐을 구비하되 베드(610)의 일측과 베드(610)의 타측에 각각 한쌍씩 마련되는 헤드(640a,640b,640c,640d), 베드(610)의 일측과 베드(610)의 타측에 배치되되 각각 한쌍씩의 헤드(640a,640b,640c,640d)에 결합되어 상기 한쌍씩의 헤드(640a,640b,640c,640d)가 각각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도록 상기 한쌍씩의 헤드(640a,640b,640c,640d)를 각각 이송시키는 한쌍의 헤드이송장치(690a,690b) 및, 부품 실장기(600)의 구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한쌍의 헤드이송장치(690a,690b)는 각각 베드(610)의 일측과 베드(610)의 타측에서 한쌍의 부품공급장치(670)의 사이에 설치되되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각각 그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각각 한쌍씩의 헤드(640a,640b,640c,640d)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각각 그 설치된 위치로부터 각 헤 드(640a,640b,640c,640d)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헤드(640a,640b,640c,640d)를 각각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각각의 헤드이송장치(690a,69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한쌍씩의 헤드(640a,640b,640c,640d)에 연결되되 일정길이를 가지며 베드(6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이송기구(620a,620b)와, 베드(610)에 설치되며 헤드이송기구(620a,620b)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630a,630b) 및, 헤드이송기구(620a,620b)에 설치되며 헤드(640a,640b,640c,640d)를 헤드이송기구(620a,620b)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왕복이송유닛(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조부호 631a와 631b는 회전유닛(630a,630b)을 이루는 제1구동부를 지칭한 것이고, 635a와 635b는 회전유닛(630a,630b)을 이루는 연결축을 지칭한 것이다.
<부품 실장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
이하, 이상과 같은 부품 실장기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700,800)은 기판의 운송 방향(A)이 기판(90)에 부품(80)이 실장된 이후에도 변경되지 않도록 기판(90)을 운송하면서 상기 운송되는 기판(90)에 부품(80)을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부품 실장기(100)와, 제1부품 실장기(100)로부터 기판(90)을 전달받도록 제1 부품 실장기(100)에 연결되되 기판(90)의 운송 방향(A)이 기판(90)에 부품(80)이 실장된 이후 변경되도록 기판(90)을 운송하면서 상기 운송되는 기판(90)에 부품(80)을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부품 실장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품 실장기(100)는 직교좌표계를 이용하여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일 수 있고, 상기 제2부품 실장기(300)는 평면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부품(80)을 픽업 및 실장하는 부품 실장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700,800)은 직교좌표계를 이용한 부품 실장기인 제1부품 실장기들(100)과, 평면 극좌표계를 이용한 부품 실장기인 제2부품 실장기들(300)을 다양한 수 및 다양한 형태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700,800)은 제1부품 실장기들(100)과 제2부품 실장기들(300)을 조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700,8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대략 '??'형태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를 갖는 다양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 시스템(700,8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부품 실장기(100)와 적어도 하나의 제2부품 실장기(300)가 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를 갖기 때문에 부품 실장 시스템(700,800)의 전체 배치길이는 비교적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부품 실장 시스템(700,800)을 이용하면, 작업자의 동 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은 극대화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는 평면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부품을 픽업 및 실장하기 때문에, 부품공급장치를 매우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부품 실장기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를 갖기 때문에 부품 실장 시스템의 전체 배치길이는 비교적 짧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부품 실장 시스템을 이용하면, 작업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은 극대화된다.

Claims (10)

  1.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어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상기 부품이 실장되도록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되도록 상기 베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헤드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헤드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송장치는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베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이송기구;
    상기 베드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이송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 및,
    상기 헤드이송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를 상기 헤드이송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왕복이송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소정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제1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헤드이송기구로 전달하는 연결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유닛은 상기 헤드에 연결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체를 직선 왕복이동시킴으로 상기 헤드를 왕복 이송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운송장치는 상기 기판을 운송하되, 상기 기판의 운송 방향이 상기 기판에 상기 부품이 실장된 이후 변경되도록 상기 기판을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기.
  6. 기판의 운송 방향이 상기 기판에 부품이 실장된 이후에도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기판을 운송하면서 상기 운송되는 기판에 상기 부품을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부품 실장기; 및,
    상기 제1부품 실장기로부터 기판을 전달받도록 상기 제1부품 실장기에 연결되되, 상기 기판의 운송 방향이 상기 기판에 부품이 실장된 이후 변경되도록 상기 기판을 운송하면서 상기 운송되는 기판에 상기 부품을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부품 실장기를 포함하되,
    베드; 상기 베드에 장착되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공급장치; 상기 부품이 실장되도록 상기 기판을 운송하는 기판운송장치;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공급장치로부터 픽업하여 상기 픽업된 부품을 상기 기판에 실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을 구비한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되도록 상기 베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되, 상기 설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헤드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까지의 거리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방향으로 상기 헤드를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이송장치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기를 제2부품 실장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송장치는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일정길이를 가지며 상기 베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헤드이송기구;
    상기 베드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이송기구를 회전시키는 회전유닛; 및,
    상기 헤드이송기구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를 상기 헤드이송기구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송시키는 왕복이송유닛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유닛은 소정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상기 헤드이송기구로 전달하는 연결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이송유닛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볼스크류 축 및, 상기 볼스크류 축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송되도록 상기 볼스크류 축에 끼워지되 일측이 상기 헤드와 연결된 너트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실장 시스템.
KR1020060078735A 2006-08-21 2006-08-21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 KR10114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735A KR101146321B1 (ko) 2006-08-21 2006-08-21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735A KR101146321B1 (ko) 2006-08-21 2006-08-21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558A KR20080017558A (ko) 2008-02-27
KR101146321B1 true KR101146321B1 (ko) 2012-07-04

Family

ID=3938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735A KR101146321B1 (ko) 2006-08-21 2006-08-21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3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3446B (zh) * 2021-06-25 2022-06-24 鞠欢 一种桌面贴片机和贴片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0994A (ja) 1997-07-22 1999-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機
JP2005302945A (ja) 2004-04-09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0994A (ja) 1997-07-22 1999-02-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機
JP2005302945A (ja) 2004-04-09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部品実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558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6768B2 (ja) 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装置
JP3402876B2 (ja) 表面実装機
US7353589B2 (en)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JP5791408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JP3992486B2 (ja) 電気部品装着システム
KR101146321B1 (ko) 부품 실장기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 시스템
JP6751623B2 (ja) 実装ヘッド、実装装置、実装方法
JPWO2014068766A1 (ja) 部品実装機
JP5747168B2 (ja) 装着ヘッド及び部品装着装置
WO2014128913A1 (ja) 部品実装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バルク部品決定方法
JP4597435B2 (ja) 部品実装方法および部品実装装置
JP2007306040A (ja) 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装置
JP2010219306A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ノズル駆動制御方法
JP2008251771A (ja) 部品実装装置
JP2011181933A (ja) ヘッドノズルユニット、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5850794B2 (ja) 部品搬送装置および部品実装機
JP4247023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JPH0761556A (ja) コンベア
JP3165289B2 (ja) 表面実装機
JP2009094296A (ja) 部品供給装置
US6585476B1 (en) Surface mounting device
JP4213494B2 (ja) 表面実装機
JP2007123668A (ja) 表面実装機
JP6650253B2 (ja) 電子部品装着機
JP5498334B2 (ja) 部品実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