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135B1 -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135B1
KR101146135B1 KR1020110001508A KR20110001508A KR101146135B1 KR 101146135 B1 KR101146135 B1 KR 101146135B1 KR 1020110001508 A KR1020110001508 A KR 1020110001508A KR 20110001508 A KR20110001508 A KR 20110001508A KR 101146135 B1 KR101146135 B1 KR 101146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secondary side
cutting device
foreign material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섭
우장명
최상훈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3Devices for removing water, salt, or sludge from boilers; Arrangements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4Feeding and driving arrangements, e.g. power oper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lasma & Fusion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속도제어기(10)와; 상기 속도제어기(10)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모터가 내장되는 모터 케이싱(20)과; 상기 모터 케이싱(20)의 전단에 연결되는 조정노브(30)와; 상기 조정노브(30)의 전단에 연결되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전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클램프(50)와; 상기 몸체(40) 내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60) 및;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60)의 타단에 결합되는 후크(70)로 구성되어 이물질을 후크로 걸어 홈으로 들어오게 한 후 모터 전원을 켜면 플렉시블 튜브 속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샤프트 끝단에 부착된 그라인더 또는 앤드밀로 갈아 내어 제거할 수 있으면서 이물질 제거의 작업 상태를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후크 및 엔드밀을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의 종류와 크기에 관계없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이송장치 없이 기존의 증기발생기 검사자동화 장치에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플렉시블 호스 내의 축의 분리가 용이하여 이물질의 연삭 과정에서 발생한 칩을 플렉시블 호스 내의 축 분리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A foreign object cutt ing device in a steam generator's tube bundle}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을 절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후크로 걸어 홈으로 들어오게 한 후 모터 전원을 켜면 플렉시블 튜브 속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샤프트 끝단에 부착된 그라인더 또는 앤드밀로 갈아 내어 제거하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 가동되는 증기발생기 내부에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여러 가지 유형의 이물질이 전열관 틈새로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이물질들이 지속적으로 전열관 틈새에서 잔류할 경우 상호 간의 마찰 등으로 인해 전열관이 손상되어 전열관 손상 부위로 방사성 물질이 유출될 수 있어 이물질은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증기발생기 내부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이물질들은 제거가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철사처럼 길이가 길거나 특이한 형태의 이물질인 경우에는 협소한 전열관 틈새(수mm 이내)에 고착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 들을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은 집게, 자석, 루프 등 이물질 제거장치는 카메라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어 절단을 위한 절단장치를 갖추기 어려워 절단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철사처럼 길이가 긴 이물질이 매우 협소하고 좁은 전열관 틈새(수mm이하)로 유입되어 다수의 전열관 틈새로 끼어 고착되어 있는 경우 그 제거가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제거장치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물질을 후크로 걸어 홈으로 들어오게 한 후 모터 전원을 켜면 플렉시블 튜브 속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샤프트 끝단에 부착된 그라인더 또는 앤드밀로 갈아 내어 제거할 수 있으면서 이물질 제거의 작업 상태를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후크 및 엔드밀을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의 종류와 크기에 관계없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이송장치 없이 기존의 증기발생기 검사자동화 장치에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호스 내의 축의 분리가 용이하여 이물질의 연삭 과정에서 발생한 칩을 플렉시블 호스 내의 축 분리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는 속도제어기(10)와; 상기 속도제어기(10)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모터(M)가 내장되는 모터 케이싱(20)과; 상기 모터 케이싱(20)의 전단에 연결되는 조정노브(30)와; 상기 조정노브(30)의 전단에 연결되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전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클램프(50)와; 상기 몸체(40) 내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60) 및;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60)의 타단에 결합되는 후크(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을 후크로 걸어 홈으로 들어오게 한 후 모터 전원을 켜면 플렉시블 튜브 속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샤프트 끝단에 부착된 그라인더 또는 앤드밀로 갈아 내어 제거할 수 있으면서 이물질 제거의 작업 상태를 세밀하게 관찰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후크 및 엔드밀을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의 종류와 크기에 관계없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이송장치 없이 기존의 증기발생기 검사자동화 장치에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플렉시블 호스 내의 축의 분리가 용이하여 이물질의 연삭 과정에서 발생한 칩을 플렉시블 호스 내의 축 분리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는 속도제어기(10)와; 상기 속도제어기(10)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모터(M)가 내장되는 모터 케이싱(20)과; 상기 모터 케이싱(20)의 전단에 연결되는 조정노브(30)와; 상기 조정노브(30)의 전단에 연결되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전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클램프(50)와; 상기 몸체(40) 내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60) 및;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60)의 타단에 결합되는 후크(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속도제어기(10)는 상기 모터 케이싱(20) 내에 장착된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이고, 속도제어기(10)와 모터 케이싱(20)은 케이블 그랜드(21)를 통해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 케이싱(20)은 일측 단부가 커플링(22)을 통해 조정노브(30)와 결합되고, 조정노브(30) 내부에는 스핀들 하우징(31)이 장착되어 스핀들 하우징(31) 에 스핀들 축(32)과 그라인더 또는 앤드밀(33a)이 장착된 콜릿(33)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정노브(30)는 원통상 커버(34)가 씌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40)는 내부에 리미트 센서(41)가 장착되고, 일측부가 손잡이(42)를 이루며; 상기 후크(70)를 조정노브(30) 내 콜릿(33)으로 삽입시키는 버튼 스위치(43)와; 푸셔(44)가 디텐트 핀(45)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40)의 전방에는 상기 케이블 클램프(50)에 의해 커팅수단(51)이 장착되고, 상기 커팅수단(51)의 전단에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60)이 삽입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60) 전단에는 상기 후크(70)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의 사용상태 설명으로 그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가 장착된 전열관 검사장치의 헤드에 장착하여 사용한다.
도 3에서 A는 모니터링 고정부, B는 케이블 텐션너, C는 가이드 레일, D는 센터 스테이 로드, E는 프로브 피딩 유닛, F는 검사프로브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X)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60)을 검사프로브(F)를 따라 설치하고, 기타 이물질 절단장치의 구성 요소 들은 모니터링 고정부(A)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사용하게 된다.
사용시에는 모니터링 고정부(A)에 고정되어 있는 카메라로 검사 프로브(F)와 함께 후크(70)의 위치를 확인하여 후크(70)에 이물질이 걸리면, 버튼 스위치(43)를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플렉시블 케이블(60)가 커팅수단(51) 내로 삽입되어 후크(70)도 커팅수단(51) 내로 삽입되어 후크(70)에 걸린 이물질이 커팅수단(51)에 의해 커팅되고, 커팅된 이물질은 콜릿(33)에 장착된 그라인더 또는 앤드밀(33a)에 의해 조금씩 갈아 내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이물질의 칩은 콜릿(33)으로부터 스핀들 축(32)을 분해하여 제거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속도제어기 20 : 모터 케이싱
21 : 케이블 그랜드 22 : 커플링
30 : 조정노브 31 : 스핀들 하우징
32 : 스핀들 축 33 : 콜릿
34 : 커버 33a : 그라인더 또는 앤드밀
40 : 몸체 41 : 리미트 센서
42 : 손잡이 43 : 버튼 스위치
44 : 푸셔 45 : 디텐트 핀
50 : 케이블 클램프 51 : 커팅수단
60 : 플렉시블 케이블 70 : 후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속도제어기(10)와; 상기 속도제어기(10)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모터(M)가 내장되는 모터 케이싱(20)과; 상기 모터 케이싱(20)의 전단에 연결되는 조정노브(30)와; 상기 조정노브(30)의 전단에 연결되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전단에 연결되는 케이블 클램프(50)와; 상기 몸체(40) 내에 일측 단부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60) 및;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60)의 타단에 결합되는 후크(70)로 구성된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싱(20)은 일측 단부가 커플링(22)을 통해 조정노브(30)와 결합되고, 조정노브(30) 내부에는 스핀들 하우징(31)이 장착되어 스핀들 하우징(31) 에 스핀들 축(32)과 그라인더 또는 앤드밀(33a)이 장착된 콜릿(33)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노브(30)는 원통상 커버(34)가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는 내부에 리미트 센서(41)가 장착되고, 일측부가 손잡이(42)를 이루며; 상기 후크(70)를 조정노브(30) 내 콜릿(33)으로 삽입시키는 버튼 스위치(43)와; 푸셔(44)가 디텐트 핀(45)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40)의 전방에는 상기 케이블 클램프(50)에 의해 커팅수단(51)이 장착되고, 상기 커팅수단(51)의 전단에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 60)이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7. 삭제
KR1020110001508A 2011-01-06 2011-01-06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KR10114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08A KR101146135B1 (ko) 2011-01-06 2011-01-06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08A KR101146135B1 (ko) 2011-01-06 2011-01-06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135B1 true KR101146135B1 (ko) 2012-05-16

Family

ID=4627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508A KR101146135B1 (ko) 2011-01-06 2011-01-06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1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943A (ko) * 2020-12-29 2022-07-06 앤스코 주식회사 스프링 튜브가 적용된 핸디형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틈새 탐지장치
KR20220094942A (ko) * 2020-12-29 2022-07-06 앤스코 주식회사 가요성 스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틈새 검사장치
CN115739872A (zh) * 2022-10-27 2023-03-07 中核武汉核电运行技术股份有限公司 蒸汽发生器传热管管间硬质丝状异物剪切的磨削加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721Y1 (ko) * 2003-09-17 2003-11-28 한국전력공사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20038Y1 (ko) * 2006-04-11 2006-07-03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용 원격제어 엔드이펙터 장치
KR20060078055A (ko) * 2004-12-30 2006-07-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력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결함보수용 이송장치
KR20090045576A (ko) * 2007-11-02 2009-05-08 한국원자력연구원 관절을 가진 방사선 차폐시설용 원격 집게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721Y1 (ko) * 2003-09-17 2003-11-28 한국전력공사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60078055A (ko) * 2004-12-30 2006-07-0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력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결함보수용 이송장치
KR200420038Y1 (ko) * 2006-04-11 2006-07-03 한전기공주식회사 증기발생기에 사용되는 이물질 제거용 원격제어 엔드이펙터 장치
KR20090045576A (ko) * 2007-11-02 2009-05-08 한국원자력연구원 관절을 가진 방사선 차폐시설용 원격 집게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943A (ko) * 2020-12-29 2022-07-06 앤스코 주식회사 스프링 튜브가 적용된 핸디형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틈새 탐지장치
KR20220094942A (ko) * 2020-12-29 2022-07-06 앤스코 주식회사 가요성 스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틈새 검사장치
KR102559117B1 (ko) * 2020-12-29 2023-07-26 앤스코 주식회사 가요성 스트랩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틈새 검사장치
KR102587017B1 (ko) * 2020-12-29 2023-10-11 앤스코 주식회사 스프링 튜브가 적용된 핸디형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틈새 탐지장치
CN115739872A (zh) * 2022-10-27 2023-03-07 中核武汉核电运行技术股份有限公司 蒸汽发生器传热管管间硬质丝状异物剪切的磨削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35B1 (ko)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틈새 내 이물질 절단장치
JP5230573B2 (ja) 蒸気発生器2次側管板上部の伝熱管束の肉眼検査および異物除去装置
KR102341675B1 (ko)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핸드헬드 공작 공구
JP2022081480A (ja) 断路器を備えた手持ち式工作機械
KR20230031980A (ko) 방사선조사 표적 취급 장치
CN105478734A (zh) 一种铸件清理单元及清理方法
US20150125230A1 (en) Apparatus for an on-tool power supply
KR101769827B1 (ko) 폐 증기발생기의 배관 절단을 위한 원뿔형상의 끼움재를 포함하는 도관 절단장치.
KR20110102965A (ko) 배관스케일 제거기용 와이어
KR102073089B1 (ko) 증기발생기 전열관다발의 틈새 검사장치
KR101777816B1 (ko) 실시간 펀칭기 마모검사장치
JP2007139618A (ja) 原子炉のシュラウド切断処理装置
MX2015008435A (es) Aparato para alimentar barras a una maquina herramienta.
WO2012150893A1 (en) Method and equipment to treat a fluid channel prior to a relining procedure and an exchangeable tool having a coupling mechanism to be used in connection thereto
KR101418001B1 (ko) 증기발생기 2차측 전열관 상부다발 원격 육안검사장치
CN211905372U (zh) 一种墙体砂浆饱满度扫描装置
CN111487687A (zh) 蒸汽发生器检查装置
WO2017120679A1 (en) Surface treating apparatus
RU146432U1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зачистки повреждений на рабочих лопатках компрессора газотурби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CN211206212U (zh) 一种耐高温现场金相检测仪
RU2012136866A (ru) Мясорубка
JP6775074B2 (ja) 煙検知装置
CN209304179U (zh) 一种轴承加工用可进行翻转且具有保护机制的夹持装置
CN211305725U (zh) 一种数控机床加工用在线检测装置
CN117739172A (zh) 一种电伴热控制器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