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868B1 -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868B1
KR101145868B1 KR1020110065336A KR20110065336A KR101145868B1 KR 101145868 B1 KR101145868 B1 KR 101145868B1 KR 1020110065336 A KR1020110065336 A KR 1020110065336A KR 20110065336 A KR20110065336 A KR 20110065336A KR 101145868 B1 KR101145868 B1 KR 10114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girder
steel girder
slab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근
노옥근
노실근
박근화
노경범
노우현
Original Assignee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경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경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5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경제성을 시공성보다 우선시한 시공방법으로, 즉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 합성시 교대 및 교각을 시공하고, 상기 교대 및 교각 간에 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교대 및 교각과 가설벤트 상에 강재거더를 거치한 후, 상기 강재거더를 교대 및 교각과 가설벤트로 지지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를 합성하고, 가설벤트를 제거하여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 합성단면으로 강재거더의 하중과 슬래브의 하중에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강재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하시켜 강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경제적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은 교대 및 교각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교대 및 교각 간에 가설벤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대 및 교각과 가설벤트 상에 강재거더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에서 강재거더의 처짐 또는 솟음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Composite method of steel girder and slab}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재거더에 슬래브 합성시 강재거더의 하부에 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강재거더를 가설벤트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부 바닥판 슬래브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강재거더와 슬래브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10) 및 교각(12)을 시공하고, 상기 교대(10) 및 교각(12) 상에 강재거더(30)를 거치한 후, 상기 강재거더(3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슬래브(40)를 시공하였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은 강재거더(30)의 하중과 슬래브(40)의 하중을 강재거더(30)의 단면만으로 저항하므로 강재에 작용하는 하중이 높아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강재 두께를 증가시키므로 강재의 소모량이 많이 발생하여 경제성이 매우 불리한 실정이다.
이는 거더의 시공의 편리성을 우선시하여 경제성을 후순위로 미룬 결과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제성을 시공성보다 우선시한 시공방법으로, 즉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 합성시 교대 및 교각을 시공하고, 상기 교대 및 교각 간에 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기 교대 및 교각과 가설벤트 상에 강재거더를 거치한 후, 상기 강재거더를 교대 및 교각과 가설벤트로 지지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를 합성하고, 가설벤트를 제거하여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 합성단면으로 강재거더의 하중과 슬래브의 하중에 저항하도록 함으로써, 강재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하시켜 강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경제적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은 교대 및 교각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교대 및 교각 간에 가설벤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대 및 교각과 가설벤트 상에 강재거더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에서 강재거더의 처짐 또는 솟음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은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의 합성시 교대 및 교각을 시공하고, 상기 교대 및 교각 간에 가설벤트를 설치한 후, 상기 교대 및 교각과 가설벤트 상에 강재거더를 거치한 후, 상기 강재거더를 교대 및 교각과 가설벤트로 지지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를 합성하고, 가설벤트를 제거하여 강재거더와 바닥판 슬래브 합성단면으로 강재거더의 하중과 슬래브의 하중에 저항하여 강재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하시킴으로써, 강재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가설벤트에 의해 강재거더의 소블록 거치가 가능하므로 가조립장이 협소한 공간에 서로 효율적이며, 곡선교에서도 강재거더의 뒤틀림 변형 없이 거치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강합성 거더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합성 후 하중저항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콘크리트 합성 후 하중저항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상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상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상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상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은 교대(10) 및 교각(12)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교대(10) 및 교각(12) 간에 가설벤트(2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대(10) 및 교각(12)과 가설벤트(20) 상에 강재거더(30)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20)에서 강재거더(30)의 처짐 또는 솟음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3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20)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강재거더(30) 지간장(L)의 1/2L 지점 또는 1/3L지점과 2/3L 지점에 가설벤트(2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가설벤트(20)를 설치하는 이유는 강재거더(30)에 바닥판 슬래브(40)용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 강재거더(30)와 콘크리트의 자중을 가설벤트(20)가 분담한 후,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가 완전히 합성된 후, 상기 가설벤트(20)를 제거하여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의 합성단면으로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의 하중을 분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설벤트(20)의 상부에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유압잭(50)을 설치하여, 상기 유압잭(50)으로 강재거더(30)의 처짐 또는 솟음을 보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은 교대(10) 및 교각(12)의 하부구조물을 시공한 후, 상기 교대(10) 및 교각(12) 간에 강재거더(30) 지간장(L)의 1/2L 지점 또는 1/3L지점과 2/3L 지점에 가설벤트(20)를 설치하고, 상기 교대(10) 및 교각(12)과 가설벤트(20) 상에 강재거더(30)를 거치한 후, 상기 가설벤트(20)의 상부에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유압잭(50)을 설치하여, 상기 유압잭(50)으로 강재거더(30)의 처짐 또는 솟음을 보정한 후, 상기 강재거더(3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를 합성하고, 상기 가설벤트(20)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은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의 합성시 강재거더(30)의 지간장의 1/2L 지점 또는 1/3L과 2/3L 지점에 가설벤트(20)를 설치하여 가설벤트(20)가 강재거더(30)를 지지하게 한 후, 상기 강재거더(30)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 합성한 후, 상기 가설벤트(20)를 제거하면,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의 합성단면으로 강재거더(30) 하중과 바닥판 슬래브(40) 하중에 저항하므로 강재거더(30) 단면만으로 강재거더(30) 하중과 바닥판 슬래브(40) 하중에 저항하는 것보다 강재에 발생하는 응력이 저하되므로 그만큼 강재소모량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설벤트(20) 상부에 컴퓨터로 제어되는 유압잭(50)을 설치하여 강재거더(30)의 가설시 발생할 수 있는 처짐 또는 과다 솟음을 보정한 후, 상기 강재거더(30)의 상부에 바닥판 슬래브(40)를 합성하므로 교량시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교대 12: 교각
20: 가설벤트 30: 강재거더
40: 슬래브 50: 유압잭
L: 지간장

Claims (3)

  1. 교대(10) 및 교각(12)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교대(10) 및 교각(12) 간에 가설벤트(2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교대(10) 및 교각과 가설벤트(20) 상에 강재거더(3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20)에서 강재거더(30)의 처짐 또는 솟음을 보정하는 단계; 상기 강재거더(3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강재거더(30)와 바닥판 슬래브(40)를 합성하는 단계; 상기 가설벤트(20)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강재거더(30) 지간장(L)의 1/2L 지점 또는 1/3L지점과 2/3L 지점에 가설벤트(20)를 설치하며, 상기 가설벤트(20)의 상부에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유압잭(50)을 설치하여, 상기 유압잭(50)으로 강재거더(30)의 처짐 또는 솟음을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10065336A 2011-07-01 2011-07-01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 KR10114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336A KR101145868B1 (ko) 2011-07-01 2011-07-01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336A KR101145868B1 (ko) 2011-07-01 2011-07-01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868B1 true KR101145868B1 (ko) 2012-05-16

Family

ID=46272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336A KR101145868B1 (ko) 2011-07-01 2011-07-01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8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163B1 (ko) 2001-03-02 2004-01-07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상부거더에 수평력을 도입하여 기초의 단면력을감소시키는 프리스트레스된 라멘형 강재 보도육교의시공법.
KR100946739B1 (ko) * 2007-08-28 2010-03-11 이엔이건설주식회사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교량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163B1 (ko) 2001-03-02 2004-01-07 주식회사 일승에스티 상부거더에 수평력을 도입하여 기초의 단면력을감소시키는 프리스트레스된 라멘형 강재 보도육교의시공법.
KR100946739B1 (ko) * 2007-08-28 2010-03-11 이엔이건설주식회사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장지간 교량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PA06014744A (es) Instalacion tensora de las armaduras de elementos arquitectonicos pretensados.
KR101042674B1 (ko)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 합성형 라멘교 및 그 시공법
KR101208231B1 (ko)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시공방법
KR100974305B1 (ko) 정모멘트 구간용 거더와 부모멘트 구간용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시공방법
WO2011005009A3 (ko) 부모멘트를 효율적으로 지지하면서 시공성이 향상된 연속화 교량의 상부구조및 그 시공방법
KR100923409B1 (ko) 시공단계에 따른 단면력을 고려한 보강구조를 가진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20160010783A (ko)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
CN104563524B (zh) 防渗水的预制板施工方法
JP6255206B2 (ja) 補強構造の構築方法
KR101243777B1 (ko)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긴장력이 도입된 파형강판 합성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5716117B1 (ja) 既設桁橋のヒンジ部補強方法および補強構造
KR101145868B1 (ko)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
KR101051475B1 (ko) 하부플랜지의 단면적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KR100889857B1 (ko) 강성이 증진된 강재빔 제작방법
KR101912422B1 (ko) 선행하중이 도입되도록 제작된 합성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빔
KR101763162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거푸집과 크로스빔 간의 간섭 완화장치
KR101050145B1 (ko)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
KR20110093158A (ko) 콘크리트 타설하중을 활용한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JP5839279B2 (ja) トンネル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033107B1 (ko) 슬래브와 거더가 일체화된 강합성 교량
KR20150083446A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강박스 거더를 이용한 라멘교 타입 교량의 시공법
KR101331963B1 (ko) 삼단계 분할 긴장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이를 설치하는 방법
KR101618200B1 (ko) 가설지주와 인장재를 이용한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거더교
KR101402183B1 (ko) 합성거더의 제조방법
CN110409711A (zh) 一种现浇梁钢筋布置及其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