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848B1 - 수소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수소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848B1
KR101144848B1 KR1020100050956A KR20100050956A KR101144848B1 KR 101144848 B1 KR101144848 B1 KR 101144848B1 KR 1020100050956 A KR1020100050956 A KR 1020100050956A KR 20100050956 A KR20100050956 A KR 20100050956A KR 101144848 B1 KR101144848 B1 KR 10114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ensor
concentration
hydrogen concentration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496A (ko
Inventor
고병령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84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9/00Emergency protection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reactor, e.g. safety valves provided with pressure equalisation devices
    • G21C9/04Means for suppressing fires ; Earthquake protection
    • G21C9/06Means for preventing accumulation of explosives gases, e.g. recomb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격납용기 내부의 수소 농도를 감시하는 수소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소 농도를 감시하는 수소감지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고장난 센서를 가동 중에 교체가 가능하게 하며, 센서신호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내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소감시설비가 반도체식 센서 또는 열전도식 센서 등을 사용하는 관계로 원자력발전소 내에서 온도, 습도 및 다른 혼합가스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고온, 다습하고 방사선이 강한 중대사고 환경에서 센서의 신뢰도가 낮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소 농도를 감시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소감지센서를 다수 개 설치한 수소감지기를 여러 개 설치한 수소감지기 그룹을 격납용기 내부에 다수 개 설치한 후 이들의 측정결과를 수소감시기에서 상호 비교함으로서 센서와 신호선의 오류를 검증하고 정확한 수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소감시장치{Hydrogen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 격납용기 내부의 수소 농도를 감시하는 수소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소 농도를 감시하는 수소감시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고장난 수소감지 센서를 수소감지기의 가동 중에 교체가 가능하게 하며, 센서신호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는 일반 화력발전소와는 달리 열에너지를 원자로에서 우라늄의 핵반응으로 에너지원을 생산하고 이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고온 고압의 증기를 생산하기 위한 1차 냉각계통은 원자로와 냉각수 순환펌프, 열교환기, 냉각수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압기로 구성되어있다. 원자로에서 우라늄과 같은 핵분열성 물질이 붕괴되면서 고방사능 물질과 열에너지가 생성되고,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고온 고압의 냉각수로 냉각시키고, 고온 고압의 냉각수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2차 냉각계통의 냉각수를 고온 고압의 증기로 생성시키고, 고온 고압의 증기로 격납용기(Containment Vessel; CV) 외부에 설치된 증기터빈을 돌려서 전기에너지로 생성시킨다.
이러한 원자력 발전소에는 대기 중에 수소가 누적되거나 냉각수 상실 사고로 인하여 금속 구조재가 고온의 열기를 받아 물과 반응하여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수소가 대기 중에 있는 산소와 결합하면서 폭발할 수 있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대기 중에 함유된 수소를 지속적으로 저온에서 산화시켜 소진시키기 위하여 백금 촉매를 활용한 저온 산화장치(PAR)가 활용되고 있으나, 격납용기 내부의 수소 농도가 서서히 증가하거나 온도가 갑자기 오르면서 위험수위에 올라 폭발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수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수소감시장치를 격납용기에 설치하여 수소의 농도를 항시 측정하여 중앙제어실에서 감시제어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국내 원전의 수소감시장치는 반도체식 센서 또는 열전도식 센서 등을 사용하고 있으며, 반도체식 센서는 기체와 고체간의 흡착 및 탈착으로 인한 전기 전도도의 변화를 이용하고, 열전도식 센서는 대상 기체의 열전도도 변화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은 온도, 습도 및 다른 혼합가스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고온, 다습하고 방사선이 강한 중대사고 환경에서 센서의 신뢰도가 낮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국내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소감시설비가 반도체식 센서 또는 열전도식 센서 등을 사용하는 관계로 원자력발전소 내에서 온도, 습도 및 다른 혼합가스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고온, 다습하고 방사선이 강한 중대사고 환경에서 센서의 신뢰도가 낮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소 농도를 감시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소감지센서를 다수 개 설치한 수소감지기를 여러 개 설치한 수소감지기 그룹을 격납용기 내부에 다수 개 설치한 후 이들의 측정결과를 수소감시기에서 상호 비교함으로서 센서와 신호선의 오류를 검증하고 정확한 수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수소감지기에 다수 개의 수소 감지센서를 장착한 후 각각의 센서에서 검출되는 수소감지 신호값을 수소감시기에서 비교하여 특정오차를 벗어나지 않을 때 정상적인 감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수소감지기의 신호 값과 인접된 수소감지기의 신호값을 수소감시기에서 비교하여 수소감지기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소감지기의 수소감지센서를 다수 개 장착하는 한편, 원자로 격납용기 내부에 다수개의 수소감지기를 설치하여 수소농도의 감지 결과를 수소감시기에서 상호 비교함으로서 측정결과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증진하여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으로, 원자력발전소 및 화공공장 등 고농도 수소환경(0~30%)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시 수소(또는 가연성 기체) 감시가 필요하고, 센서의 신뢰성이 강조되는 열악한 지역에 설치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소감지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소감지센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소감지세선 표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소감지센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소감지기의 활용 상태를 보인 격납용기의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신호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발전용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 운전 중에 생성되는 수소가 누적되어 일정한 농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폭발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수소의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수소감지센서(10)(10a)가 장착된 수소감지기(20)(20a)를 구비하되, 상기 수소감지기(20)(20a)를 다수 개 장착하여 수소감지기 그룹(30)(30a)을 형성하고, 상기 수소감지기 그룹(30)(30a)을 격납용기(40)의 내부에 다수 개 설치하여 각각의 신호값을 수소감시기(60)에서 비교하여 수소농도의 상시 감시와 운전 중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소감지센서(10)는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촉매 코팅부(11), 알루미나 지지체(12), 백금 저항선(13)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수소감지센서(10)는 수소농도 측정 시, 수소가 저 농도일 경우에는 센서 저항선(13)에 전기로 열을 가하여 센서 온도를 증가시켜 수소농도를 측정할 능력을 향상시키고, 수소 가스와 촉매 코팅부(11)의 촉매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열전대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수소 가스의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소감지센서(10)는 수소와 산소의 발화점 이하의 온도나 농도에서도 산화를 촉진하게 하는 촉매로서의 백금화합물을 판상 알루미나 표면에 확산시켜 촉매반응을 원활히 하도록 코팅하며, 판상 알루미나 지지체(12)는 두께가 0.2mm이하의 백금 코팅막인 촉매 코팅부(11)를 지지해주는 지지체 역할을 하며, 판상 알루미나 지지체(12)에 백금을 1μm(마이크론) 이하로 코팅시킨 백금 저항선(13)은 저항을 높이도록 설계되어 전기를 통하게 하여 전지저항으로 발생한 열로 센서의 온도 유지 및 신호 발생 기능을 하게 한다.
본 발명의 수소감지기(20)는 상기 된 수소감지센서(10)를 다수 개 장착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각각의 수소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수소농도 측정치를 수소감시기(60)에서 비교하여 센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수소감지기(20)를 구성하는 수소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수소농도 Sn[a]와 수소감지센서(10a)에서 감지된 수소농도 Sn[b]의 차이를 수소감시기(60)에서 비교하여 수소감지센서(10)(10a)의 평균치의 1% 이하면 두 개의 수소감지센서(10)(10a)가 제대로 작동하여 신뢰할 수 있다고 인정하고, 만일, 수소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수소농도 Sn[a]와 수소감지센서(10a)에서 감시된 수소농도 Sn[b]의 차이가 평균치의 1% 이상이면 두 센서 중 하나 혹은 모두 오작동 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소감지기(20)에 다수 개의 수소감지센서(10)(10a)를 장착한 후 하나의 수소감지기(20)에 장착된 수소감지센서(10)(10a)에서 감지된 수소농도의 차이를 수소감시기(60)에서 비교하여 평균치의 1%이상이면 해당 수소감지기(20)가 오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후 해당 수소감지기(20)에 대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수소농도의 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격납용기(40)에서 상기 된 수소감지기(20)(20a)를 여러 개로 하여 수소감지기 그룹(30)(30a)을 형성하고, 상기 수소감지기 그룹(30)을 이루는 수소감지기(20)(20a)를 수소감시기(60)에서 감시하여 오류가 발생한 수소감지기(20)에 대한 수소감지센서(10)의 측정값은 수소감지기 그룹(30) 내부의 다른 수소감지기(20a)를 구성하는 수소감지센서(10a)의 측정값과 비교함으로써 비교값의 차이가 평균치의 5% 이상 이면 이상이 수소감지기(20)의 수소감지센서(10)가 확실한 이상이 생긴 것으로 간주하여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수소감지기(20)에 여러 개의 수소감지센서(10)(10a)를 장착하되 상기 수소감지센서(10)(10a)의 측정값을 수소감시기(60)에서 비교하여 평균치의 1% 이상이면 수소감지센서(10)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되, 한 번의 비교만으로 수소감지센서(10)의 이상을 확정하는 경우 신뢰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여러 개의 수소감지기(20)(20a)로 이루어지는 수소감지기 그룹(30)의 다른 수소감지기(20a)를 구성하는 수소감지센서(10a)의 측정치와 수소감시기(60)에서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한 후 평균치의 5% 이상이면 확실한 이상으로 판단하여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소감시기(60)에서 수소감지기(20)를 구성하는 수소감지센서(10)(10a)의 차이를 비교하여 평균치의 1% 이상이면 이상이 있는 것으로 간주한 후 다시 수소감지기 그룹(30)을 구성하는 다른 수소감지기(20a)의 수소감지센서(10a)와 이상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 수소감지센서(10)의 차이를 비교하여 평균치의 5% 이상이면 확실한 이상이 있는 수소감지센서(10)로 판단하여 교체를 함으로써 수소농도의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수소감지센서(10)의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신호처리 오류를 제거하여 시스템의 신뢰도를 제고하고, 가동 중에도 고장난 신호처리 시스템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러(50)는 수소감지센서(10)에서 들어오는 신호가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Sensor Interface Module) A를 통하여 신호 프로세싱 모듈(Signal Processing Module) A로 분배되어 처리되게 하고, 이렇게 처리된 신호는 이미 정상운전 조건에서 저장된 기준 신호 소스(Reference Signal Source)값과 비교하여 정상신호 유무를 판단하도록 한다.
여기서 콘트롤러(50)의 판단기준은 두 신호의 비교 차이가 5%이상이면, 입력된 신호는 센서 인터페이스 모듈(Sensor Interface Module) B를 통하여 다시 신호 프로세싱 모듈(Signal Processing Module) A로 분배되어 처리되게 하며, 이렇게 처리된 신호 역시 기준신호소스(Reference Signal Source)인 정상신호와 차이가 5%이상이 되면, 신호 프로세싱 모듈(Signal Processing Module) B를 통하여 신호가 처리되어 다음 단계로 넘어가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신호처리 중에 고장난 신호감지센서(10)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신호처리를 하게 되는 모듈 등의 교체도 가동 중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10,10a : 수소감지센서 11 : 촉매 코팅부
12 : 알루미나 지지체 13 : 백금 저항선
20,20a : 수소감지기 30,30a : 수소감지기 그룹
40 : 격납용기 50 : 콘트롤러
60 : 수소감시기

Claims (4)

  1. 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소감지센서(10)(10a)를 구비하고,
    상기 수소감지센서(10)(10a)로 이루어지는 수 개의 수소감지기(20)(20a)를 구비하며,
    상기 수소감지기(20)(20a)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소감지센서(10)(10a)에서 측정한 수소농도 값을 비교하여 수소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수소농도 Sn[a]와 수소감지센서(10a)에서 감지된 수소농도 Sn[b]의 차이가 평균치의 1% 이상 차이가 발생할 때 수소감지센서(10)(10a)의 이상으로 판단하는 수소감시기(6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감시장치.
  2. 삭제
  3. 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수소감지센서(10)(10a)를 구비하고,
    상기 수소감지센서(10)(10a)로 이루어지는 수 개의 수소감지기(20)(20a)를 구비하며,
    상기 수소감지기(20)(20a)로 이루어지는 수 개의 수소감지기 그룹(30)(30a)을 구비하고,
    상기 수소감지기(20)(20a)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소감지센서(10)(10a)에서 측정한 수소농도 값을 비교하여 수소감지센서(10)에서 감지된 수소농도 Sn[a]와 수소감지센서(10a)에서 감지된 수소농도 Sn[b]의 차이가 평균치의 1% 이상 차이가 발생할 때 수소감지센서(10)(10a)의 이상으로 판단하되 이상으로 판단한 후 상기에서 이상으로 판단된 수소감지센서(10)(10a)가 속한 수소감지기 그룹(30)과는 다른 수소감지기 그룹(30a)의 수소감지센서(10a)에서 감지된 수소농도를 비교하여 수소 농도의 평균치가 5% 이상 차이를 보일 때 수소감지센서(10)(10a)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수소감시기(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감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수소감지기(20)(20a)를 구성하는 수소감지센서(10)(10a)에서 측정한 수소 농도에 대한 신호 값을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은 연속감지가 가능한 이중화장치로 구성되어 이상이 감지된 수소감지센서(10)(10a)를 작업자가 교체할 때도 연속 감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감시 장치.
KR1020100050956A 2010-05-31 2010-05-31 수소감시장치 KR101144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956A KR101144848B1 (ko) 2010-05-31 2010-05-31 수소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0956A KR101144848B1 (ko) 2010-05-31 2010-05-31 수소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496A KR20110131496A (ko) 2011-12-07
KR101144848B1 true KR101144848B1 (ko) 2012-05-14

Family

ID=4549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956A KR101144848B1 (ko) 2010-05-31 2010-05-31 수소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482B1 (ko) * 2012-03-19 2013-08-07 한국원자력연구원 수소 동위 원소 침투 장치
KR101597935B1 (ko) * 2015-03-19 2016-02-25 주식회사 퓨쳐시스템 비정상 시계열 데이터 탐지 방법 및 비정상 시계열 데이터 탐지 시스템
KR102532726B1 (ko) * 2020-11-24 2023-05-16 주식회사 이스온 지하공동구 감시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305A (ko) * 1996-08-30 1998-06-05 강필종 폐쇄 구역의 환경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357576A (ja) 2001-05-31 200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広い濃度範囲の水素ガスの検出方法及び同装置
JP2003004698A (ja) 2001-06-26 2003-01-08 Nissan Motor Co Ltd 可燃性ガス検出装置
JP2006317196A (ja) 2005-05-10 2006-11-24 Akihisa Inoue 水素ガスセン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305A (ko) * 1996-08-30 1998-06-05 강필종 폐쇄 구역의 환경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2357576A (ja) 2001-05-31 200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広い濃度範囲の水素ガスの検出方法及び同装置
JP2003004698A (ja) 2001-06-26 2003-01-08 Nissan Motor Co Ltd 可燃性ガス検出装置
JP2006317196A (ja) 2005-05-10 2006-11-24 Akihisa Inoue 水素ガス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496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1095B2 (en) Metho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a gas mixture and associated measuring device
JP2013140100A (ja) 原子炉水位及び温度計測装置
KR101144848B1 (ko) 수소감시장치
US20110217607A1 (en) Anode utilization control system for a fuel cell power plant
US116951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amage in fuel cell stacks, and adjusting operational characteristics in fuel cell systems
JP6300816B2 (ja) 原子炉容器内検出器出力信号を検証する方法
MX2012014842A (es) Metodos y aparatos para monitorear las condiciones del nucleo de un reactor nuclear.
JP4723963B2 (ja) 炉心冷却材温度測定装置、炉心冷却材温度測定方法および原子炉監視装置
CN111974371A (zh) 一种判断活性炭冷却效果及预判解析塔工作状态的方法及系统
KR101459576B1 (ko) 두 종류의 센서를 이용한 수소농도 측정방법
AU2016393784B2 (en) A reactor for oxidation of ammonia in the production of nitric acid
CN101949829A (zh) 一种核电氢浓度检测装置
CN210496453U (zh) 一种判断活性炭冷却效果及预判解析塔工作状态的系统
CN112179945A (zh) 一种高温反应炉炉壁缺陷在线监测的装置以及监测方法
Mills et al. Twenty-eight-element fuel-channel thermal-chemical experiments
Hashemian et al. I&C System Sensors for Advanced Nuclear Reactors
JP5545967B2 (ja) 排ガス再結合器
KAHRAMA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PAR DEVICE FOR HYDROGEN RECOMBINATION IN REKO-4 FACILITY
KR102124437B1 (ko) 누설 검출을 갖는 연료 전지 시스템
KR20100021048A (ko) 연료전지 열화 판정 장치 및 방법
RU2624909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негерметичных тепловыделяющих элементов сборок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с жидкометаллическим теплоносителем
Čalić Passive Autocatalytic Recombiners Periodic Testing Issue
JP200625279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CN111434973A (zh) 一种高危介质管道输送泄漏检测的方法
KR950009656Y1 (ko)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