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157B1 -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 Google Patents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157B1
KR101144157B1 KR1020110085559A KR20110085559A KR101144157B1 KR 101144157 B1 KR101144157 B1 KR 101144157B1 KR 1020110085559 A KR1020110085559 A KR 1020110085559A KR 20110085559 A KR20110085559 A KR 20110085559A KR 101144157 B1 KR101144157 B1 KR 101144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ylindrical body
touch pen
fusion
double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석
Original Assignee
최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석 filed Critical 최민석
Priority to KR102011008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입력조작을 위한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유연한 수지막을 융착시켜 제조한 원통형 주머니의 내부에 전기전도성 물질의 유체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주머니 본체의 일측을 통해 주사기를 이용하여 유체를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는 이중막 주입 구조를 갖도록 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각종 향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Touch Pen}
본 발명은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의 입력조작을 위한 터치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개의 유연한 수지막을 융착시켜 제조한 원통형 주머니의 내부에 전기전도성 물질의 유체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주머니 본체의 일측을 통해 주사기를 이용하여 유체를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는 이중막 주입 구조를 갖도록 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소비자의 취향에 따른 각종 향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 스마트폰에 의하여 널리 사용하게 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미세한 전류에 따라 정전용량 패드의 정전용량 값이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신호를 입력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손가락으로 작동해야 한다. 즉,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인체의 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 것으로서, 손끝이 터치 패널에 닿을 때 인체에 흐르는 미세한 전류와 손끝의 정전용량 값이 터치 패널을 구성하고 있는 정전용량 패드에 정전용량 값을 변화시켜 정전용량 값이 변화된 위치를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감압식 터치패널용 터치 펜, 손톱이나 볼펜, 유성펜 등의 필기구로는 입력이 되지 않는다.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에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할 때에 터치 패널이 지문에 의해 오염되어서 터치 패널이 혼탁해져서 터치 패널의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손톱을 길게 기른 손가락으로는 입력 조작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예컨대 국내 특허등록번호 10-0961590의 공보에는, 접촉 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정전용량 값에 변화를 줄 수 있을 정도의 유전상수 값을 갖는 유연한 유전체를 구비하는 터치펜이 개시되어 있다. 이 터치펜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접촉 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정전용량 값에 변화를 줄 수 있을 정도의 유전상수 값을 갖는 물 또는 알코올을 막(6) 내에 수용한 형태의 유전체(1)와, 이 유전체(1)를 수납함과 아울러 유전체(1)의 종단이 노출되어 터치 패널과 일정 면적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펜(3)과, 이 펜(3)과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펜(3)과 결합 시 유전체(1)가 펜(3)의 종단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손으로 잡고 쓸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손잡이(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 종래의 터치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막(6)에는 미세한 모공이 존재하는데 유전체(1)로 사용하는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은 유체가 자연 증발됨에 따라 상기 막(6)이 쭈그러들어 터치펜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과 같이 값싼 재료를 이용하여 터치펜을 제작할 경우 매우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에, 유체의 자연유출 현상으로 인하여 사용 수명이 매우 짧아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모공이 존재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고, 이에 물과 같은 전기도전성 유체를 충전하여 터치펜을 값싸게 제조하더라도, 터치펜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구조에 대한 기술적 요구는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터치펜을 개선 및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2개의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수지막을 융착시켜 제조되는 원통형 주머니의 내부에 전기전도성 물질의 유체를 충전하여 사용하는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주머니의 본체 한 부분에 차폐막(遮蔽膜)을 위치시켜 테두리를 상기 본체와 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융착부의 내측은 원통본체와 이격된 공간을 갖는 유체주입부를 형성한 이중막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막구조의 유체주입부를 통해 통상의 주사기 바늘을 찔러 넣고 유체를 충전한 후 주사 바늘을 뺄 때 상기 주사 바늘에 의해 형성된 유체주입부의 주사 바늘 찢어진 면이 내압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찢어진 면이 서로 맞닿아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체 보충에 의한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중막구조의 유체주입부를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각종 향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펜의 유용성을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터치펜은, 2개의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수지 재질의 원단 테두리를 서로 융착시켜, 일단이 개방되고 다른 일단은 폐쇄되어 있는 기다란 원통 주머니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 원통본체와, 상기 원통본체의 내부 공간에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된 유체 상태의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와, 상기 원통본체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원통본체의 개방된 일단을 서로 융착하여 생성하는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를 가리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원통본체의 내측 한 부분에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의 차폐막(遮蔽膜)을 위치시켜 상기 차폐막의 테두리를 상기 원통본체와 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융착부의 내측은 원통본체와 이격된 공간을 갖는 유체주입부를 형성한 이중막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막구조의 유체주입부를 주사기 바늘로 찔러 유체를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막구조를 형성하는 차폐막은 한 겹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막의 융착부에 의해 형성된 유체주입부는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막구조의 원통본체에 형성되는 유체주입부의 표면은 주사기의 노즐이 위치되도록 요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막구조의 유체주입부는 시인성(視認性)을 갖기 위해 상기 원통본체에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펜에 충전된 유체의 자연 증발에 대하여 이중막구조의 유체주입부를 통해 통상의 주사기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유체를 보충하여 줌으로써 터치펜의 기능을 계속해서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의 보충시 향수 또는 모기퇴치향과 같은 특정 유체로 충전함으로써 터치펜의 기능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과 같은 값싼 재료의 유체를 통해 터치펜을 구성하면서도 간단한 유체의 보충 구조를 갖게 되어 유체 보충 시에 주입의 편의성과 함께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터치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터치펜의 상부 밀봉부에 덮개를 설치한 상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A-A선 단면도로서 터치펜에 형성된 이중막구조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터치펜에 형성된 이중막구조의 작용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터치펜에 형성된 이중막구조의 변형 예의 작용상태의 확대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펜(10)이 예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펜(10)은, 원통본체(11), 충전 유체(13), 밀봉부(15) 및 이중막구조(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원통본체(11)는, 예컨대 PVC(폴리염화비닐) 또는 우레탄 수지와 같은, 유연성과 탄성복원력을 갖는 2개의 수지 재질의 원단 테두리를 서로 융착시켜 제조한 원통 주머니 형태로서, 일단이 개방되고 다른 일단은 폐쇄되어 있는 기다란 원통 주머니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진다.
융착은 초음파/고주파 또는 열융착 등의 두 개의 원단을 접착하는 일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원통본체(11)를 형성하는 원단은 이미 만들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단의 두께를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경제적이다.
원통본체(11)의 지름은 예컨대 일반적인 볼펜의 지름 정도이거나 예컨대 어른의 엄지손가락보다 작은 정도의 범위일 수 있다. 원통본체(11)의 길이는 일단부가 터치패널과 접촉하는 터치단(111)을 이루어야 하며 다른 부분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파지부(113)를 이루어야 하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도시된 예에서 원통본체(11)는 유선형의 원통 형태를 가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원통본체(11)가 도시된 형태에만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파지부(113)의 형태는 손으로 파지하기 편하게 하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제한없이 가능하다. 터치단(111) 쪽은 터치패널에 입력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라면 제한없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터치단(111)은 내부의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모양이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단의 유연함에 따라 충분한 접촉면적확보가 가능하므로 반구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원통본체(11)는 2개의 수지 재질의 원단을 서로 맞대어 테두리를 융착시킬 때 생성된 융착부(115)가 외부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원통본체(11)를 뒤집어 내부공간을 향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융착부(115)가 외부로 나타나게 형성할 경우에는 터치단(111)이 터치패널에 터치할 때 터치감을 좋게 하기 위해 융착부(115)가 외관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짧게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고주파 융착시 상기 융착부(115)를 정밀하게 관리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상기 융착부(115)가 도 4와 같이 원통본체(11)의 내부공간을 향하게 하기 위해서는, 기다란 원통 주머니 형태의 원통본체(11)를 반드시 한번 뒤집어야만 한다.
이러한 뒤집는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원단이 유연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우레탄비닐 시트 또는 PVC와 같은 수지 재질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원단(B)의 두께는 0.1mm 내지 1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우레탄 시트 원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레탄 시트 원단을 사용하는 원통본체(11)는 재질 특성상 미세한 모공이 존재하는데 충전 유체(13)로 사용하는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은 유체가 자연증발되어 미세 모공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유체(13)의 유출 시에 터치펜(10)이 쭈그러들어 사용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유체(13)를 외부로부터 주입 보충할 수 있도록 원통본체(11)의 일측에 이중막구조(30)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본체(11)의 내측 한 부분에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의 차폐막(遮蔽膜)(31)을 위치시켜 상기 차폐막(31)의 테두리를 상기 원통본체(11)와 융착하여 융착부(31a)를 형성하고, 상기 융착부(31a)의 내측(안쪽)은 원통본체(11)와 이격된 공간(32)을 갖는 유체주입부(31b)를 형성한 이중막구조(30)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차폐막(31)을 통해 이중막구조(30)를 원통본체(11)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1개의 수지 재질의 원단에 차폐막(31)를 위치시켜 고주파 기계에서 융착봉을 이용하여 테두리를 프레스하여 융착부(31a)가 형성됨으로써 유체주입부(31b)가 형성되는 이중막구조(30)가 형성된다. 이후 2개의 수지 재질의 원단 테두리를 서로 융착하여 융착부(115)를 형성함으로써 원통 주머니 형태의 일단이 개방되고 다른 일단은 폐쇄되어 있는 기다란 원통 주머니 형태의 내부 공간을 가진 원통본체(11)가 형성되며, 다음으로 원통본체(1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유체(13)를 충전하고 개방된 부분을 융착하여 밀봉부(15)를 형성함으로써 터치펜(10)이 제작된다.
상기에서 이중막구조(30)를 형성하는 차폐막(31)이 한 겹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유체 보충 후 차폐성을 향상하기 위해 한 겹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막구조(30)의 원통본체(11)에 형성되는 유체주입부(11a)의 표면은 도 6과 같이 주사기(50)의 노즐(52)이 위치되도록 요홈(11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홈(11b)을 통해 주사기(50)의 노즐(52)이 안정된 자세로 위치되어 유체(13)를 안정되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원통본체(11)를 통해 형성되는 이중막구조(30)의 유체주입부(11b) 주위에는 시인성(視認性)을 갖기 위해 표시부(11c)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1c)를 따라 이중막구조(30)를 쉽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유체를 보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펜(10) 내에 충전된 유체(13)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통본체(11)의 미세 모공을 통해 자연 증발된 경우 다음과 같이 유체(13)를 간단히 보충할 수 있다.
도 5 (a)는 이중막구조(30)에 주사기(50) 바늘(51)을 찔러 넣기 전 상태이고, (b)는 이중막구조(30)에 주사기(50) 바늘(51)을 찔러 넣어 유체(13)를 보충하는 상태이고, (c)는 이중막구조(30)를 통해 유체(13)를 보충한 후 주사기(50) 바늘(51)을 빼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a)와 같이 유체를 보충하기 전 상태에서, 터치펜(10)의 원통본체(11)에 유체(13)를 충전하려면, 도 5 (b)와 같이 주사기(50) 바늘(51)을 이중막구조(30)의 원통본체(11)의 유체주입부(11a)와 차폐막(31)의 유체주입부(31b)를 통해 찔러 넣는다. 이에 따라 차폐막(31)의 융착부(31a)를 따라 형성된 유체주입부(11a)(31b)에는 주사기(50) 바늘(51)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 찢어진 면(11d)(31c)이 형성되면서 유체주입부(11a)(31b)가 원통본체(11)의 내측(안쪽)으로 돌기 형태로 돋아 오르게 된다.
상기에서 바늘(51)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주입부(11a)(31b)의 찢어진 면(11d)(31c)은 구멍 형태로 뚫리지않고 유연성과 탄성복원력의 재질에 의해 바늘(51)의 지름만큼 찢어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바늘(51)의 지름은 1mm 이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사기(50)를 눌러주면 주사기(50) 내에 있는 유체가 바늘(51)을 통해 원통본체(11) 내로 주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원통본체(11)에 유체(13)가 보충되어 원통본체(11)가 탱탱해지면 주사기(50)의 바늘(51)을 빼낸다.
상기와 같이 주사기(50)의 바늘(51)을 빼내면, 도 5 (c)와 같이 원통본체(11)의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여 유체주입부(11a)(31b)의 돌기 형태로 돋아 오른 부분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여 평행하게 됨으로써 상기 찢어진 면(11d)(31c)이 서로 맞닿아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터치펜(10)에 유체(13)가 보충되어 터치펜(10)의 사용감이 원상태로 복구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이중막구조(30)는 차폐막(31)이 융착부(31a)에 의해 형성된 유체주입부(31b)에 의해 구성되는바, 상기 융착부(31a)에 의해 형성된 유체주입부(31b)는 원형(환상:環狀)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체주입부(31b)를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이중막구조(30)를 통해 유체 보충 후 유체주입부(11a)(31b)의 돌기 형태로 돋아 오른 찢어진 면(11d)(31c)이 제자리로 복귀할 때 센터링 효과를 높여주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찢어진 면(11d)(31c)이 평행하게 복귀하여 서로 맞닿아 기밀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한편, 시간이 지나 터치펜(10)에 유체(13)가 증발하여 재차 유체를 보충할 경우에는 주사기(50)의 바늘(51)을 다시 찔러 주입할 필요없이 주사기(50)의 노즐(52)을 통해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사기(50)의 바늘(51)을 여러 번에 걸쳐 찌르게 되면, 찢어진 면(11d)(31c)이 넓어져 이를 통해 유체가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터치펜에 형성된 이중막구조의 변형 예의 작용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6 (a)와 같이 유체를 보충하기 전 상태에서, 터치펜(10)의 원통본체(11)에 유체(13)를 충전하려면, 도 6 (b)와 같이 주사기(50)의 바늘(51)을 분리하고 주사기(50)의 노즐(52)을 이중막구조(30)의 유체주입구(11a)에 형성된 요홈(11b)에 갖다 대고 주사기(50)를 누르게 되면 주사기(50)의 내에 있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유체주입부(11a)(31b)의 찢어진 면(11d)(31c)이 돌기 형태로 돋아 올라 약간 벌어지면서 유체가 원통본체(11) 내로 주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원통본체(11)는 보충된 유체(13)에 의해 탱탱해지면 주사기(50) 노즐(52)을 요홈(11b)에서 이탈시킨다. 이에 따라 도 6 (c)와 같이 원통본체(11)의 내부에 압력이 작용하여 유체주입부(11a)(31b)의 돌기 형태로 돋아 오른 부분이 제자리로 복귀하여 평행하게 됨으로써 상기 찢어진 면(11d)(31c)이 서로 맞닿아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터치펜(10)에 유체(13)가 보충되어 터치펜(10)의 사용감이 원상태로 복구되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충전 유체(13)는 원통본체(11)의 내부 공간에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된다. 충전 유체(13)는, 예컨대 물이나 알코올과 같은 액체상태의 전해물질일 수 있는, 유체 상태의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충전 유체(13)는 겔화된 유체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만일의 경우에 원통본체(11)가 파손되어 충전 유체(13)가 외부로 누출되더라도 예컨대 터치 패널과 같은 부품에 끼칠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충전 유체(13)는 예컨대 젤라틴 또는 한천 등과 같은 겔화 물질 또는 스펀지와 같은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가장 바람직하게는 물을 흡수하여 겔화시킬 수 있는 흡수성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에는 예컨대 흡수성 폴리 아크릴 아미드 폴리머(Water absorbent poly acrylamide polymer) 등과 같은 물질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우레탄 수지 원단을 이용하여 터치펜(10)을 제조하는 경우 우레탄 수지 원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이 증발되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미세 모공이 있기 때문에, 충전 유체(13)가 증발되어 원통본체(11)를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전 유체(13)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결국 터치펜(10)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으므로 막아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원통본체(11)에 이중막구조(30)를 형성하여 유체를 보충함으로써 이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미세 모공을 갖는 우레탄 수지 시트 원단에 바셀린 또는 실리콘오일이나 파라핀을 코팅함으로써 원통본체(11)를 통해 유체(13)가 자연 증발하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 원단의 차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시트 원단에 실리카이나 합성수지 계열의 코팅제로 코팅하거나 라미네이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유체(13)의 보충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바셀린과 실리콘오일을 우레탄 수지 원단 시트에 코팅함으로써 원단의 노화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중막구조(30)를 통해 유체를 충전 시 방향제와 같은 향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모기향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밀봉부(15)를 감싸면서 터치펜(10)이 힘을 받아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커버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커버부(150)는 밀봉부(15) 및 원통본체(11)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예컨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150)는 원통본체(11)를 이루는 원단보다 더 큰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원통본체(11)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형태의 커버부(150)를 구비하는 터치펜(10)을 도시한다. 이와 같은 커버부(150)는 원통본체(11)보다 훨씬 경도가 높은 경질 또는 반경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손으로 잡고 터치 입력하는 동작시에 원통본체(11)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50)에는 별도의 연결 수단(16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제품에 액세서리 제품으로서 매달아 체결할 수 있게 하고 필요할 경우 분리하여 그 터치 패널에 입력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시공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10 : 터치펜
11 : 원통본체
30 : 이중막구조

Claims (5)

  1. 2개의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수지 재질의 원단 테두리를 서로 융착시켜, 일단이 개방되고 다른 일단은 폐쇄되어 있는 기다란 원통 주머니 형태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 원통본체와, 상기 원통본체의 내부 공간에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충전된 유체 상태의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체와, 상기 원통본체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도록 상기 원통본체의 개방된 일단을 서로 융착하여 생성하는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를 가리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터치펜에 있어서,
    상기 원통본체의 내측 한 부분에 유연하고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의 차폐막을 위치시켜 상기 차폐막의 테두리를 상기 원통본체와 융착하여 융착부를 형성하고, 상기 융착부의 내측은 원통본체와 이격된 공간을 갖는 유체주입부를 형성한 이중막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이중막구조의 유체주입부를 주사기 바늘로 찔러 유체를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막구조를 형성하는 차폐막은 한 겹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의 융착부에 의해 형성된 유체주입부는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막구조의 원통본체에 형성되는 유체주입부의 표면은 주사기의 노즐이 위치되도록 요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막구조의 유체주입부는 시인성을 갖기 위해 상기 원통본체에 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KR1020110085559A 2011-08-26 2011-08-26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KR101144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559A KR101144157B1 (ko) 2011-08-26 2011-08-26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559A KR101144157B1 (ko) 2011-08-26 2011-08-26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157B1 true KR101144157B1 (ko) 2012-05-11

Family

ID=4627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559A KR101144157B1 (ko) 2011-08-26 2011-08-26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799A (ja) 1998-10-15 2000-04-28 Pilot Precision Co Ltd 入力ペン
KR100984666B1 (ko) 2010-02-04 2010-10-01 (주)삼원에스티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터치 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2799A (ja) 1998-10-15 2000-04-28 Pilot Precision Co Ltd 入力ペン
KR100984666B1 (ko) 2010-02-04 2010-10-01 (주)삼원에스티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터치 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8238B2 (ja) 化粧料容器
KR100984666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위한 터치 펜
US67765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product
WO2012141970A1 (en) Underwater touchscreen system
JP2000122799A (ja) 入力ペン
KR102073324B1 (ko) 다기능 정전방식 터치펜
KR101276325B1 (ko) 화장기구
US20130234999A1 (en) Input pen
KR101560052B1 (ko)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용 필기구
KR101144157B1 (ko) 터치펜의 유체 보충 주입 구조
KR100961590B1 (ko)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에 사용가능한 터치 펜
KR20100065637A (ko) 터치 스크린
KR20170058241A (ko) 휴대 단말기용 수중 터치 방수케이스
KR20110098595A (ko)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인식이 가능한 필기구
JP2005284066A (ja) 可変焦点レンズ及び可変焦点レンズを使用した計器並びに表示器
JP2012066875A (ja) 滴下容器
JP2003104419A (ja) プラスチック容器用キャップ
US20150047139A1 (en) Manual device for cleaning surfaces, with integrated spraying unit
KR101087038B1 (ko) 젤리 터치펜 및 그 제조방법
KR200456212Y1 (ko) 터치펜
KR200473109Y1 (ko) 화장액 넘침 방지 구조를 갖는 액상 콤팩트 화장품
CN207275248U (zh) 一种面膜用试管装置
JP2001198206A (ja) 揮散装置
JP2007007324A (ja) 滴下ノズル及び保存容器
KR101331965B1 (ko) 터치펜 기능을 가지는 샤프펜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