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738B1 -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738B1
KR101143738B1 KR20107006947A KR20107006947A KR101143738B1 KR 101143738 B1 KR101143738 B1 KR 101143738B1 KR 20107006947 A KR20107006947 A KR 20107006947A KR 20107006947 A KR20107006947 A KR 20107006947A KR 101143738 B1 KR101143738 B1 KR 10114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mmunication
wireless
radio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06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755A (ko
Inventor
히로유키 히다카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3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04L45/123Evaluation of link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diverting traffic away from congested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은,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자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데이터량 판정부(135)와, 총 데이터량이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메시지 처리부(13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중계 기능을 갖는 복수의 무선 단말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무선 네트워크인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가 알려져 있다. 또한,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이 무선 기지국과 통신하는 수법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구체적으로는, 무선 단말은, 다른 무선 단말을 통해서 무선 기지국과 통신한다.
즉, 복수의 무선 단말에 의해,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가 구성된다. 하위의 무선 단말이 상위의 무선 단말을 통해서 무선 기지국과 통신하므로, 하위의 무선 단말은, 무선 기지국의 전파 도달 범위 밖이더라도 무선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3-124876 호(제 6-7 페이지, 제 7 도)
상술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 최상위의 무선 단말은 하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므로, 하위의 무선 단말의 수가 증대되면, 최상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도 증대된다.
이러한 경우,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최상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의 허용량(이하, 「대역 허용량」)을 초과하여, 최상위의 무선 단말에서 데이터 지연이나 데이터 파기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일정하더라도, 최상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되는 통신 대역이 좁아지면,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대역 허용량을 초과하여, 최상위의 무선 단말에서 데이터 지연이나 데이터 파기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 하위의 무선 단말의 수가 증대된 경우나, 최상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되는 통신 대역이 좁아진 경우에도, 데이터 지연이나 데이터 파기가 생기는 것을 회피 가능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 BS)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무선 단말 MS)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무선 단말 MS)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통신부(기지국 통신부(110))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하위의 무선 단말(슬레이브)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애드혹 통신부(120), 통신 중계부(137))와,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 단말(무선 단말 MS)과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상기 통신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데이터량 판정부(데이터량 판정부(135))와, 상기 데이터량 판정부에 의해 상기 총 데이터량이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검색 지시)를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문의 메시지 송신부(메시지 처리부(132))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은,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통신부(기지국 통신부(110))와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한 경우에,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한다.
따라서,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 하위의 무선 단말의 수가 증대된 경우나, 최상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되는 통신 대역이 좁아진 경우에도, 전송 데이터의 지연이나 파기가 생기는 것을 회피 가능한 무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라,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취지의 응답 메시지(검색 성공)를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접속 지시)를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지시 메시지 송신부(메시지 처리부(132))를 더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은,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라,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 데이터(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신 데이터 생성부(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6))와, 상기 통신 중계부에 의해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기지국에 중계되는 중계 데이터와, 상기 송신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하는 송신 버퍼부(버퍼부(134))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량 판정부는, 상기 송신 버퍼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중계 데이터 및 상기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 임계값(데이터량 임계값 TH)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데이터량이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특징은,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 BS)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무선 단말 MS)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무선 단말 MS)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위의 무선 단말(마스터)로부터 수신하는 문의 메시지 수신부(메시지 처리부(132))와, 상기 문의 메시지 수신부가 상기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통신 판정부(통신 판정부(131))와,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기지국 통신부(110))와,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상위의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절단하는 접속 절단부(마스터ㆍ슬레이브 관리부(133) 및 통신 제어부(138))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무선 단말은,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상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은,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을 실행함과 아울러, 상위의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절단한다.
따라서,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 하위의 무선 단말의 수가 증대된 경우나, 최상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되는 통신 대역이 좁아진 경우에도,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속하는 하위의 무선 단말 중,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 가능한 무선 단말과 그 하위에 속하는 무선 단말들이, 트리 구조 네트워크로부터 분리되므로, 최상위의 무선 단말이 전송하는 총 데이터량이 삭감되어, 전송 데이터의 지연이나 파기가 생기는 것을 회피 가능한 무선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특징은,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라,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취지의 응답 메시지(검색 성공)를 상기 상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응답 메시지 송신부(메시지 처리부(132))와,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접속 지시)를 상기 상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지시 메시지 수신부(메시지 처리부(132))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지시 메시지 수신부가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을 실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특징은,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라,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불가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문의 메시지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문의 메시지 송신부(메시지 처리부(132))를 더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7 특징은,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하위의 무선 단말의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와,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상기 통신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총 데이터량이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특징은,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상위의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절단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 하위의 무선 단말의 수가 증대된 경우나, 최상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되는 통신 대역이 좁아진 경우에도, 데이터 지연이나 데이터 파기가 생기는 것을 회피 가능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데이터량 판정부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애드혹 네트워크 구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애드혹 네트워크의 분할 동작예 1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애드혹 네트워크의 분할 동작예 2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 (2)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동작, (3) 무선 단말의 구성, (4)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세 동작, (5) 작용 및 효과, (6) 그 밖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전체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0)은, 무선 기지국 BS, 및 무선 단말 MS1~MS6을 갖는다.
무선 기지국 BS는, 무선 단말과 직접 통신 가능한 영역인 서비스 영역(전파 도달 영역) SA를 구성한다. 도 1의 예에서는, 무선 기지국 BS는, 서비스 영역 SA 내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 MS1과 직접 통신한다.
무선 단말 MS1~MS6은, 무선 기지국 BS와 직접 통신(싱글 홉(single hop) 통신)하는 기능과,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무선 단말을 통해서 무선 기지국 BS와 통신(멀티 홉(multi hop)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 MS1~MS6에 의해, 자율적인 무선 네트워크인 애드혹 네트워크 AH가 형성되어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 AH는, 무선 기지국 BS와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 MS1을 최상위의 계층(루트 노드(root node))으로 한 트리 구조를 갖는다.
도 1의 예에서는, 트리 구조의 애드혹 네트워크 AH에서, 무선 단말 MS1에 접속하는 무선 단말 MS2 및 무선 단말 MS5는 동일한 계층이다. 무선 단말 MS2에 접속하는 무선 단말 MS3 및 무선 단말 MS4와, 무선 단말 MS5에 접속하는 무선 단말 MS6은 동일한 계층이다. 또, 무선 단말 MS3, 무선 단말 MS4, 및 무선 단말 MS6은 최하위의 계층(리프 노드(leaf node))이다.
또한, 무선 단말 MS1~MS6은, 자기의 바로 위의 계층에 속하는 무선 단말을 마스터로서 기억하고, 자기의 바로 아래의 계층에 속하는 무선 단말을 슬레이브로서 기억한다. 예컨대, 무선 단말 MS2는 무선 단말 MS1을 마스터로서 기억하고, 무선 단말 MS3 및 무선 단말 MS4를 슬레이브로서 기억하고 있다. 또, 도 1에서는, 무선 단말 MS1의 마스터는 무선 기지국 BS이다.
무선 단말 MS1~MS6은 같은 구성이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무선 단말을 무선 단말 MS라고 적절히 총칭한다.
(2)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 개략 동작
다음으로, 도 2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전체 개략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에서는, 무선 단말 MS2 및 무선 단말 MS5가, 서비스 영역 SA 밖으로부터 서비스 영역 SA 안으로 이동하고 있다. 무선 단말 MS2 및 무선 단말 MS5는, 애드혹 네트워크 AH 가입시에 전력 절약을 위해 무선 기지국 BS로부터의 전파의 보충을 중지하고 있다.
또한, 도 2(a)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애드혹 네트워크 AH에 대하여, 새롭게 무선 단말 MS7~무선 단말 MS10이 가입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 BS와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 MS1은, 하위의 무선 단말 MS2~MS1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무선 기지국 BS에 중계하므로,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 MS의 수가 증가되면, 중계해야 할 총 데이터량도 증가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 BS와 무선 단말 MS1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을 핍박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 MS1은, 애드혹 네트워크 AH와 무선 기지국 BS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무선 단말 MS1과 무선 기지국 BS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이하, 「대역 허용량」)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대역 허용량을 초과한 경우에는, 무선 단말 MS1은, 슬레이브(예컨대, 무선 단말 MS2)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 BS로부터의 전파 검색을 지시한다.
도 2(b)에서는, 무선 단말 MS2가 전파 검색에 성공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무선 단말 MS2가 전파 검색에 성공하여, 무선 기지국 BS에 접속하면, 무선 단말 MS1과 무선 단말 MS2의 마스터ㆍ슬레이브 관계가 해소된다. 즉, 무선 단말 MS2는, 무선 단말 MS1과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 결과, 도 2(a)에 나타낸 애드혹 네트워크 AH는, 도 2(b)에 나타내는 애드혹 네트워크 AH1 및 애드혹 네트워크 AH2로 분할된다. 이에 따라, 1대의 무선 단말 MS1에서 부담하고 있었던 트래픽이, 2대의 무선 단말 MS1 및 무선 단말 MS2로 분산되므로, 폭주의 발생이 회피된다.
또한, 애드혹 네트워크 AH 내의 무선 단말 MS의 수가 증가하지 않는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폭주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기지국 BS는, 서비스 영역 SA 내에 위치하는 무선 단말 MS의 통신량을 제어하기 위해, 통신 속도 제한을 행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무선 단말 MS에 송신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통신 속도 제한의 제어 메시지의 예로서는, 예컨대, 1xEV-DO(C.S 0024) 시스템에서 규정된, BroadcastReverseRateLimit Message, UnicastReverseRateLimit Message 등이 있다. 통신 속도 제한의 제어 메시지에 기인하여, 무선 기지국 BS와 무선 단말 MS1의 통신의 통신 대역이 좁아지더라도, 상기한 바와 같이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분할함으로써, 폭주의 발생이 회피된다.
(3) 무선 단말의 구성
다음으로, 도 3~도 5를 이용하여, 무선 단말 MS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3.1) 무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 (3.2) 무선 단말의 기능 블록 구성, (3.3) 데이터량 판정부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3.1) 무선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
도 3은 무선 단말 MS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선 단말 MS는, 기지국 통신부(110), 애드혹 통신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3), 입력부(144), 마이크(141), 스피커(142), 및 배터리(150)를 갖는다.
기지국 통신부(110)는, 무선 기지국 BS에 접속하여,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을 실행한다. 기지국 통신부(110)는, 예컨대, CDMA 방식에 따른 무선 신호(RF 신호)를 무선 기지국 BS와 송수신한다. 또한, 기지국 통신부(110)는, 무선 신호와 베이스 밴드 신호의 변환을 실행하고, 베이스 밴드 신호를 제어부(130)와 송수신한다.
애드혹 통신부(120)는,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에 접속하여, 그 무선 단말을 통해서 무선 기지국 BS와 통신한다. 애드혹 통신부(120)는, 예컨대, 무선 LAN(IEEE 802.11 등) 또는 Bluetooth(등록상표)에 준거한 구성을 갖고 있다. 애드혹 통신부(120)는, 무선 신호와 베이스 밴드 신호의 변환을 실행하고, 베이스 밴드 신호를 제어부(130)와 송수신한다.
표시부(143)는, 제어부(130)를 통해서 수신한 화상을 표시하거나, 조작 내용(입력 전화번호나 어드레스 등)을 표시하거나 한다. 입력부(144)는, 키패드나 기능키 등에 의해 구성되고, 사용자의 조작 내용을 입력하기 위해 이용된다.
마이크(141)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그 전기 신호를 제어부(130)에 입력한다. 스피커(142)는, 제어부(130)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그 음성을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CPU나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고, 무선 단말 MS가 구비하는 각종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는, 무선 단말 MS에 있어서의 제어 등에 이용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배터리(150)는, 무선 단말 MS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력을 축적하고, 축적한 전력을 각 블록에 공급한다.
기지국 통신부(110)는, 안테나(111), 기지국 통신용 RF 처리부(112), 부호화부(113), 및 복호부(114)를 포함한다.
부호화부(113)는, 제어부(130)로부터의 베이스 밴드 신호를 부호화한다. 기지국 통신용 RF 처리부(112)는, 부호화된 베이스 밴드 신호의 상향 변환(up conversion) 및 증폭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무선 신호가 생성된다. 생성된 무선 신호는, 안테나(111)를 통해서 외부로 송출된다.
또한, 기지국 통신용 RF 처리부(112)는, 안테나(111)를 통해서 입력되는 무선 신호의 증폭 및 하향 변환(down conversion)을 실행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생성한다. 복호부(114)는, 생성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복호하고, 복호한 베이스 밴드 신호를 제어부(130)에 입력한다.
애드혹 통신부(120)는, 안테나(121), 애드혹 통신용 RF 처리부(122), 부호화부(123), 및 복호부(124)를 포함한다. 안테나(121), 애드혹 통신용 RF 처리부(122), 부호화부(123), 및 복호부(124)에 대해서는, 안테나(111), 기지국 통신용 RF 처리부(112), 부호화부(113), 및 복호부(114)와 같으므로,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3.2) 무선 단말의 기능 블록 구성
도 4는 무선 단말 MS의 기능 블록 구성도,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30)에 의해 실행되는 각 기능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통신 판정부(131), 메시지 처리부(132), 마스터ㆍ슬레이브 관리부(133), 버퍼부(134), 데이터량 판정부(135),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6), 통신 중계부(137), 및 통신 제어부(138)를 갖는다.
통신 판정부(131)는, 애드혹 통신부(120) 및 메시지 처리부(132)가, 마스터로부터 무선 기지국 BS의 검색 지시를 수신한 경우, 기지국 검색을 실행한다.
메시지 처리부(132)는, 주로 이하의 메시지를 마스터나 슬레이브와 송수신한다. 기지국 검색을 지시하는 검색 지시(문의 메시지). 기지국 검색의 결과인 검색 결과(응답 메시지).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을 지시하는 접속 지시(지시 메시지).
마스터ㆍ슬레이브 관리부(133)는, 마스터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나, 슬레이브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기억ㆍ관리한다. 식별 정보로서는, 단말 ID, 또는 어드레스(IP 어드레스나 MAC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6)는, 예컨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어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버퍼부(134)에 있어서 유지된다.
버퍼부(134)는, 송신 버퍼 및 수신 버퍼를 갖는다. 버퍼부(134)의 송신 버퍼는, 통신 중계부(137)에 의해 슬레이브로부터 마스터에 중계되는 중계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6)에 의해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마스터로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한다.
버퍼부(134)의 수신 버퍼는, 통신 중계부(137)에 의해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에 중계되는 중계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처리부(136)가 처리해야 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수신 데이터)를 유지한다.
데이터량 판정부(135)는, 무선 단말 MS가 무선 기지국 BS와 직접 통신하는 경우에, 버퍼부(134)의 송신 버퍼에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무선 기지국 BS에 송신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대역 허용량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무선 기지국 BS에 송신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대역 허용량을 초과했는지 여부가 판정된 경우, 메시지 처리부(132)는, 검색 지시를 슬레이브에 송신한다.
통신 중계부(137)는, 슬레이브 및 마스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즉, 통신 중계부(137)는, 마스터ㆍ슬레이브 관리부(133)가 관리하는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슬레이브와 마스터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패킷)를 중계한다.
통신 제어부(138)는, 기지국 통신부(110) 및 애드혹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통신 제어부(138)는, 마스터ㆍ슬레이브 관리부(133)에 의해 마스터가 등록된 경우, 기지국 통신부(110)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 BS에 의해 송신되는 무선 신호(예컨대, 파일럿 신호 등의 통지 신호)의 수신을 정지시킨다.
또한, 통신 제어부(138)는, 무선 기지국 BS로부터 통신 속도 제한 메시지를 받으면, 그 메시지에서 지정된 통신 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3.3) 데이터량 판정부의 기능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데이터량 판정부(135)의 기능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무선 단말 MS가 무선 기지국 BS와 직접 통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부(134)의 송신 버퍼에는, 무선 기지국 BS에 송신해야 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중계 데이터가 일시적으로 보존된다. 통신 제어부(138) 및 기지국 통신부(110)는, 버퍼부(134)의 송신 버퍼에 보존되어 있는 데이터를 일정 간격마다 무선 기지국 BS에 송신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퍼부(134)의 송신 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 IN이, 송신 버퍼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터 OUT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신 버퍼에 데이터가 거의 축적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퍼부(134)의 송신 버퍼에 저장되는 데이터 IN이, 송신 버퍼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터 OUT보다 큰 경우에는, 송신 버퍼 내의 데이터가 증가한다.
송신 버퍼 내의 데이터가 데이터량 임계값 TH를 초과하면, 흐름 제어가 동작한다. 데이터량 판정부(135)는, 이러한 흐름 제어의 기동을 검출한다.
(4)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세 동작
다음으로 도 6~도 8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4.1) 애드혹 네트워크의 구축 동작, (4.2) 애드혹 네트워크의 분할 동작예 1, (4.3) 애드혹 네트워크의 분할 동작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4.1) 애드혹 네트워크의 구축 동작
도 6은 무선 단말 MS에 의해 실행되는 애드혹 네트워크 AH의 구축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01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는, 직접 통신 가능한 무선 기지국 BS를 발견하기 위해, 기지국 검색을 실행한다. 무선 단말 MS는, 예컨대, 무선 기지국 BS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수신 레벨이 안정되어 있고, 또한 그 수신 레벨이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에, 그 무선 기지국 BS와 직접 통신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는, 직접 통신 가능한 무선 기지국 BS를 발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직접 통신 가능한 무선 기지국 BS를 발견하면, 무선 단말 MS는, 단계 S103에 있어서 대기 상태가 된다. 무선 단말 MS는, 대기 상태가 되면, 스스로 마스터가 되어 애드혹 네트워크 AH의 구축을 행한다.
한편, 직접 통신 가능한 무선 기지국 BS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무선 단말 MS는, 단계 S104에 있어서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검색한다. 예컨대, 무선 단말 MS는, 일정한 범위 내에 접속 요구 신호를 통지하고, 애드혹 네트워크 AH 내의 다른 무선 단말 MS가 응답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는,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발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무선 단말 MS는,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발견하면, 단계 S106에 있어서, 발견한 애드혹 네트워크 AH에 가입한다. 무선 단말 MS는, 애드혹 네트워크 AH에 가입하면, 전력 절약을 위해 무선 기지국 BS로부터의 전파의 보충을 중지한다. 한편, 애드혹 네트워크 AH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 단계 S101로 처리가 되돌아간다.
단계 S107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는,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축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단말 MS는, 무선 기지국 BS에 접속한 경우에는, 그 무선 기지국 BS를 마스터로서 등록한다. 또한, 무선 단말 MS는, 다른 무선 단말 MS에 접속한 경우에는, 그 다른 무선 단말 MS를 마스터로서 등록한다.
단계 S108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는, 다른 무선 단말 MS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무선 단말 MS는, 다른 무선 단말 MS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단계 S109에 있어서, 그 다른 무선 단말 MS를 슬레이브로서 등록한다.
(4.2) 애드혹 네트워크의 분할 동작예 1
도 7은 애드혹 네트워크 AH의 분할 동작예 1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여기서는, 도 2(a)에 나타낸 상황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1이, 하위의 무선 단말 MS2 및 무선 단말 MS5에 검색 지시를 송신한 이후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계 S201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1은, 검색 지시를 슬레이브(즉, 무선 단말 MS2 및 무선 단말 MS5)에 송신한다.
무선 단말 MS2 및 무선 단말 MS5가 검색 지시를 수신하면, 단계 S202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2 및 무선 단말 MS5는, 기지국 검색을 개시한다.
단계 S203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2는, 기지국 검색에 성공한다. 한편, 단계 S204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5는, 기지국 검색에 실패한다.
단계 S205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5는, 기지국 검색에 실패한 취지의 검색 결과를 무선 단말 MS1에 보고한다. 단계 S206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2는, 기지국 검색에 성공한 취지의 검색 결과를 무선 단말 MS1에 보고한다.
단계 S207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5는, 기지국 검색을 종료한다. 여기서, 기지국 검색에 실패한 무선 단말 MS5는, 검색 지시를 슬레이브(무선 단말 MS6)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단계 S208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1은, 무선 기지국 BS로의 접속을 지시하는 접속 지시를 무선 단말 MS2에 송신한다. 무선 단말 MS2는, 접속 지시를 수신하면, 단계 S209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 BS로의 접속을 개시한다.
무선 기지국 BS로의 접속이 성공하면, 단계 S211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2는, 무선 기지국 BS로의 접속이 완료된 취지의 보고를 무선 단말 MS1에 송신한다.
단계 S212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1은, 마스터ㆍ슬레이브 관계의 해제를 지시하는 마스터ㆍ슬레이브 해제 지시를 무선 단말 MS2에 송신한다. 또한, 무선 단말 MS1은, 단계 S212에 있어서, 슬레이브로서의 무선 단말 MS2의 등록을 해제한다.
단계 S213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2는, 무선 단말 MS1의 마스터 등록을 해제함과 아울러, 그 취지를 무선 단말 MS1에 보고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 MS2는, 무선 단말 MS1과의 접속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 MS2는, 새로운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된다.
(4.3) 애드혹 네트워크의 분할 동작예 2
도 8은 애드혹 네트워크 AH의 분할 동작예 2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여기서는, 무선 기지국 BS로부터의 통신 속도 제한 메시지를 무선 단말 MS1이 수신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과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단계 S301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 BS는, 통신 속도 제한 메시지를 무선 단말 MS1에 송신한다. 이 결과,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 MS의 수가 변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 5에 나타낸 송신 버퍼의 데이터량이 데이터량 임계값 TH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무선 단말 MS1은, 단계 S201에 있어서, 검색 지시를 슬레이브(무선 단말 MS2 및 무선 단말 MS5)에 송신한다.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7과 같다.
(5) 작용 및 효과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 BS와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 MS는,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 단말 MS와 무선 기지국 BS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기지국 통신부(110)와 무선 기지국 BS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한 경우에, 검색 지시를 슬레이브에 송신한다.
무선 단말 MS는, 검색 지시를 마스터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 MS는,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에,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을 실행함과 아울러, 마스터와의 접속을 절단한다.
따라서, 애드혹 네트워크 AH에 있어서 무선 단말 MS의 수가 증대된 경우나, 최상위의 무선 단말 MS와 무선 기지국 BS의 통신에 할당되는 통신 대역이 좁아진 경우에도, 전송 데이터의 지연이나 파기가 생기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무선 단말 MS는,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취지의 검색 결과를 슬레이브로부터 수신한 경우,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접속 지시를 슬레이브에 송신한다. 즉,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슬레이브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 BS로의 접속을 지시함으로써,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 MS가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무선 단말 MS는, 중계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부(134)의 송신 버퍼 내의 데이터량이 데이터량 임계값 TH를 초과한 경우에, 무선 기지국 BS에 송신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 BS에 송신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한 것을 정밀하게 검출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무선 단말 MS는,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한 경우,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취지의 검색 결과를 마스터에 송신한다. 또한, 무선 단말 MS는,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접속 지시를 마스터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 MS는,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고, 또한 접속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을 실행한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 MS는, 접속 지시를 기다려 마스터ㆍ슬레이브 교체를 행함으로써, 마스터ㆍ슬레이브의 교체를 보다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무선 단말 MS는, 검색 지시를 수신한 후에 무선 기지국 BS와의 직접 통신이 불가하다고 판정한 경우, 검색 지시를 슬레이브에 송신한다. 따라서, 검색 지시를 하위의 각 계층의 무선 단말 MS를 향해서 전파할 수 있다.
(6)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따라 기재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이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분명해진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데이터량 판정부(135)는, 버퍼부(134)의 송신 버퍼에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량이 데이터량 임계값 TH를 초과한 경우에, 애드혹 네트워크 AH로부터 무선 기지국 BS에 송신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대역 허용량을 초과했다고 판정하고 있었다. 즉, 상향 방향의 통신에 있어서 폭주가 발생한 경우에, 애드혹 네트워크 AH의 분할 처리가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상향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하향 방향의 통신에 있어서의 폭주에 대해서도 애드혹 네트워크 AH의 분할 처리가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 MS의 수가 증대된 경우에는, 무선 기지국 BS로부터 애드혹 네트워크 AH에 송신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대역 허용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각 무선 단말 MS에 송신해야 할 데이터가 무선 기지국 BS의 송신 버퍼에 축적되게 된다. 따라서, 무선 기지국 BS는, 무선 기지국 BS의 송신 버퍼에 유지되어 있는 데이터량이 데이터량 임계값 TH를 초과한 경우에, 그 취지를 애드혹 네트워크 AH의 최상위의 무선 단말 MS에 통지한다.
그리고, 최상위의 무선 단말 MS의 데이터량 판정부(135)는, 그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 무선 기지국 BS로부터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각 무선 단말 MS에 송신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대역 허용량을 초과했다고 판정한다. 이 결과, 최상위의 무선 단말 MS의 메시지 처리부(132)는, 검색 지시를 슬레이브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1대의 무선 단말 MS에서 부담하고 있었던 하향 트래픽이, 복수의 무선 단말 MS로 분산되므로, 하향 방향의 통신에 있어서의 폭주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최상위의 무선 단말 MS의 수신 버퍼에 유지되는 데이터량이 데이터량 임계값 TH를 초과한 경우에, 최상위의 무선 단말 MS는, 무선 기지국 BS로부터 애드혹 네트워크 AH를 구성하는 각 무선 단말 MS에 송신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대역 허용량을 초과했다고 판정하고, 검색 지시를 슬레이브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 MS로서 휴대 전화 단말을 예시하고 있었지만,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노트북 PC 또는 퍼스널ㆍ디지털ㆍ어시스턴스(PDA) 등이더라도 상관없다. 휴대형 무선 단말에 한하지 않고, 고정형 무선 단말을 포함하는 애드혹 네트워크 AH가 구성되더라도 좋다.
또,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 구축 동작에 있어서는, DSR(Dynamic Source Routing) 또는 AODV(Ad-hoc On-Demand Vector Routing) 등의 기존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지 않고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 등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개시로부터 타당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이다.
또,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256313 호(2007년 9월 28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은,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 하위의 무선 단말의 수가 증대된 경우나, 최상위의 무선 단말과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되는 통신 대역이 좁아진 경우에도, 데이터 지연이나 데이터 파기가 생기는 것을 회피 가능하므로, 이동체 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8)

  1.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하위의 무선 단말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 중계부와,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상기 통신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데이터량 판정부와,
    상기 데이터량 판정부에 의해 상기 총 데이터량이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문의 메시지 송신부
    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취지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를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지시 메시지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무선 단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송신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통신 중계부에 의해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무선 기지국에 중계되는 중계 데이터와, 상기 송신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송신 데이터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의 송신이 완료될 때까지 유지하는 송신 버퍼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량 판정부는, 상기 송신 버퍼부에 유지되어 있는 상기 중계 데이터 및 상기 송신 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소정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상기 총 데이터량이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다고 판정하는
    무선 단말.
  4.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문의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문의 메시지 수신부가 상기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통신 판정부와,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상위의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절단하는 접속 절단부
    를 구비하는 무선 단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 취지의 응답 메시지를 상기 상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응답 메시지 송신부와,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의 개시를 지시하는 지시 메시지를 상기 상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지시 메시지 수신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되고, 또한 상기 지시 메시지 수신부가 상기 지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을 실행하는
    무선 단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판정부에 의해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불가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문의 메시지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문의 메시지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무선 단말.
  7.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기지국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하위의 무선 단말의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와,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전송해야 할 총 데이터량이, 상기 무선 단말과 상기 무선 기지국의 통신에 할당된 통신 대역에 있어서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총 데이터량이 상기 전송 가능한 데이터량을 초과했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하위의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무선 기지국과 직접 통신하는 무선 단말을 최상위로 한 트리 구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무선 단말에 이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상기 트리 구조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상위의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문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판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상위의 무선 단말과의 접속을 절단하는 단계
    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20107006947A 2007-09-28 2008-09-25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1143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56313 2007-09-28
JP2007256313A JP5041948B2 (ja) 2007-09-28 2007-09-28 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PCT/JP2008/067346 WO2009041536A1 (ja) 2007-09-28 2008-09-25 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755A KR20100063755A (ko) 2010-06-11
KR101143738B1 true KR101143738B1 (ko) 2012-05-11

Family

ID=4051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7006947A KR101143738B1 (ko) 2007-09-28 2008-09-25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49732B2 (ko)
JP (1) JP5041948B2 (ko)
KR (1) KR101143738B1 (ko)
WO (1) WO20090415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6414B2 (ja) * 2007-08-10 2012-09-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方法
WO2010110173A1 (ja) 2009-03-26 2010-09-30 Ntn株式会社 センサ付車輪用軸受
US10721269B1 (en) 2009-11-06 2020-07-21 F5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 for returning requests with javascript for clients before passing a request to a server
US9420049B1 (en) 2010-06-30 2016-08-16 F5 Networks, Inc. Client side human user indicator
JP5435147B2 (ja) * 2010-11-29 2014-03-05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方法
US10230566B1 (en) 2012-02-17 2019-03-12 F5 Networks, Inc. Methods for dynamically constructing a service principal name and devices thereof
WO2013163648A2 (en) 2012-04-27 2013-10-31 F5 Networks, Inc. Methods for optimizing service of content requests and devices thereof
WO2013169240A1 (en) * 2012-05-09 2013-11-14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Digital relay for out of network devices
US9521074B2 (en) 2012-05-10 2016-12-13 Sono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rect routing between nodes of networks
US9497614B1 (en) * 2013-02-28 2016-11-15 F5 Networks, Inc. National traffic steering device for a better control of a specific wireless/LTE network
JP6398970B2 (ja) 2013-04-10 2018-10-03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US9445352B2 (en) * 2013-07-30 2016-09-13 Qualcomm Incorporated Power efficient discovery of LTE-direct relay for out-of-coverage devices
US10187317B1 (en) 2013-11-15 2019-01-22 F5 Networks, Inc. Methods for traffic rate control and devices thereof
US10015720B2 (en) 2014-03-14 2018-07-03 GoTenna,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between computing devices
DE102014219400A1 (de) * 2014-09-25 2016-03-3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Fahrzeug, Mobilkommunikationssystem, Verfahren und Computerprogramm für einen mobilen Basisstations-Sendeempfänger
DE112015006894T5 (de) * 2015-09-11 2018-06-07 Intel IP Corporation Funknetzwerkzugang von tragbaren Geräten
CN105228213B (zh) * 2015-09-30 2019-03-12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设备进行中继的方法和装置
US10505792B1 (en) 2016-11-02 2019-12-10 F5 Networks, Inc. Methods for facilitating network traffic analytics and devices thereof
US10361974B1 (en) * 2017-01-06 2019-07-23 Sprint Spectrum L.P. Controlling base station buffering of data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the extent to which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s connectivity for other devices
US10616772B2 (en) * 2017-03-15 2020-04-07 At&T Mobility Ii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femtocell functionality in user devices
JP7059149B2 (ja) * 2018-08-24 2022-04-2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592A (ko) * 2004-11-25 2006-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량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멀티 섹터 중계기
KR20060066011A (ko) * 2004-12-11 200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및 그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157B1 (ja) 1998-08-28 2000-02-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パケット転送方法および該方法を用いた無線基地局
US7002933B1 (en) * 2000-10-06 2006-02-2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Wireless mobile network with an adaptive locally linked mobile network for locally routing multimedia content
JP3704493B2 (ja) 2001-10-17 2005-10-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ツリー型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の送信電力設定方法及び送信電力設定プログラム
US8072949B2 (en) * 2004-05-07 2011-12-06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node apparatus, and multihop wireless LAN system
JP4385223B2 (ja) * 2004-06-30 2009-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システム、基地局制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電力制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7590064B1 (en) * 2004-07-20 2009-09-1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flow control in multi-hop wireless access networks
US7636328B2 (en) * 2004-10-20 2009-12-22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transmission of signaling using channel constraints
JP2007158655A (ja) * 2005-12-05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端末、送信端末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08029338A2 (en) * 2006-09-08 2008-03-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selecting nodes
US7873338B2 (en) * 2006-11-06 2011-01-1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appropriate link path in a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WO2008103965A1 (en) * 2007-02-22 2008-08-28 Zte (Usa) Inc. Signaling for multi-hop rela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592A (ko) * 2004-11-25 2006-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량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멀티 섹터 중계기
KR20060066011A (ko) * 2004-12-11 200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노드의 동작 모드 결정 방법 및 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755A (ko) 2010-06-11
JP5041948B2 (ja) 2012-10-03
US20100261479A1 (en) 2010-10-14
JP2009089042A (ja) 2009-04-23
US8649732B2 (en) 2014-02-11
WO2009041536A1 (ja)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738B1 (ko)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6147935B2 (ja) アクセスポイントとワイヤレスデバイスとの間のリンク確立に関するシグナリング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ときのオーバーヘッドを削減するための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およびワイヤレスデバイス
KR101195726B1 (ko)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EP1675321B1 (en) Controller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JP5059126B2 (ja) 無線基地局装置の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
JP505958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無線通信方法
US20040166853A1 (e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ntrol station, radio station and multi-hop communication method
JP6239636B2 (ja) ワイヤレス通信のレンジ拡大(rangeextension)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WO2005091576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経路探索方法
CN107318141B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设备及系统
CN101083595A (zh) 一种路由建立方法
JP2016536877A (ja) メッシュ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状態更新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JP445535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50104409A (ko) 애드-훅 접속에 의해 확장되는 셀룰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기지국
JP201224931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5074259B2 (ja) 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7024952A1 (zh) 设备到设备的无线网格网络的路由寻找方法和装置
JP200412906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および通信経路設定方法
JP2008252809A (ja) 無線基地局、集中制御局、移動局
JP5576432B2 (ja) システム及び機器
JP2005252496A (ja) 経路制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利用可能なパケット伝送装置
CN110213801B (zh) 异构网络通信方法及设备
JP2009182697A (ja) 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2008306641A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12172665A1 (ja)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