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417B1 -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 - Google Patents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417B1
KR101142417B1 KR1020100085136A KR20100085136A KR101142417B1 KR 101142417 B1 KR101142417 B1 KR 101142417B1 KR 1020100085136 A KR1020100085136 A KR 1020100085136A KR 20100085136 A KR20100085136 A KR 20100085136A KR 101142417 B1 KR101142417 B1 KR 10114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deposition
mixed solution
reaction
buff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087A (ko
Inventor
김광복
김대중
신정식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417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용액을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복수 개의 반응탱크를 포함하는 반응부와, 상기 복수 개의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열된 혼합용액이 투입되는 증착조와, 상기 증착조에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침지하는 투입수단, 및 상기 혼합용액이 배출되는 배출조를 포함하는 증착부, 및 상기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에서 혼합용액이 투입되어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과 반응이 완료되면 상기 증착조에 유입된 혼합용액을 배출하고, 나머지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에서 혼합용액을 상기 증착조에 투입하고 또 다른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상기 증착조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박막태양전지의 버퍼층을 연속적으로 형성이 가능하고, 재현성 확보가 가능한 한편, 황화 카드뮴 용액을 제조하는 재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 {BUFFER LAYER DEPOSITION APPARATUS FOR THIN-FILM SOLAR CELLS AND METHOD FOR DEPOSITION OF BUFFER LAY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증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화학적 용액성장법(chemical bath deposition, CBD)을 이용하여 광흡수층에 버퍼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면서도 재현성이 확보될 수 있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와 에너지 고갈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차세대 전지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차세대 전지 중 태양전지는 광흡수층에 의하여 흡수된 전자와 정공을 이용하여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태양전지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단위 박막, 배면 전극, 광흡수층, 버퍼층, 투명전극, 및 반사방지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배면전극, 광흡수층, 버퍼층, 투명전극 및 반사방지막은 일반적인 스퍼터링 장치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증착될 수 있다. 그러나 버퍼층을 스퍼터링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광흡수층에 결함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화학적 용액성장법(chemical bath deposition, CBD)을 이용한 버퍼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되고 있다.(한국 공개특허 제1999-0002817호, 일본공개특허 제2007-242646호)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용액성장법(chemical bath deposition, CBD)은 비이커 또는 용기에 복수의 화학물질을 넣고 교반 및 가열하여 황화카드뮴 용액을 제조하고 이후에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침지하여 광흡수층 상면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박막태양전지 기판에 버퍼층을 형성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황화카드뮴 용액을 다시 제조하여야 하므로 연속적으로 버퍼층을 증착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복수 회 제조시 정확한 황화카드뮴 용액의 농도를 제어하기 어려워 버퍼층의 증착이 반복되는 경우 증착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학적 용액성장법(chemical bath deposition, CBD)을 이용하여 버퍼층을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재현성 확보가 가능한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특징은 혼합용액을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복수 개의 반응탱크를 포함하는 반응부와, 상기 복수 개의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열된 혼합용액이 투입되는 증착조와, 상기 증착조에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침지하는 투입수단, 및 상기 혼합용액이 배출되는 배출조를 포함하는 증착부, 및 상기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에서 혼합용액이 투입되어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과 반응이 완료되면 상기 증착조에 유입된 혼합용액을 배출하고, 나머지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에서 혼합용액을 상기 증착조에 투입하고 또 다른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상기 증착조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반응부의 전단에는 교반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혼합용액의 구성물질 저장조와, 증류수 저장조, 및 상기 저장장치와 증류수 저장조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물질과 증류수를 혼합하는 복수 개의 믹싱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믹싱탱크에는 상기 증류수와 혼합된 구성물질을 상기 복수 개의 반응탱크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복수 개의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성물질은 암모니아(NH3), 싸이오요소(N2H4CS), 황산카드뮴(CdSO4)으로 구성되고, 복수 개의 믹싱탱크에 투입되는 구성물질은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반응탱크는 제1반응탱크와 제2반응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반응탱크와 제2반응탱크는 상기 증착조로 혼합용액이 투입된 이후에 상기 믹싱탱크로부터 구성물질을 공급받아 혼합용액을 제조하도록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제1반응탱크에서 가열된 황(S) 이온과 카드뮴(cd) 이온이 혼합된 혼합용액이 증착조에 투입되고, 상기 증착조에 박막태양전지 기판이 침지되어 버퍼층이 증착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반응탱크에서 투입된 상기 혼합용액이 배출되고 제2반응탱크로부터 황(S) 이온과 카드뮴(cd) 이온이 혼합된 혼합용액이 증착조에 유입된 뒤, 또 다른 박막태양전지 기판이 상기 증착조에 침지되어 버퍼층이 증착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막태양전지 기판에 버퍼층을 균일한 두께로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황화카드뮴 용액을 제조하는 구성물질의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구성 장비의 제작이 최소화되는 한편, 대량화가 가능하며, 모든 공정이 메인 PC에 의하여 제어되므로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층 증착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층 증착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부의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층 증착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퍼층 증착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부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부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는 도 1을 참조할 때 크게 증착조(310)에 황(S) 이온과 카드뮴(cd) 이온이 혼합된 혼합용액의 구성물질을 각각 용해하는 교반부(100)와, 상기 교반부(100)로부터 구성물질을 공급받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대기하는 반응부(200)와, 상기 반응부(200)로부터 혼합용액을 공급받아 박막태양전지 기판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증착부(30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교반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교반부(100)는 구성물질 저장조(111)(121)(131)와, 증류수 저장조(150), 및 상기 구성물질 저장조(111)(121)(131)와 증류수 저장조(150)에 각각 연결된 복수 개의 믹싱탱크(110)(120)(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물질 저장조(111)(121)(131)는 황(S) 이온과 카드뮴(cd) 이온이 혼합된 혼합용액의 구성물질인 암모니아(NH3), 싸이오요소(N2H4CS), 황산카드뮴(CdSo4)이 각각 저장되어 있고,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센서(112)(12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믹싱탱크(110)(120)(130)는 싸이오요소(N2H4CS)가 투입되는 제1믹싱탱크(110)와, 황산카드뮴(CdSo4)이 투입되는 제2믹싱탱크(120), 및 암모니아(NH3)가 투입되는 제3믹싱탱크(1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믹싱탱크(110)(120)(130)에는 각각 수위조절센서(114)(124)(132)가 장착되어 믹싱탱크(110)(120)(130)의 내부에 충진된 구성물질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조절센서(114)(124)(132)를 복수 개로 구성하여 믹싱탱크(110)(120)(130) 내부에 구성물질의 유입 상태를 더욱 자세하게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믹싱탱크(110)(120)(130)에는 증류수 저수조(150)로부터 노즐(140)을 통하여 증류수가 유입되어 상기 구성물질과 교반된다. 상기 구성물질과 증류수의 교반은 순환배관(115)(125)(133)에 의하여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교반 방법(Stir system)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교반은 상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순환배관(115)(125)(133)에 의하여 구성물질이 증류수에 용해되고 계속 순환되므로 구성물질이 침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반응부(200)로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 개의 믹싱탱크(110)(120)(130)에는 상기 반응부(200)에 구성물질을 투입하는 복수 개의 노즐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반응부(200)에 제1반응탱크(210)와 제2반응탱크(220)가 구성된 경우 각각의 믹싱탱크(110)(120)(130)에는 제1반응탱크(210)에 구성물질을 투입하는 제1노즐(116)(126)(134)과 제2반응탱크(220)에 구성물질을 투입하는 제2노즐(117)(127)(135)이 각각 형성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부(200)는 혼합용액을 가열하는 히터(213)(223)가 구비된 복수 개의 반응탱크(210)(22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반응탱크(210)(220)는 혼합용액을 제조하고 서로 스위칭되어 상기 증착부(300)에 혼합용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버퍼층 증착 시간에 비하여 혼합용액 제조 시간이 더 오래 소요되므로 연속공정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반응탱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반응탱크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나, 실시 형태에 따라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제1반응탱크(210)와 제2반응탱크(220)는 상기 복수 개의 믹싱탱크(110)(120)(130)로부터 유입된 암모니아(NH3)용액, 싸이오요소(N2H4CS) 용액, 및 황산카드뮴(CdSo4) 용액을 혼합하고 이를 40℃에서 90℃로 가열하여 황(S) 이온과 카드뮴(cd) 이온이 혼합된 혼합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각각의 믹싱탱크(110)(120)(130)로부터 상이한 구성물질 용액이 유입되어 혼합되므로 반응탱크에 각각의 고체물질을 투입하고 혼합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혼합이 가능해져 반응탱크의 개수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믹싱탱크(110)(120)(130)로부터 정량화된 용액이 유입되므로 일정한 농도의 혼합용액을 반복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일정한 두께의 버퍼층 제작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반응탱크(210)와 제2반응탱크(220)에는 각각 순환 배관(212)(22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혼합용액이 계속 순환되며 40℃에서 90℃로 유지되므로 상기 증착부(330)에 혼합용액이 투입되면 박막태양전지의 광흡수층에 바로 증착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제1반응탱크(210)와 제2반응탱크(220)에 상기 구성물질 용액이 투입되는 시기는 상기 제1반응탱크(210)와 제2반응탱크(220) 내부의 혼합용액이 상기 증착조(310)에 투입된 이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착부(300)는 복수 개의 반응탱크(210)(2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열된 혼합용액이 투입되는 증착조(310)와, 상기 증착조(310)에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침지하는 투입수단(500), 및 상기 혼합용액이 배출되는 배출조(340)를 포함한다.
상기 증착조(310)는 제1반응탱크(210)와 제2반응탱크(220)가 스위칭되어 상기 혼합용액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된 노즐(214)(224)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증착조(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며, 광흡수층이 형성된 박막태양전지 기판(600)이 투입되는 투입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착조(310)는 도 5를 참조할 때 혼합용액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600)의 두께에 대응되는 소정의 두께(d)로 좁은 투입구가 형성되고, 박막태양전지 기판(600)이 투입될 정도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박막태양전지 기판(600)이 상기 증착조(310)에 투입되면 내부에 충진된 혼합용액이 화학적 용액성장법 (chemical bath deposition, CBD)에 의하여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600)의 광흡수층의 상면에 cds 버퍼층을 형성하게 된다. 박막태양전지 버퍼층이 화학적 용액성장법 (chemical bath deposition, CBD)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 자체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조(340)는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600)과 반응이 끝난 혼합용액을 배출하는 것으로 반응된 혼합용액을 재사용하는 경우 설정된 시간 내에 원하는 증착 두께를 제어할 수 없으므로 이를 배출조(340)로 배출하고, 다른 반응탱크로부터 혼합용액이 다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증착조(310) 역시 버퍼층 증착 도중 반응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순환 배관(320)에 의하여 용액을 순환시키고, 순환배관(320)에 히터(330)를 장착하여 반응에 요구되는 40℃ ~ 90℃의 온도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수단(500)은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600)을 상기 증착조(310)에 투입시키는 구성이면 제한 없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자동화 설비 또는 반도체 설비의 로봇 암(arm)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600)의 광흡수층이 CIGS 계인 경우에는 제조과정에서 이차상(Cu2Se) 물질이 형성되어 누설전류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므로, 도 1과 같이 시안화칼륨(KCN)을 포함하는 용액을 이용하여 상기 이차상(Cu2Se) 물질을 제거하는 에칭 공정 및 표면을 세척하는 린스공정(11)을 수행하고난 후, 증착부(300)에서 버퍼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층이 형성된 이후에는 추가적으로 린스공정(12)과 건조공정(13)을 더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메인 PC로 구성되어 상기 교반부(100), 반응부(200), 증착부(300) 및 박막태양전지 기판 처리공정(10)을 전체적으로 컨트롤하며, 구체적으로는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210)에서 혼합용액이 투입되어 증착이 완료되면 상기 증착조(310)에 유입된 혼합용액을 배출하고, 나머지 반응탱크(220)에서 혼합용액을 상기 증착조(310)에 투입하고 또 다른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상기 증착조(310)로 투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용 버퍼층 형성방법은 도 2를 참조할 때 상기 증착조(310)에 제1반응탱크(210)에서 가열된 혼합용액이 투입되고, 박막태양전지 기판이 침지되어 버퍼층이 증착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반응탱크(210)에서 투입된 혼합용액이 배출되고 제2반응탱크(220)로부터 혼합용액이 증착조(310)에 유입된 뒤, 또 다른 박막태양전지 기판이 상기 증착조(310)에 침지되어 버퍼층이 연속적으로 증착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제1단계는 제1반응탱크(210)가 복수 개의 믹싱탱크(110)(120)(130)로부터 상기 혼합용액의 구성물질을 공급받아 황(S) 이온과 카드뮴(cd) 이온이 혼합된 혼합용액을 제조하게 된다.
이후, 제1반응탱크(210)에서 혼합용액을 상기 침전조(310)에 투입하게 되고 이후, 증착조(310)에 박막태양전지 기판이 침지되어 화학적 용액 성장법(CBD)에 의하여 버퍼층이 증착된다.
이때 상기 박막태양전지의 광흡수층은 상기 증착조(310)에 투입 전에 표면에 형성된 이차상을 제거하는 에칭 공정과 표면을 세척하는 린스공정을 먼저 수행하고 버퍼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박막태양전지 기판에 버퍼층이 형성되고 나면, 앞서 서술한 배출구(340)를 통해 제1반응탱크(210)에서 투입된 혼합용액을 배출하고, 제2반응탱크(220)에서 혼합용액이 유입되고, 또 다른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침지시켜 연속적으로 버퍼층을 형성하며, 이러한 제1단계와 제2단계는 반복수행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박막태양전지 기판에 버퍼층을 형성하는 과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박막층의 재현성 확보가 용이한 정점이 있으며, 모든 공정을 메인 PC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환경 및 작업자의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100: 교반부 110: 제1믹싱탱크
120: 제2믹싱탱크 130: 제3믹싱탱크
200: 반응부 210: 제1반응탱크
220: 제2반응탱크 300: 증착부
310: 증착조 340: 배출조
400: 제어부 500: 투입 수단
600: 박막태양전지 기판

Claims (12)

  1. 혼합용액을 가열하는 히터가 구비된 복수 개의 반응탱크를 포함하는 반응부;
    상기 복수 개의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로부터 가열된 혼합용액이 투입되는 증착조와, 상기 증착조에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침지하는 투입수단, 및 상기 혼합용액이 배출되는 배출조를 포함하는 증착부; 및
    상기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에서 혼합용액이 투입되어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과 반응이 완료되면 상기 증착조에 유입된 혼합용액을 배출하고, 나머지 반응탱크 중 어느 하나에서 혼합용액을 상기 증착조에 투입하고 또 다른 박막태양전지 기판을 상기 증착조로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의 전단에는 교반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혼합용액의 구성물질 저장조와, 증류수 저장조, 및 상기 구성물질 저장조와 증류수 저장조에 각각 연결되어 구성물질과 증류수를 혼합하는 복수 개의 믹싱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믹싱탱크에는 상기 증류수와 혼합된 구성물질을 상기 복수 개의 반응탱크로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복수 개의 노즐이 형성된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질은 암모니아(NH3), 싸이오요소(N2H4CS), 황산카드뮴(CdSO4)인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믹싱탱크에 투입되는 구성물질은 서로 상이한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반응탱크는 제1반응탱크와 제2반응탱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반응탱크와 제2반응탱크는 상기 증착조로 혼합용액이 투입된 이후에 상기 복수 개의 믹싱탱크로부터 구성물질을 공급받아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탱크와 증착조에는 순환 배관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조는 히터가 장착된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조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9. 제1반응탱크에서 가열된 황(S) 이온과 카드뮴(cd) 이온이 혼합된 혼합용액이 증착조에 투입되고, 상기 증착조에 박막태양전지 기판이 침지되어 버퍼층이 증착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반응탱크에서 투입된 상기 혼합용액이 배출되고 제2반응탱크로부터 황(S) 이온과 카드뮴(cd) 이온이 혼합된 혼합용액이 증착조에 유입된 뒤, 또 다른 박막태양전지 기판이 상기 증착조에 침지되어 버퍼층이 증착되는 제2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형성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탱크와 제2반응탱크는 상기 증착조에 혼합용액이 투입된 후에 복수 개의 믹싱탱크로부터 상기 혼합용액의 구성물질을 공급받아 혼합용액을 제조하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형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물질은 암모니아(NH3), 싸이오요소(N2H4CS), 황산카드뮴(CdSo4)이고, 상기 구성물질은 각각 믹싱탱크에서 증류수와 교반되어 용액 상태로 상기 반응탱크에 투입되는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형성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태양전지 기판은 광흡수층이 형성되고. 에칭공정과 린스공정이 수행된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형성방법.
KR1020100085136A 2010-08-31 2010-08-31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 KR10114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136A KR101142417B1 (ko) 2010-08-31 2010-08-31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136A KR101142417B1 (ko) 2010-08-31 2010-08-31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87A KR20120021087A (ko) 2012-03-08
KR101142417B1 true KR101142417B1 (ko) 2012-05-07

Family

ID=4612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136A KR101142417B1 (ko) 2010-08-31 2010-08-31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22B1 (ko) * 2012-03-30 2013-08-19 주식회사 엔씨디 태양전지 버퍼층 증착장치
KR101964696B1 (ko) * 2018-12-13 2019-04-02 김경림 원재료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전처리 장치를 구비한 젤라틴 제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9938A (ja) 2008-04-15 2009-11-05 Honda Motor Co Ltd カルコパイライト型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9938A (ja) 2008-04-15 2009-11-05 Honda Motor Co Ltd カルコパイライト型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22B1 (ko) * 2012-03-30 2013-08-19 주식회사 엔씨디 태양전지 버퍼층 증착장치
KR101964696B1 (ko) * 2018-12-13 2019-04-02 김경림 원재료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전처리 장치를 구비한 젤라틴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087A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7188B2 (en) Electrofill vacuum plating cell
CN101583741B (zh) 用于光电薄膜制造的卷至卷电镀
JP6397620B2 (ja) 電気メッキの方法及び装置
KR20130084373A (ko) 전기도금 및 광 유도 도금을 병행하는 태양전지 기판용 도금장치 및 도금 방법
CN101299446A (zh) 硒化物前驱薄膜与快速硒硫化热处理制备薄膜电池方法
CN103025916B (zh) 用于金属硫化物层的湿化学沉积的浴沉积溶液及相关生产方法
CN104233451A (zh) 利用场与特征对比的tsv 浴评估
CN103305886A (zh) 用于润湿预处理以进行贯通抗蚀剂金属电镀的方法和装置
JP2008510310A (ja) 半導体基板、特に黄銅鉱薄膜太陽電池の吸収層上に硫化亜鉛バッファ層を化学浴析出により施与する方法
TW201126584A (en) Substrate processing device,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1142417B1 (ko) 박막태양전지용 버퍼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퍼층 증착 방법
JP5006245B2 (ja) カルコパイライト型薄膜太陽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3227243B (zh) 制备铜铟镓硒薄膜太阳能电池的卷对卷生产方法
CN108441957A (zh) 一种铁酸铋光催化薄膜的制备方法
CN109536893A (zh) 一种太阳能电池薄膜的制备设备及其制备方法
CN103643225A (zh) 一种化学水浴法制备大尺寸硫化镉薄膜的方法
KR101092067B1 (ko) 인라인 방식의 태양전지 제조용 씨비디(cbd) 장치
CN201655826U (zh) 铜铟镓硒太阳电池缓冲层制备装置
US93060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black silicon etching utilizing thin fluid layers
CN209969005U (zh) 一种CdTe薄膜电池基板清洗设备
KR101035245B1 (ko) 태양전지 제조용 씨비디 장치
CN105870344A (zh) 利用直流反应磁控溅射技术制备钙钛矿太阳能电池的方法
JP4587247B2 (ja) 金属カルコゲン化物薄層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CN209260203U (zh) 化学水浴镀膜装置
CN201853733U (zh) 无卡匣的太阳能电池反应槽及化学水浴沉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