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098B1 -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 Google Patents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098B1
KR101142098B1 KR1020100057647A KR20100057647A KR101142098B1 KR 101142098 B1 KR101142098 B1 KR 101142098B1 KR 1020100057647 A KR1020100057647 A KR 1020100057647A KR 20100057647 A KR20100057647 A KR 20100057647A KR 101142098 B1 KR101142098 B1 KR 101142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pressure
circulation pipe
temperature
heat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619A (ko
Inventor
양재구
김미정
양지석
Original Assignee
양재구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구, 플로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구
Priority to KR102010005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09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열조의 위치 보다 더 높은 고지대에 새롭게 조성된 수용가의 냉난방을 위해, 기존에 설비된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으로부터 새로운 수용가가 조성된 구역으로 순환수를 부분적으로 가압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는, 기 설비된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의 공급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축열조 보다 더 높은 지대에 새롭게 조성된 부분 구역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으로서, 일단이 상기 순환배관의 공급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순환배관의 리턴측에 연결되어, 순환배관의 공급측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를 분기시켜 부분 구역으로 순환시킨뒤 다시 순환배관의 리턴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부분순환배관과;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공급측에 구비되어, 순환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열매체를 부분순환배관을 통해 순환될 수 있는 최소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부분가압펌프와;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1차측 압력을 열매체의 증발 방지에 필요한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배관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가압된 열매체를 릴리프시키는 압력유지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PRESSURIZING DEVICE OF PARTIAL AREA IN MASS ENERGY SYSTEM}
본 발명은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열조의 위치 보다 더 높은 고지대에 새롭게 조성된 수용가의 냉난방을 위해, 기존에 설비된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으로부터 새로운 수용가가 조성된 구역으로 순환수를 부분적으로 가압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단 에너지 시설이라 함은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열 또는 전기와 같은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시설을 말하는 것으로, 소각장이나 열병합발전소를 이용한 구역냉난방(CES;Community Energy System) 또는 지역냉난방 시설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역냉난방 또는 지역냉난방은 일개의 도시 또는 일정한 지역 내의 주거용, 상업용, 공공용 수용가에 집중된 열원설비에서 그들이 필요로 하는 난방, 급탕 및 냉방에 필요한 열을 개별의 열생산시설(유류, 가스보일러 등)을 갖추지 않고 집중화된 열원설비로부터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배관망을 통하여 공급하는 방식이다.
도 1 에는 이러한 집단 에너지 시설의 구성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집단 에너지 시설은 해당 열공급 지역의 최고 높이에 축열조(3)를 설치하고, 보일러 등 열원시설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열매체를 상기 축열조(3)에 저장하거나, 순환펌프(2)를 가동하여 해당 열공급 지역의 각 수용가에 걸쳐 설치된 순환배관(1)을 따라 순환시킴에 따라 수용가(A)에 열공급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축열조 보다 낮은 위치에 분포된 다수의 수용가에 안정적인 열공급이 가능하다. 그러나, 기존 집단 에너지 시설의 인접 고지대, 특히, 상기 축열조 보다 높은 고지대에 새롭게 조성된 수용가 구역(이하, '부분 구역'이라 칭함)으로는 기존 설비만으로 열공급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 집단 에너지 시설의 인접 고지대에 새롭게 형성된 부분 구역에의 열공급을 위해, 에너지 설비를 새롭게 구축할 수도 있으나, 이는 비용 및 효율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1)과 분리된 별도의 고지대용 순환배관을 구성하고 열공급은 열교환기를 통하여 부분 구역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가압장을 신설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구역(B)으로의 열매체 공급을 위해 신설되는 가압장은 열교환기(5)가 구비되어 기존 순환배관(1)의 열매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열을 얻고, 순환펌프(6)의 가압 작용에 의해 부분 구역을 순환하는 새로운 순환배관을 따라 열매체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부분 구역의 열공급을 위해 가압장을 신설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순환펌프와 열교환기, 그리고 자동 제어 설비와 팽창 제어 시스템 등이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설치 면적도 과다하게 차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가압장을 신설하지 않고 기존 집단 에너지 시설의 축열조를 더 높은 위치에 축조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구조물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하고, 이 또한 공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부분 구역 가압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열교환기의 신설이나 축열조 위치 변경 없이 기존 순환배관을 순환하는 열매체를 가압하여 새롭게 조성된 고지대 부분 구역으로 안정적인 열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가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는, 기 설비된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의 공급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축열조 보다 더 높은 지대에 새롭게 조성된 부분 구역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으로서, 일단이 상기 순환배관의 공급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순환배관의 리턴측에 연결되어, 순환배관의 공급측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를 분기시켜 부분 구역으로 순환시킨뒤 다시 순환배관의 리턴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부분순환배관과;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공급측에 구비되어, 순환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열매체를 부분순환배관을 통해 순환될 수 있는 최소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부분가압펌프와;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1차측 압력을 열매체의 증발 방지에 필요한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배관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가압된 열매체를 릴리프시키는 압력유지밸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부분 구역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열매체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출력된 압력감지신호값을 미리 설정된 배관내 열매체의 증발 방지를 위해 필요한 최소 압력인 압력기준값과 비교하여, 압력감지신호값이 압력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부분가압펌프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정하여 토출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부분순환배관의 배관압이 압력기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부분 구역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출력된 온도감지 신호값을 유효한 냉난방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리턴 온도값인 온도기준값과 비교하여, 온도감지신호값이 온도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부분가압펌프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절하여 토출량을 감소시키고, 온도감지신호값이 온도기준값 보다 큰 경우에는 부분가압펌프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절하여 토출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열매체가 중온수인 경우,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정전으로 인하여 부분가압펌프가 트립되는 경우 열매체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으로 부분순환배관 공급측을 가압하는 가압팽창탱크와,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며, 정전으로 인하여 부분가압펌프가 트립되는 경우 부분 구역의 배관에서 압력이 배관수의 포화증기압 이하로 낮아져 증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도가 폐쇄되어 배관압을 증발 방지를 위한 최소 압력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비상차단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가압장 신설이나 축열조 위치 변경 없이 기존 순환배관을 순환하는 열매체를 가압하여 새롭게 조성된 고지대 부분 구역으로 안정적인 열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부분 구역으로의 열매체 가압시 기존 순환배관의 배관압을 이용하므로 최소한의 필요 압력만으로 열매체를 가압 순환시킬 수 있어 펌프 동력이 절감되고, 별도의 열교환설비 및 수처리 장치가 설치될 필요가 없어 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자동제어가 간소화되고, 설치 면적이 축소되는 등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종래 집단 에너지 시설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기존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를 가압하여 부분 구역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별도 설치된 가압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가 기존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에 연결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구역 가압 장치의 원활한 운전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세부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가 기존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에 연결된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되고, 도 4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구역 가압 장치의 원활한 운전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세부적으로 도시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구역 가압 장치는, 부분순환배관(10), 부분가압펌프(20), 그리고 압력유지밸브(30)를 포함한다.
상기 부분순환배관(10)은 기 설비된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1)의 공급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축열조(3) 보다 더 높은 지대에 새롭게 조성된 부분 구역을 순환하는 배관으로서, 일단이 상기 순환배관(1)의 공급측(순환배관 중 열매체가 열원시설 및 축열조(3)로부터 수용가로 공급되는 구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순환배관(1)의 리턴측(순환배관 중 열매체가 수용가에 공급된 후 다시 열원시설 및 축열조(3)로 회수되는 구간)에 연결되어, 순환배관(1)의 공급측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를 분기시켜 부분 구역으로 순환시킨뒤 다시 순환배관(1)의 리턴측으로 되돌려 보낸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부분 구역은 축열조(3)의 위치 보다 높은 고지대이기 때문에, 상기 순환배관(1)을 흐르는 열매체가 부분순환배관(10)을 통해 자연 순환되지는 못 할 뿐만 아니라 순환펌프(2)의 급정지시 축열조가 개방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축열조의 최고수면보다 높은 고지대의 열매체인 배관수는 축열조로 역류하게 되며, 배관수가 빠져나가면 고지대의 배관수 압력이 낮아지고 배관수에서 플러싱(증발)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 순환배관(1)의 순환펌프(2)로 부분 구역에 까지 열매체를 가압하여 공급하려면 펌프의 양정이 높아져 동력 손실이 막대하며, 위치가 낮은 구역은 압력이 너무 높아지게 되어 배관 자재 등급을 올리거나 압력을 낮추어주기 위한 감압설비가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열매체를 상기 부분순환배관(10)을 따라 순환시키기 위해 부분순환배관(10)의 공급측에 별도의 부분가압펌프(20)가 구비되고, 상기 부분가압펌프(20)의 토출측에는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25)가 구비된다.
상기 부분가압펌프(20)는 순환배관(1)으로부터 분기되어 공급되는 열매체를 부분순환배관(10)을 통해 순환될 수 있는 최소의 압력으로 가압한다. 상기 부분가압펌프(20)의 전양정은 실양정(C 와 D 사이의 표고차)과 관로 마찰손실, 그리고 난방시 플러싱 방지를 위한 가압분의 합으로 결정된다. 그런데, 상기 부분순환배관(10)으로는 이미 순환펌프(2)로부터 가압된 열매체가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부분가압펌프(20)에서는 실제 전양정에서 필요한 가압력보다 더 작은 압력으로 가압하여도 열매체를 부분순환배관(10)을 통해 순환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동력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분순환배관(10)의 리턴측에는 압력유지밸브(30)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유지밸브(30)는 배관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가압된 열매체를 배출시키며, 밸브의 1차측(밸브의 입구측)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1차압력유지밸브이다.
부분순환배관(10)에 부분가압펌프(20)가 구비되는 경우 B 부분으로 열매체가 통과되기는 하지만, 난방의 경우 중온수(100℃ 이상)에서는 배관내 열매체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압력이 확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부분순환배관(10)의 리턴측에 압력유지밸브(30)를 설치하여, 압력유지밸브(30)의 1차측 압력을 열매체의 증발 방지에 필요한 적정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배관내 열매체의 증발에 따른 순환 장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열매체를 배출시키는 릴리프 기능을 통하여 부분순환배관(10)을 원하는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구역 가압 장치에는 압력센서(40)와 온도센서(50), 그리고 제어부(100)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압력센서(40)는 부분순환배관(10)내 열매체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수단으로서, 부분순환배관(10)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부분 구역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열매체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신호(이하, '압력감지신호'라 칭함)로 출력한다. 출력된 압력감지신호는 제어부(100)에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압력감지신호값을 미리 설정된 배관내 열매체의 증발 방지를 위해 필요한 최소 압력(이하, '압력기준값' 이라 칭함)과 비교하여, 압력감지신호값이 압력기준값 보다 작은 경우, 부분가압펌프(20)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정하여 토출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부분순환배관(10)의 배관압을 일정 압력, 즉, 압력기준값 이상으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압력기준값은 대체로 2 kg/㎠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50)는 동력 절감을 위해 부분가압펌프(20)를 변유량 제어하기 위해 구비되는 수단이다. 만일, 부분가압펌프(20)의 토출량을 부분 구역의 수용가 피크 부하시 유량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 부분 구역의 수용가에서의 열 사용량이 매우 적은 경우에도 필요 이상으로 많은 유량이 가압 순환되기 때문에, 부분가압펌프(20)의 불필요한 동력 소모 및 열원설비에서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부분 구역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열매체의 온도에 따라 부분가압펌프(20)의 토출량을 조절한다.
상기 온도센서(50)는 부분순환배관(10)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부분 구역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신호(이하, '온도감지신호'라 칭함)로 출력한다. 출력된 온도감지신호는 제어부(100)에 전송되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온도감지신호값을 유효한 냉난방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리턴 온도값(이하, '온도기준값'이라 칭함)과 비교하여, 온도감지신호값과 온도기준값의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부분 구역의 부하에서의 열소모량이 적은 것이므로 열매체를 많이 공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분가압펌프(20)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절하여 토출량을 감소시키고, 온도감지신호값과 온도기준값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부분 구역의 부하에서의 열소모량이 많은 것이므로 열매체를 많이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부분가압펌프(20)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절하여 토출량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상기 온도기준값은 난방시 65℃, 냉방시 11℃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부분순환배관(10)을 흐르는 열매체가 중온수인 경우 배관내 열매체의 증발 방지를 위한 또 다른 안전 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안전 장치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가압탱크(60)와 공압밸브(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팽창가압탱크(60)는 부분순환배관(10)의 공급측에 구비되며, 정전으로 인하여 부분가압펌프(20)가 급정지될 때, 공급 압력이 낮기 때문에 C ~ D 구간에서 열매체의 증발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매체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으로 부분순환배관(10) 공급측을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팽창가압탱크에서의 가압력은 압력유지밸브(30)에서 릴리프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분순환배관(10)과 팽창탱크 사이에는 팽창가압탱크에 구비되는 격막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간저장탱크(6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간저장탱크(65)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 등록된 특허등록 제10-0879629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차단밸브(70)는 부분순환배관(10)의 리턴측에 구비되며, 정전으로 인하여 부분가압펌프(20)가 트립될 때, 부분 구역의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배관에서 증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을 차단하여 배관압을 증발 방지를 위한 최소 압력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단밸브(70)는 열매체가 중온수인 경우에만 필요하고, 냉방 또는 100℃ 이하의 난방의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그 밖에, 상기 부분순환배관(10)의 리턴측에 구비된 압력유지밸브(30) 양단에는 순환배관(1)으로 최소 유량의 열매체가 리턴될 수 있도록 오리피스(32)가 구비되고, 상기 부분순환배관(10)의 공급측과 리턴측은 바이패스관으로 연결되고 여기에 바이패스밸브(80)가 설치되어 비상시 또는 부분가압펌프(20) 등의 고장 수리시 열매체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 순환배관 2, 6 : 순환펌프
3 : 축열조 5 : 열교환기
7 : 팽창탱크 10 : 부분순환배관
20 : 부분가압펌프 25 : 체크밸브
30 : 압력유지밸브 32 : 오리피스
40 : 압력센서 50 : 온도센서
60 : 팽창가압탱크 65 : 중간저장탱크
70 : 차단밸브 80 : 바이패스밸브
100 : 제어부

Claims (5)

  1. 기 설비된 집단 에너지 시설의 순환배관에 병렬로 연결되어 축열조 보다 더 높은 지대에 새롭게 조성된 부분 구역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배관으로서, 일단이 상기 순환배관의 공급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순환배관의 리턴측에 연결되어, 순환배관의 공급측을 따라 흐르는 열매체를 분기시켜 부분 구역으로 순환시킨뒤 다시 순환배관의 리턴측으로 되돌려 보내는 부분순환배관과;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공급측에 구비되어, 순환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열매체를 부분순환배관을 통해 순환될 수 있는 최소의 압력으로 가압하는 부분가압펌프와;
    상기 부분가압펌프의 토출측에 설치되어 부분순환배관의 열매체가 순환배관의 공급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한 체크밸브와;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1차측 압력을 열매체의 증발 방지에 필요한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배관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가압된 열매체를 릴리프시키는 압력유지밸브를 포함하는,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부분 구역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열매체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출력된 압력감지신호값을 미리 설정된 배관내 열매체의 증발 방지를 위해 필요한 최소 압력인 압력기준값과 비교하여, 압력감지신호값과 압력기준값의 차이값이 큰 경우, 부분가압펌프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정하여 토출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부분순환배관의 배관압이 압력기준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어 부분 구역에 공급된 후 리턴되는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출력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출력된 온도감지신호값을 유효한 냉난방을 위해 요구되는 최소 리턴 온도값인 온도기준값과 비교하여, 온도감지신호값과 온도기준값의 차이 값이 작은 경우에는 부분가압펌프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절하여 토출량을 감소시키고, 온도감지신호값과 온도기준값의 차이 값이 큰 경우에는 부분가압펌프의 구동모터 회전수를 조절하여 토출량을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에어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가 중온수인 경우,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공급측에 구비되며, 정전으로 인하여 부분가압펌프가 트립되는 경우 열매체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으로 부분순환배관 공급측을 가압하는 팽창가압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에어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가 중온수인 경우, 상기 부분순환배관의 리턴측에 구비되며, 정전으로 인하여 부분가압펌프가 트립되는 경우 부분 구역의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배관에서 증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을 차단하여 배관압을 증발 방지를 위한 최소 압력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에어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KR1020100057647A 2010-06-17 2010-06-17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KR101142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47A KR101142098B1 (ko) 2010-06-17 2010-06-17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47A KR101142098B1 (ko) 2010-06-17 2010-06-17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19A KR20110137619A (ko) 2011-12-23
KR101142098B1 true KR101142098B1 (ko) 2012-05-07

Family

ID=4550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647A KR101142098B1 (ko) 2010-06-17 2010-06-17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0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052B1 (ko) 2021-09-01 2021-12-01 한국지역난방공사 지역난방 분산가압 압력조절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050B1 (ko) * 2016-11-16 2017-01-03 한국지역난방기술 (주) 지역난방 열원의 이중 압력 시스템
EP3372903A1 (en) 2017-03-07 2018-09-12 E.ON Sverige AB A local thermal energy consumer assembly and a local thermal energy generator assembly for a district thermal energy distribution system
KR102442679B1 (ko) * 2020-05-08 2022-09-28 김형곤 이중관을 이용한 보일러용 난방배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692A (ja) 1999-08-24 2001-03-16 Kyoshin Engineering:Kk 圧力容器の高速加圧方法及び装置
KR100616635B1 (ko) * 2005-03-04 2006-08-28 한국지역난방공사 간접 열수송 방식을 이용한 지역난방시스템
JP2007333336A (ja) 2006-06-16 2007-12-27 Hitachi Ltd 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エネルギー供給方法、及び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の改造方法
JP2009274505A (ja) 2008-05-13 2009-11-26 Ihi Aerospace Co Ltd 推薬タンク調圧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692A (ja) 1999-08-24 2001-03-16 Kyoshin Engineering:Kk 圧力容器の高速加圧方法及び装置
KR100616635B1 (ko) * 2005-03-04 2006-08-28 한국지역난방공사 간접 열수송 방식을 이용한 지역난방시스템
JP2007333336A (ja) 2006-06-16 2007-12-27 Hitachi Ltd 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エネルギー供給方法、及び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の改造方法
JP2009274505A (ja) 2008-05-13 2009-11-26 Ihi Aerospace Co Ltd 推薬タンク調圧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052B1 (ko) 2021-09-01 2021-12-01 한국지역난방공사 지역난방 분산가압 압력조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19A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5864B2 (en) Energy-saving central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system
KR101113160B1 (ko) 기존 급탕라인을 이용한 공동주택 세대별 난방공급장치 및 방법
WO2007073008A3 (ja) 熱媒体供給設備および太陽熱複合発電設備ならびにこれらの制御方法
KR101142098B1 (ko) 집단 에너지 시설의 부분 구역 가압 장치
KR100633238B1 (ko) 다수의 축열조를 한 배관망에 직접 연결 및 운전할 수 있는지역난방용 축열조 시스템
CA3049570C (en) Heat exchang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lternation and redundancy between heat exchangers therein
KR100842818B1 (ko) 밀폐식 팽창탱크 시스템의 비상 운전 방법
KR20090116457A (ko) 전수식 난방 시스템
US20110272132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heating drinking water for one consumption point or tapping point
JP4528226B2 (ja) ハイブリッド給湯システム
KR101168551B1 (ko) 공동주택의 단위세대별 축열탱크가 구비된 태양열 온수시스템에서 집열 열원 공급 및 과열 방지방법
KR101092688B1 (ko) 소각열을 이용한 지역난방공급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60985B1 (ko) 병렬 순환계의 팽창수 및 보충수 제어 시스템
KR101168539B1 (ko) 공동 축열탱크가 구비된 공동주택 태양열 온수시스템에서 집열 열원 공급 및 과열 방지방법
JP5291402B2 (ja) ハイブリッド給湯システム
WO2011117712A2 (en) Conditioning apparatus
KR20170134127A (ko) 복수의 팽창기를 구비한 열병합 발전시스템
KR102042653B1 (ko) 열교환기의 유량조절장치
KR20170091869A (ko) 회수관의 열원보충부를 구비한 중앙난방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866025B1 (ko) 중앙집중식 난방 및 급탕 장치
CN219264340U (zh) 一种烟气余热利用系统
CN218269023U (zh) 一种锅炉排污疏水连排、定排工质与热量综合利用系统
JP5066429B2 (ja) 給湯装置、制御方法、及び給湯システムの改修方法
KR20180017752A (ko) 복수의 팽창기를 구비한 열병합 발전시스템
WO2022180715A1 (ja) 熱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302

Effective date: 201204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