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059B1 -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 Google Patents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059B1
KR101142059B1 KR1020090111530A KR20090111530A KR101142059B1 KR 101142059 B1 KR101142059 B1 KR 101142059B1 KR 1020090111530 A KR1020090111530 A KR 1020090111530A KR 20090111530 A KR20090111530 A KR 20090111530A KR 101142059 B1 KR101142059 B1 KR 101142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alve
temperature
flow
temperature sen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761A (ko
Inventor
정재영
Original Assignee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11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059B1/ko
Priority to RU2011128407/06A priority patent/RU2481522C2/ru
Priority to JP2011540604A priority patent/JP5714500B2/ja
Priority to US13/139,088 priority patent/US8561914B2/en
Priority to PCT/KR2009/007351 priority patent/WO2010068031A2/ko
Priority to CN200980149724XA priority patent/CN102245949B/zh
Priority to EP09832116.9A priority patent/EP2369210B1/en
Publication of KR20110054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61A/ko
Priority to HK12104836A priority patent/HK1164415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는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개방부(220)가 형성되어, 내부에 흐름유체가 흐르는 유체흐름관(120,140)의 유입부와 유출부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내의 흐름유체를 유입하되, 내부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부(220)와 연통하는 배출관(360)을 통해 소량의 흐름유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200)내에 설치되는 밸브 블록(300) 및 온도감응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 블록내(300)에 압력차를 발생하는 온도감응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기온이 낮아져서 온도감응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도달할 때마다 소량의 흐름유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외부의 동력을 공급받지 않고 유체흐름관내의 유체의 온도를 항상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게 되어 유체흐름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Figure R1020090111530
온도감응, 유체흐름 단속, 동파방지, 배출유량 증가

Description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Thermostatic fluid flow intermi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도감응부내의 유체 혹은 기타 물질이 온도에 따라 수축 팽창하여 변위를 움직이고, 지정해 놓은 변위에 도달하면, 외부로부터 동력 공급없이 유체흐름관 내부의 흐름유체의 소량을 배출시켜 유체흐름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유체흐름관인 수도 배관 내부의 물은 동절기와 같이 외부의 기온이 매우 낮아지게 되면 얼게 되고, 이와 같이 배관내에서 물이 얼게 되면 부피가 증가하게 되어 수도관에 균열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유체흐름관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온도가 소정 온도이하일 경우, 외부로부터 동력, 예를 들어 전원을 유체흐름관에 설치한 히터 등에 공급하여 유체흐름관을 가열하여 얼지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구성도 복잡하고, 전력소모가 심하여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흐름관 내 소정위치의 온도감응부내의 유체 혹은 기타 물질이 온도에 따라 수축 팽창하여 변위를 움직이고 지정해 놓은 변위에 도달하면, 외부로부터 동력 공급없이 소량의 흐름유체를 유체흐름관의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유체흐름관의 동파를 방지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에서 동결을 방지하기 위해 초기의 물 배출시 그 배출시점과 정지시점간의 간극을 좁혀서 최적의 온도에서 배출수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내부에서 초기 배출수를 단속하는 배출구 밸브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배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는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흐름유체가 흐르는 유체흐름관의 유입부와 유출부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의 흐름유체를 유입하되, 내부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와 연통하는 배출관을 통해 소량 의 흐름유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밸브 블록; 및 온도감응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 블록내에 압력차를 발생하는 온도감응수단을 포함한다.
온도감응수단은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이 충진되어 밸브 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온도감응부와, 온도감응부와 연통하도록 밸브 블록의 내부에 설치된 반응실과, 하우징에 유입된 흐름유체를 유입하도록 밸브 블록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실과, 반응실과 상기 밸브실을 연통하는 제 1 유로와, 반응실과 배출관을 연통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되,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이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밸브실로 유입된 유체를 온도감응부의 작동에 의해 반응실로 유입하여, 밸브실에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해 밸브실로 유입되는 하우징내의 흐름유체를 배출관으로 배출한다.
온도감응부내에는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의 응축과 팽창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설치된 주름부와, 주름부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주름부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 부재와, 피스톤 부재의 외부면에 감합되어 피스톤 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반응실에는 중공부재와, 중공부재의 하부에 삽입된 탄성의 고무부재와, 중공부재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스프링 및 접촉부재로 구성되어, 피스톤 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제 1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 1 밸브체를 포함하되, 접촉부재는 피스톤 부재의 하단부와 탄성적으로 접하고, 제 1 밸브체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 2 유로가 개폐된다.
밸브실에는 피스톤 밸브가 개재되어 하우징내의 유체를 유입하는 상부 유입통로와,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고무패드밸브와, 고무패드밸브의 개방시 배출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하부 유입통로가 제공된다. 이때, 피스톤 밸브는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다.
배출관에는 중공부재와, 중공부재의 하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하우징의 개방부에 타단이 부착되어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부착된 스프링와, 중공부재의 상부에 삽입된 탄성의 고무부재로 구성되는 제 2 밸브체가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유체배출관을 더 포함한다.
한편, 제 2 유로에는 유체저장실과 이 유체저장실과 연통하는 제 2 밸브실로 이루어진 배출유량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배출관은 중앙이 오리피스관과 같이 구성되며, 상부가 제 2 밸브실과 연통되어 있고, 하부는 제 3 유로를 통해 유체저장실과 연통된다.
유체저장실에는 제 2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밸브부재와 이 밸브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 스프링과, 하부의 배출관과 연통하는 제 3 유로가 제공되어, 반응실내의 유체에 일정압력이 생겨 밸브부재의 상승 되면 제 2 유로를 통해 유입되어 제 3 유로를 통해 하부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된다.
제 2 밸브실은 유체저장실과의 연통로에 개재된 피스톤 밸브와, 제 2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고무패드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기온이 낮아져서 온도감응부 내부에 충진된 유체혹은 기타 물질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소량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유체흐름관내의 유체의 온도를 항상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게 되어 유체흐름관의 동파를 방지하되, 초기의 물 배출시 그 배출시점과 정지시점간의 간극을 좁혀서 최적의 온도에서 배출수의 배출을 최소화하고, 또한 초기 배출수를 단속하는 배출구 밸브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배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도 1의 장치에서 온도감응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달하는 경우, 온도감응수단이 팽창되는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는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개방부(220)가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유체흐름관(120,140)의 유입부와 유출부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내의 흐름유체를 유입하되, 내부압력의 변화에 따라 소량의 흐름유체를 유체배출실(240)을 통해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부(220)와 연통되도록 상기 하우 징(200)내에 설치되는 밸브 블록(300)과, 온도감응유체 및 기타 물질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 블록(300)내에 압력차이를 발생시키는 온도감응수단을 포함하여, 하우징(200)내의 흐름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설정온도에 온도감응유체 및 기타 물질의 온도가 도달되면 온도감응수단에 의해 밸브 블록(300)내에 압력차이가 발생하여 밸브 블록(300)내의 흐름유체를 상기 하우징(200)의 개방부(220)와 연통된 유체배출실(24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설정온도란 하우징(200)내의 흐름유체가 외부로 배출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외부의 기온이 낮아져서 온도감응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와 같아질 때마다 소량의 흐름유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유체흐름관내의 유체의 온도를 항상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게 되어 유체흐름관(120,140)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이다.
온도감응수단으로서 밸브 블록(300)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하는 밸브실(340)과 반응실(320)이 제공되며, 또한 온도감응유체가 충진되어 홀더(402)에 의해 밸브 블록(300)의 상부에 설치된 캡형상의 온도감응부(420)로 구성된다. 반응실(320)은 온도감응부(420)와 연통하며, 온도감응부(420)내에는 온도감응유체의 응축과 팽창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주름부(440)가 설치되며, 온도감응부(420)내에 충진된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의 온도는 하우징(200)내의 흐름유체의 온도보다 항상 낮은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부(440)의 내부에는 주름부(440)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승하강하는 피스톤 부재(460)가 설치되며, 피스톤 부재(460)에는 스프링(480)가 외부면에 감합되어 피스톤 부재(460)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밸브 블록(300)의 반응실(320)에는 온도감응실(420)의 피스톤 부재(460)가 승하강하며, 제 1 유로(310)를 통해 밸브실(340)과 연통되고, 밸브실(340)은 배출관(360)을 통해 유체배출실(240)과 연통되며, 반응실(320)과 배출관(360)사이에는 제 2 유로(314)가 연결되어 있다.
밸브실(340)에는 피스톤 밸브(328)가 개재되어 하우징(200)내의 흐름유체를 유입하는 상부 유입통로(322)와, 배출관(360)을 덮도록 설치된 고무패드밸브(324)와, 고무패드밸브(324)의 개방시 배출관(360)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하부 유입통로(326)가 제공된다. 도면 중 고무패드밸브(324)하부의 미 설명부호 (316)은 시일링이다. 피스톤 밸브(328)는 스프링(342)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 밸브(328)는 소정의 규정 압력, 예를 들면, 1-3 Kgf/m2의 압력으로 고무패드밸브(324)를 가압해야 하는 바, 이 압력 이하, 예를 들어 0.5 kgf/m2의 압력으로 고무패드밸브(324)를 누르게 되면 피스톤 밸브(328)가 들어올려져서 흐름유체가 새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반응실(320)에는 피스톤 부재(460)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함으로써 제 1 유로(310)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 1 밸브체(380)가 개재되어 있다. 제 1 밸브체(380)는 중공부재(382)와, 이 중공부재(382)의 하부에 삽입된 탄성의 고무부재(384)와, 중공부재(382)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스프링(386) 및 접촉부재(388)를 포함하며, 접촉부재(388)는 피스톤 부재(460)의 하단부와 탄성적으로 접하고 있다. 고무부재(384)는 제 1 유로(310)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한편, 온도감응부(420)내의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이 과도하게 팽창하게 되면, 이 팽창된 압력에 의해 피스톤 부재(460)가 하강하게 되어 제 1 밸브 체(380)하부의 고무부재(384)를 심하게 누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고무부재(384)의 파손으로 인한 기밀성의 저하와 눌린 정도 만큼의 물 배출시점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은 온도감응유체의 과도한 팽창으로 인하여 피스톤 부재(460)가 제1 밸브체(380)를 필요이상의 압력으로 누르더라도 스프링(386)이 흡수하여 이를 방지함으로써 고무부재(384)와 제 1 밸브체(38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유체배출실(240)에는 배출관(360)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 2 밸브체(260)가 제공되며, 제 2 밸브체(260)는 중공부재(262)와, 이 중공부재(262)의 하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하우징(200)의 개방부(220)에 타단이 부착되어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부착된 스프링(264)와, 중공부재(262)의 상부에 삽입된 탄성의 고무부재(266)를 포함하고 있다. 고무부재(266) 역시 배출관(360)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온도감응부(420)에는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물질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가 채워져 있다. 외부의 온도가 낮아져서 가스가 응축되면, 온도감응부(420)내에 공간이 생김에 따라, 피스톤 부재(460)에 감합되어 있던 스프링(480)에 의해 피스톤 부재(460)가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주름부(440)도 팽창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온도가 높아져서 가스가 팽창되면, 피스톤 부재(460)가 하강하여 주름부(440)도 수축하게된다. 이와 같이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하고, 온도가 낮아지면 수축하는 성질을 가지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는 온도감응부(420)에 충진된 온도감응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여 응축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80)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 부재(460)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주름부(440)가 펴지게 되는 동시에, 제 1 유로(310)를 폐쇄하고 있던 제 1 밸브체(380)가 반응실(320)내에서 상승하여 제 1 유로(310)가 개방되어, 밸브실(340)의 상부 유입통로(322)를 통해 유입되어, 밸브실(340)과, 제 1 유로(310)에 충진되어 있던 흐름유체가 반응실(320)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상부 유입통로(322)에는 피스톤 밸브(328)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실(340)로부터 제 1 유로(310)를 통해 반응실(320)로 유입되는 흐름유체의 량보다 상부 유입통로(322)를 통해 밸브실(340)로 유입되는 양이 헐씬 적으며, 이에 따라 밸브실(340)의 수압, 즉 고무패드밸브(324) 상부의 수압은 낮아지게 되는 반면, 고무패드밸브(324)의 하부는 고무패드밸브(324)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유입통로(326)를 통해 유입되어 있던 흐름유체에 의해 수압이 걸려 있으므로, 고무패드밸브(324)를 중심으로 그 상하부사이에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고무패드밸브(32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되어 하부의 유입통로(326)와 배출관(360)이 서로 연통하게 되고, 이에 의해 하우징(200)내의 흐름유체가 배출관(360)으로 유입되어 유체배출구(240)의 제 2 밸브체(260)를 하강시켜서, 배출관(360)을 개방시킴에 따라 개방부(220)를 통해 흐름유체를 배출하게 된다. 그 결과, 유체흐름관(120,140)내의 흐름유체의 온도를 항상 설정온도 이상으로 유지하게 되어 유체흐름관(120,140)의 동파를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고무패드밸브(324)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상부 유입통로(322)에 개재되어 있는 피스톤 밸브(328)를 밀어올려서, 상부 유입통로(322)를 폐쇄하며, 그리 고, 제 1 밸브체(380)가 점차 상승하여 제 2 유로(314)를 개방하게 되면, 밸브실(340)로부터 반응실(320)로 유입되는 흐름유체는 제 2 유로(314)를 통해 배출관(360)으로 유입된다.
대표적으로 유체흐름관을 수도관이라 하면, 통상 수도관의 수압은 2-3Kgf/Cm2 정도의 값이므로,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때의 유속은 매우 빠르다. 따라서,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해 유체 배출 시에 제 2 유로(314)를 통해 배출관(360)으로 유입되는 흐름유체 역시 모두 배출되므로, 상부 유입통로(322)가 폐쇄된 밸브실(340)과, 저장실(320) 및 제 2 유로(314)의 내부는 항상 흐름유체가 없는 비어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온도감응부(420)내의 온도감응유체가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하우징(200)의 개방부(220)를 통해 유체흐름관(120,140)내의 흐름유체가 일정시간동안 소량이 배출되지만, 배출 초기에 규정된 배출량의 100%가 배출되지 않게 되면, 배출되는 흐름유체가 동결되어 개방부(220)를 폐쇄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점과, 배출되는 시점과 배출을 멈추는 시점의 간극을 좁히는 것, 즉 배출을 원활하게 시작하고 멈추게 하는 것이 배출수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이 바람직한 바,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반응실(320)내에서 피스톤 부재(460)에 눌려있던 제 1 밸브체(380)와, 유체배출실(240)의 제 2 밸브체(260)에 의해 달성된다. 즉 제 1 밸브체(380)의 접촉부재(388)가 스프링(386)에 탄지된 상태로 피스톤 부재(460)에 의해 눌려있으므로, 피스톤 부재(460)를 빠르게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배출의 시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제 2 밸브체(260) 역시 스프 링(264)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배출관(360)을 신속하게 폐쇄하여 배출의 멈춤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온도감응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달하는 경우, 온도감응수단이 팽창되는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는 초기의 유체를 배출할 때 그 배출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 실시예의 구성의 유체 배출실(240) 대신에 배출유량 조절수단의 구성이 추가된 것이므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하였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 실시예의 제 2 유로(314)에 배출유량 조절수단이 설치된다. 배출유량 조절수단은 유체저장실(520)과 이 유체저장실(520)과 연통하는 제 2 밸브실(540)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배출관(360)은 중앙이 오리피스관과 같이 구성되며, 상부가 제 2 밸브실(540)과 연통되어 있고, 하부는 유체저장실(520)과 연통되어 있다.
유체저장실(520)에는 제 2 유로(314)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밸브부재(522)와 이 밸브부재(522)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 스프링(524)을 포함하며, 밸브부재(522)가 상승하게 되면, 반응실(320)내의 흐름유체가 제 2 유로(314)를 통해 유입된다.
또한 유체저장실(520)에는 소정의 높이에 하부의 배출관(360)과 연통하는 제 3 유로(362)가 제공되어, 밸브부재(522)가 소정의 높이 이상 상승하면 제 3 유로(362)를 통해 유입된 흐름유체를 하부의 배출관(360)을 통해 배출한다.
한편, 제 2 밸브실(540)은 밸브실(340)과 유사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유체저장실(520)과의 연통로(542)에는 피스톤 밸브(544)가 개재되어 유체저장실(520)에 유입된 유체를 유입하고, 제 2 유로(314)를 덮도록 설치된 고무패드밸브(346)를 포함한다. 그런데 고무패드밸브(346)가 개방되면, 배출관(360)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유속으로 인해 제 2 밸브실(540)에 부압이 생겨 유체의 일부가 제2유로(314)를 통해 빨려 들어온다. 이후 스프링(524)에 의해 피스톤 밸브(544)가 내려오면서 고무패드밸드(346)가 닫히는데 이 속도가 빠르면 하부유입통로(326)을 통해 배출관(360)으로 유입되는 물이 충분치 않아 하우징(200)내부의 물의 온도가 점차 낮아져 동결이 일어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흐름유체의 배출을 지연시키기 위해 상부 배출관(360)과 제 2 밸브실(540)사이의 제 2 유로(314)에는 저항용 샤프트(620)가 작동하는 간극실(60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는 이상과 같은 동작의 반복에 의해 유체흐름관에서 항상 유체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기온이 낮아지더라도 외부의 동력공급없이 유체흐름관 내부의 유체가 얼지 않음에 따라 유체흐름관의 동파를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 어야 하는 것으로, 당업자라면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은 도 1의 장치에서 온도감응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달하는 경우, 온도감응수단이 팽창되는 작동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의 장치에서 온도감응유체의 온도가 설정온도에 달하는 경우, 온도감응수단이 팽창되는 작동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3 장치의 상부의 배출관과 유체저장실사이의 제 2 유로에 간극실이 설치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140 : 유체흐름관 200 : 하우징
220 : 개방부 240 : 유체배출실
260 : 제 2 밸브체 262 : 중공부재
264 : 스프링 266 : 고무부재
300 : 밸브 블록 310 : 제 1 유로
314 : 제 2 유로 316 : 시일링
320 : 반응실 322 : 상부 유입통로
324 : 고무패드밸브 326 : 하부 유입통로
328 : 피스톤 밸브 340 : 밸브실
342 : 스프링 360 : 배출관
362 : 제 3 유로 380 : 제 1 밸브체
382 : 중공부재 384 : 고무부재
386 : 스프링 388 : 접촉부재
420 : 온도감응부 440 : 주름부
460 : 피스톤 부재 480 : 스프링
520 : 유체저장실 522 : 밸브부재
524 : 스프링 540 : 제 2 밸브실
544 : 피스톤 밸브 546 : 고무패드밸브
600 : 간극실 620 : 저항용 샤프트

Claims (10)

  1. 삭제
  2.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로서,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흐름유체가 흐르는 유체흐름관의 유입부와 유출부사이에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내의 흐름유체를 유입하되, 내부압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와 연통하는 배출관을 통해 소량의 흐름유체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밸브 블록; 및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 블록내에 압력차를 발생하도록, 상기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이 충진되어 상기 밸브 블록의 상부에 설치된 온도감응부와, 상기 온도감응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밸브 블록의 내부에 설치된 반응실과, 상기 하우징에 유입된 흐름유체를 유입하도록 상기 밸브 블록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실과, 상기 반응실과 상기 밸브실을 연통하는 제 1 유로와, 상기 반응실과 상기 배출관을 연통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이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밸브실로 유입된 유체를 상기 온도감응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반응실로 유입하여, 상기 밸브실에 발생된 압력차에 의해 상기 밸브실로 유입되는 상기 하우징내의 흐름유체를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온도감응수단을 포함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응부내에는
    상기 온도감응유체 혹은 기타 물질의 응축과 팽창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도록 설치된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내부에는 상기 주름부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승하강하도록 설치된 피스톤 부재와,
    상기 피스톤 부재의 외부면에 감합되어 상기 피스톤 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실에는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하부에 삽입된 탄성의 고무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스프링 및 접촉부재로 구성되어, 피스톤 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승하강하여 상기 제 1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제 1 밸브체를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피스톤 부재의 하단부와 탄성적으로 접하고,
    상기 제 1 밸브체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제 2 유로가 개폐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에는
    피스톤 밸브가 개재되어 상기 하우징내의 유체를 유입하는 상부 유입통로와,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고무패드밸브와,
    상기 고무패드밸브의 개방시 상기 배출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하부 유입통로가 제공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는 스프링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에는
    중공부재와, 상기 중공부재의 하부에 일단이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에 타단이 부착되어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부착된 스프링과, 상기 중공부재의 상부에 삽입된 탄성의 고무부재로 구성되는 제 2 밸브체가 상기 배출관을 개폐하도록 설치된 유체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에는 유체저장실과 이 유체저장실과 연통하는 제 2 밸브실로 이루어진 배출유량 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관은 중앙이 오리피스관과 같이 구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 2 밸브실과 연통되어 있고, 하부는 상기 유체저장실과 연통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저장실에는 상기 제 2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밸브부재와 이 밸브부재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하부의 배출관과 연통하는 제 3 유로가 제공되어,
    상기 반응실내의 유체에 일정압력이 생겨 상기 밸브부재의 상승 시, 상기 반응실내의 유체가 상기 제 2 유로를 통해 유입되거나, 상기 제 3 유로를 통해 상기 하부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밸브실은 상기 유체저장실과의 연통로에 개재된 피스톤 밸브와, 상기 제 2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고무패드밸브를 포함하는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KR1020090111530A 2008-12-10 2009-11-18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KR101142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30A KR101142059B1 (ko) 2009-11-18 2009-11-18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RU2011128407/06A RU2481522C2 (ru) 2008-12-10 2009-12-09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термочувствитель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11540604A JP5714500B2 (ja) 2008-12-10 2009-12-09 温度感応型流体流れ断続装置
US13/139,088 US8561914B2 (en) 2008-12-10 2009-12-09 Temperature-responsive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PCT/KR2009/007351 WO2010068031A2 (ko) 2008-12-10 2009-12-09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CN200980149724XA CN102245949B (zh) 2008-12-10 2009-12-09 温度感应型流体流动控制设备
EP09832116.9A EP2369210B1 (en) 2008-12-10 2009-12-09 Temperature-responsive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HK12104836A HK1164415A1 (en) 2008-12-10 2012-05-16 Temperature-responsive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530A KR101142059B1 (ko) 2009-11-18 2009-11-18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61A KR20110054761A (ko) 2011-05-25
KR101142059B1 true KR101142059B1 (ko) 2012-07-12

Family

ID=44363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530A KR101142059B1 (ko) 2008-12-10 2009-11-18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0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10B1 (ko) 2013-03-18 2014-10-22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44B1 (ko) * 2006-03-14 2007-05-10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동파방지 장치
KR100849915B1 (ko) * 2007-03-30 2008-08-04 강흥묵 동파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544B1 (ko) * 2006-03-14 2007-05-10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동파방지 장치
KR100849915B1 (ko) * 2007-03-30 2008-08-04 강흥묵 동파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910B1 (ko) 2013-03-18 2014-10-22 (주)수도프리미엄엔지니어링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61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4500B2 (ja) 温度感応型流体流れ断続装置
KR101142059B1 (ko)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KR101542382B1 (ko) 수도계량기용 동결방지장치
US709432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gas pressure in a coke oven chamber
KR100901269B1 (ko)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US81325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roducing air into a hydropneumatic reservoir
KR20100030311A (ko) 전자석에 의해 구동되는 박막을 구비한 마이크로펌프
KR101452910B1 (ko)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CN102871603B (zh) 排液装置
KR101041100B1 (ko) 온도감응형 유체흐름 단속장치
TW201303246A (zh) 排液系統
CN111435038B (zh) 一种具有防冻功能的热水器装置及其防冻方法
US2792011A (en) Flood control means
CN113423983B (zh) 用于控制容器中液位的浮阀系统和方法
CN219673962U (zh) 排水装置
KR102429386B1 (ko) 유체펌핑장치
CN215573611U (zh) 一种阀门性能自动试验装置
JP4334690B2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200395625Y1 (ko) 유체 압력 조절밸브
JP6858592B2 (ja) 液移送装置及び液移送方法
RU1783080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воды из скважины
JP3734074B2 (ja) 自動閉弁機能を備えたタンク用キャップ
RU2104435C1 (ru) Способ перекачки нагреваемой жидкости и термочувствительный перепускной клапан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1236821B1 (ko) 동파방지 장치
KR200299807Y1 (ko) 높아진 부력을 갖는 부유체가 형성된 공기배출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