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672B1 -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672B1
KR101141672B1 KR1020110057742A KR20110057742A KR101141672B1 KR 101141672 B1 KR101141672 B1 KR 101141672B1 KR 1020110057742 A KR1020110057742 A KR 1020110057742A KR 20110057742 A KR20110057742 A KR 20110057742A KR 101141672 B1 KR101141672 B1 KR 10114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nd
winding
guide
shaf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민
Original Assignee
오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찬 filed Critical 오종찬
Priority to KR102011005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샤프트(21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권취드럼(240)의 외주연으로 블라인지(50)가 권취되고, 구동로프(250)를 통한 권취드럼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블라인지가 상하 전개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샤프트 양단에 위치되는 거치블럭(230), 권취드럼과 거치블럭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샤프트 및 권취드럼의 회전 방향을 결정지을 수 있도록 회전체(220)가 구비되는 권취부재(200);와, 거치블럭이 인입되어 끼움 결속되고 연직 하방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완충부재(100);와, 블라인지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딩홈(420) 및 외부와 연통되는 종 방향의 장홈(410)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트랙(400);과, 완충부재와 권취부재를 일괄적으로 외부와 단절시켜 보호하는 커버부재(6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부재(200)와 완충부재(100)는 거치블럭(230)을 통해 상호 결합 내지 분리되고, 상기 블라인지(50)의 하단부에는 이동바(51) 및 이동바의 양측 단부에 롤러(70)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각각의 롤러가 가이드트랙(400)의 슬라이딩홈(4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라인드{blind}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 블라인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권취 작동시 해당 귄취드럼 일체에 치중되는 자체 중량을 완화 혹은 분산시켜 무리 없이 상하 전개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은 물론, 블라인지 양단이 불균형한 상태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구동되지 않도록 방지함에 따라 원활한 전개 과정이 구현될 수 있으며, 상방 및 하방으로 슬라이드 구동되는 블라인지를 의도하는 지점의 수평 위치에서 일정 외력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지정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펼쳐진 블라인지에는 사방으로 일정 수준의 텐션이 작용함으로써 강풍이나 외압 등을 통한 간섭이 발생할 경우에도 배가 불룩해지거나 물결치지 않고 견고하게 전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블라인드는 실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거나 차광을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흔히 수평형과 수직형으로 구분되고, 사무실 등 넓은 공간에서는 주로 수직형 블라인드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6-0007993호는 모터 및 구동장치가 내장되는 기기본체와, 블라인드 날개를 전개시키도록 기기본체의 축설되는 작동부재와, 블라인드날개를 지지하도록 작동부재에 연설되는 재치대와, 작동부재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작동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는 자동 블라인드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41607호에는 레일홈부의 상.하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홈과, 이동박스의 상.하측에 장착되며 가이드홈들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다수의 롤러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브라인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2374호에는 한쌍의 고정브래킷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직으로 천공된 슬라이드 장공; 상기 슬라이드 장공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드럼의 수평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드럼의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축공이 구비된 슬라이더; 슬라이더를 고정브래킷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블라인드의 수평밸런스 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7903호에는 기준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들을 차례로 연접시켜 설치하고, 연접 설치 각단들에는 회전관체를 좌측 결합구와 우측의 회전전달체, 우측결합관으로 각각 결합하여 각단 좌우측지지대에 축회전하게 끼우되, 전체 각단 좌측지지대의 내측 돌출관과 좌측 결합구에 클러치 스프링을 각각 위치시켜 각단에 회전관체 회전시 클러치 기능을 제공하고, 회전전달체는 후단의 연결작동체와 물림 결합하여, 기준단의 체인휠을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전체단의 회전관체가 연동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연동구동 창문차단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기존의 블라인드를 사용할 경우에, 해당 권취드럼에 자체 중량이 가중되면서 그 결속부위가 이탈될 우려가 있고, 블라인지의 상하 전개 과정에서 어떠한 외부 요인에 의해 양쪽이 불균형한 상태가 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이로 인해 블라인지 양측이 동일하게 상하 전개되지 못하고 일측이 타측에 비해 빨리 말려 올라가거나 뒤늦게 구동되면서 오작동 되는 등 그 궁극적인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블라인드의 자체 중량을 일정 수준 경감시키면서 블라인지의 상하 전개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블라인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일정 외압이 작용하여도 편평한 전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블라인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권취드럼을 일방향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해당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일부 완화시킴으로써, 특정 영역에 중량이 치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그 해결 과제로 한다.
그리고, 블라인지의 상하 구동을 오작동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외부 간섭에 구애받음 없이 전개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또한, 펼쳐진 블라인지의 전체 면에는 일정한 압력으로 인장력 혹은 텐션을 제공하여 외부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편평한 전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원하는 수평 위치에 블라인지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 과제로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블라인드는,
샤프트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권취드럼의 외주연으로 블라인지가 권취되고, 구동로프를 통한 권취드럼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블라인지가 상하 전개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샤프트 양단에 위치되는 거치블럭, 권취드럼과 거치블럭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샤프트 및 권취드럼의 회전 방향을 결정지을 수 있도록 회전체가 구비되는 권취부재;와, 거치블럭이 인입되어 끼움 결속되고 연직 하방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완충부재;와, 블라인지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딩홈 및 외부와 연통되는 종 방향의 장홈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트랙;과, 완충부재와 권취부재를 일괄적으로 외부와 단절시켜 보호하는 커버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권취부재와 완충부재는 거치블럭을 통해 상호 결합 내지 분리되고, 상기 블라인지의 하단부에는 이동바 및 이동바의 양측 단부에 롤러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각각의 롤러가 가이드트랙의 슬라이딩홈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는 수직으로 대향되게 입설되는 복수의 가이드홈 및 하나 이상의 결합홀이 상하 관통 형성되는 고정블럭;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안내돌기와 하나 이상의 진입공이 저면에 천공되는 이동블럭; 각 진입공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단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대; 지지대 외주연에 끼워져 이동블럭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이동블럭은 지지대와 함께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이드홈에 취합된 안내돌기의 상하 슬라이드 구동에 따라 고정블럭 내부 영역에서 상하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는 연속되는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로프에는 등간격으로 원형의 권취돌기를 다수 구비하여 회전체가 형성하는 굴곡의 사이 공간마다 해당 권취돌기를 일대일 대응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트랙에는 슬라이딩홈에 내장된 롤러를 제자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가 더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는 단부에 이를수록 가이드트랙의 폭에 비해 협소한 간격이 유지되는 결속익 및 결속익의 중앙에서 상하 연장되는 바디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결속익의 단부는 내측 방향에 대해 라운드형으로 절곡되는 만곡부로 이루어져 롤러의 중공부에 바디가 인입 고정됨과 동시에 결속익의 만곡부가 가이드트랙의 폭만큼 개구되면서 맞물림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에 따르면, 블라인드의 자체 중량을 일정 수준 경감시키면서 해당 블라인지의 상하 전개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블라인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일정 외압이 작용하여도 편평한 전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이다.
즉, 블라인지의 상하 전개 작동시 전체 중량이 권취드럼 일체에 치중되면서 결속부위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소정의 완충부재를 더 구성함에 따라 상기 권취드럼 일체에 가해지는 자체 중량을 완화시킴으로써, 블라인지를 작동하기 위하여 급작스럽게 전해지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이드트랙 내부에서 이동바와 결부된 롤러의 슬라이드 구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인해 블라인지의 상하 구동을 오작동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외부 간섭에 구애받음 없이 원활하게 블라인지의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과정으로 펼쳐진 블라인지의 전체 면에는 사방에 대해 일정한 압력으로 인장력 혹은 텐션이 제공되어 강풍 등의 외부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편평한 전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트랙 외주연과 맞물려 고정되는 구조의 스토퍼를 더 구비하여 원하는 수평 위치에서 블라인지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블라인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완충부재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블라인드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블라인드의 권취 작동시 해당 귄취드럼 일체에 치중되는 자체 중량을 완화시켜 무리 없이 상하 전개가 이루어지게 하고, 블라인지 양단이 불균형한 상태에서 한쪽으로 치우쳐 구동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상방 및 하방으로 슬라이드 구동되는 블라인지를 의도하는 지점의 수평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은 물론, 펼쳐진 블라인지에 일정 수준의 텐션을 제공하여 전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블라인드에 관련된 것임을 주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블라인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완충부재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1)는 크게 완충부재(100); 권취부재(200); 가이드트랙(400) 및 스토퍼(500); 커버부재(600); 블라인지(50)를 포함한 이동바(51) 및 롤러(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샤프트(210)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권취드럼(240)의 외주연으로 블라인지(50)가 권취되고, 구동로프(250)를 통한 권취드럼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블라인지가 상하 전개되도록 구성하되, 샤프트 양단에 위치되는 거치블럭(230), 권취드럼과 거치블럭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샤프트 및 권취드럼의 회전 방향을 결정지을 수 있도록 회전체(220)가 구비되는 권취부재(200);와, 거치블럭이 인입되어 끼움 결속되고 연직 하방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완충부재(100);와, 블라인지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딩홈(420) 및 외부와 연통되는 종 방향의 장홈(410)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트랙(400);과, 완충부재와 권취부재를 일괄적으로 외부와 단절시켜 보호하는 커버부재(600);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부재(200)와 완충부재(100)를 거치블럭(230)에 의해 상호 결합 내지 분리되게 하였으며, 상기 블라인지(50)의 하단부에는 이동바(51) 및 이동바의 양측 단부에 롤러(70)를 일체형으로 장착하여 각각의 롤러가 가이드트랙(400)의 슬라이딩홈(4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하 슬라이드 구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부재(200)는 권취드럼(240); 샤프트(210); 거치블럭(230); 회전체(220);를 포함한다.
상기 권취드럼(240)은 상단에서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블라인지(50)를 수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공간으로 형성되고, 샤프트(210)와 일체형으로 결부되어 후술할 회전체(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해당 블라인지를 감아 올리거나 혹은 풀어 내리게 됨으로써 상하 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종래의 기술 사상과 유사 내지 동일한 개념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거치블럭(230)은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샤프트(210) 양단에 고정 결합되어 소정의 높이에서 권취부재 일체를 지지 및 거치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즉, 본 발명의 완충부재(100)에 상기 거치블럭(230)이 인위적으로 끼워져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고, 또한 샤프트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샤프트(210)와 거치블럭(230)이 상호 접하는 영역에 베어링(미도시함)을 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20)는 연속되는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져 샤프트(210) 상에서 샤프트와 동일한 회전 운동을 병행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 운동을 위해 구동로프(250)와 권취돌기(251)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로프(250)에는 등간격으로 원형의 권취돌기(251)를 다수 구비하여 회전체(220)가 형성하는 굴곡의 사이 공간마다 해당 권취돌기(251)를 일대일 대응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동로프에 형성된 귄취돌기를 통하여 사용자는 귄취돌기(251)를 잡고서 보다 손쉽게 회전체(220)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효과적인 것은 물론, 각각의 권취돌기가 순차적으로 회전체의 굴곡진 영역에 인입되면서 회전체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구조의 간소화 및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수직으로 대향되게 입설되는 복수의 가이드홈(111) 및 하나 이상의 결합홀(112)이 상하 관통 형성되는 고정블럭(110);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복수의 안내돌기(122)와 하나 이상의 진입공(121)이 저면에 천공되는 이동블럭(120); 각 진입공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단에 나사산(131)이 형성되는 지지대(130); 지지대 외주연에 끼워져 이동블럭(120)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고정블럭(110)과 이동블럭(120)의 상호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가이드홈(111) 및 안내돌기(12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홈(111)은 이동블럭(120)의 선단부에서 측 방향 연장 형성된 안내돌기(122)를 수용하여 이동블럭 일체가 상하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이동블럭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대(130) 및 탄성부재(14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40)는 이동블럭(120)과 함께 일정 범위 내에서 이완 수축의 반복 기능이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는 블라인지(50)의 상하 전개시 해당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블럭(120)의 저면으로 별도의 진입공(121)을 일정 깊이가 되게 천공하여 지지대(130)의 나사산(131)과 나사결합을 유도함으로써 지지대(130)와 이동블럭(120)이 일체화되고, 이동블럭과 일체형으로 결합된 지지대의 외주연으로 탄성부재(140)를 끼워넣은 후 지지대의 타측 단부는 고정블럭의 결합홀(112)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112)은 가이드홈(111)의 하측 영역에 대응하는 고정블럭(110)의 하측 연장부에서 상하 관통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동블럭(120) 및 지지대(130)가 가이드홈(111)을 경유하면서 상하 슬라이드 구동됨에 있어 지지대가 간섭되지 않고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는, 지지대(130)에 끼워져 고정블럭(110)과 이동블럭(12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 상기 탄성부재(140)에 의해 이동블럭이 지지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하 구동시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치블럭(230)은 이동블럭(120)의 상방과 고정블럭(110)의 상측 연장부 하방이 서로 이격 배치되면서 구축하는 공간에 끼워지게 되는바, 고정블럭과 이동블럭이 제공하는 이격 공간으로 거치블럭을 치합시킨 후 회전체(220)의 권취돌기(251)를 하측으로 잡아당겨 회전체(220) 및 샤프트(210), 권취드럼(240)을 일 방향 회전시킬 경우 잡아당기는 힘의 방향으로 블라인드 하중이 순간적으로 집중 치중되면서 권취부재 일체에는 강하게 외압이 부여되므로, 이러한 외압을 탄성부재로 하여금 분산 내지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멈춰있던 회전체(220)를 회전시키고자 구동로프(250)의 권취돌기(251)를 아래 방향으로 최초 잡아당기게 되면 블라인지(50)가 다단 권취된 권취드럼(240)에 일순간 과부하가 걸리게 되어 자칫 완충부재(100)가 탈거되거나 혹은 완충부재로부터 거치블럭(230)이 빠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이러한 문제점은 흔히 사용하는 블라인드에 공통되는 사안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이 부여되면서 상하 슬라이드 구동되는 완충부재(100)를 제공하여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에 이르렀다. 구동로프의 권취돌기(251)를 잡아당기게 될 경우 이러한 힘은 샤프트(210) 양단에 결부된 거치블럭(230)에 고스란히 전달되고, 이로 인해 상기 거치블럭이 아래 방향으로 순간 가압되면서 이를 지지하던 완충부재의 이동블럭(120) 또한 동일하게 가압되고, 이동블럭이 아래 방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지지대에 끼워진 탄성부재(140)는 이동블럭의 하향 배치에 따라 해당 거리만큼 수축하게 되므로, 일순간 치중되는 하중이 탄성부재에 의해 완화되어 특정 영역에 일정 수준 이상의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블럭(120)은 지지대(130)와 함께 탄성부재(140)에 의해 지지되면서 가이드홈(111)에 취합된 안내돌기(122)의 상하 슬라이드 구동에 따라 고정블럭(110) 내부 영역에서 상하 구동되는바, 이동블럭(120)의 하향 정도에 따라 지지대(130)의 하단부는 해당 결합홀(112)을 벗어나 돌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트랙(400)은 상하 구동되는 블라인지(50)를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블라인지의 폭을 고려한 거리만큼 이격시켜 대향 입설되는 구성요소로, 도 2에서와 같이 그 내부공간을 중공이 되게 형성하여 슬라이딩홈(420)으로 구분하고,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장홈(410)이 일측에 장방향 천공된다. 상기 슬라이딩홈(420)은 블라인지(50)와 접하는 영역이 개구되어 있으며, 개구된 공간으로 블라인지의 측면이 소폭 끼워지는 구조이다.
한편, 블라인지(50) 하단에는 횡 방향으로 이동바(51)를 장착하고, 이러한 이동바의 양측 단부에는 롤러(70)를 부가 설치함으로써, 각 롤러(70)가 가이드트랙(400)의 슬라이딩홈(42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구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가이드트랙(400)에는 슬라이딩홈(420)에 내장된 롤러(70)를 제자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스토퍼(500)가 더 장착되고, 상기 스토퍼(500)는 단부에 이를수록 가이드트랙의 폭에 비해 협소한 간격이 유지되는 결속익(520) 및 결속익의 중앙에서 상하 연장되는 바디(51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결속익(520)의 단부는 내측 방향에 대해 라운드형으로 절곡되는 만곡부(521)로 이루어져 롤러의 중공부(71)에 바디(510)가 인입 고정됨과 동시에 결속익(520)의 만곡부(521)가 가이드트랙(400)의 폭만큼 개구되면서 맞물림 유지된다.
상기 커버부재(600)는 본 발명의 완충부재(100) 및 권취부재(200)를 일괄적으로 커버하기 위하여 수반되고, 도 2와 같은 형상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블라인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블라인드(1)는 권취드럼(240)을 일방향 회전 구동시키기 위해 해당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완충부재(100)를 통해 완화되게 함으로써, 특정 영역에 중량이 치중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좌우 설치되는 가이드트랙(400)에 의해 블라인지(50)의 상하 구동을 오작동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함과 동시에 외부 간섭에 구애받음 없이 전개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단과 하단이 구속 배치된 블라인지의 특성에 기인하여 해당 블라인지를 전개하여 펼쳤을 경우 내지 펼치는 과정에서 공통되게 상하 방향으로 텐션이 부여됨으로써, 외부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편평한 전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스토퍼(500)를 더 구비하여 원하는 수평 위치에 블라인지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으며,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플렉시블한 성질이 함유되도록 형성된 결속익(520) 및 만곡부(521)에 의해 가이드트랙(400)과의 결속력을 향상되게 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블라인드 50: 블라인지
51: 이동바 70: 롤러
71: 중공부 100: 완충부재
110: 고정블럭 111: 가이드홈
112: 결합홀 120: 이동블럭
121: 진입공 122: 안내돌기
130: 지지대 131: 나사산
140: 탄성부재 200: 권취부재
210: 샤프트 220: 회전체
230: 거치블럭 240: 권취드럼
250: 구동로프 251: 권취돌기
400: 가이드트랙 410: 장홈
420: 슬라이딩홈 500: 스토퍼
510: 바디 520: 결속익
521: 만곡부 600: 커버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샤프트 양단에 위치되는 거치블럭(230), 권취드럼과 거치블럭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샤프트 및 권취드럼의 회전 방향을 결정지을 수 있도록 회전체(220)가 구비되는 권취부재(200);와, 거치블럭이 인입되어 끼움 결속되고 연직 하방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는 완충부재(100);와, 블라인지의 양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라이딩홈(420) 및 외부와 연통되는 종 방향의 장홈(410)이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가이드트랙(400);과, 완충부재와 권취부재를 일괄적으로 외부와 단절시켜 보호하는 커버부재(600);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라인지의 하단부에는 양단에 롤러(70)를 일체형으로 장착한 이동바(5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트랙(400)의 슬라이딩홈(420)에는 이동바의 롤러(70)가 배치되게 하되, 상기 롤러의 수평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단부에 이를수록 가이드트랙의 폭에 비해 협소한 간격이 유지되는 결속익(520) 및 결속익의 중앙에서 상하 연장되는 바디(510)로 이루어진 스토퍼(500)를 포함하는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0)의 결속익(520) 단부는 내측 방향에 대해 라운드형으로 절곡되는 만곡부(521)로 형성하고, 상기 이동바의 롤러(70)에는 중공부(71)를 구비하여 각각 가이드트랙(400)의 슬라이딩홈(420)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의 중공부(71)에 스토퍼의 바디(510)가 인입 고정됨과 동시에 결속익의 만곡부(521)가 가이드트랙의 폭만큼 개구되면서 맞물림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KR1020110057742A 2011-06-15 2011-06-15 블라인드 KR101141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742A KR101141672B1 (ko) 2011-06-15 2011-06-15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742A KR101141672B1 (ko) 2011-06-15 2011-06-15 블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1672B1 true KR101141672B1 (ko) 2012-05-04

Family

ID=4627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742A KR101141672B1 (ko) 2011-06-15 2011-06-15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083A (ko) * 2017-05-11 2018-11-22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6895U (ja) 1981-12-10 1983-06-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シヤツタ
JPH09144449A (ja) * 1995-11-16 1997-06-03 Bunka Shutter Co Ltd 駆動機構部の緩衝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開閉装置の巻取シャフト駆動構造
JP2002256786A (ja) 2001-02-27 2002-09-11 Shin Nikkei Co Ltd 窓の日射遮蔽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6895U (ja) 1981-12-10 1983-06-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シヤツタ
JPH09144449A (ja) * 1995-11-16 1997-06-03 Bunka Shutter Co Ltd 駆動機構部の緩衝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開閉装置の巻取シャフト駆動構造
JP2002256786A (ja) 2001-02-27 2002-09-11 Shin Nikkei Co Ltd 窓の日射遮蔽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083A (ko) * 2017-05-11 2018-11-22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KR101993160B1 (ko) * 2017-05-11 2019-09-30 리셋컴퍼니 주식회사 이물질 적층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1688B2 (en) Motorized operating device intended for operating a movable screen with a windable canvas of a window covering device or a projection screen device
AU2013206330B2 (en) Curtain
KR101320445B1 (ko) 개폐식 차양막
US20120024485A1 (en) Modular anti-reversible power spring apparatus and method
EP2900894B1 (en) Control and movement device for mosquito screens, curtains and the like
AU2010304194B2 (en) Screen apparatus
KR200481182Y1 (ko) 어닝 구조
CA2798376A1 (en) Positioning apparatus of a window shade
EP3351719B1 (en) Screening arrangement with extensible screen and method for providing variable screening of a window
KR101141672B1 (ko) 블라인드
EA026010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вания стенного проема или окна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EP1836371B1 (en) A winding device for a cord guidance system of a screening device for the screening of a window
CN101498194A (zh) 无拉绳卷帘
KR20120008562U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RU2563764C2 (ru) Намо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ывания отверстий в частях стены
JP6169808B2 (ja) ロールシェード装置
KR102584371B1 (ko) 블라인드 창의 장력조절장치
KR101670079B1 (ko) 롤 블라인드용 웨이트 유닛장치
KR101863245B1 (ko) 일체형 이중 롤 블라인드용 하단바장치
KR200442426Y1 (ko) 로만쉐이드의 승강조절띠 안내장치
JP6268640B2 (ja) 設置補助装置
JP2011169086A (ja) ブラインド
JP7250975B2 (ja) 遮蔽装置
AU2020270718A1 (en) Operating unit for shie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