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141B1 -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141B1
KR101141141B1 KR1020080128859A KR20080128859A KR101141141B1 KR 101141141 B1 KR101141141 B1 KR 101141141B1 KR 1020080128859 A KR1020080128859 A KR 1020080128859A KR 20080128859 A KR20080128859 A KR 20080128859A KR 101141141 B1 KR101141141 B1 KR 101141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ds
piezoelectric
speaker system
thin plat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230A (ko
Inventor
신민철
이성규
김혜진
박강호
김종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2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1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 재생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은, 압전 박판과, 상기 압전 박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패드와, 상기 압전 박판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면패드와,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 및 상기 면패드가 형성된 상기 압전 박판의 상하부면을 덮는 2개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중 음향 재생에 이용될 하나 이상의 전극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압전박판, 전극패드, 면전극, 스위치, 음향장치

Description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Piezoelectric loudspeaker system}
본 발명은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 재생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6-S-006-03, 과제명:유비쿼터스용 단말용 부품/모듈].
일반적으로 소리(Sound)는 매질을 통해서 일정한 속도로 전달되는 유체의 진동 현상의 하나로, 소리는 매질 속으로 전달해 간다. 그 원리는 간단히 설명 될 수 있다. 스피커는 콘이 앞뒤로 전진/후진을 거듭하며 음을 생산한다. 일 예로 저음용 스피커인 우퍼의 콘이 앞으로 전진하는 순간 바로 앞쪽의 공기는 압축이 된다. 이제 콘이 원래의 자리로 돌아오면 바로 앞의 공기는 처음의 압력 (대기압과 같은 압력)으로 돌아오고, 콘이 뒤로 후진하면 바로 앞의 공기는 순간적으로 팽창하여 공기압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된다. 공기는 스프링과 같이 한쪽에서 발생한 파를 자 동으로(에너지를 평형상태로 만들기위해) 다른 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압력의 변화는 스피커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점에서 관찰해도 마찬가지이다. 단, 음파가 구 모양으로 퍼져 나가므로 같은 힘=에너지로 더 많은 면적의 공기를 압축 팽창시켜야 하기 때문에 당연히 음원에서 멀리 떨어질 수록 압력의 변화는 작아진다. 우리가 소리를 음의 파동, 즉 음파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이것이 음이 만들어지는 원리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원리로 스피커를 제작할 경우 진동판을 구비한 콘과 공명실인 엔클로저를 구비한 콘 스피커로 이루어져 부피가 크고 무거워 소형화, 박막화 추세에 있는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때문에 근래에는 얇고 가벼운 필름 형태의 스피커가 개발되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 스피커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나 기타의 수지필름에 플라즈마를 인가하여 친수성을 갖도록 하여, 금속이나 전도성 물질이 코팅된 압전필름을 만들어 이 압전필름에 오디오 신호가 인가되면 압전필름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스피커 모두 한번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면, 쉽게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스피커를 두고 음향을 재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향 재생시 음향 재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압전형 스피커 시 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은, 압전 박판과, 상기 압전 박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패드와, 상기 압전 박판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면패드와,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 및 상기 면패드가 형성된 상기 압전 박판의 상하부면을 덮는 2개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중 음향 재생에 이용될 하나 이상의 전극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은, 압전 박판과, 상기 압전 박판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패드와,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가 상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압전 박판의 상하부면을 덮는 2개의 프레임과, 상기 압전 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중 음향 재생에 이용될 하나 이상의 전극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구동가능한 전극패드를 포함함으로써, 원하는 위치 또는 위치를 변경해 가며 음향을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1차원,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전극패드를 배열한 스피커 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재생 위치를 사용자 혹은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어 풍부한 음향을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능동 소음 제거, 음장제어 및 지향성 스피커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능동 소음 제거 분야의 경우 음원의 위치에 대한 자유도를 이용하여 넓은 구역에서 향상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음장 제어 분야에서는 기본 음원의 음압의 세기와 위상변화를 통해서 제어되던 음장을 위치하는 하나의 파라미터를 더 하면서 더욱 효율적인 제어 알고리즘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지향성 스피커 분야에서는 사이드 로브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시스템 구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은, 압전박판(110), 전극패드(120) 및 프레임(140, 150) 및 전극패드(120)의 전극중 하나 이상을 선택함으로써 압전 스피커(100)의 음향 방사 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200)를 포함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 스피커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 스피커(100)는 압전박판(110), 압전박판(110) 상면에 형성되는 전극패드(120), 압전박판(110) 하면에 형성되는 면 전극(130) 및 전극패드(120) 상면과 면 전극(130) 하면에 각각 형성되는 프레임(140, 150)으로 이루어진다. 즉 압전 스피커(100)는 압전박판(110)의 상면 및 하면에 전극패드(120) 및 면 전극(130)이 형성되고, 전극패드(120) 및 면 전극(130)이 형성된 압전박판(110)의 양면을 프레임(140, 150)으로 덮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전극패드(120)에는 신호선 즉 양(+) 전극을 연결하고, 면 전극(130)에는 기준 신호인 접지 또는 음(-) 전극을 연결함으로써 음향 방사 위치를 조절 할 수 있는 압전 스피커를 완성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스피커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전 스피커(100)는 압전박판(110), 압전박판(110) 상하부면에 형성된 전극패드(120) 및 프레임(140, 150)을 포함한다. 즉 압전 스피커(100)는 압전박판(110)의 상하면에 전극패드(120)를 형성하고, 전극패드(120)가 형성된 압전박판(110)의 양면을 프레임(140, 150)으로 덮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전극 패드(120)에는 신호선 즉 양(+) 전극을 연결하고 다른 한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120)에는 기준 신호인 접지 또는 음(-)전극을 연결함으로써 음향 방사를 할 수 있는 압전 스피커를 완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패드와 스위치간의 연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200)의 신호선들은 전극 패드에 연결되어 음향 재생에 이용될 임의 개수의 전극패드를 선택하는데 이용된다. 이때, 충분한 음압을 낼 수 있는 개수의 전극패드가 선택되도록 한다. 도시된 예는 4개의 전극 패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동시에 선택되는데, 번부터 번 그룹의 전극패드를 선택하면서 음향 재생 범위가 결정된다. 번부터 번 그룹까지의 음향 재생 범위는 하나의 전극 패드로 달라지므로, 결국 음향 재생 위치의 분해능은 전극 패드 간격에 의해 결정됨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스위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멀티 플렉서(220)에 두 개의 전극패드그룹씩 연결한 후 각각의 멀티 플렉서(220)에 음향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신호선(210)은 각각의 멀티 플렉서(220)에 연결된 그룹(1,2..6) 중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동작하도록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은 음향을 방사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멀티 플렉서(220)에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선(210)이 '0'에 해당하는 구동신호를 각각의 멀티 플렉서(220)로 전달하면, 멀티 플렉서(220)는 '0'신호에 연결된 전극패드 그룹(1, 3, 5)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제어 신호선(210)이 '1'에 해당하는 구동신호를 출력하면, 멀티 플렉서(220) 는 '1'신호에 연결된 전극패드 그룹(2, 4, 6)에 구동신호를 전달하여 해당 전극패드 그룹(2, 4, 6)을 통해 음향 재생이 일어나도록 한다.
도 4에서는 스위치(200)가 3개의 멀티 플렉서(MUX)(220) 및 1개의 제어 신호선(21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멀티플렉서(220)의 개수는 전극패드 선택 방식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멀티플렉서 이외에도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요소라면 얼마든지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협대역 통과 필터를 구비한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스위치(200)로 입력되는 신호(예를 들어, 광대역 신호)가 복수개(m개)의 협대역통과필터(400)를 통해 필터링되어 입력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협대역 통과필터(400)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도록 주파수별로 구분된 필터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스피커 시스템은 입력되는 신호(예를 들어, 20Hz-48000Hz의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주파수 별로 구분되는 각 협대역 통과필터(400)에 입력함으로써,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한다.
또한 각 협대역 통과필터(400)와 스위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복수개(M개)의 멀티 플렉서(220)를 대응되도록 연결하여, 각 협대역 통과필터(400)를 통해 필터링되는 음향 신호가 각 멀티 플렉서(220)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후, 복수개(m개)의 협대역통과필터(400)를 통해 각 주파수별로 분리된 음향 신호는 미리 연결된 스위치(200)의 멀티 플렉서(220)로 각각 입력되며, 스위치(200)의 제어에 따라 각 멀티 플렉서(22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패드(1, 2.. n)로 주파수별로 분리된 음향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광대역의 음원 중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만을 필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멀티 플렉서(220)로 입력할 수 있으며, 특정 주파수 대역이 필터링되어 입력된 음향 신호는 멀티 플렉서(220)의 제어를 통해서 압전 스피커(100)에서 음향이 방사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시스템은 음향의 방사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방사 위치별로 방사되는 음향의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Hz~200Hz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이 협대역통과필터1(410)을 통해 필터링 되도록 설정하고, 협대역통과필터1(410)를 통해 필터링된 음향신호가 멀티 플렉서(230)로 입력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멀티 플렉서(230)에는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전극패드(1,n)로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이후 광대역 음원 중 20Hz~200Hz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이 협대역통과필터 1(410)을 통해 필터링되면, 필터링된 음향신호는 멀티 플렉서(230)로 입력되고, 멀티 플렉서(230)는 입력된 음향신호가 전극패드(1, n)를 통해 음향이 방사되도록 제어한다.
때문에 광대역의 음원을 주파수별로 분리하고, 분리된 주파수 별 대역에 따른 음향 방사 위치가 변경되므로, 다양한 위치에서 음향이 방사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대역별로 재생 위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에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재생되는 음원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압전 스피커(100)에 포함된 전극패드(1, 6, 11, 16, 21)에서 음향이 방사되어 사운드 빔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도 6(b)는 도 5에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압전 스피커(100)에 포함된 전극패드(1, 7, 11, 15, 21)에서 음향이 방사되어 사운드 빔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렇게 할 경우 음원이 재생되는 동안 해당 주파수에 대응되는 전극패드 그룹에서 음향이 방사되므로, 음원이 재생되는 동안 압전 스피커(100)의 다양한 영역에서 음향이 방사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극패드를 2차원 배열로 형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평면상에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형성할 경우 주파수 대역을 좀 더 세분화하여 다양한 영역에서 음향이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 스피커(100)에 배열되는 전극 패드의 구조를 통해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음향 방사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위치에서만 음향이 방사되었던 기존 스피커와 달리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서 음향이 방사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스피커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스피커 시스템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패드와 스위치간의 연결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적 스위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협대역 통과 필터를 구비한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주파수대역별로 재생 위치를 달리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극패드를 2차원 배열로 형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0)

  1. 압전 박판과,
    상기 압전 박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패드와,
    상기 압전 박판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면패드와,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 및 상기 면패드가 형성된 상기 압전 박판의 상하부면을 덮는 2개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중 음향 재생에 이용될 하나 이상의 전극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와,
    광대역 음원을 주파수대역별로 분리하기 위한 복수개의 협대역 통과 필터
    를 포함하고,
    상기 협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음향 신호들은 주파수대역별로 상기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전극패드의 위치에 따라 재생 위치가 달라지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에 상기 스위치의 신호선이 연결되며 상기 면패드에 접지가 연결되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3. 압전 박판과,
    상기 압전 박판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전극패드와,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가 상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압전 박판의 상하부면을 덮 는 2개의 프레임과,
    상기 압전 박판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중 음향 재생에 이용될 하나 이상의 전극패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를 포함하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에 형성되는 전극패드에 상기 스위치의 신호선이 연결되며 상기 하부면에 형성되는 전극패드에 접지가 연결되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5. 제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통해 음향 재생에 이용될 하나 이상의 전극패드을 선택함으로써 음향 재생 위치의 변경이 가능한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재생 위치의 분해능은 전극 패드간 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7. 제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전극패드를 선택하기 위해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광대역 음원을 주파수대역별로 분리하기 위한 복수개의 협대역 통과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협대역 통과 필터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음향 신호들은 주파수대역별로 상기 스위치를 통해 선택된 전극패드의 위치에 따라 재생 위치가 달라지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9. 제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박판은,
    PZT, PMTPT, PZNPT, PLZT, PVDF, P(VDF-TrFE), BaTiO3, LiNbO3 및 LiTaO3 중 어느 하나의 압전소재로 이루어지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10. 제1 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박판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전극패드는 2차원 배열로 형성되는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KR1020080128859A 2008-12-17 2008-12-17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KR101141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859A KR101141141B1 (ko) 2008-12-17 2008-12-17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859A KR101141141B1 (ko) 2008-12-17 2008-12-17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30A KR20100070230A (ko) 2010-06-25
KR101141141B1 true KR101141141B1 (ko) 2012-05-02

Family

ID=4236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859A KR101141141B1 (ko) 2008-12-17 2008-12-17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6523B2 (en) * 2017-12-13 2019-07-16 Nvf Tech Ltd Distributed mode loudspeaker actuator including patterned electrod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1377A (ja) * 1993-03-30 1994-10-18 Casio Comput Co Ltd 圧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518922A (ja) 2005-12-07 2009-05-07 ティーピーオー ディスプレイ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圧電スピー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1377A (ja) * 1993-03-30 1994-10-18 Casio Comput Co Ltd 圧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518922A (ja) 2005-12-07 2009-05-07 ティーピーオー ディスプレイズ コーポレイション 圧電スピー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30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9838B2 (en) Electrostatic loudspeaker array
JP4802998B2 (ja) 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の駆動制御方法、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これを用いた超音波スピーカ、音声信号再生方法、超指向性音響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AU2016210715B2 (en) Acoustic Diffusion Generator
JP4285537B2 (ja) 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
JP2007259420A (ja) 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の製造方法、超音波スピーカ、音声信号再生方法、超指向性音響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JP2008042869A (ja) 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超音波スピーカ、音声信号再生方法、超指向性音響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US7624839B1 (en) Enclosure for symbiotic active/passive operation of an acoustic driver
JP4289343B2 (ja) スピーカ駆動装置
US7747029B2 (en) Screen for playing audible signals by demodulating ultrasonic signals having the audible signals
WO1998002978A1 (en) Acoustic heterodyne device and method
JP2007189691A (ja) Av再生装置
WO2010034874A1 (en) Dual-mode loudspeaker
CA2995833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late loudspeakers using modal crossover networks
KR101141141B1 (ko) 압전형 스피커 시스템
RU2323550C2 (ru) Низкочаст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я с конфигурируемой направленностью
JP2011259378A (ja) 透明音響壁体
JP2008118247A (ja) 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これを用いた超音波スピーカ、音声信号再生方法、超指向性音響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WO2008050123A1 (en) Loudspeakers
JP4803246B2 (ja) 超音波スピーカ、音声信号再生方法、超指向性音響システム
JP4803245B2 (ja) 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
WO2022020812A1 (en) Full range loudspeaker module for providing scalable loudspeaker systems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beam steering control
JP2008199341A (ja) 静電型トランスデューサ、超音波スピーカ、スピーカ装置、静電型トランスデューサによる音声信号再生方法、指向性音響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Eargle et al. A Survey of Unusual Transducers
JP2012119842A (ja) 平面スピーカ
JP2008199342A (ja) 静電型トランスデューサ、静電型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超音波スピーカ、スピーカ装置、静電型トランスデューサによる音声信号再生方法、指向性音響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