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974B1 -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 Google Patents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974B1
KR101140974B1 KR1020090068104A KR20090068104A KR101140974B1 KR 101140974 B1 KR101140974 B1 KR 101140974B1 KR 1020090068104 A KR1020090068104 A KR 1020090068104A KR 20090068104 A KR20090068104 A KR 20090068104A KR 101140974 B1 KR101140974 B1 KR 101140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se body
holding
mounting hole
gou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505A (ko
Inventor
김정학
지봉기
조성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8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97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13Arc cutting, gouging, scarfing or desurfa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87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우징 작업용 홀더에 관한 것으로 상, 하로 관통된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며, 하부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부가 구비된 베이스 몸체부재와, 상, 하로 전극봉이 관통되어 결합하며 결합된 전극봉을 홀딩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 내에서 상, 하 이동하면서 홀딩된 전극봉을 아래로 이동시키며 전극봉에 전기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과 연결된 전극봉 이동 수단과,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을 이동시키는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가우징 작업 중 전극봉을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을 통해 하부로 점차 이동시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 및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우징 작업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제조하는 제품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Electrode Holder for Gouging Work}
본 발명은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우징 작업 시 전극봉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우징(gouging) 작업은 작업물의 소정 구간을 용융시켜 따내는 작업 또는, 용접작업을 수행한 후 불량하게 용접된 부분 또는 필요 이상으로 용접된 부분의 비드를 녹여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다.
상기한 가우징 작업은 원형의 전극봉을 가우징 작업용 홀더로 홀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용 홀더를 잡고 전극봉의 단부를 불량하게 용접된 부분의 비드 및 과다하게 용접된 부분의 비드에 맞닿아 용융시킨 후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켜 용융된 부분을 불어서 제거하는 작업이다.
그리고 상기 전극봉은 상기 가우징 작업 중에 비드와 접촉되어 비드를 용융시키면서 단부가 소모되어 작업용 홀드의 하부로 돌출된 부분이 점점 짧아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우징 작업 중 작업용 홀드의 하부로 돌출된 부분이 짧아 지면 안전하고, 용이한 가우징 작업을 위해 전극봉의 홀딩 위치를 조정하여 작업용 홀드의 하부로 전극봉을 더 돌출되게 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가우징 작업용 홀더는 작업자가 직접 전극봉을 잡은 상태에서 홀딩된 위치를 재조정해야 하므로 전극봉의 위치 조정 작업으로 인해 가우징 작업이 잠시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극봉의 위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가우징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낮아지고, 전극봉의 위치 조정이 번거로워 전극봉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고 계속 작업 할 경우 작업 위치와 작업자의 손이 근접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위험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우징 작업 중 간단히 전극봉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가우징 작업 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 하로 관통된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며, 하부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부가 구비된 베이스 몸체부재와;
상, 하로 전극봉이 관통되어 결합하며 결합된 전극봉을 홀딩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 내에서 상, 하 이동하면서 홀딩된 전극봉을 아래로 이동시키며 전극봉에 전기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과 연결된 전극봉 이동 수단과;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을 이동시키는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한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은 하부 외측 둘레로 상기 장착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지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장착 구멍 내에서 전극봉을 잡아 홀딩하는 복수의 홀딩부재와;
상기 홀딩부재를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 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전극봉을 잡아 홀딩하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은 홀딩부재의 분할된 몸체가 벌어질 때 전극봉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재를 더 포함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홀딩부재를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게 안내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은 내주면 상단부에 상기 홀딩부재의 상부 외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홀딩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부가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홀딩부재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가압부가 돌출되고 전극봉이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상기 가압부의 상, 하로 뚫려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상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몸체부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레버 몸체부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 몸체부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레버 몸체부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콘부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은 홀딩부재의 분할된 몸체가 벌어질 때 전극봉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레버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전극봉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마찰재를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가우징 작업 중 전극봉을 하부로 점차 이동시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 편의성 및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우징 작업 시간을 줄여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제조하는 제품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전극봉 이동 수단을 베이스 몸체부재에서 분해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인 전극봉 홀딩 수단이 작동되어 전극봉을 점차 아래로 이동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이스 몸체부재(10)는 상, 하로 관통되어 후술될 전극봉 이동 수단(20)이 장착되는 장착 구멍(10a)이 형성된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일 측에 구비되며 작업자가 잡고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손잡이부(12)를 포함한다.
또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의 하부면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부(13)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노즐부(13)로 각각 공기를 공급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고압의 공기를 유로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 수단(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 공급 수단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압의 공기를 저장한 공기 저장 탱크 및 공기 저장 탱크에서 유로로 연결되는 공급관, 공급관의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밸브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고압의 공기를 유로 내로 공급,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에는 후술될 전극봉 이동 수단(20)에 연결되는 전력 공급선(14)이 내장되어 전극봉(1)이 불량하게 용접된 부분의 비드 및 과다하게 용접된 부분의 비드에 맞닿으면 고온의 아크열을 발생시켜 비드를 용융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의 장착 구멍(10a)에는 상, 하로 전극봉(1)이 관통되어 결합하며 결합된 전극봉(1)을 홀딩하고, 상, 하 이동하면서 홀딩된 전극봉(1)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전극봉 이동 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20)은 하부 외측 둘레로 상기 장착 구멍(10a)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지지부(21a)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의 장착 구멍(10a) 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장착 구멍(10a) 내에서 전극봉(1)을 잡아 홀딩하는 복수의 홀딩부재(21)와;
상기 홀딩부재(21)를 베이스 몸체부재(10)의 장착 구멍(10a) 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전극봉(1)을 잡아 홀딩하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20)은 홀딩부재(21)의 분할된 몸체가 벌어질 때 전극봉(1)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재(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부재(23)는 후술될 레버 몸체부(31)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전극봉(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마찰재를 포함한다.
상기 마찰재는 일정 크기 이상의 마찰계수를 가져 전극봉(1)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전극봉(1)이 이동되고,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즉, 일정 크기 이하의 힘이 전극봉(1)에 가해지는 경우에 전극봉(1)을 클램핑하여 정지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다.
상기 마찰재는 합성 고무 또는 마찰계수가 큰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마찰재는 적어도 접촉된 전극봉(1)이 자체 하중에 의해 이동되지 않는 마찰 계수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홀딩부재(21)는 지지부(21a)가 장착 구멍(10a)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극봉(1)을 파지하여 홀딩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21a)의 상단부에는 홀딩부재(21)를 장착 구멍(10a) 내로 삽입되게 안내하는 가이드 경사면(21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의 장착 구멍(10a)은 내주면 상단부에 상기 홀딩부재(21)의 상부 외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홀딩부재(21)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부(10b)가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부재(22)는 일 단이 상기 지지부(21a)의 상단부 상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 가이드부(10b)의 하부면 상에 고정되어 상기 홀딩부재(21)가 후술될 작동부재(30)에 의해 밀려 이동된 상태에서 가압력이 해제되면 홀딩부재(21)를 전극봉(1)을 잡아 홀딩하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상기 홀딩부재(21)의 상단부에는 외측 둘레로 이동 가이드부(10b)의 내부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20)은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에 장착되는 작동부재(30)에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30)는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20)을 이동시키는 작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20)이 상, 하 이동을 통해 전극봉(1)을 아래로 일정 길이만큼씩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작동부재(30)는 상기 홀딩부재(21)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가압부(31a)가 돌출되고 전극봉(1)이 관통되는 관통 구멍(31b)이 상기 가압부(31a)의 상, 하로 뚫려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의 상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몸체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재(30)는 상기 레버 몸체부(31)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 몸체부(31)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 스프링(3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 지지 스프링(32)은 레버 몸체부(31)를 가압하는 가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레버 몸체부(31)를 승강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상기 가압부(31a)의 하부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져 상기 홀딩부재(21)를 벌어지게 하는 콘부(31c)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부(31c)는 상기 홀딩부재(21)의 상부를 가압하며 홀딩부재(21)가 하부로 이동하여 지지부(21a)가 상기 장착 구멍(10a)의 외측으로 인출되면 분할된 복수의 홀딩부재(21)를 내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밀어 벌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 상기 작동부재(30)는 상기 레버 몸체부(31)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33)는 상기 레버 몸체부(31)의 하부면에 돌출되는 가이드 돌기(33a)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10)의 상부면에 형상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33a)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 홈(33b)을 포함한다.
즉, 상기 레버 몸체부(31)는 승하강 시 가이드 돌기(33a)가 가이드 홈(33b) 내에서 결합되어 이동됨으로써 수직 방향으로 원활히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을 사용하여 전극봉(1)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일단 전극봉(1)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 몸체부(31)의 관통 구멍(31b) 및 상기 홀딩부재(21)의 사이로 관통되게 결합하여 복수의 홀딩부재(21)에 의해 잡혀 홀딩된 상태이다.
그리고 작업자가 레버 몸체부(31)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레버 몸체부(31)의 가압부(31a)는 상기 복수의 홀딩부재(21)의 상부를 밀게 된다.
상기 복수의 홀딩부재(21)는 전극봉(1)을 잡아 홀딩한 상태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복수의 홀딩부재(21)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 이동되면서 지지부(21a)가 장착 구멍(10a)의 외부로 빠지게 되면 가압부(31a)의 단부에 형성되는 콘부(31c)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각각 벌어져 전극봉(1)을 홀딩한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극봉(1)은 상기 관통 구멍(31b)의 내주면에 구비된 마찰재의 마찰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 몸체부(31)의 상부를 가압했던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홀딩부재(21)는 스프링부재(22)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면서 다시 상기 지지부(21a)가 장착 구멍(10a) 내로 삽입되고, 지지부(21a)가 삽입되면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전극봉(1)을 잡아 홀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홀딩부재(21)는 지지부(21a)가 장착 구멍(10a) 내로 삽입될 때 가이드 경사면(21b)을 타고 원활하게 이동되며, 상단부가 경사면을 타고 장착 구멍(10a) 내에 돌설된 이동 가이드부(10b) 내로 원활히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한 작동을 반복하여 가우징 작업 중 작업자가 용이하게 전극봉(1)의 돌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극봉(1)은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 몸체부(31)를 가압하여 분할된 복수의 홀딩부재(21) 사이를 벌린 후 상기 레버 몸체부(31)의 관통 구멍(31b) 및 상기 홀딩부재(21)의 사이로 관통되게 결합하고 레버 몸체부(31)의 가압력을 해제하여 최초 홀딩시키며, 최초 홀딩된 상태에서 가우징 작업 중 전극봉(1)이 마모되어 닳을 경우 작업자가 레버 몸체부(31)를 누르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전극봉(1)의 길이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전극봉 10 : 베이스 몸체부재
20 : 전극봉 이동 수단 21 : 홀딩부재
22 : 스프링부재 23 : 클램핑부재
30 : 작동부재 31 : 레버 몸체부
32 : 레버 지지 스프링 33 : 가이드부

Claims (10)

  1. 삭제
  2. 상, 하로 관통된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일 측에 손잡이부가 구비되며, 하부면에 공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부가 구비된 베이스 몸체부재와;
    상, 하로 전극봉이 관통되어 결합하며 결합된 전극봉을 홀딩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 내에서 상, 하 이동하면서 홀딩된 전극봉을 아래로 이동시키며 전극봉에 전기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선과 연결된 전극봉 이동 수단과;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을 이동시키는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은 하부 외측 둘레로 상기 장착 구멍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지지부가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 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장착 구멍 내에서 전극봉을 잡아 홀딩하는 복수의 홀딩부재와;
    상기 홀딩부재를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 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전극봉을 잡아 홀딩하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은 홀딩부재의 분할된 몸체가 벌어질 때 전극봉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홀딩부재를 장착 구멍 내로 삽입되게 안내하는 가이드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장착 구멍은 내주면 상단부에 상기 홀딩부재의 상부 외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홀딩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가이드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홀딩부재의 상단부에 접촉되는 가압부가 돌출되고 전극봉이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상기 가압부의 상, 하로 뚫려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의 상부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 몸체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레버 몸체부와 상기 베이스 몸체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 몸체부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레버 몸체부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홀더.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는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홀더.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 이동 수단은 홀딩부재의 분할된 몸체가 벌어질 때 전극봉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재는 상기 레버 몸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전극봉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마찰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우징 작업용 홀더.
KR1020090068104A 2009-07-24 2009-07-24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KR101140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04A KR101140974B1 (ko) 2009-07-24 2009-07-24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104A KR101140974B1 (ko) 2009-07-24 2009-07-24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05A KR20110010505A (ko) 2011-02-01
KR101140974B1 true KR101140974B1 (ko) 2012-05-03

Family

ID=4377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104A KR101140974B1 (ko) 2009-07-24 2009-07-24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9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144B1 (ko) * 1991-04-10 1994-07-08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조출용기
JP2007167889A (ja) * 2005-12-21 2007-07-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ウジング用ホル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144B1 (ko) * 1991-04-10 1994-07-08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봉상물조출용기
JP2007167889A (ja) * 2005-12-21 2007-07-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ガウジング用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05A (ko)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8559B2 (en) Automatic wire threader for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20090026469A (ko) 연속 용접이 가능한 스터드 건
KR101140974B1 (ko) 가우징 작업용 전극봉 홀더
KR20120085440A (ko) 열풍 융착용 융착툴
KR101084575B1 (ko) 자동 용접장치
KR20110098357A (ko) 파이프용 고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6215293A (ja) クランプ装置
JPH0938780A (ja) スポット溶接機
JP2008044175A (ja) 金型装置
CN110280952B (zh) 一种多工位焊接夹具
JP5645180B1 (ja) エアーガウジング工具
KR101553217B1 (ko) 스터드볼트 용접장치
KR102030579B1 (ko) 티그 용접 토치장치
TWI806911B (zh) 焊槍和焊接方法
KR20120118185A (ko) 안전한 이송 기능을 가지는 용접용 와이어피더 이송지그
KR200441142Y1 (ko) 자동 점화 방식 토치
CN211542424U (zh) 一种热铆机治具
KR200482239Y1 (ko) 용접 토치
KR200472085Y1 (ko) 클램프 타입 고속절단장비 고정장치
JP6550619B2 (ja) 溶接ボルトの供給装置
JP7351528B2 (ja) 吸着式スタッド溶接装置
KR20160142108A (ko) 씰링 처리된 실란트용 카트리지 및 그 씰링 장치
JP2004276104A (ja) スタッド溶接ガン用チャック、及びスタッド溶接ガン
JP7295182B2 (ja) 配管ろう付け装置
KR101988288B1 (ko) 전극봉 홀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