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767B1 - 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 Google Patents

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767B1
KR101140767B1 KR1020090046505A KR20090046505A KR101140767B1 KR 101140767 B1 KR101140767 B1 KR 101140767B1 KR 1020090046505 A KR1020090046505 A KR 1020090046505A KR 20090046505 A KR20090046505 A KR 20090046505A KR 101140767 B1 KR101140767 B1 KR 101140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hangul
key
vowels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6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8065A (en
Inventor
정수현
Original Assignee
정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현 filed Critical 정수현
Priority to KR1020090046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767B1/en
Publication of KR2010012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0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7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을 기반으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외국어 발음을 현 한글에서 사라진 ㆍ(아래아), ㆆ(여린히읗), ㅿ(삼각), ㅇ(꼭지이응)에 4가지 기호를 활용하여 더욱 명확히 구분하여 적을 수 있는 외국어의 한글 문자표기 구성 및 한글을 통한 자국어 입력 장치로, 외국어 발음을 더욱 명확히 표기 및 자음과 모음을 가장 바람직한 한글로 표기하며, 자국어 표기 문자로서의 휴대폰, PDA, 두 벌식 표준자판 및 모든 한글 입력기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이용하여, 자국어 표기를 누구나 적은 노력으로 손쉽게 사용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이용한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과 그에 따른 입력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by using the four symbols in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that can not be written in Korean based on the Hangul ㆍ (Bahah), ㆆ (여 여 여,), 삼 (triangle), ㅇ (Kim yi-eun) disappeared from the current Hangul. It is a Korean character input device that can be written separately and native language input device through Hangul.It makes it possible to express foreign pronunciation more clearly and to display consonants and vowels as the most desirable Korean characters. And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in all Hangul input methods, and extended Hangul consonants using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which can be easily used and inputted by anyone with little effort, and a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accordingly.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현 한글 표기법으로는 발음할 수 없는 영어를 포함한 기타 외국어의 대부분을 발음을 확장형 한글로 쓸 수 있으며, 모든 입력 장치를 통해 자국어 문자를 표기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in the extended Hangul as most of other foreign languages including English that can not be pronounced in the current Hangul not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ark the native language characters through all input devices.

한글, 확장, 입력장치 Hangul, extension, input device

Description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an input device and a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글로 정확히 표기할 수 없는 외국어 발음을, 현재의 한글에서 사라진 ㆍ(아래아), ㆆ(여린 히읗), ㅿ(삼각), ㅇ(꼭지이응)에 4가지 기호를 응용하여, 더욱 명확히 발음을 표기할 수 있게 구성한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두 벌식 표준자판 및 모든 한글 입력기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이용하여, 자국어 표기를 누구나 적은 노력으로 손쉽게 사용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이용한 문자표기와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more detail, four symbols are applied to the foreign pronunciations that cannot be written correctly in Hangeul: ((Bahah), 여 (린), ㅿ (삼), (() By using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on a mobile phone, a PDA, a double-bulk standard keyboard, and all Hangul input metho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configured to express pronunciation more cle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tter notation and input device using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that can be easily used and inputted.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04-0095388(공개일자 2004년11월15일)에 공개한, "한글 자모를 이용한 다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살펴 보면, 한글의 14개의 단자음(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5개의 쌍자음(ㄲ,ㄸ,ㅃ,ㅆ,ㅉ), 10 개의 기본모음(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 11개의 결합모음(ㅐ,ㅒ,ㅔ,ㅖ,ㅚ,ㅘ,ㅙ,ㅟ,ㅝ,ㅞ,ㅢ), 아래아(?) 그리고 구분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부, 영어단어목록부와, 한자단어목록부, 중국어단어목록부, 일본어 단어목록부 및 특수문자목록부를 구비하여 대응되는 단어를 출력하는 다문자 단어목록부 상기 키버튼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의 입력모드를 판별한 뒤 그에 대응되는 문자를 상기 다문자 단어목록부에서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한글자모로 이루어진 한 가지 자판만을 이용하여 한글, 영어, 한자, 중국어, 일본어,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발명임을 명시하고 있으며,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08-0047677(공개일자 2008년05월30일)에는, "중국어 표기문자로서의 한글 입력장치 및 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 아래의 주요 내용으로 공개되어 있다As a related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95388 (published November 15, 2004), "A technique relating to a multi-character input device using a Hangul alphabet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If you look at the contents, you can see 14 pronouns (ㄱ, ,, ,, ,, ㅂ, ㅅ, ㅇ, ,, ㅋ, ㅌ, ,, ㅎ) and 5 consonants (ㄲ) , ㄸ, ㅃ, ㅆ, ㅉ), 10 basic vowels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ㅡ, ㅣ), 11 combined vowels (ㅐ, ㅒ, ㅔ, ㅖ, ㅚ) , 부, ㅙ, ㅟ, ㅝ, ㅞ, ㅢ), a key input unit that can enter a lower (?) And delimiter (^), English word list, Chinese word list, Chinese word list, Japanese word A multi-character word list unit having a list unit and a special character list unit to output a corresponding word, and after determining the input mode of the character input by the key button signal, searching for the corresponding character in the multi-character word list unit Input door Including the central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characters, it is an invention that can input the Hangul, English, Chinese, Chinese, Japanese, special characters using only one keyboard composed of Hangul alphabet, and also, Korea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47677 (published May 30, 2008), a description of "Hangul input device as a Chinese character and its input method"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main content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1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1

상기한 종래 공개 자료에 공개된 기술에 대하여, 한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 면, 영어 발음에서 Play(플레이), Phone(폰)으로 전자는 영어식 발음 "p"로써 한글에 “ㅍ” 발음을 그대로 사용하고, 후자는 한글로 표기로 P+H=PH(f) "f"발음을 자음을 2번 사용하여 문자를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다른 자음에 경우 th, sh, z, v, r 등 역시 자음을 상하, 좌우로 병합하여 문자 표기를 하였다. As an example,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ly disclosed material is described in the English pronunciation, Play (Play), Phone (phone), the former is the English pronunciation "p" pronunciation "ㅍ" in Korean The latter was used as it is, and the latter was used to distinguish the letters using P + H = PH (f) "f" pronouns twice. In addition, in the case of other consonants, th, sh, z, v, r, etc. were also concatenated up, down, left, and right.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자음을 2번씩 써서, 우리에게 없는 발음을 만들어 내지만 글자 자체가 너무나 복잡해지고 또 표기 방법으로 보안할 문제점이 많이 있다.However, this conventional method, by using two consonants to create a pronunciation we do not have, but the letter itself is too complicated and there are a lot of problems to secure as a notation metho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발명으로, 특히 영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를 기초로 한 각국의 언어적 장점들을, 현재 한글에서는 사라진 한글 기호를 적용하여 활용함으로써 확장형 한글로 자국어를 표기할 수 있는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can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by utilizing the language advantages of each country based on the English, Chinese, Japanese, Korean, by applying the Hangul symbols disappeared in the current Hangul to expandable Hangu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native language and an inpu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외국어 발음을, 현 한글에서 사라진 ㆍ(아래아), ㆆ(여린히읗), ㅿ(삼각), ㅇ(꼭지이응), 이 4가지 기호를 활용하여, 더욱 명확히 구분하여 적을 수 있는 외국어의 한글 문자표기 구성 및 한글을 통한 자국어 입력 장치로, 외국어 발음을 더욱 명확히 표기 및 자음과 모음을 가장 바람직한 한글로 표기하며, 자국어 표기 문자로서의 휴대폰, PDA, 두 벌식 표준자판 및 모든 한글 입력기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이용하여, 자국어 표기를 누구나 적은 노력으로 손쉽게 사용하고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이용한 문자표기와 입력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pronunciations that cannot be written in Korean are distinguished more clearly by using the four symbols which are disappeared from the current Hangul: ((Bahah), ㆆ (여), ㅿ (삼), ㅇ (꼭). It is a Korean alphabet input notation and a native language input device through Hangul.It can clearly express foreign pronunciation and consonants and vowels as the most desirable Korean charact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tter notation and input device using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and to a method thereof, by using Hangeul consonants and vowels in all Hangul input methods, so that anyone can easily use and input their own languag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현 한글 표기법으로는 발음할 수 없는 영어를 포함한 기타 외국어의 대부분을 발음을 본 발명에 따라 확장형 한글로 쓸 수 있으며 모든 입력 장치를 통해 자국어 문자를 표기 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in the extended Hangu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st of the other foreign language, including English that can not be pronounced in the current Hangul notation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able to mark the native language characters through any input device.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초성은,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2
으로 15개 자음으로, 중성은 “ㆍ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 15개 모음으로 하며, 종성은 현재의 한글과 같이 초성의 기호를 가지고 구성한다.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2
With 15 consonants, Neutral is composed of 15 vowels,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

여기서 한글과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라진 4가지 기호를 활용하여 표기하는 글을 이하에서는 "누릿글"로 그 명칭을 정한다.Here, the words written using the four missing symbols to explain them separately from Hangul will be named as "Nurigle".

특히 사라진 4가지 기호의 쓰임은 한글의 자음에 “ㅈ, ㅊ” 으로 확장이 되듯 “ㅊ”에서 “ ㆍ (가획점)”을 “ㆍ(아래아)” 처럼 하나의 모음 글자로 이름을 “?(天)” 이라 명명하며 아래와 같이 적용한다. In particular, the disappearance of the four symbols used in Korean consonants expands into “vo,” and “vowels” in “vo” as a single vowel character such as “· (bottom)”.天) ”and the following applie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3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3

상기한 (2), (4)의 기본 자음 배열에, 하나의 모음 형태로 ㆍ(아래아) 기호를 추가시켜 기본 한글 형태를 유지하면서 확장글자를 만들며, 그에 따르는 발음은 영어식 발음 “h”를 결합시켜 더욱 거센 발음을 만들어, 표 (1)및 (5)의 표기에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합성되는 글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To the basic consonant arrays of (2) and (4) above, by adding a (bottom) symbol in one vowel form to create extended letters while maintaining the basic Hangeul form, the pronunciation of the English pronunciation “h” Combined to make a stronger pronunci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letters are synthesized,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the notation of Tables (1) and (5),

"ㅿ(삼각)”은 “ㅅ, ㅈ, ㅊ”의 형태로,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4
로 초성글자의 확장 글자를 만들고 “ㅇ,ㅁ”과 같이 입모양을 본뜬 음을 적용하고 “ㅅ” 계열과 같은 확장법으로 영어식 발음을 추가한다. 종성에 쓰일 땐 중국어 “치두음, 정치음”을 쓸 수 있게 하고, “Triangle” is in the form of “ㅅ, ㅈ, ㅊ”,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4
Make an extended letter of the initial letter and apply the sound of the mouth shape like “ㅇ, ㅁ” and add English pronunciation with the expansion method like “ㅅ” series. When used in Jongsung, it is possible to use Chinese “Cee Chi, political sound”

“ㆆ(여린히읗)” 은 초성에 쓰일 때는 이중 모음을 모두 분리시키고, 종성에 쓰일 때는 모든 자음의 쌍자음 소리를 적용한다.“ㆆ (여)” separates all the double vowels when used in the first constellation, and applies the consonant sounds of all consonants when used in the final constellation.

“ㆁ(꼭지이응)”은 “ㅇ(이응)”의 한글 종성에 쓰이고 있으며, 이러한 쓰 임새를 이용하여 “ㅿ,ㆆ” 초성과 종성에 적용 및 활용한다“ㆁ (꼭) is used for the Hangul Jongjong of“ ㅇ (이응) ”, and it is used and applied to“ ㅿ, ㆆ ”transcendental and Jongseong using this usage.

상기한 특징 및 구성에 대하여 이하에서 추가로 상술한다. The above features and configurations will be further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한글의 자음이 "ㅈ.ㅊ" 으로 확장이 되듯이, ㅈ 위에의 ㆍ(가획점)을 "ㆍ(아래아)" 처럼 하나의 모음 글자로 이름을 "天""이라 명명하며, 아래와 같이 적용한다The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s the Hangul consonants are extended to "ㅈ. ㅊ", the name (天) is named "天" "as a single vowel character such as". " Name it and apply as follow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5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6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5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6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7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8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7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8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9
Figure 112009031968213-pat00009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0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1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0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1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2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3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2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3

(2)와 (3)의 자음 배열을 만들고, (2),(3) 열 중의 자음 위에 "ㆍ"을 부가하 여 (1)과 (4)의 자음 열을 만들어, (2),(3)열의 발음은 (2)', (3)' 영문 발음 표기로 발음될때, (1),(4) 자음열의 발음은 (2)',(3)' 열의 발음에서 "h"가 더해진 형태인 (1)' 및 (4)' 의 발음이 되게 구성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ㅅ, ㅈ, ㅊ”의 변화 형태와 같이,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4
로 순차 변화되는 초성 확장 글자를 만들어, 이 확장 글자를, Make a consonant array of (2) and (3), add "..." to the consonants in columns (2) and (3), and make the consonant rows of (1) and (4), and (2), (3 ) The pronunciation of the column is pronounced in English (2) ', (3)' and the pronunciation of the pronunciation of (1), (4) is the form of the pronunciation of the column (2) ', (3)' plus "h". (1) 'and (4)', which are configured to be pronounced, and as in the form of change of "ㅅ, ㅈ, ㅊ",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4
I make the initial expansion letter changing sequentially, and this expansion letter,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5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5

상기 (6)열과 같이 ㅅ,ㅈ,ㅊ이 좌로 늘어지는 치두음(치음)과, 우로 늘어지는 정치음(반전음)의 초성에, "ㅿ"이 종성으로 부가되어 (7) 열과 같이 표기하여, 그 (7)열의 발음은 확장형 한글에 적용한 것이다As shown in column (6), "ㅿ" is added as a finality to the initial constellation of zi, zi, and zirc The pronunciation of column (7) is applied to extended Hangul.

상기 (7) 열과 같이,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6
의 종성에 부가되어 쌍자음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6)열의 발음에서 “ㆆ(여린히읗)”이 조합된 발음이 나오도록 하여, 한글에서는 발음할 수 없는 중국어 발음을 한글로 표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ㆆ(여린히읗)”은 “ㅇ”,“ㅎ”의 중간 단계로, 한글의 복모음 및 복자음을 분리하는데 사용하며, 음가는 이중모음 및 이중자음의 중간 소리이며, 한글의 초성발음에 쓰일때에는 "ㆍ(아)" 발음을 부가하여 발음(예:“화”-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7
)하며, 종성에 쓰일 때는 짧고 촉박한 된소리가 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ㅿ은 치두음과 정치음의 종성으로 사용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in (7) abov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6
In the case of double consonants in addition to the final consonant of (6), the pronunciation of “ㆆ (여 읗 에서)” comes out in the pronunciation in column (6), so that Chinese pronunciations that cannot be pronounced in Korean can be written in Korean. "ㆆ" is the middle stage of "ㅇ" and "ㅎ", and it is used to separate the Korean vowels and Bokja consonants. The note value is the middle sound of double vowels and double consonants. When used in pronunciation, the pronunciation of "・ (아)" is added to the pronunciation (eg "Hwa"-)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7
When used in the finality, it is characterized by a short, squeaking sound, an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used as the finality of Chidu and political sound.

또한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의 주요 구성은, 초성은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8
15개의 자음으로, 중성은 “ㆍ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15개의 모음으로 구성하고, 종성은 현재의 한글과 같이 초성의 기호를 가지고 구성하되, 입력장치 문자 배열를 손쉽게 암기하기 위해, In addition,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using the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Cho Seong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8
With 15 consonants, Jung-Sung is composed of 15 vowels. “Jung Sung” consists of 15 vowels. To memorize easily,

ㅈ, ㅅ, ㅋ, ㄱ, ㅁ, ㆍ, ㅐ, ㅒ, ㅔ, ㅖㅈ, ㅅ, ㅋ, ㄱ, ㅁ, ㆍ, ㅐ, ㅒ, ㅔ, ㅖ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9
ㅿ, ㄹ, ㄴ, ㅂ, ㅣ, ㅏ, ㅑ, ㅓ, ㅕ
Figure 112009031968213-pat00019
ㅿ, ㄹ, ㄴ, ㅂ, ㅣ, ㅏ, ㅑ, ㅓ, ㅕ

ㆆ, ㅇ, ㅌ, ㄷ, ㅍ, ㅡ, ㅗ, ㅛ, ㅜ, ㅠ   ㆆ, ㅇ, ㅌ, ㄷ, ,, ㅡ, ㅗ, ㅛ, ㅜ, ㅠ

로 키보드가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기본 자음과 모음에 가획을 이루어진 글자는 가로로 배치하고 “ㅁ, ㅂ, ㅍ” 와 모음의 기초가 되는 "?", "ㅣ"," ㅡ”은 세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로,세로 3*4의 12개의 문자입력키를 갖춘 핸드폰단말기에서는, 문자 입력키에는 숫자 1,2,3,4,5,6,7,8,9,0,*, # 가 표시된 12개의 입력키이며, 각 해당 키에서, 1 = ㅡ, 2 = ㆍ, 3 = ㅣ, 4 = ı , 5 = ㅡ, 6 = -, 7 = ㄱ, 8 = ㄴ, 9 = ㄹ, * = ㅇ, 0 = ㅅ, # = ㅁ 으로 1:1 대응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1 과 4 번 입력키의 조합시 4번 입력키가 세로긋기를 행하여 ㅗ,ㅛ,ㅜ,ㅠ,ㅍ 의 모음을 만들어 내도록 하고, 3 과 6 번 입력키의 조합시 6번 키의 가로 긋기 입력이 행하여져, ㅏ,ㅑ,ㅓ,ㅕ,ㅐ,ㅒ,ㅔ,ㅖ, ㅂ 모음과 자음을 만들어지도록 하고, 2,5,7,8,9,0,*,#로는,

Figure 112011002300102-pat00020
을 만들어 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휴대용 단말기 숫자 5(ㅡ)에 쓰이는 자음 가획키가, ㄱ,ㅅ이 받침이 되고 다음 글자가 연이어서 가획키를 누르게 되는 자음인,
Figure 112011002300102-pat00021
이 올 경우 글자 조합이 엉키므로, 화살표키를 추가로 부여하여, 이 화살표키를 누르면 자음의 가획이 구분되어 표기 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한 입력장치에는 중국어, 일어, 영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로 이루어지는 외국어 모드 변환키를 설치하여, 이 변환키를 누른 후, 그 해당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입력할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출력은 그 해당 외국어 언어로 디스플레이 및 출력되게 구성한 것읕 특징으로 한다.The keyboard is composed of letters, and the basic consonants and vowels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ㅁ, ㅂ, ッ” and “?”, “ㅣ”, ”ㅡ”, which are the basis of vowels, are arranged vertically. Characterized in that, in a mobile phone terminal having 12, 3 * 4 character input keys, the character input keys, the numbers 1,2,3,4,5,6,7,8,9,0, *, There are 12 input keys marked with #, in each corresponding key: 1 = ㅡ, 2 = ㆍ, 3 = ㅣ, 4 = ı, 5 = ㅡ, 6 =-, 7 = a, 8 = b, 9 = ㄹ, * = ㅇ, 0 = ㅅ, # = ㅁ characterized in that the 1 to 4 correspondence, and when the combination of the 1 and 4 input keys described above, the 4th input key performs a vertical stroke ㅗ, ㅛ, TT, ㅠ When the combination of input key 3 and 6 is made, the horizontal keying of key 6 is performed to make the vowels and consonants ㅏ, ㅑ, ㅓ, ㅕ, ㅐ, ㅒ, ㅔ, ㅖ, ㅔ 2,5,7,8,9,0, *, #,
Figure 112011002300102-pat0002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reate, and the consonant stroke keys used in the mobile terminal number 5 (ㅡ), a, ㅅ is supported and the next letter is a consonant to press the stroke key,
Figure 112011002300102-pat00021
In this case, since the letter combination is tangled, an arrow key is additionally added, and when the arrow key is pressed, a consonant is distinguished and displayed. The input device includes any one of Chinese, Japanese, and English. If you install a foreign language mode conversion key consisting of a language and press the conversion key and input the pronunciation of the foreign language into Korean, the display and output displayed on the screen are configured to be displayed and output in the foreign language. do.

이를 이용한 입력 방법은, 외국어 변환모드를 갖춘 키보드에서, 외국어 변환모드의 키를 누르는 단계;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타이핑하여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한글 정보를 퍼스널 컴퓨터의 데이타 베이스에서 한글발음에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검색하는 단계; 한글 발음에 해당하는 검색된 외국어를, 변환장치를 통하여 해당 외국어로 변환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자음 위에 "ㆍ"이 있는 자음은, "ㆍ" 입력키를 사용하여 "ㆍ" 키 + 해당 자음키를 누르며, ㅎ 이 있는 자음의 경우, "ㆍ" 키 + ㆆ키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put method using the same may include pressing a key of a foreign language conversion mode on a keyboard having a foreign language conversion mode;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into Korean; Searching for a foreign language word corresponding to a Korean pronunciation in a database of the personal computer with the inputted Hangul information; And converting the searched foreign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Hangul pronunciation into the corresponding foreign language through a converter, and displaying the displayed foreign language on the screen. Press the "•" key + the corresponding consonant key, and in the case of consonants with ㅎ, press the "·" key + ㆆ key.

본 발명에 의한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에 의하면, 전세계의 모든 언어의 발 음을 한글로 자유롭게 표기 가능하고, 또한, 한글로 외국어 발음을 입력하여, 영어, 일어, 중국어 등의 모든 외국어 해당 글자가 화면에 표기 가능하여 굳이 해당 외국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nunciations of all languages of the world can be freely expressed in Hangul, and by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in Hangul, all the corresponding letters of English, Japanese, Chinese, etc.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very convenient because you don't have to type the foreign language.

또한 한글 자판에 이중으로 표기된 영문 등의 외국어 자판의 배열을 익힐 필요도 없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learn the arrangement of foreign language keyboards such as English, which are written twice in Korean keyboards.

또한 하나의 자판기로 여러 해당 국가의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xpressed in the languages of several countries with one vending machine.

이로 인해 결론적으로 한글을 더욱 진보 발전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As a result, it is concluded that this will be a groundbreaking moment for further development of Hangeul.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추가로 상술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한글에서 사라진 4가지 기호를 활용한 문자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이고, 도면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음의 기본 발음적용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면 3 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본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음의 발음기호를 나타낸다1 is a view showing a character configuration using the four symbols disappeared in Hangul, Figure 2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application of the basic pronunciation of conson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pronunciation symbols of the vow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중국어에 사용되는 영어식 발음기호를 표기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일본어에 대한 발음 적용 예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의 구성예이고, 도 8 은 휴대폰의 입력키 구성예이며, 도 9 는 한글 입력에 의해 외국어 표기가 가능토록 구성한 것에 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 view for writing an English phonetic sign used in Chines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pronunciation application for Japane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figuration of the input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ample of an input key configuration of a mobile phone, and FIG.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foreign language by Korean input.

본 발명은 지금까지 한글에서 사라진 4가지 기호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한국어와 영어, 중국어, 일본어 표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four symbols that have disappeared so far in Korean, and enables Korean,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notation using these symbols.

즉, 현재의 한글에서 사라진 4가지의 글자 “ㆁ(꼭지이응), ㅿ(삼각), ㆆ(여린히읗), ㆍ(아래아)”를 복원하여, 외국어 발음을 분리하여 적을 수 있게 하여 현재의 한글로는 표기 불가능한 외국어 발음을 표기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four letters that disappeared from the current Hangul (꼭 (꼭), ㅿ (samgak), ㆆ (Jerinhe (), ㆍ (Bahah) are restored, so that the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s can be separated and written down. It is possible to write pronunciation of a foreign language that cannot be written.

본 발명에 따른 아래 자음 구성을 참고로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nsonant configu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2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2

상기와 같은 자음 배열의 구성은, 현재 쓰이는 기본 글자인 (2), (4)에서, 훈민정음 창제의 기본 원칙에 따라, 1획씩 추가하여 생성하였다. 즉 (1)과 (5)의 가로 열은 추가된 문자로, 그의 변화는 “ㅈ”에서 “ㅊ”로 변화되는 과정을 착안하여, 점을 “ㆍ(아래아)” 처럼 하나의 모음 기호로 사용하였으며,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3
는 “ ㅅ”에서 “ㅈ”로 변화하는 과정과 같이 “ㅿ”에서 1획씩 더하여 만든 문자이다.The arrangement of the consonant array as described above was generated by adding one stroke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rinciple of Hunminjeongeum creation in (2) and (4), which are currently used basic letters. 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columns of (1) and (5) are additional characters, and the change is changed from “ㅈ” to “Z”, and the dot is used as a vowel symbol as “· (bottom)”. And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3
Is a letter made by adding one stroke from “ㅿ” as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 to “”.

사라진 글자 위치를 찾기 위한 문자 배열과정을 아래에서 살펴 본다.See below for the sequence of characters to find missing characters.

기본 자음 14개는 다음과 같다14 basic consonants are: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ㄱ ㄴ ㄷ ㄹ ㅁ ㅂ ㅇ ㅋ ㅋ ㅋ ㅋ ㅋ

상기 가로 배열을 비슷한 글자끼리 다른 열로 1차 배열을 하면 아래와 같다. When the horizontal arrangement is a first order of similar letters in different columns as follows.

ㄱ ㄴ ㅁ ㅅ ㅇㄱ ㄴ ㅁ ㅅ ㅇ

ㅋ ㄷ ㅂ ㅈ ㅎㅋ ㄷ ㅂ ㅎㅎ

ㅌ ㅍ ㅊ   ㅌ ㅊ

   D

상기 배열을 2차로 ㅅ, ㅈ, ㅊ 형태를 기준으로 비슷한 모양끼리 재배열하면 아래와 같다.If the arrangement is rearranged similarly on the basis of the second, γ, ㅅ form as follows.

ㄱ ㄴ ㄷ ㅁ ㅅ ㅇㄱ ㄴ ㄷ ㅁ ㅅ ㅇ

         ㅂ

ㅋ ㄹ ㅌ ㅍ ㅈㅋ ㄹ ㅌ ㅈ

ㅊ ㅎ            ㅎㅎ

그리고 사라진 자음을 비슷한 글자 위치에 자음 3자를 배열하면 아래와 같다. Then, if the consonant disappears, the three consonants are arranged in a similar letter position.

                  ㆁ

ㄱ ㄴ ㄷ ㅁ ㅅ ㅿ ㅇㄱ ㄴ ㄷ ㅁ ㅅ ㅿ ㅇ

         ㅂ

ㅋ ㄹ ㅌ ㅍ ㅈ ㆆ ㅋ ㄹ ㅌ ㄴ ㅈ ㆆ

ㅊ ㅎ            ㅎㅎ

배열은 가획 원리에 맞게 배열하였고, 위 배열에서 3 글자는 사라진 자음이다. 그럼, 이하에서 새로운 글자의 생성 과정을 살펴 본다.The arrangement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grasp principle, and the three letters in the arrangement are missing consonants. Then, the process of generating a new letter is described below.

"ㅈ”에서 “ㅊ”으로 변화하는 것을 참조하여, 각 확장형 글자을 만들기 위해 획을 추가한다. 또한 ㅿ(삼각)에 확장형 글자는 “ㅅ”에서 “ㅈ”형태를 참조하여 확장형 글자를 만든다.Add a stroke to make each expandable letter, referring to the change from "" to "". Also, the extended letter in ㅿ (triangle) refers to the form of the letter "z" in the form of "ㅅ".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4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4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5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5

배열을 맞추기 위해 “ㆁ”(꼭지이응) 모양이 변화되는 과정의 배열에 따라 1획씩 추가하여 새 글자를 생성하였다. 현재의 한글로는 표기 못하는 발음 기호를 활용함과 동시에 최적에 음가만을 선택 하기위해 최종 나열하여 본다.In order to fit the array, a new letter was created by adding one strok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hape of “ㆁ”. At the same time, the phonetic symbols that cannot be written in Korean are used, and the final list is selected to select only the best phonetic valu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6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6

그럼, 새 글자 발음기호 생성과정 및 그 쓰임새를 아래에서 살펴본다.Then, the process of generating a new letter pronunciation symbol and its use will be described below.

고어 한글인 "ㆍ"(아래아) 기호를 모음으로 활용함과 같이, 하나의 모음 글자로 처리한 확장형 글자의 발음은 기존에 쓰이는 기본 발음에 영어식 발음 [h](ㅎ)을 더해 기본 소리를 만들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As with the vowel of the Korean alphabet "·" (Bahah) as a vowel, the pronunciation of an extended letter processed as a vowel character adds an English pronunciation [h] (ㅎ) to the existing basic pronunciation. made. For example:

p + h = ph[f] t + h = th[θ]p + h = ph [f] t + h = th [θ]

ㅍ + ㅎ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7
ㅌ + ㅎ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8
ㄴ + ㅎ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7
ㅌ + ㅎ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8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9
은 기본 확장형 한글에서 한단계 더 강한 소리를 내기위해 “ㅅ”계열로 거센 소리를 내고,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0
은 처음 기준이 되는 소리에서 확장 되므로 “ㅂ”계열로 더욱 뭉퉁한 베이스 음에 가까운 소리를 낸다.
Figure 112009031968213-pat00029
In order to make the sound stronger in the basic extended Hangul, “S” sounds loud,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0
Extends from the original reference sound, so the “ㅂ” series produces a more bold bass sound.

"ㅿ(삼각)”은 ㅇ,ㅁ 과 같이 입모양을 본떠서 음가를 만들었으며, 우리에게 없는 영어식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1
” 기호와 같은 소리를 적용한다."Triangle" made the phonetic sound after the shape of mouth like ㅇ, ㅁ,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1
Apply the same sound as the symbol.

또한, “ㅅ”,“ㅈ”,“ㅊ”의 가획 원리와 같이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2
로 확장 문자를 만들며, 그 소리도 역시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3
와 같은 우리에게 없는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4
처럼 초성에 적용한다.Also, as with the capturing principles of “ㅅ”, “ㅈ”, and “ㅊ”,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2
To expand the characters, and the sound too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3
Not like u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4
Apply to initiality as

“ㅿ” 글자를 한글 종성에 적용하였을 경우, 현재 우리나라에 없는 중국어 소리인 치두음 “ㅅ,ㅈ,ㅊ” (좌로 긋는 빗금이 좌로 늘어지는 형태)을, 아래의 (7)에서 보듯이, 초성 “ㅅ,ㅈ,ㅊ”의 종성에 적용하며, When the word “ㅿ” is applied to the end of Hangeul, Chiduum “ㅅ, ㅈ, ㅊ”, which is not present in Korea, is shown in (7) below. Applies to the finality of “ㅅ, ㅈ, ㅊ”,

정치음 “ㅅ,ㅈ,ㅊ”((6)의 우측에 빗금 선이 우측으로 늘어지는 글자)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5
의 종성에 적용하여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The stationary sound “ㅅ, ㅈ, ㅊ” (letters with a dashed line to the right of (6))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5
Applied to the finality of and used as follow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6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6

상기한 (6)은 옛 훈민정음에서 쓰이는 치두음, 정치음으로 쓰였던 것을 (7) 처럼 확장형 한글에 적용한 것이다. 상기 (7) 열과 같이,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7
이 종성에 부가되어 쌍자음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6)의 열의 발음에서 “ㆆ(여린히 읗)”이 조합된 발음이 나오도록 한다The above (6) is applied to the extended Hangul as used in (7) that was used as Chiduum and Political in Hunminjeongeum. As in (7) abov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7
In the case of double consonants in addition to this finality, the pronunciation of “ㆆ (ㆆ)” is produced in the pronunciation of column (6).

단, “ㆆ”의 경우 영어식 발음 “wa”는 한글로 “와”로 쓰이는데, 이것을 확장형 한글 조합법칙을 이용한다면,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8
로 쓰는데, 정확히 말하면 “ㆆ”은 "W" 발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더 세분화 된 발음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선, 표기할 발음이 없어 "W"로 대치한다.However, in the case of “영어”, the English pronunciation “wa” is used as “wa” in Korean. If you use this extended Hangul combination law,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8
In other words, "ㆆ" does not have a "W" pronunciation, but rather a more granular pronunciation. However, first of all, there is no pronunciation to replace it with "W".

“ㆆ(여린히읗)”은 “ㅇ”,“ㅎ”의 중간 단계로, 현재 한글의 모든 복모음 및 복자음을 분리하는데 사용하며, 이 음가는 이중모음 및 이중자음의 중간 소리이다. 초성에 쓰일 때는 “? (아래아)” 를 음가로 사용한다.“ㆆ” is a middle step between “ㅇ” and “ㅎ”, which is used to separate all the Korean vowels and the vowel consonants, which are the middle sounds of double vowels and double consonants. When used for consonants, “? (Bottom) ”is used as a note value.

고어 표기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9
에서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0
” 로, “?” 아래아를 모음에서 자음으로 이동시키면서 이중 모음으로 분리하면서 깊은 소리를 내는 음가로 적용한다. 예를 들어, 초성에 “ㆆ”는 “화”라는 글자의 이중 모음을 분리한다. 즉, “화”라는 글자를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1
로 쓰며, 이렇게 사용하게 될 경우 기존 한글의 모음수를 196 개의 이중 모음을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Gore notation
Figure 112009031968213-pat00039
In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0
"," And move it under the "?" To consonants, dividing it into double vowels and applying it as a deeper note. For example, the initial letter “ㆆ” separates the double vowels of the word “hua”. In other words, the word "ang"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1
If you use it like this, you can use all 196 double vowel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2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2

상기한 (8)열을, (9)번 열과 같이 이중모음을 분리하되 같은 발음을 낸다.In (8), the double vowels are separated as in (9), but the same pronunciation is given.

이렇게 되면, 우리에게 없는 영어식 발음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3
”는 한글의 “오”와 “어”의 중간 정도 중간 발음이니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4
로 사용하고,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5
은 우리말의 “어”에 가깝지만, 그 보다는 더 긴장된 상태에서 내는 음으로 혀의 위치를 다소 낮추어 발음하여, “으”와 “어”의 중간 발음으로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6
와 같이 이중 모음화 시켜 사용할 수 있다. 무성음인 "ㅂ, ㄷ, ㅈ, ㄱ"와 같은 무성음을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7
로 유성음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새글자를 만들지 않고도 이런 모음 조합 법칙을 사용한다면 얼마든지 원하는 소리를 표기할 수 있다.This way, we don't have any English pronunciation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3
Is halfway between "o" and "uh" in Hangeul.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4
To us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5
Is closer to the Korean word "Uh," but with a more strained tone, the tongue is slightly lowered and pronounced, with the middle pronunciation of "U" and "uh".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6
It can be used as a double collection. Unvoiced sounds such as the unvoiced sound "ㅂ, c, c, a"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7
Can be voiced. If you use this vowel combination rule without creating new letters in this way, you can express the sounds you want.

단음 “b”는 한글 “브”로, 장음 “b”는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8
로 이중모음을 활용하여, 무성음을 유성음으로 바꿀 수 있으며, 한국어 및 외국어의 장음과 단음을 분리 할 수 있다. The short “b” is the Hangul “bro” and the long “b”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8
By using double vowels, unvoiced sounds can be converted into voiced sounds, and the long and short sounds of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can be separated.

"ㆆ" 가 종성에 쓰일 경우, 짧고 촉박한 소리인 된소리로, 기존 “ㄲ”,“ㄸ”,“ㅃ”,“ㅉ” 4개로 한정된 된소리 표기를 모든 자음에 적용할 수 있다.When "ㆆ" is used in Jongsung, it is a short, imminent sound that can be applied to all consonants with the existing four notations of "ㄲ", "ㄸ", "ㅃ", and "ㅉ".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9
Figure 112009031968213-pat00049

상기한 (10)은 한글에 쓰이는 표기 방법이고, (11)는 복원한 ㆆ(여린히읗)을 초성과 종성에 적용한 것이며, 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 (10) is the notation method used in Hangul, and (11) is the application of the restored ㆆ (여 린 읗 에) to the initiality and the finality.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0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0

상기한 (12)열의 글자를 (13) 열의 글자로 표기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새로운 조합법칙을 적용한 예이다.The letter of column (12) described above as the letter of column (13) is an example of applying the new combination l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ㆁ(꼭지이응)”은 “ㅇ(이응)”의 한글 종성에 쓰이고 있으며, 이러한 쓰임새를 이용하여 “ㅿ,ㆆ”에 대하여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ㅿ”은 치두음과 정치음의 종성으로 사용되고, “ㆆ”은 이중모음과 자음 문자조합 원리에 활용하였다.“ㆁ” is used for the end of Hangeul of “ㅇ (이응),” and as used above for “ㅿ, 종”, “ㅿ” is the finality of chidge and political sound. “ㆆ” is used for the principle of double vowel and consonant letters.

상기한 모든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글자의 발음 기호는 다음과 같다. To summarize all the above, the phonetic symbols of the let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1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1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2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2

종래의 한글 및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글자의 발음기호는 표기 방법이 약간 다를 수 있으나 기준 발음의 음가는 이것으로 정한다.The phonetic symbols of the conventional Korean characters and the letter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ut the phonetic value of the reference pronunciation is set to this.

현재 한글에서 사라진 4개의 글자에 음가와 기호를 활용한 새로운 조합 법칙 을 활용한 확장형 한글의 자음과 모음은 다음과 같다. The consonants and vowels of the extended Hangul using the new Combination Law using the phonetic and symbols on the four letters disappeared from the current Hangul are as follows.

초성은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3
으로 15개로 구성되며, 중성은 “ㆍ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 으로 15개로 구성하되 “ㆍ(天)” 은 완전한 모음이 아닌 초성과 합쳐져 더 강하게 소리가 생기는 반모음 형태로 한다. 종성은 현 한글과 같이 초성의 기호를 가지고 구성한다.Supernova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3
It is composed of 15 pieces, and the neutral is composed of 15 pieces of “· ㅏ ㅑ ㅓ ㅕ ㅛ ㅠ ㅡ ㅣ ㅔ ㅒ 15 ㅒ”. Form. Jong-seong is composed of the symbols of the initial characters like the current Hangul.

이런 30개의 자음과 모음을 활용한다면, 현재 사라진 4개 기호와 음가를 활용하여 더욱 확장된 한글 표현이 가능하다If you use these 30 consonants and vowels, you can expand the Hangul expression by using the 4 missing symbols and phone numbers.

상기 표기 구성을 바탕으로, 현재 표기 불가능한 외국어 발음을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표기로 발음기호를 대치하고. 또한 이것을 각종 입력장치에도 적용하여, 한글 표기로 나타낼 수 있다.Based on the above notation configuration, and replace the pronunciation symbols in the Korean n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that is currently not possible.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input devices and can be expressed in Korean.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자모를 이용한 자국어 입력장치는, 자음은,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4
으로 15개로 구성되며, 모음은 “ㆍ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 으로 15개로 구성한다.In the native language input device using the Hangul alphab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onant i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4
It consists of 15 pieces, and the vowel consists of 15 pieces of “·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

이러한 문자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먼저, 본 발명의 입력기 구현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Based on this character configuration, first, the input device implement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법은, 한글과 외국문자 및 특수문자를 입력함에 있어, 확장형 한글 자음과 모음만을 사용하며, 이러한 한 가지 입력방법을 휴대폰, PDA, 두벌식 표준자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준 자판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판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Th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extended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in inputting Korean and foreign characters and special characters, and this one input method can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a PDA, and a double standard keyboar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keyboards, including standard keyboards.

본 발명에 따른 자국어 입력방법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로는 '30개'의 한글 자음과 모음을 이용한다.As elements required to implement the native language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0'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re used.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두 벌식 표준자판에서 문자입력을 위한 주요 키 버튼 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키보드 문자 배열을 예시한 것이다.Figure 7 illustrates a keyboard character arrangement as showing the main key button portion for character input in the two-flat standard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자음과 모음 배열 예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종래의 한글 자모음 키보드의 키 갯수보다 많은, 30개의 키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한글을 표기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The consonant and vowel arrangement examples ar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re composed of 30 keys, which are larger than the number of keys of the conventional Hangul consonant keyboard, so that the extended Hangu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presented.

문자입력 키보드를 손쉽게 암기하기 위해 기본 자음과 모음에 가획을 이루어진 글자는 가로로 배치하고 “ㅁ, ㅂ, ㅍ” 와 모음의 기초가 되는 “ ?(天), ㅣ(人), ㅡ(地)” 은 세로로 배열한다.To easily memorize the text input keyboard,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vowels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the letters “ㅁ, ㅂ, ッ” and “? (天), ㅣ (人), ㅡ (地) are the basis for vowels. Are arranged vertically.

키 배열에 대해 좀 더 살펴 본다Take a closer look at the key array

확장형 한글 키 배열 중, 왼손 엄지는 “ㄴ”과 오른손 엄지는 “ㅏ”를 기준으로 하고 문자 표기를 입력하게 한다.In the extended Hangul key arrangement, the left thumb is based on “b” and the right thumb is based on “ㅏ”.

우선 검지와 중지에 나열된 것은 외손 검지 손가락에 놓은 “ㄱ, ㄴ, ㄷ” 의 확장은 중지에 놓인 “ㅋ, ㄹ, ㅌ”에 위치시키고, 오른손 검지와 중지는 각각 “ㅐ,ㅏ, ㅗ ” “ㅒ, ㅑ, ㅛ”로 하여 가획된 글자가 바로 옆에 위치시키며, 또한 약지 자리에 위치한 자음과 모음인 “ㅅ, ㅿ, ㅇ”, “ㅔ, ㅓ, ㅜ”를 가획으로 이루어진 글자인 “ㅈ,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5
, ㆆ”, “ㅖ, ㅕ, ㅠ” 와 같이 소지에 위치 시킴으로서 연상법을 이용해 더욱 쉽게 자판을 외울 수 있게 하였다.First, the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are listed with the extension of “a, b, c” placed on the external index finger, and the “k, d, ㅌ” placed on the middle finger. The right index finger and middle finger are respectively marked “ㅐ, ㅏ, ㅗ” “ 글자, ㅑ, ㅛ ”is located next to the letter, and the consonants and vowels located in the medicinal place,“ ㅅ, ㅿ, ㅇ ”,“ ㅔ, ㅓ, ㅜ ”, which is made up of letters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5
, ㆆ ”,“ ㅖ, ㅕ, ㅠ ”by placing them in the possession, using the association method to memorize the keyboard more easily.

그러면, 키 입력에 따른 문자 조합에 대하여 알아본다.Next, the character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key input will be described.

문자 조합 및 입력 방식은 현재의 두벌식 표준 키보드에 따르는 조합 방법으로써 “정”을 입력할 경우 “ㅈ+ㅓ+ㅇ”를 순차 적으로 눌러 화면에 출력된다.The character combination and input method is a combin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urrent double standard keyboard. When you input “jeong”, you press “ㅈ + ㅓ + ㅇ” sequentially and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정” 뒤에 자음 글자인지 모음 글자를 인식하여 자음이 나올 경우 바침 “ㅇ”은 “정”이라는 글자에 종성에 위치하지만 “ㅇ” 다음에 모음이 올 경우 “정”이라는 글자에 “ㅇ”이 빠져 나가 “저”라는 글자가 찍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vowel character is recognized by the vowel character after “jeong”, the consonant comes out. “ㅇ” is located in the final word in the word “jeong”, but when the vowel comes after “ㅇ”, the letter “ㅇ” is written in “ㅇ”. This exits the letter “me”.

확장형 한글 입력방법 또한 순차적으로 각 자리를 눌러서 화면에 나타내어 준다는 방식에서 종래의 두벌식 표준 키보드에 쓰이는 방식이 같으나, 확장형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몇 가지 방식을 알아 보기로 한다.The extended Hangul input method is also the same as that used in the conventional double-bulk-type keyboard in the method of sequentially pressing each digit to display on the screen, but some methods for inputting the extended Hangul will be described.

여기서 가장 중요한 “ ?(天) ” 적용 방법 및 입력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Here, we will look at the most important “? (天)” application method and input method.

확장형 한글인 도 1과 같은 방식으로 글자를 입력기를 통해 화면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훈민정음에 나타나있는 “?(아래아)”는 자음에 쓰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를 자음 상부에 위치하여 확장형 한글을 만들어 낸다.In order to display the characters on the screen through the input metho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 which is an extended Hangul, “? (Below)” appearing in Hunminjeongeum is used for consonant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nded Hangul is formed above the consonant to create an extended Hangul. .

자국어를 입력하기 위한 누릿글 입력기로 기존 두벌식 표준자판과 입력 방법은 동일하나, “학”이라는 글자를 나타 낼 때는 현재의 두벌식 표준 키보드는 “ㅎ+ㅏ+ㄱ” 이라고 키를 입력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자판을 통해 입력하기 위해서는 “ ? + ㆆ +ㅏ + ㄱ” 처럼 순차적으로 눌러서 화면에 표시되게 구성하였다Although the input method is the same as the existing two-bulk standard keyboard as a Nurigle input method for inputting a native language, the current two-bulk standard keyboard inputs the key “ㅎ + ㅏ + ㄱ” when the letters “hak” are represen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ter through the keyboard according to “? + ㆆ + ㅏ + ”sequentially to display on the screen

또한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6
이란 글자를 입력 할 땐, “ ? + ㅍ + ㅗ + ㄴ” 순서로 자판을 눌러 처럼 입력하게 된다.Also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6
When you type the letters, “ ? + 자 + ㅗ + ”” sequence to enter the keyboard as shown.

일반 단어를 입력기를 통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방법을 이하, 참고로 열거한다.A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ia an input method for a general word is listed below by referenc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7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7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8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8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9
Figure 112009031968213-pat00059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0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0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1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1

으로, 순차적으로 키 입력을 하면 된다Then, key input sequentially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방법에 따른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알아본다.Next, look at wha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모든 언어 및 사물에는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름을 부르기 위한 발음 기호를 가진다. 이러한 것을 다르게 말하면, 우리가 말하는 언어 및 사물의 이름을 하나의 발음기호 구성체계로 모든 것을 각각 분리하여 표현 할 수 있다는 것 이다. 즉,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사물의 명칭 및 언어들의 발음기호를 모두 누릿글로 대치하고 누릿글 입력기를 통해 입력되면 거기에 따른 같은 발음기호 검색 후 화자의 언어 및 사물을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Every language and thing has a unique name and a phonetic symbol for the name. In other words, we can express the language and the name of things in a separate phonetic symbol structure. That is, when the names of objects and the phonetic symbols of languages coming out of a person's mouth are replaced by Nurigle and input through the Nurigle input unit, the speaker and languag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fter searching the same phonetic symbols accordingly.

우선, 설명모드 단계가 있어야 하는데 이는 “한/영” 버튼을 설정 모드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그 이유는 누릿글 입력기에 별도의 누릿글 기호 외에 영어 표기 모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First of all, there should be an explanation mode step, which allows you to use the “Korean / English” button as the setting mod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nglish notation mode is not required in addition to a separate Nurigle symbol.

간단한 예로, 영어 단어에 대한 입력 및 출력에 대한 방법을 설명한다.As a simple example, we will explain how to input and output English words.

한 예로, 영문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2
를 종래와 같이 “쇼[syo]”라는 한글로 표기하면 정확하지 못한 발음표기가 된다For exampl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2
In Korean, the word “sho [syo]”, it becomes an inaccurate phonetic notation.

이것을 도 4 에 적용된 소리 값을 통해 누릿글로 표기하면,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3
로 표기하고, “show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4
]”로 표기할 수 있어, 영어 발음과 거의 동일하게 발음 낼 수 있다. 이러한 표기 방법으로 모든 영어의 발음을, 한글 발음기호로 형성할 수 있다. 즉, "show" 라는 글자를 화면에 표기하기 위하여는 "show" 라는 글자의 발음기호인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5
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발음인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6
”를 라는 글자를 입력하면 영어단어 "show"가 표기 된다If this is written in Nurigle through the sound values applied in Figure 4,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3
, And “show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4
] ”, Which can be pronounced almost identically to English pronunciation. In this notation method, all English pronunciations can be formed with Korean phonetic symbols. That is, to display the word "show" on the screen, the phonetic symbol of the word "show"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5
Hangul nou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6
If you enter the letters “”, the English word “show” is displayed.

이를 입력하기 위하여는 우선, 설정 모드 단계에서, 영어로 변환토록하는 변환키를 눌러 영어 표기가 가능하게 설정한 다음, 키보드에서 “ㅿ+ ㅗ + ㆆ + ㅜ ” 로 순차적으로 누르면 된다. 그러면 퍼스널 컴퓨터의 데이터 베이스에서 발음기 호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를 검색하여, 이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를 변환 과정을 통해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To input this, first, in the setting mode step, press the conversion key to convert to English to enable the English notation, and then press "+ + ㅗ + ㆆ + TT" sequentially on the keyboard. Then, the English word corresponding to the phonetic symbol is searched in the database of the personal computer, and the corresponding English word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conversion process.

이러한 방식을 토대로 영어의 모든 발음기호를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표기로 대치할 수 있다.On the basis of this method, all phonetic symbols of English can be replaced with Korean no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간단하게 몇 가지 추가 예를 들어 설명한다.Briefly, some additional examples are described.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7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7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8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8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9
Figure 112009031968213-pat00069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0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0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1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1

상기와 같은 발음기호를 누릿글(본 발명에 따른 확장된 한글)과 일치 시키고, 컴퓨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 되어 있는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2
단어를 입력기로 입력 받게 되면, 변환 과정을 통해 "daze" 출력해 주면 된다.The phonetic symbols as described above are matched with the Nurigle (expanded Hangu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tored in a computer databas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2
When the word is input into the input method, the conversion process outputs "daze".

본 발명에 의하면, 영어를 포함한 기타 외국어의 원 발음과 거의 동일하게 누릿글로 표기 할 수 있어, 영어단어를 입력하지 않고 한글 사용만으로도 영어 글자를 손쉽게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written in English in almost the same way as the original pronunciation of other foreign languages, including English, so that English characters can be easily displayed on the screen using only Korean without inputting English words.

또한 글자 자체가 발음기호로 되어 있으니, 외국어를 배울 때 원음에 가까운 발음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tter itself is a phonetic symbol, so when you learn a foreign language you can pronounce near the original sound.

다음은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인 중국어에 대한 자국어 입력방법에 대해 알아본다.Next, let's take a look at how to input native language for Chinese which is not English.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3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3

누릿글 입력기에, 중국어 모드로 설정된 상태서,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4
를 입력하게 되면, 화면출력 상태는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5
로 화면에 나타나게 되며,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6
를 입력하기 위해선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7
이라고 입력기를 누르면 된다.In the input method, with Chinese mode set,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4
If you enter, the output status i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5
Will appear on the screen.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6
To enter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7
Press the input method.

상술한 설명은 영어, 중국어에 한해 설명하였지만 일어, 기타 외국어 모든 언어에 적용 가능하다. 즉, 입력키에, 해당하는 다른 외국어 변환키만 더 설정하 면 가능하다. 이 경우 그 다른 해당 언어의 변환 장치와 프로그램이 내장되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described only for English and Chinese, it is applicable to all languages of Japanese and other foreign languages. 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only another foreign language conversion key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In this case, it is only natural that the conversion device and the program of the corresponding language should be embedded.

본 발명은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하여도 적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portable terminal.

즉, 자음과 모음을 초성, 중성, 종성의 조합 원리에 적용할 수 있다That is, consonants and vowels can be applied to the combination principle of primary, neutral, and final.

또한 키패드에 직관적인 누릿글 모형이 드러나게 함으로써 글자를 손으로 쓰듯 입력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한 누릿글 입력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는 특별히 의식적으로 암기를 할 필요가 없이 필기하는 방식과 같은 순서로 편리하게 누릿글을 입력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tuitive Nurigle model is exposed on the keypad, so that letters can be written as if they were written by hand. According to the noodle wri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enter the noodle in the same order as the writing method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conscious memoriza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 한글입력방법이 구현되는 휴대폰 자판배열에 대한 예시 도면이다.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layout of a mobile phone keyboard that implements the mobile phone Hangul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8 를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핸드폰 단말기 가로×세로 = 4×3 키 배열의 1행에는 모음의 기본이 되는 “ㅡ, ?, ㅣ”을 배치하고, 2행에는 자음의 확장 “ㅡ”와 모음의 확장 글자인 “ - ”, “ 'ı ”를 키 버튼에 할당 하며, 3행과 4행은 자음 중 가획 없이 쓸 수 있는 “ㄱ,ㄴ,ㄹ,ㅁ,ㅅ,ㅇ” 을 각 키패드에 배열한다. 즉, 4×3 배열의 키패드를 가진 문자 입력기로 12개 키패드 안엔 각각 1 = ㅡ, 2 = ㆍ , 3 = ㅣ, 4 = ı , 5 = ㅡ, 6 = -, 7 = ㄱ, 8 = ㄴ, 9 = ㄹ, * = ㅇ 0 = ㅅ, # = ㅁ 으로, 각각 1:1 대응되게 구성한다.Cell phone terminal width × length = 4 × 3 key arrays are arranged with “ㅡ,?, ㅣ” which is the basis of vowels, and 2 lines with consonant extension “ㅡ” and vowel extended characters “–”, “' I ”is assigned to the key button, and lines 3 and 4 are arranged on each keypad with“ a, b, ㄹ, ㅁ, ㅅ, ㅇ ”which can be used without any consonants. That is, a character input with a 4 × 3 array of keypads, 1 = ㅡ, 2 = ㆍ, 3 = ㅣ, 4 = ı, 5 = ㅡ, 6 =-, 7 = a, 8 = b, 9 = ㄹ, * = ㅇ 0 = ㅅ, # = ㅁ, each configured to correspond 1: 1.

초성은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8
으로 15개 자음으로, 중 성은 “ㆍ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 15개 모음으로 하며 종성은 현 한글과 같이 초성의 기호를 가지고 구성된 누릿글이다.Supernovae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8
There are 15 consonants, and the middle is composed of 15 vowels.

먼저 자음 입력에 관해 입력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First, let's talk about input method about consonant input.

본 발명에 따른 누릿글 입력할 자음은,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9
15개로 조합은 다음과 같다.The consonants to be entered in the noteboo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2009031968213-pat00079
The 15 combinations are as follows.

키 조합은 1번과 4번 조합으로 나올 수 있는 글자에 대해 알아본다.Key combinations look for letters that can come from combinations one and four.

ㅗ ㅛ ㅜ ㅠ ㅍㅗ ㅛ ㅜ ㅠ ㅠ

3번과 6번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글자이다.It is a letter that can be made with 3 and 6 combinations.

ㅏ ㅑ ㅓ ㅕ ㅐ ㅒ ㅔ ㅖ ㅂㅏ ㅑ ㅓ ㅕ ㅐ ㅒ ㅔ ㅖ ㅂ

그리고 5, 7, 8, 9, 0, *, # 조합은,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0
으로 형성되며, 또한 2번과 5, 7, 8, 9, 0, *, # 을 결합해 만들어 지는 확장형 자음은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1
구성된다.And 5, 7, 8, 9, 0, *, # combination,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0
And extended consonants formed by combining 2 and 5, 7, 8, 9, 0, *, #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1
.

그럼 각 자음과 모음이 만들어 지는 과정에 대해 살펴본다.Let's take a look at how each consonant and vowel are made.

ㄱ = 7A = 7

ㄴ = 8B = 8

ㄷ = 5 + 8C = 5 + 8

ㅁ = #ㅁ = #

ㅅ = 0S = 0

ㅿ = 0 + 5ㅿ = 0 + 5

ㅇ = *ㅇ = *

ㅋ = 7 + 5ㅋ = 7 + 5

ㄹ = 9R = 9

ㅌ = 5 + 5 + 8ㅌ = 5 + 5 + 8

ㅂ = 3 + 3 + 6 + 6ㅂ = 3 + 3 + 6 + 6

ㅍ = 1 + 4 + 4 + 1= = 1 + 4 + 4 + 1

ㅈ= 5 + 0= 5 + 0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2
= 5 + 0 + 5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2
= 5 + 0 + 5

ㆆ = 5 + ?ㆆ = 5 +?

두 번째로 “ㆍ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 으로 구성된 모음 조합에 대해 알아본다.Second, the vowel combination consisting of “· ㅏ ㅑ ㅓ ㅕ ㅗ ㅛ ㅡ ㅣ ㅔ ㅖ ㅐ ㅒ” is examined.

? = 2 ? = 2

ㅏ = 3 + 6ㅏ = 3 + 6

ㅑ = 3 + 6 + 6ㅑ = 3 + 6 + 6

ㅓ = 6 + 3ㅓ = 6 + 3

ㅕ = 6 + 6 + 3ㅕ = 6 + 6 + 3

ㅗ = 4 + 1ㅗ = 4 + 1

ㅛ = 4 + 4 + 1ㅛ = 4 + 4 + 1

ㅜ = 1 + 4 TT = 1 + 4

ㅠ = 1 + 4 + 4ㅠ = 1 + 4 + 4

ㅡ = 1ㅡ = 1

ㅣ = 3ㅣ = 3

ㅔ = 6 + 3 + 3ㅔ = 6 + 3 + 3

ㅖ = 6 + 6 + 3 + 3ㅖ = 6 + 6 + 3 + 3

ㅐ = 3 + 6 + 3ㅐ = 3 + 6 + 3

ㅒ = 3 + 6 + 6 + 3ㅒ = 3 + 6 + 6 + 3

으로 구성되어진다.It consists of.

누릿글 문자 입력에 대한 간단한 예이다.Here is a simple example of entering a Noodle text.

정수현 = 5 + 0 + 6 + 3 + * + 0 + 1 + 4 + 2 + 5 + * + 6 + 6 + 3 + 8Integer string = 5 + 0 + 6 + 3 + * + 0 + 1 + 4 + 2 + 5 + * + 6 + 6 + 3 + 8

누릿글 = 8 + 1 + 4 + 9 + 3 + 7 + 1 + 9Noodles = 8 + 1 + 4 + 9 + 3 + 7 + 1 + 9

자국어 = 5 + 0 + 7 + 1 + 4 + 7 + * + 6 + 3 National language = 5 + 0 + 7 + 1 + 4 + 7 + * + 6 + 3

입력기 = * + 3 + 3 + 3 + 6 + 6 + 9 + 6 + 6 + 3 + 7 + 7 + 3Input Method = * + 3 + 3 + 3 + 6 + 6 + 9 + 6 + 6 + 3 + 7 + 7 + 3

이렇게 연속적으로 입력하게 된다.This will be entered continuously.

다만 할당키 중에 숫자 5(ㅡ)에 표기된 자음 가획키가, ㄱ,ㅅ이 받침이 되고 다음 글자가 연이어서 가획키를 누르게 되는 자음,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3
이 올 경우, 글자 조합이 엉키므로 화살표키를 12개 외에 추가로 형성하여 자음의 가획(획을 가함)이 구분되도록 한다However, the consonant capturing key indicated by the number 5 (ㅡ) among the assigned keys is supported by a, ㅅ, and the next letter is contiguous.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3
In this case, the letter combination is tangled, so the arrow keys are formed in addition to the 12, so that the consonants are separated.

이러한 방식으로 현재 쓰이는 휴대용 단말기 및 4*3 키 패드를 가진 축소형 자판에 적용시, 현재 쓰이는 기기에, 기본 한글 조합에, ?(天), ㅿ, ㆆ,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4
조합만 첨가 한다면 손쉽게 자국어를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way, when applied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iniature keyboard with a 4 * 3 keypad, the current device, the basic Hangul combination,? (天), ㅿ, ㆆ,
Figure 112009031968213-pat00084
If you add a combination, you can easily enter your own language.

도 1 은 한글에서 라진 4가지 기호를 활용한 문자 구성을 보여 주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a character configuration using four symbols in Hangul

도면 2 는 본 발명에 따른 자음의 기본 발음적용을 보여주는 도면Figure 2 Drawing showing basic pronunciation application of conson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3 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자음과 모음을 구분하여 본 도면Figure 3 is a view to distinguish the consonants and vowel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모음의 발음기호4 is a phonetic symbol of a vow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중국어에 사용되는 영어식 발음기호를 표기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indicating the English phonetic symbols used in Chines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라 일본어에 대한 발음 적용 예6 is a pronunciation application example for Japane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키의 구성예7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input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휴대폰의 입력키 구성예8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an input key of a mobile phone

도 9 는 한글 입력에 의해 외국어 표기가 가능토록 구성한 것에 대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foreign language can be written by the Hangul input.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두벌식 한글 표준자판에 적용되는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에 있어서,In the input device using the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applied to the Dulbul type Hangul standard keyboard, 초성은
Figure 112011002300102-pat00123
15개의 자음으로, 중성은 “ㆍ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ㅔ ㅖ ㅐ ㅒ”15개의 모음으로 구성하고, 종성은 현재의 한글과 같이 초성의 기호를 가지고 구성하되, 입력장치 키보드의 문자 배열를 손쉽게 암기하기 위해, 가로 및 세로로 아래와 같이 3열로
Supernovae
Figure 112011002300102-pat00123
With 15 consonants, Neutral consists of 15 vowels, “ㅏ” ㅑ ㅕ ㅗ ㅛ ㅜ ㅠ ㅡ ㅡ ㅣ ㅖ ㅐ ㅒ ㅒ ” In order to easily memorize the character arrangement, it is arranged in three columns as below
ㅈ, ㅅ, ㅋ, ㄱ, ㅁ, ㆍ, ㅐ, ㅒ, ㅔ, ㅖ ㅈ, ㅅ, ㅋ, ㄱ, ㅁ, ㆍ, ㅐ, ㅒ, ㅔ, ㅖ
Figure 112011002300102-pat00124
ㅿ, ㄹ, ㄴ, ㅂ, ㅣ, ㅏ, ㅑ, ㅓ, ㅕ
Figure 112011002300102-pat00124
ㅿ, ㄹ, ㄴ, ㅂ, ㅣ, ㅏ, ㅑ, ㅓ, ㅕ
ㆆ, ㅇ, ㅌ, ㄷ, ㅍ, ㅡ, ㅗ, ㅛ, ㅜ, ㅠ   ㆆ, ㅇ, ㅌ, ㄷ, ,, ㅡ, ㅗ, ㅛ, ㅜ, ㅠ 위에서 아래 열로 갈수록 우측으로 밀려진 배열 순으로 문자 키보드의 배열을 구성하여, 기본 자음과 모음에 가획을 이루어진 글자는 가로로 배치하고 “ㅁ, ㅂ, ㅍ” 와 모음의 기초가 되는 "?", "ㅣ"," ㅡ”은 하부 열로 갈수록 우로 밀려진 세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From the top to the bottom column, the letters are arranged in the order that they are pushed to the right, so that the basic consonants and the vowels of the vowels are placed horizontally, and “?, ㅂ, ッ” and “?”, "ㅣ", "ㅡ" is an input device using the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configuration is pushed to the right in the lower row
가로,세로 3×4의 12개의 입력키를 갖춘 휴대폰단말기에서, 확장된 한글 표기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In a mobile phone terminal having 12 input keys of width and length 3 × 4, in constructing an input device using an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상기 입력키는, 가로 및 세로열이 The input key has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1,2,3,1,2,3, 4,5,6,4,5,6, 7,8,9,7,8,9, 0,*, # 0,*, # 배열로 위치된 12개의 입력키(도8 참조)이며, 각 해당 키에서, 1 = ㅡ, 2 = ㆍ, 3 = ㅣ, 4 = ı , 5 = ㅡ, 6 = -, 7 = ㄱ, 8 = ㄴ, 9 = ㄹ, * = ㅇ, 0 = ㅅ, # = ㅁ 이 1:1 대응되게 함께 표기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12 input keys (see Fig. 8) located in an array, where 1 = ㅡ, 2 = ㆍ, 3 = ㅣ, 4 = ı, 5 = ㅡ, 6 =-, 7 = a, 8 = ㄴ, 9 = ㄹ, * = ㅇ, 0 = ㅅ, # = ㅁ Input device using an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characterized by a 1-to-1 correspondenc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키에 숫자 5(ㅡ)에 쓰이는 자음 획을 가하는 키가, ㄱ,ㅅ이 받침이 되고 다음 글자가 연이어서 가획키를 누르게 되는 자음인,
Figure 112011002300102-pat00125
이 올 경우 글자 조합이 엉키므로, 화살표키를 추가로 설치하여, 이 화살표키를 누르면 자음의 획을 가함이 구분되어 표기 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
The key that applies the consonant stroke used for the number 5 (ㅡ) to the input key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 consonant that is pressed by the a, ㅅ and the next letter is successive.
Figure 112011002300102-pat00125
In this case, the letter combination is tangled, so the arrow key is additionally installed, and when the arrow key is pressed, the consonant stroke is added to the input device using the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상기한 입력장치에는 중국어, 일어, 영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로 이루어지는 외국어 모드 변환키를 더 설치하여, 이 변환키를 누른 후, 그 해당 외국어 발음을 한글로 입력할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출력은 그 해당 외국어 언어로 디스플레이 및 출력되게 구성한 것읕 특징으로 하는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The input device further includes a foreign language mode conversion key comprising any one of Chinese, Japanese, and English, and after pressing the conversion key, the display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the corresponding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is input in Korean, and Output device using the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and output in the foreign language. 가로,세로 3×4의 12개의 입력키를 갖춘 휴대폰단말기에서, 확장된 한글 표기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키는, 가로 및 세로열이 In a mobile phone terminal having 12 input keys of width and length 3 × 4, in configuring an input device using an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the input keys are horizontal and vertical columns. 1,2,3,1,2,3, 4,5,6,4,5,6, 7,8,9,7,8,9, 0,*, # 0,*, # 배열로 위치된 12개의 입력키이며, 각 해당 키에서, 1 = ㅡ, 2 = ㆍ, 3 = ㅣ, 4 = ı , 5 = ㅡ, 6 = -, 7 = ㄱ, 8 = ㄴ, 9 = ㄹ, * = ㅇ, 0 = ㅅ, # = ㅁ 이 1:1 대응되게 함께 표기 구성된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을 이용한 입력장치를 사용하여,12 input keys arranged in an array, where each key corresponds to 1 = ㅡ, 2 = ㆍ, 3 = ㅣ, 4 = ı, 5 = ㅡ, 6 =-, 7 = a, 8 = b, 9 = ㄹ , * = ㅇ, 0 = ㅅ, # = ㅁ Using an input device using the extended Hangul notation method, which has a 1: 1 correspondence. 상기한 1 과 4 번 입력키 입력 조합시, 4번 입력키가 세로긋기를 행하여 ㅗ,ㅛ,ㅜ,ㅠ,ㅍ 의 모음을 만들어 내도록 하고, 3 과 6 번 입력키의 조합시엔 6번 키의 가로 긋기 입력이 행하여져, ㅏ,ㅑ,ㅓ,ㅕ,ㅐ,ㅒ,ㅔ,ㅖ, ㅂ 모음과 자음을 만들어지도록 하고, 2,5,7,8,9,0,*,#로는,
Figure 112011002300102-pat00126
을 만들어 낼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의 입력방법
When the above 1 and 4 input key combinations are combined, the 4th input key performs a vertical stroke to create a collection of ㅗ, ㅛ, TT, ㅠ,,. The horizontal flicking input is performed so that vowels, ㅑ, ㅓ, ㅕ, ㅒ, ㅔ, ㅖ, ㅂ vowels and consonants are made, and with 2,5,7,8,9,0, *, #,
Figure 112011002300102-pat00126
Input method of inpu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du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046505A 2009-05-27 2009-05-27 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KR101140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505A KR101140767B1 (en) 2009-05-27 2009-05-27 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6505A KR101140767B1 (en) 2009-05-27 2009-05-27 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065A KR20100128065A (en) 2010-12-07
KR101140767B1 true KR101140767B1 (en) 2012-05-03

Family

ID=4350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6505A KR101140767B1 (en) 2009-05-27 2009-05-27 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76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042A (en) 2017-08-24 2019-03-07 김이안 System and method of using hangul for leam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846B1 (en) * 2022-06-16 2023-02-23 이춘형 Double layer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ing touch p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497A (en) * 2000-09-22 2001-12-07 안, 매튜 와이. Phonetic Korean Hangul keyboard system
KR20010108653A (en) * 2000-05-30 2001-12-08 진용옥 Ortho phonic hangul/alphabet inputting apparatus
KR20030070802A (en) * 2002-02-26 2003-09-02 이일성 English correct Hangul use method
KR100599873B1 (en) * 2003-04-28 2006-07-13 김상근 device for input various characters of countrys using hangul letters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8653A (en) * 2000-05-30 2001-12-08 진용옥 Ortho phonic hangul/alphabet inputting apparatus
KR20010107497A (en) * 2000-09-22 2001-12-07 안, 매튜 와이. Phonetic Korean Hangul keyboard system
KR20030070802A (en) * 2002-02-26 2003-09-02 이일성 English correct Hangul use method
KR100599873B1 (en) * 2003-04-28 2006-07-13 김상근 device for input various characters of countrys using hangul letters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042A (en) 2017-08-24 2019-03-07 김이안 System and method of using hangul for leam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KR101977594B1 (en) * 2017-08-24 2019-05-14 김이안 System and method of using hangul for leaming pronunciation of foreign langu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065A (en) 2010-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903B1 (en) Input-output device for alphabets of selected languages through hangul
KR101060928B1 (en) A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Chinese pronunciation as a Hangul phonetic symbol including a predetermined sign indicating a tonal tone, and a method for displaying a Hangul phonetic symbol including a predetermined sign indicating a tone as a Chinese pronunciation using the system, and a phonetic pronunciation of Chinese pronunciation and Chinese tones System of Korean and how to write Chinese pronunciation and Chinese tones with Korean phonetic symbols
KR101140767B1 (en) input device using extended HANGUL inscription method and input method using it
KR102517025B1 (en) Speech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language with rhythm and prosody
KR102517021B1 (en) Hangul input device and method for language with rhythm and prosody
KR101216840B1 (en) Keyboard layout and input system for japanese
JP2007287158A (en) Japanese character input method and its system
KR2013006939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japanese compact keyboard
KR101249329B1 (en)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KR101243754B1 (en) Chinese Characters Pronunciation Displaying System using Hangul Phonetic Symbols
CN101667068A (en) Phonetics input method for portable apparatus
JP2002207728A (en) Phonogram generator, and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KR100388301B1 (en) Ortho phonic hangul/alphabet inputting apparatus
JP2008139835A (en) Phonetics learning method
CN102141844B (en) Chinese character internal code input method with pronunciations of sound, rhyme and tone
CN117519493B (en) Full-spelling input method based on 10-key keyboard and applied to small-screen electronic equipment
KR100577675B1 (en) Hangul Hanson PlusKey Pad
JP2008097628A (en) Japanese input device and method
KR20120056581A (en) Vietnamese input device on touch screen panel
JPH08179868A (en) Key input device
KR20070030095A (en) Letters input method
KR100927167B1 (en) Universal pronunciation input device using 10 Hangul basic consonants
CN101067769B (en) Digital inputting method
KR101735005B1 (en) Terminal using The Dotted Hangeul System for Extension of Korean Alphabet and Character Input Control method thereof
KR20080002025A (en) Method for inputting the hangul alphab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