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279B1 -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279B1
KR101140279B1 KR1020090117111A KR20090117111A KR101140279B1 KR 101140279 B1 KR101140279 B1 KR 101140279B1 KR 1020090117111 A KR1020090117111 A KR 1020090117111A KR 20090117111 A KR20090117111 A KR 20090117111A KR 101140279 B1 KR101140279 B1 KR 101140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guide part
guide
guide portion
collec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0511A (ko
Inventor
김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11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2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39/00Cooling or quenching coke
    • C10B39/02Dry cooling outside the ov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는 더스트가 장입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장입구 및 더스트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저장조; 저장조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는 중량 감지센서;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 영역보다 큰 가이드부; 및 중량 감지센서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더스트 포집장치의 저장조로 이송되는 더스트의 이송량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를 넘어서는 이송량을 감지하여, 과도한 이송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장비 파손, 설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더스트 포집장치의 저장조에서 더스트 물리량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저장조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는 중량 감지센서;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 영역보다 큰 가이드부; 및 중량 감지센서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는 저장조에 포집되는 더스트의 온도 및 이송량을 감지하여 더스트 이송량 증가, 냉각수 단절 등으로 인해 더스트가 냉각되지 않은 채 고온으로 이송되는 것을 예방하고, 장비 파손, 화재, 폭 발 등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더스트, 포집장치, 온도 감지, 중량 감지

Description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APPARATUS FOR SENSING PHYSICAL QUANTITY AND DUST COLLEC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에 설치되는 더스트 포집장치와, 더스트 포집장치의 저장조에 설치되어 포집되는 더스트의 중량 및 온도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는 챔버 내에 있는 고온의 코크스를 냉각시키는 설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1) 내부의 고온의 가스는 순환 팬(14)에 의해 순환가스 덕트(12)를 통해 보일러(13) 측으로 이동되며, 보일러(13)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고압의 증기를 생산하고 열을 잃는다. 열을 잃고 냉각된 가스는 순환가스 덕트(12)를 통해 다시 챔버 하부로 보내져서 고온의 코크스(15)를 냉각하게 된다.
순환가스에는 미세한 코크스 더스트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이 순환가스 덕트(12), 보일러 튜브 등에 쌓이면 보일러(13)의 열 교환효율이 떨어지고 보일러 등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내의 장치들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가스 덕트(12)에 더스트 포집장치를 설치한다. 더스트 포집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가스 덕트(12) 하부에 마련되어,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더스트를 포집한다.
더스트는 순환가스 덕트(12)를 통과하다가 덕트 하부에 설치된 포집부(21)로 낙하하고,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된 수냉관(23, 24)에 둘러싸인 더스트 냉각부(22)를 거치면서 냉각된다. 냉각된 더스트는 아래로 계속 낙하하여 로타리 밸브(25)와 장입 슈트(26)를 거쳐 저장조에 포집되고, 포집된 더스트는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더스트를 냉각하고 이송하는 공정은 더스트 포집장치에서 포집되는 더스트 양에 따라 공정주기가 결정된다.
그런데 이송 주기가 짧아지거나 더스트 이송량이 증가, 또는 냉각수가 단절되는 등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면 더스트가 목표 온도보다 높은 상태로 저장조로 이송되면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수냉관이 열 충격으로 손상되면서 갈라져서 냉각수가 더스트와 섞이게 된다. 더스트는 냉각수에 의해 응집되어 덩어리를 이루고 더스트 배출통로를 막게 되어 더스트가 배출되지 못한다.
더스트가 배출되지 못하면 순환 가스 중의 더스트를 분리하지 못하게 되어 보일러 튜브가 손상될 수 있고, 증발한 냉각수가 포집부(21) 측으로 순환가스로 유입되어 수소와 산소로 분리되면서 증가되는 수소 가스에 의해 폭발이 일어날 수도 있어 매우 위험하다.
또한 로타리 밸브(25)의 블레이드가 마모되는 경우처럼 공간이 발생하여 기 준량 이상의 더스트가 이송되면, 미처 냉각되지 않은 뜨거운 더스트가 저장조로 이송되어 저장조의 화재 및 파손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종래의 포집장치에서는 포집부(21)에서 저장조까지 완전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어 저장조로 이송되는 더스트의 온도나 배출량을 확인할 수 없고, 내부에 온도계를 설치할 경우 더스트에 의한 마모가 촉진되어 쉽게 고장이 발생하였다. 사전에 더스트 온도나 배출량에 따른 조치할 수 없으므로 화재, 폭발, 설비사고 가능성이 있고, 더스트 이송작업 지연으로 조업이 중단 되는 등의 문제점이 수시로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더스트 포집장치에서 더스트의 중량 및 온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비 파손 및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더스트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는 더스트가 장입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장입구 및 더스트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저장조; 저장조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는 중량 감지센서;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 영역보다 큰 가이드부; 및 중량 감지센서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더스트 포집장치의 저장조에서 더스트 물리량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저장조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는 중량 감지센서;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 영역보다 큰 가이드부; 및 중량 감지센서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더스트 포집장치의 저 장조로 이송되는 더스트의 이송량을 감지하여 일정 범위를 넘어서는 이송량을 감지하여, 과도한 이송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장비 파손, 설비 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용이하게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더스트와의 마찰을 방지하여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는 저장조에 포집되는 더스트의 온도 및 이송량을 감지하여 더스트 이송량 증가, 냉각수 단절 등으로 인해 더스트가 냉각되지 않은 채 고온으로 이송되는 것을 예방하고, 장비 파손, 화재, 폭발 등의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더스트 포집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에 관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더스트 포집장치(2)의 저장조에 설치되며(도 2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 감지센서(400), 가이드부(100), 지지 와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량 감지센서(400)는 저장조(30)로 이송되는 더스트(20)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저장조(30)의 외측 일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30) 상면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중량 감지센서(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410)와, 플레이트(410) 저면에 배치되는 스프링(420), 스프링(420)의 압축에 의해 플레이트(410) 저면과 접촉하도록 플레이트(410) 저면에 이격배치된 리미트 스위치(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와이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20)의 내부를 통해 플레이트(410) 연결되는 것이 중량 감지센서(400) 설치에 안정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량 감지센서(400)의 작동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가이드부(100)는 장입 슈트(26)를 통해 이송되는 더스트(20)의 하중을 중량 감지센서(400)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30) 내부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저장조(30) 상측에 형성된 장입구 하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부(100)는 지지 와이어(300)에 의해 중량 감지센서(400)와 연결되어 가이드부(100)에 부과되는 하중이 중량 감지센서(400)에 전달된다. 지지 와이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의 벽체를 관통하여 중량 감지센서(400)와 가이드부(10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부(100)는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구(101)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102) 영역보다 크게 형성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가이드부(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 가이드부(200)는 가이드부(100)를 보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더스트(20)의 하중을 중량 감지센서(400)에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이드부(100) 하측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조 가이드부(200) 또한 가이드부(100)와 같이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구(201)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202) 영역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가이드부(100)의 배출구(102) 영역을 통해 빠져나온 더스트(20)는 보조 가이드부(200)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보조 가이드부(200)의 투입구(201) 영역은 가이드부(100)의 배출구(102) 영역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00) 또는 보조 가이드부(200)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 감지센서(500)가 배치될 수 있다. 온도 감지센서(500)는 가이드부들의 내면을 타고 흐르는 더스트의 온도를 가이드부 벽체를 통해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다.
가이드부(100)에는 가이드부 윙(11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가이드부 윙(110)은 가이드부(100)의 투입구(101)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하측으로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부 윙(110)은 낙하하는 더스트(20)의 양이 과도하게 증가하여 더스트(20)가 가이드부(100) 내부를 채우고 투입구(101) 위로 넘치는 경우, 더스트(20)가 가이드부 윙(11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저장조(30) 바닥으로 낙하하게 함으로써 가이드부(100)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것을 막는다. 즉 가이드부(100) 외면에 배치된 온도 감지센서(500)를 더스트(20)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조 가이드부(200)에도 보조 가이드부 윙(21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그 형상, 기능 등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가이드부 윙(110)과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가이드부(100), 온도 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가이드부(100)의 형상, 기능 등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온도 감지센서(500) 또한 형상, 기능 등 기술적 특징이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가이드부 윙(11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그 형상, 기능 등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에 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는(2)는 가스순환 덕트(12)에 설치되며, 저장조(30), 중량 감지센서(400), 가이드부(100) 및 지지 와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저장조(30)는 더스트 포집장치에서 포집되는 더스트를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더스트가 장입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장입구 및 더스트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중량 감지센서(400), 가이드부(100), 지지 와이어(300)는 앞서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는 저장조(30), 가이드부(100) 및 온도 감지센서(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조(30), 가이드부(100) 및 온도 감지센서(500)는 앞서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가이드부 윙(110)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그 형상, 기능 등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더스트 포집장치의 작동 원리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는 더스트 포집장치(2) 하부의 저장조(30)에 설치되고 장입 슈트(26)로부터 더스트(20)가 낙하하는 위치에 배치된다(도 2 참조).
장입 슈트(26)으로부터 더스트(20)가 낙하하여 저장조(30)로 장입되면, 가이드부(100)의 투입 영역(101)을 통과하게 된다.
가이드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01) 영역에 비해 배출 구(102) 영역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투입되는 더스트(20)의 양이 증가하면 배출구(102)를 통해 더스트가 빠져 나가는 속도가 투입구(101)를 통해 투입되는 속도에 비해 느리므로, 더스트(20)는 가이드부(100)를 미처 다 빠져 나가지 못하고, 가이드부(100) 내부에 머무르며, 내부를 채우게 된다.
투입되는 더스트(20)의 양이 더 증가하여 더스트(20)가 가이드부(100) 내부를 다 채우면, 즉 가이드부(100) 내부 체적에 해당하는 만큼의 더스트 하중이 부과되는 경우에는 그 하중이 지지 와이어(300)를 통해 중량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되어, 작업자가 과도한 양의 더스트(20)가 투입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레이트(410), 스프링(420), 리미트 스위치(430)로 이루어진 압력 감지센서(400)의 경우, 더스트(20)가 가이드부(100) 내부를 다 채워 하중이 부과되면, 지지 와이어(300)를 통해 가이드부(100)의 하중이 중량 감지센서(400)의 플레이트(410)로 전달되어 플레이트(410)가 스프링(420)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플레이트(410)가 하강하면 이격되어 있던 리미트 스위치(430)에 접촉되어 중량 감지센서(400)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부(20) 외면에는 온도 감지센서(500)가 배치될 수 있는데, 더스트(20)가 가이드부(100) 내부를 채우면서 배출구(102)로 빠져나가므로, 더스트(20)가 가이드부(100) 내부에 차 있을 때 가이드부 벽을 통해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더스트(20)의 이송량이 더욱 증가되면 더스트(20)는 가이드부(100)의 내부를 채운 후 가이드부(100) 투입구(101)를 통해 넘치게 된다. 이 경우 더스트(20)가 가 이드부(100) 외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100) 외면에 배치된 온도 감지센서(500) 마찰을 일으켜 온도 감지센서(500)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00) 투입구 외주를 따라 가이드부 윙(110)이 구비된 경우에는 더스트(20)가 가이드부 윙(11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저장조 바닥으로 낙하하게 함으로써 가이드부(100)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것을 막아 온도 감지센서(500)의 마모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100) 직하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보조 가이드부(200)를 구비하여 2단으로 가이드부들이 설치되는 경우에는(도 4 및 도 5 참조), 더스트(20)가 가이드부(100)를 통과하고, 보조 가이드부(200)로 낙하하게 된다.
더스트(20)의 양이 증가하면 보조 가이드부(200)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02)를 통해 더스트를 빠져 나가는 속도가 투입구(201)를 통해 투입되는 속도에 비해 느리므로, 더스트(20)는 보조 가이드부(200)를 미처 다 빠져 나가지 못하고, 보조 가이드부(200) 내부에 머물러 내부를 채우게 된다.
보조 가이드부(200) 내부를 다 채우면, 더스트(20)는 보조 가이드부(200)를 넘쳐 가이드부(100)와 이격된 공간 사이로 빠져 나가게 된다. 더스트(20)의 이송량이 더욱 증가하는 경우 가이드부(1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다 빠져 나가지 못하고 가이드부(100)의 배출구(102)까지 차오르게 되고, 다시 가이드부(100) 내부를 채우게 된다.
더스트(20)가 가이드부(100) 내부를 다 채우면 가이드부(100) 내부 체적 및 보조 가이드부(200) 내부 체적에 해당하는 만큼의 더스트 하중이 부과되고, 지지 와이어(300)를 통해 가이드부들(100, 200)의 하중이 중량 감지센서(400)의 플레이트(410)로 전달되어 플레이트(410)가 스프링(420)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플레이트(410)가 하강하면 리미트 스위치(430)에 접촉되어 중량 감지센서(400)가 작동하고 작업자가 다량의 더스트가 이송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2)는 상술한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3)를 저장조(30)에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더스트 물리량을 감지할 수 있는 더스트 포집장치(2)이므로 상술한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3)와 작동원리가 동일하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에 관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포집장치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에 관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
2 : 더스트 포집장치
3 :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11 : 챔버 12 : 가스순환 덕트
13 : 보일러 14 : 순환 팬
15 : 코크스 20 : 더스트
21 : 포집부 22 : 더스트 냉각부
23 : 외통 수냉관 24 : 내통 수냉관
25 : 로타리 밸브 26 : 장입 슈트
30 : 저장조
100 : 가이드부 110 : 가이드부 윙
200 : 보조 가이드부 210 : 보조 가이드부 윙
300 : 지지 와이어 400 : 중량 감지센서
410 : 플레이트 420 : 스프링
430 : 리미트 스위치 500 : 온도 감지센서

Claims (20)

  1. 더스트 포집장치의 저장조에서 더스트 물리량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저장조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는 중량 감지센서;
    상기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 영역보다 큰 가이드부; 및
    상기 중량 감지센서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
    을 포함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콘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감지센서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저면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플레이트 저면과 접촉하도록 플레이트 저면에 하측으로 이격배치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저장조의 벽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가이드부 하측에 수직으로 이격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 영역보다 큰 보조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가이드부의 투입구 영역은 상기 가이드부의 배출구 영역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보조 가이드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온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투입구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낙하하는 더스트가 가이드부 외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 윙;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보조 가이드부의 투입구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낙하하는 더스트가 보조 가이드부 외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보조 가이드부 윙;을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8. 더스트 포집장치의 저장조에서 더스트 물리량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 영역보다 큰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온도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콘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투입구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낙하하는 더스트 가 가이드부 외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 윙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11. 더스트 포집장치에 있어서,
    더스트가 장입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장입구 및 더스트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외측 일면에 배치되는 중량 감지센서;
    상기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 영역보다 큰 가이드부; 및
    상기 중량 감지센서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지지 와이어;
    를 포함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콘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감지센서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저면에 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플레이트 저면과 접촉하도록 플레이트 저면에 하측으로 이격배치된 리미트 스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와이어는 저장조의 벽체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가이드부 하측에 수직으로 이격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 영역보다 큰 보조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가이드부의 투입구 영역은 상기 가이드부의 배출구 영역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또는 상기 보조 가이드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온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투입구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낙하하는 더스트 가 가이드부 외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 윙;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 가이드부는,
    상기 보조 가이드부의 투입구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낙하하는 더스트가 보조 가이드부 외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보조 가이드부 윙;을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18. 더스트 포집장치에 있어서,
    더스트가 장입되도록 상측에 형성된 장입구 및 장입된 더스트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 내부에 배치되며, 더스트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통공된 몸체를 구비하고, 더스트가 투입되는 투입구 영역이 더스트가 배출되는 배출구 영역보다 큰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의 외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된 온도 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콘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투입구 외주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으로서, 낙하하는 더스트가 가이드부 외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가이드부 윙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스트 포집장치.
KR1020090117111A 2009-11-30 2009-11-30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 KR10114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111A KR101140279B1 (ko) 2009-11-30 2009-11-30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111A KR101140279B1 (ko) 2009-11-30 2009-11-30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511A KR20110060511A (ko) 2011-06-08
KR101140279B1 true KR101140279B1 (ko) 2012-04-27

Family

ID=4439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111A KR101140279B1 (ko) 2009-11-30 2009-11-30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476B1 (ko) 2012-12-12 2014-08-22 주식회사 포스코 보일러 튜브 누수 및 더스트 퇴적 진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339A (ja) * 1994-04-01 1995-10-17 Nkk Corp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除塵器
JPH07268341A (ja) * 1994-03-31 1995-10-17 Nkk Corp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における排ガス中からのダスト除去装置
KR20010067195A (ko) * 1999-09-20 2001-07-12 아사무라 타카싯 코우크스 건식 소화 방법 및 소화 장치
JP2008094966A (ja) 2006-10-12 2008-04-24 Jfe Steel Kk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除塵器で捕集したダストの回収設備および回収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8341A (ja) * 1994-03-31 1995-10-17 Nkk Corp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における排ガス中からのダスト除去装置
JPH07268339A (ja) * 1994-04-01 1995-10-17 Nkk Corp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除塵器
KR20010067195A (ko) * 1999-09-20 2001-07-12 아사무라 타카싯 코우크스 건식 소화 방법 및 소화 장치
JP2008094966A (ja) 2006-10-12 2008-04-24 Jfe Steel Kk コークス乾式消火設備の除塵器で捕集したダストの回収設備および回収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476B1 (ko) 2012-12-12 2014-08-22 주식회사 포스코 보일러 튜브 누수 및 더스트 퇴적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0511A (ko)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491B1 (ko) 건식소화설비의 더스트 캐처 레벨제어장치
JP2011060755A5 (ko)
US7832367B2 (en) Furnace panel leak detection system
CN210516927U (zh) 一种锂离子电池安全防护装置
KR102012128B1 (ko) 응축수 배출장치
KR101140279B1 (ko) 더스트 물리량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더스트 포집장치
US10794792B2 (en) Leak detection system
CN207622786U (zh) 一种利用表面温度判断高温密闭溜槽堵料的装置
JP6241869B2 (ja) コンクリートキャスクの除熱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キャスク
KR101433476B1 (ko) 보일러 튜브 누수 및 더스트 퇴적 진단장치
CN114743698B (zh) 一种简洁的高温气冷堆余热排出系统
KR101124632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배관 부식 검출장치
WO2006038482A1 (ja) 温水装置およびドレイン中和装置
CN203960121U (zh) 焦炭上限料位检测装置和干熄焦设备
EP3957932A1 (en) Determination device
CN214679719U (zh) 储能集装箱
CN209957718U (zh) 一种用于气化炉的排渣保护器
JP6586272B2 (ja) 原子炉格納容器保全設備および原子炉格納容器保全方法
CN216699561U (zh) 充电柜
CN217445037U (zh) 一种锂电池组mos管失效保护系统
KR20130062630A (ko) 더스트 통로 막힘 방지장치
CN212227409U (zh) 可检测烟气的燃气热水器
US20200400527A1 (en) Leak detection system
CN111089671A (zh) 一种压力传感器
JPS612599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