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598B1 -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598B1
KR101139598B1 KR1020090026596A KR20090026596A KR101139598B1 KR 101139598 B1 KR101139598 B1 KR 101139598B1 KR 1020090026596 A KR1020090026596 A KR 1020090026596A KR 20090026596 A KR20090026596 A KR 20090026596A KR 101139598 B1 KR101139598 B1 KR 10113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monoxide
graphene sheet
aluminum sulfide
reduction reaction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106A (ko
Inventor
정우식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6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5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산화탄소와 아르곤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황화알루미늄을 소성시킴으로써 양질의 투명한 그라핀 시트를 간편하면서도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한 그라핀 시트는 태양전지의 전극, 감지기, 리튬전지의 애노드 전극물질, 그리고 효율적인 제로 밴드갭 반도체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graphene sheets by the reduction of carbon monoxide}
본 발명은 태양전지의 전극, 감지기, 리튬전지의 애노드 전극물질, 그리고 효율적인 제로 밴드갭 반도체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그라핀 시트의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라핀(graphene)은 2004년 Novoselov 및 Geim의 연구팀에 의해 처음 만든 것으로, sp2 결합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6각형 구조의 단층 2차원 구조체이다.
그라핀 내의 전자들은 정지 질량이 없는 상대론적 입자처럼 행동하고 초속 약 1백만 미터의 속도로 움직이는데, 이 속도는 진공 중의 빛의 속도보다는 300 배 느린 것이지만 일반 도체나 반도체 내의 전자의 속도보다는 훨씬 빠른 것이다. 또한, 그라핀은 훌륭한 전도체이므로 고속 트랜지스터를 만들 수도 있다.
그라핀 시트는 앞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지만 그것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것으로는 벌크 흑연의 미세역학적인 개열법, 흑연 산 화-박리-환원법, 탄화실리콘의 초진공 흑연화반응(graphization) 등이 있는데, 아직까지 일산화탄소를 이용한 제조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면서도 높은 효율로 양질의 그라핀 시트를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와 아르곤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황화알루미늄(Al2S3)을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황화알루미늄 분말을 일산화탄소와 아르곤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을 거친 황화알루미늄 분말을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소성된 분말에 산 용액을 첨가하여 미반응의 황화알루미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 용액으로는 묽은 염산 용액, 묽은 황산 용액, 묽은 인산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성은 900-1300℃의 온도에서 5-1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소성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그라핀 시트가 생성되지 않거나 탄화알루미늄이 생성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며, 소성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그라핀 시트의 생성양이 적거나 탄화알루미늄이 생성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그라핀 시트를 제공한다.
그라핀 시트는 다음의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산화탄소가 황화알루미늄과의 반응에 의해 기체상태의 탄소로 환원되며, 생성된 기체상태의 탄소가 그라핀 시트로 결정화됨으로써 제조된다.
[반응식 1]
Al2S3(s) + 3 CO(g) -> Al2O3(s) + 3 C(g) + 3 S(g); C(g) -> 그라핀 시트(s)
이렇게 형성된 그라핀 시트의 특성은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및 라만 분광기를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그라핀 시트는 태양전지의 전극, 감지기, 리튬전지의 애노드 전극물질, 그리고 효율적인 제로 밴드갭 반도체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태양전지의 전극, 감지기, 리튬전지의 애노드 전극물질, 그리고 효율적인 제로 밴드갭 반도체 소재로서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그라핀 시트를 간편하면서도 높은 효율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그라핀 시트의 제조 및 물성 검토
황화알루미늄 분말(알드리치 케미칼, 98%)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담아 내경이 36 mm인 알루미나 튜브에 넣고, 아르곤과 일산화탄소(10 부피%)의 혼합가스의 흐름 (200 ml/min의 유속)에서 반응온도까지 5℃/min의 속도로 승온하였다.
황화알루미늄 분말을 다양한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소성시키고, X-선 회절( PANalytical X'Pert PRO MPD X-ray diffractometer with Cu-Kα radiation operating at 40 kV and 30 mA),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FEI Tecnai F20) 및 라만 분광기(Thermo Almega XR Raman spectrometer, excitation at 532 nm)에 의해 특성을 분석하였다.
도 1과 같이, 1200 ℃ 및 1300 ℃에서 얻어진 시료의 XRD 패턴을 보면 α-Al2O3 (JCPDS No. 46-1212)와 α-Al2S3 (JCPDS No. 47-1313)에 해당되는 회절피크 이외에 그라핀 시트로 여겨지는 회절피크가 나타났다.
그라핀 시트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1200 ℃에서 소성된 시료에 묽은 HCl 용액을 가해 미반응의 황화알루미늄을 제거하기 하고 얻은 검은 분말의 특징을 HRTEM로 분석하였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의 형상이 평면 시트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검은 분말에서의 탄소는 그라핀 시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시트는 투명하고, 80 kV의 가속 전압의 전자빔 조사 하에서 손상되지 않았다. 도 2a의 이미지를 보면 그라핀 시트는 층수가 적어 접히고, 서로 감겨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의 그라핀 시트는 수십 내지 수백 평방 나노 미터의 크기로서 비단과 같이 접인 모양을 하고 있었다. 선택된 영역의 전자 회절(SAED) 패턴(도 2b 삽입도 참조)으로부터 그라핀 시트가 결정상임을 알 수 있었다.
도 2c의 TEM 이미지를 보면 나노크기의 α-Al2O3 입자 주위를 다층의 그라핀 시트가 감싸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2d를 보면 다층의 그라핀 시트가 질서정연하게 포개져 있음을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웃한 그라핀 시트 층간의 간격은 0.34 nm이었는데, 이 값은 흑연에서의 층간 간격과 일치하였다.
또한, HCl로 처리된 검은 분말의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75와 1350 cm-1의 피크는 각각 제 1차 G 및 D 선을 나타낸다. G와 D 선은 각각 탄소의 sp2 원자의 E2g 포논과 A1g 대칭의 κ-점 포논의 브리딩 모드(breathing mode)에 해당한다. 제 2차 G' 및 D' 선은 각각 3220와 2682 cm-1에 나타났다.
도 1에서 a와 b는 각각 1200 ℃와 1300 ℃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Al2S3의 소성에 의해 얻어진 분말의 XRD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에서 a와 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그라핀 시트의 저배율 TEM 이미지와고배율 TEM 이미지이고, b의 삽입도는 SAED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에서 c는 그라핀 시트 위에 있는 나노크기 α-Al2O3 입자를 나타낸 HRTEM 이미지이고,
도 2에서 d는 여러 층의 그라핀 시트임을 보여 주는 가장자리의 이미지이고,
도 3은 1200 ℃의 혼합 가스 분위기에서 소성시킨 후 HCl로 처리한 후 얻어진 분말의 라만 스펙트럼이다.

Claims (5)

  1. 일산화탄소와 아르곤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황화알루미늄 분말을 소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황화알루미늄 분말을 일산화탄소와 아르곤의 혼합 가스 분위기 하에서 일산화탄소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을 거친 황화알루미늄 분말을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소성된 황화알루미늄 분말에 산 용액을 첨가하여 미반응의 황화알루미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은 900-1300℃의 온도에서 5-1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90026596A 2009-03-27 2009-03-27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KR10113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596A KR101139598B1 (ko) 2009-03-27 2009-03-27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596A KR101139598B1 (ko) 2009-03-27 2009-03-27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106A KR20100108106A (ko) 2010-10-06
KR101139598B1 true KR101139598B1 (ko) 2012-04-27

Family

ID=4312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596A KR101139598B1 (ko) 2009-03-27 2009-03-27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540B1 (ko) * 2011-02-17 2013-12-0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시트들로 싸인 알루미나 분말들, 알루미나 분말의 제조방법,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알루미나 분말들, 그래핀-TiO2 페이스트, 그래핀-TiO2 페이스트 제조 방법,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염료 감응형 태양 전지
KR102023616B1 (ko) 2013-04-09 2019-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밴드갭을 갖는 그래핀
KR101461803B1 (ko) * 2013-05-21 2014-11-13 주식회사 포스코 그래핀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660A (ja) * 2006-11-16 2008-05-29 Toshio Sugita カーボンチューブ製造用グラフェンシート、およびグラフェンシート形成品用グラフェン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660A (ja) * 2006-11-16 2008-05-29 Toshio Sugita カーボンチューブ製造用グラフェンシート、およびグラフェンシート形成品用グラフェン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106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Novel boron nitride hollow nanoribbons
Pakdel et al.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VD growth of boron nitride nanotubes
Shen et al. Characterization and field‐emission properties of vertically aligned ZnO nanonails and nanopencils fabricated by a modified thermal‐evaporation process
Qian et al. Construction of graphdiyne nanowires with high-conductivity and mobility
Du et al. Potassium titanate nanowires: Structure, growth, and optical properties
KR100912807B1 (ko) 이산화티탄이 균일하게 코팅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방법
Xu et al. Synthesi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nanoscale nitrides, borides and carbides
Sun et al. Large-scale synthesis of SnO 2 nanobelts
Wang et al. Low-temperature vapor–solid growth and excellent field emission performance of highly oriented SnO2 nanorod arrays
Castillo-Martínez et al. High temperature structural transformations of few layer graphene nanoribbons obtained by unzipping carbon nanotubes
KR20120087486A (ko) 그라핀-산화물반도체 이종접합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hu et al. Hydrothermal synthesis of CdS microparticles–graphene hybrid and its optical properties
Yang Synthesis of γ-Al 2 O 3 nanowires through a boehmite precursor route
She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Bi2S3 faceted nanotube bundles
Qi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iC@ CNT coaxial nanocables using CNTs as a template
KR101139598B1 (ko) 일산화탄소의 환원반응을 이용한 그라핀 시트의 제조방법
Li et al. SiO 2-sheathed InS nanowires and SiO 2 nanotubes
Hou et al. Mass production of SiC/SiO x nanochain heterojunctions with high purities
Uddin et al. Graphene-like emerging 2D materials: recent progress, challenges and future outlook
Taguchi et al.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photoluminescence of silicon carbide nanotubes
Han Anisotropic Hexagonal Boron Nitride Nanomaterials-Synthesis and Applications
Lähde et al. Synthesis of graphene-like carbon from agricultural side stream with magnesiothermic reduction coupled with atmospheric pressure induction annealing
Zhao et al. Templateless hydrothermal synthesis of aligned ZnO nanorods
Qian et al. Inverted SiC nanoneedles grown on carbon fibers by a two-crucible method without catalyst
Zhu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undled one-dimensional Si3N4 single-crystalline nanowires by catalytic pyrolysis of a polymer precur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