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227B1 - 원터치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원터치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227B1
KR101139227B1 KR1020110043367A KR20110043367A KR101139227B1 KR 101139227 B1 KR101139227 B1 KR 101139227B1 KR 1020110043367 A KR1020110043367 A KR 1020110043367A KR 20110043367 A KR20110043367 A KR 20110043367A KR 101139227 B1 KR101139227 B1 KR 101139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dy
clamping device
clamp
fixing bol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준
Original Assignee
안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준 filed Critical 안동준
Priority to KR1020110043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2/00Characteristics of moving parts of rail systems, e.g. switches, special frogs, tongues
    • E01B2202/08Locking devices or mechanisms for inhibiting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번의 동작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되어 연결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일측에 제1지지체가 걸리는 후크부가 마련되면서 타측에는 연속되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토록 형성되면서 그 일측에 걸림턱이 노출되는 위치결정홈이 클램프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홈에 걸림턱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구비하면서 그 일측에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되는 록커가 클램프몸체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상기 손잡의 일단이 걸려지지토록 스토퍼가 클램프몸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설치되는 클램프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원터치 클램핑 장치{a one touch clamp}
본 발명은 일단에 제1지지체에 걸리는 후크부가 마련되면서 타측에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고정볼트가 클램프몸체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구비하면서 그 일측에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되는 록커가 클램프몸체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어 핸들을 회전시키는 한번의 동작에 의해 제2지지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을 기본적인 급로수단으로 하는 철도시스템에서는 운행하는 철도차량의 방향을 선로 상에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 분기기를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분기기는 철로의 근간을 구성하는 기본레일에 대하여 인력 또는 전기모터, 공유압실린더 등의 외력에 의하여 상대변위가 가변할 수 있는 텅레일을 가동시킴으로써 선로를 변환하고 있다.
종래의 분기기는 기본레일에 대하여 텅레일을 설치하고, 이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접속 및 이탈시킴으로써 레일의 내측 궤도면과 접속하는 철도차량의 차륜이 텅레일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선로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쌍의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선로변경을 하기 위한 가동수단으로서 선로 변경 방향측의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접속 및 이탈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텅레일을 동시에 가동시키도록 연결간을 사용하고, 이 연결간을 레버 등의 수동조작 또는 전기모터 및 공유압실린더에 의한 자동조작으로 선로의 변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기기는 철로 변환의 목적 외에 중요한 기능으로 텅레일을 기본레일에 대하여 가동하여 접속 또는 이탈시켜야 하나 만일 어떤 원인으로 한 쌍의 텅레일을 동시 구동하는 연결간이 절단 또는 파손된 경우에 선로변경 방향을 위하여 접속하는 텅레일이 기본레일에 대하여 견고하게 접속하지 않으면 텅레일과 다른 기본레일이 구성하는 차륜 간의 거리가 철도차량의 표준 차륜간 거리 이상으로 벌어져서 차량이 탈선하게 되는 큰 위험을 가지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등록실용신안 20-0274189에 레일 분기기의 록킹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및 도2에서와 같이, 기본레일의 저부가 고정토록 레일 고정홈(30)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기본레일의 측부와 체결토록 탄성 고정볼트(50)가 결합되며, 상기 기본레일 일측으로 위치되는 텅레일이 고정토록 설치되는 텅레일 고정홈(100)이 형성되며, 그 상측에는 텅레일과 결합토록 결합볼트가 설치되는 볼트 관통홀(120)이 형성되는 텅레일 고정부(9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텅레일 고정부(90)상에 축을 개재하여 제어모터와 연설된 이송바아의 일단이 회동바아(150)와 연결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아(150)와 직각으로 전방에 록킹부(160)가 마련되는 록킹바아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록킹장치는, 텅레일 고정부(90)에는 축을 개재하여 제어모터와 연설된 이송바아의 일단이 회동바아(150)와 연결될 때 상기 회동바아(150)와 직각으로 전방에 록킹부(160)가 마련되는 록킹바아가 설치되어,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모터의 구동시 회동바아(150) 및 이와 직각으로 연설된 록킹바아가 우측으로 회전하여 록킹 프레임부(40)의 록킹바아 삽입홈에 형성된 걸림단턱으로부터 록킹 해제되어 분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록킹장치는, 장치의 크기가 크고 설치비 또한 상당한 것으로 그 설치를 위한 시간 및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록킹작동을 위한 행정이 길어 설치부위의 노출부위가 많고 반복되는 진행과 주행충격으로 고장이 유발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또한, 록킹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외부 동력을 필요로 하여 별도의 동력공급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동작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되어 연결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결합완료시 진동에 의한 분리가 방지토록 되어 결합에 따른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결합위치의 결정이 신속하면서 누구나 신속한 체결이 가능토록 하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단에 제1지지체에 걸리는 후크부가 마련되면서 타측에 연속되는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고정볼트;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토록 형성되면서 그 일측에 걸림턱이 노출되는 위치결정홈이 클램프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홈에 걸림턱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구비하면서 그 일측에 손잡이가 일체로 설치되는 록커가 클램프몸체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며, 상기 손잡의 일단이 걸려지지토록 스토퍼가 클램프몸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탄성설치되는 클램프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진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토퍼는, 그 일측에 경사부를 갖는 고정홈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원주방향에 길게 형성되어 그 일측에 손잡이의 외부노출이 가능토록 노출홈이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나사산과 걸림턱은 동일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어 클램프의 회전시 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나사산의 일측에는 걸림턱과의 접촉이 방지토록 되는 록해제요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록커는 클램프몸체에 돌출되는 브라켓에 축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클램프몸체에는 제2지지체에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의 동작에 의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되어 연결 및 분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하며, 결합완료시 진동에 의한 분리가 방지토록 되어 결합에 따른 신뢰성을 상승시키고, 결합위치의 결정이 신속하면서 누구나 신속한 체결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및 도2는 각각 종래의 레일 분기기 록킹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클램핑 장치에 의해 고정된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클램핑 장치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클램핑 장치에 의해 고정된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클램핑 장치를 도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클램핑 장치의 체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장치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고정볼트(100)와 클램프(20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져 상호 결합을 위한 복수의 지지체 사이의 연결작업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에서 설명드린 바와같은 레일연결구조이어도 되나 일반적인 결합부이어도 된다.
상기 고정볼트(100)는, 텅레일등으로 이루어진 제2지지체(TR)에 밀착되는 레일등의 제1지지체(R)에 걸리도록 하는 후크부(110)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연속되는 복수의 걸림턱(1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200)는, 상기 고정볼트(100)가 삽입토록 클램프몸체(210)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몸체(210)는, 제2지지체(TR)가 걸리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219)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몸체(210)는, 그 일측에 걸림턱(130)이 노출되는 위치결정홈(215)이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결정홈(215)에는, 상기 걸림턱(130)에 대응되는 나사산(251)을 구비하면서 그 일측에 손잡이(253)가 일체로 설치되는 록커(250)가 클램프몸체에 축(255)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클램프몸체(210)는, 그 일측에 손잡이(253)의 일단이 걸려지지토록 하는 스토퍼(270)가 제1스프링(275)을 개재하여 탄성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70)는, 그 일측에 경사부(273a)를 갖는 고정홈(273)이 일체로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나사산(251)과 걸림턱(130)은 동일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어 클램프의 회전시 이동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나사산(251)의 일측에는 걸림턱과의 접촉이 방지토록 되는 록해제요부(257)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커(250)는 클램프몸체에 돌출되는 브라켓(259)에 축(255)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한편, 상기 록커(250)는, 축(255)의 일측면 둘레에 적은 피치를 갖는 래칫휠(257)이 더 구비되어 이에 대응토록 래칫(35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350)은, 상기 클램프몸체의 위치결정홈(215) 일측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60)의 일측에 제2스프링(330)이 개재되는 고정축(310)을 통하여 탄성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3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연결을 원하는 제2지지체(TR)를 제1지지체(R)에 밀착시킨 후 고정볼트(100)의 후크부(110)를 제1지지체(R)의 일측에 상기 고정볼트(100)에 삽입되는 클램프(200)의 돌기부(219)를 제2지지체(TR)의 일측에 각각 걸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100) 및 상기 고정볼트(100)가 삽입토록 되는 클램프(200)는 나사산(251)과 이에 대응되어 치합되는 걸림턱(130)을 통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성으로 손잡이(253)가 회전시 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나사산(251)이 걸림턱(130)을 따라 회전토록 된다.
즉, 상기 나사산(215)이 걸림턱(130)을 따라 회전시 클램프(200) 또는 고정볼트(100)중 어느 하나를 상대 운동시키게 됨으로써 클램프(200)의 돌기부(219)와 고정볼트(100)의 후크부(110)에 걸리는 제2지지체(TR)와 제1지지체(R) 사이를 긴밀하게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몸체(210)는, 그 일측에 걸림턱(130)이 노출되는 위치결정홈(215)이 일측에 형성되어 이에 손잡이(253)가 축(255)으로서 회전토록 연결될 때 손잡이의 나사산이 걸림턱(130)에 치합토록 되어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253)의 회전시 클램프(200)를 중심으로 고정볼트(100)가 이동되는 상태가 되거나 고정볼트(100)를 중심으로 클램프(200)가 이동되어 제2지지체(TR)와 제1지지체(R) 사이를 긴밀하게 결합하게 되며, 상기 제2지지체(TR)와 제1지지체(R) 사이의 결합력은 상기 손잡이(253)를 지지하는 스토퍼(270)에 의해 유지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스토퍼(270)는, 제1스프링(275)을 개재하여 클램프몸체의 일측에 탄성 설치되어 손잡이(253)의 일단이 경사부(273a)를 갖는 고정홈(273)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상기 경사부(273a)는 손잡이는 상향시 빠짐이 방지되는 경사도를 갖도록 되어 스토퍼(27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사산(251)의 일측에는 걸림턱과의 접촉이 방지토록 되는 록해제요부(257)가 일체로 형성되어 클램프(200)가 고정볼트(100)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되어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록커(250)는, 축(255)의 일측면 둘레에 적은 피치를 갖는 래칫휠(257)이 더 구비되어 이에 대응토록 클램프몸체(210)에 래칫(350)이 설치되어 미세한 이동이 가능하면서 위치결정토록 된다.
이때, 상기 래칫(350)은, 상기 클램프몸체의 위치결정홈(215) 일측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60)의 일측에 제2스프링(330)이 개재되는 고정축(310)을 통하여 탄성지지되어 고정축(310)이 파손되어도 래칫(350)이 래칫휠(257)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고정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100...고정볼트 110...후크부
130...걸림턱 200...클램프
219...돌기부 253...손잡이
270...스토퍼

Claims (5)

  1. 제1지지체(R)에 걸리도록 하는 후크부(110)가 일측에 구비되면서 타측에는 연속되는 복수의 걸림턱(130)이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볼트(100);
    상기 고정볼트(100)가 삽입토록 클램프몸체(210)를 갖는 클램프(200)의 조립구조로 이루어 지며,
    상기 클램프몸체(210)는,
    a) 제2지지체(TR)가 걸려지는 하나 이상의 돌기부(219)가 일체로 형성되고,
    b) 일측에 걸림턱(130)이 노출되는 위치결정홈(215)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홈(215)에는, 상기 걸림턱(130)에 대응되는 나사산(251)을 구비하면서 그 일측에 손잡이(253)가 일체로 설치되는 록커(250)가 클램프몸체에 축(255)을 통하여 회전가능토록 연결되고,
    c) 일측에 손잡이(253)의 일단이 걸려지지토록 하는 스토퍼(27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원터치 클램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70)는, 그 일측에 경사부(273a)를 갖는 고정홈(273)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제1스프링을 개재하여 클램프몸체의 일측에 탄성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250)는, 나사산(251)의 일측에는 걸림턱과의 접촉이 방지토록 되는 록해제요부(257)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250)는, 클램프몸체에 돌출되는 브라켓(259)에 축(255)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250)는 축(255)의 일측면 둘레에 적은 피치를 갖는 래칫휠(257)이 더 구비되면서 이에 대응토록 클램프몸체에 래칫(350)이 구비되고,
    상기 래칫(350)은, 상기 클램프몸체의 위치결정홈(215) 일측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턱(260)의 일측에 제2스프링(330)이 개재되는 고정축(310)을 통하여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클램핑 장치
KR1020110043367A 2011-05-09 2011-05-09 원터치 클램핑 장치 KR101139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67A KR101139227B1 (ko) 2011-05-09 2011-05-09 원터치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367A KR101139227B1 (ko) 2011-05-09 2011-05-09 원터치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227B1 true KR101139227B1 (ko) 2012-04-26

Family

ID=4614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367A KR101139227B1 (ko) 2011-05-09 2011-05-09 원터치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97B1 (ko) * 2013-06-07 2015-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유도상궤도의 도상자갈 측방유동 방지 펜스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978Y1 (ko) * 1984-12-27 1987-06-03 주식회사금성사 크램프(Clamp)폭 조절형 간이 바이스
KR930002686Y1 (ko) * 1991-09-11 1993-05-19 김진수 가변레일 고정장치의 압착봉
US20090294546A1 (en) 2008-05-23 2009-12-03 Bedford W Bradley Two-piece rail seal clip and tool for installing same
WO2010033900A2 (en) 2008-09-19 2010-03-25 Portec Rail Products, Inc. Wiping bar quick clam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978Y1 (ko) * 1984-12-27 1987-06-03 주식회사금성사 크램프(Clamp)폭 조절형 간이 바이스
KR930002686Y1 (ko) * 1991-09-11 1993-05-19 김진수 가변레일 고정장치의 압착봉
US20090294546A1 (en) 2008-05-23 2009-12-03 Bedford W Bradley Two-piece rail seal clip and tool for installing same
WO2010033900A2 (en) 2008-09-19 2010-03-25 Portec Rail Products, Inc. Wiping bar quick c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797B1 (ko) * 2013-06-07 2015-07-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유도상궤도의 도상자갈 측방유동 방지 펜스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717B2 (en) Towing device of automatic guided vehicle and automatic guided vehicle having the same
US10099627B2 (en) Roof mounted bike carrier
US8839921B2 (en) Pressure plate assembly and method for power transmission
RU2012143615A (ru) Система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и направляющ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указанной системы
CN103391872B (zh) 用于对轨道手动制动器的应用状态进行感应的装置和方法
KR101139227B1 (ko) 원터치 클램핑 장치
CN204771480U (zh) 一种自动打螺丝装置
CN102781196A (zh) 一种服务器用滑轨免工具安装前支架
DK1686314T3 (da) Indretning til fastgörelse af et armatur på en rumfast flade
KR101490154B1 (ko) 전차선용 홀딩장치
TW201634329A (zh) 騎馬式自行車
KR101246565B1 (ko) 선로전환기의 밀착쇄정장치
CN104386196A (zh) 刹车装置
KR100738591B1 (ko) 분기기용 잠금장치
CN110565339B (zh) 用于洗衣机的底脚固定装置及衣物处理设备
JPH0537673U (ja) カンチレバー形キヤリパーブレーキ
CN210653517U (zh) 刹车辅助控制机构和车辆
KR20220010546A (ko) 캐스터의 브레이크 장치
CN210062771U (zh) 一种拉臂钩限位装置
KR20090030747A (ko) 노브 어셈블리
KR101819559B1 (ko) 트램 분기기용 선로전환장치
CN102490135A (zh) 桥形触头机构的装配夹具及其使用方法
CN204077637U (zh) 一种手刹制动装置及装有该手刹制动装置的收割机
CN105252476A (zh) 一种夹具快速更换装置
CN205931138U (zh) 自行车刹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