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076B1 - 메모리 장치 및 파일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모리 장치 및 파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076B1
KR101139076B1 KR1020107005030A KR20107005030A KR101139076B1 KR 101139076 B1 KR101139076 B1 KR 101139076B1 KR 1020107005030 A KR1020107005030 A KR 1020107005030A KR 20107005030 A KR20107005030 A KR 20107005030A KR 101139076 B1 KR101139076 B1 KR 10113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management
management information
data
mem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518A (ko
Inventor
다까시 오시마
찌까라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52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3Management of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e.g. by using checking codes
    • G06F11/10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 G06F11/100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 G06F11/1068Adding special bi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e.g. parity check, casting out 9's or 11's in individual solid state devices in sector programmable memories, e.g. flash di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47File system types specifically adapted to static storage, e.g. adapted to flash memory or SS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8Saving storage space on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FAT(5a) 및 백업 정보로서의 FAT(5b)를 포함한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를 사용하는 FAT 파일 시스템을 채용한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에 응답하여, 불휘발성 영역으로서 NAND 플래쉬 메모리(12)를 포함한 메모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컨트롤러(11)는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FAT(18)을 사용하여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처한다.

Description

메모리 장치 및 파일 시스템{MEMORY DEVICE AND FILE SYSTEM}
본 발명은 파일 관리시 메모리 영역의 소비 등을 감소시키는 메모리 장치 및 파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된 메모리 시스템(51)이 사용된다. 메모리 시스템(51)은, 버스를 통해서 접속되는 호스트 장치와 프로토콜을 주고받는 컨트롤러(52)와, 데이터를 유지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을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 시스템(51)이, 예를 들어 FAT(file allocation table)을 베이스로 한 FAT 파일 시스템인 경우,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은 사진 및 파일 등의 유저 데이터, 이 유저 데이터의 파일 정보를 관리하는 FAT 파일 시스템 데이터, 컨트롤러(52)에 의해 관리 동작을 행하기 위한 관리 정보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이로 인해, 메모리 시스템(51)은, 기억 용량이 기억 용량의 값보다 큰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을 필요로 한다.
도 7은 호스트 장치(54)를 포함한 종래의 FAT 파일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다. 종래의 FAT 파일 시스템에 있어서는, 호스트 장치(54)는, 메모리 시스템(51)으로부터 판독되고 메모리 시스템(51)에 대해 기입하는 데이터를 파일로서 관리하기 위한 동일한 정보(이하, 파일 관리 정보라고 함)를 복수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호스트 장치(54)는 파일 관리 정보를 다중화해서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54)는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호스트측 제1 FAT(55a) 및 이 호스트측 제1 FAT(55a)의 백업(카피) 정보로서의 호스트측 제2 FAT(55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당연히 호스트측 제2 FAT(55b)의 데이터와 호스트측 제1 FAT(55a)의 데이터는 같은 데이터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호스트 장치(54)는, 다중화한 호스트측 제1 FAT(55a)과 호스트측 제2 FAT(55b)의 파일 관리 정보에 따라 메모리 시스템(51)에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를 행한다.
이에 따라서, 메모리 시스템(51)의 컨트롤러(52)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에, 호스트측 제1 FAT(55a)과 호스트측 제2 FAT(55b)에 각각 대응하는 파일 관리 정보로서 메모리측 제1 FAT(56a)과 메모리측 제2 FAT(56b)을 생성한다.
종래예에 있어서는, 메모리측 제1 FAT(56a)과 메모리측 제2 FAT(56b)이 FAT 파일 시스템 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측 제1 FAT(56a)과 메모리측 제2 FAT(56b)은, 호스트 장치(54)측으로부터의 판독/기입(참조/재기입)의 빈도가 높고, 고속화를 위해 캐쉬 등을 사용해서 컨트롤러(52)에 의해 관리되는 일이 많다.
따라서, 메모리측 제1 FAT(56a)과 메모리측 제2 FAT(56b)은, 본래의 메모리측 제1 FAT(56a)과 메모리측 제2 FAT(56b)만의 데이터와 같은 크기의 유저 데이터보다, 많은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을 소비하고 있는 것이 많다.
소형화 및 대용량에 적합한 NAND 플래쉬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을 형성했을 경우, 컨트롤러(52)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항상 여유분(margin)으로서 사용가능한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항상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불휘발성 기억 영역의 감소는 메모리 시스템(51)의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최근, 불휘발성 기억 영역의 프로세스의 미세화에 의해, 불휘발성 기억 영역 자체의 불량도 수적으로 증가하였고, 메모리 시스템(51)에서 사용가능한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이 감소하여 왔다. 따라서, 컨트롤러(52)가 그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의 소비를 억제하여, 컨트롤러(52)가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 또는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기대된다.
한편,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5-339628호에는, 소정의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지 않는 기록 영역을 활용하기 위해서, 그 기록 영역에 디렉토리를 백업하는 용량이 존재할 경우에는 디렉토리의 백업을 행하고,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렉토리의 백업을 행하지 않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5-339628호는, 가능한 한 디렉토리의 백업을 행하려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 즉 불휘발성 기억 영역(53)의 감소 또는 소비로 인해 컨트롤러(52)가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상태를 개선 또는 해소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휘발성 기억 영역의 소비를 제어할 수 있고,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를 사용해서 파일 관리를 행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처할 수 있는 메모리 장치 및 파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메모리 장치는, 데이터를 재기입 가능하게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고,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생성하며,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외부 호스트 장치 - 상기 외부 호스트 장치는 백업 정보를 포함하도록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를 생성하며,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됨 - 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판독/기입 지시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재기입 가능하게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와, 백업 정보를 포함하도록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가 기억 영역에 생성되는 호스트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하는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고,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생성하며,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판독/기입 지시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휘발성 기억 영역의 소비를 제어하고,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이 호스트 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제1 구성예의 경우의 동작의 설명도.
도 3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제2 구성예의 경우의 동작의 설명도.
도 4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제3 구성예의 경우의 동작의 설명도.
도 5는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하여 데이터의 기입 및 다른 동작 등을 행할 경우의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종래예의 메모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종래예의 FAT 파일 시스템에 의한 메모리 시스템의 관리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메모리 장치에 채용되어 있는 메모리 시스템(1)이 호스트 장치(2)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호스트 장치(2)는, 메모리 시스템(1)의 데이터를 파일로서 관리하는 파일 관리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어 FAT(file allocation table)을 파일 관리 정보로서 사용하는 FAT 파일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 퍼스널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는 호스트 장치(2)는, FAT 파일 시스템을 사용해서 메모리 시스템(1)을 관리하는 호스트 컨트롤러(4)와, 메모리 시스템(1)을 관리하기 위한 파일 관리 정보 등을 저장하는 파일 정보 기억 수단으로서의 예를 들어 호스트 메모리(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파일 정보 기억 수단은, 호스트 메모리(5)가 아니라,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FAT 파일 시스템에 있어서는, 호스트 장치(2)의 호스트 컨트롤러(4)는, 호스트 메모리(5)에, 다중화한 파일 관리 정보로서, 호스트측 제1 FAT(5a)과, 이 호스트측 제1 FAT(5a)의 백업(카피) 정보로서의 호스트측 제2 FAT(5b)을 형성해서 메모리 시스템(1)을 관리한다. 이하에서는, 호스트측 제1 FAT(5a)을 단순히, FAT(5a)라고 약기한다(호스트측 제2 FAT(5b)도 마찬가지로 약기).
도 1에서는 2중화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FAT 파일 시스템의 사양으로 인해, 3중화 이상을 구현하도록 호스트측 제3 FAT 등을 호스트 메모리(5)에 형성해도 된다.
한편, 이 FAT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 호스트 장치(2)에 의해 관리(제어)되는 메모리 시스템(1)은, 소정의 프로토콜을 가지고 호스트 컨트롤러(4)와 통신을 행하는 컨트롤러(11)와, 이 컨트롤러(11)의 제어하에서, 데이터의 판독/기입(또는 참조/기입)이 가능한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NAND 플래쉬 메모리(12)를 포함한다.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형성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NAND 플래쉬 메모리(12)를 채용함으로써, NOR 플래쉬 메모리의 경우보다도 작은 크기로 기억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구비한다.
컨트롤러(11)는 그 컨트롤러(11) 내의 구성 요소들의 제어 및 NAND 플래쉬 메모리(12)에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제어를 행하는 CPU(13)를 포함한다.
또한, 컨트롤러(11)은, 호스트 컨트롤러(4)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인터페이스(제1 I/F로 약기)(14)와, NAND 플래쉬 메모리(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타 전송을 행하는 제2 인터페이스(제2 I/F로 약기)(15)와,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RAM(16)과, 오류 정정 등에 사용되는 메모리로서의 SRAM(17)을 포함하고 있다.
SRAM(17)은, 호스트 컨트롤러(4)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경우에 CPU(13)에 의해 사용가능하며, NAND 플래쉬 메모리(12)에 대해 데이터를 판독/기입할 경우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호스트 장치(2)가 파일 관리 정보를 다중화해서 관리하는 FAT 파일 시스템을 사용한다. 메모리 시스템(1)은, NAND 플래쉬 메모리(12)에, 백업 정보를 갖지 않는(다중화 되어 있지 않은)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FAT(18)을 포함한다.
컨트롤러(11)의 CPU(13)는, 다중화 되어 있지 않는, 즉 상기와 같이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FAT(18)에 의해,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처하는 제어를 행하는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13a)의 기능을 포함한다.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FAT(18)을 생성함으로써,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형성하는 NAND 플래쉬 메모리(12)의 기억 영역이 다중화(백업 정보)로 인해 소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NAND 플래쉬 메모리(12)의 기억 영역이 저감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CPU(13)는, 호스트 컨트롤러(4)로부터 NAND 플래쉬 메모리(12)에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관한 지시를 받았을 경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FAT(18)을 사용해서 판독/기입 처리를 제어한다. 판독/기입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CPU(13)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ROM에 저장되고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NAND 플래쉬 메모리(12)에 저장해도 된다.
메모리 시스템(1)이 호스트 장치(2)에 장착되고 호스트 장치(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CPU(13)는 ROM의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이 프로그램을 따른 제어 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NAND 플래쉬 메모리(12)에 있어서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캐쉬 영역(19)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특히 데이터 재기입의 처리에 대하여 고속의 대응을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백업 정보를 포함한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FAT(5a) 및 FAT(5b)에 의해 관리되는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에 대응하여, 다중화 되어 있지 않은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FAT(18)에 의해 판독/기입에 대처하는 복수의 구성예를 생각할 수 있다.
제1 구성예에 있어서는, CPU(13)는, FAT(18)을 FAT(5a)에만 관련시켜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에 대처한다. 도 2는, 제1 구성예의 메모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한 동작의 개략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장치(2)는, 메모리 시스템(1)의 파일을 관리하기 위해서 다중화된 FAT(5a) 및 FAT(5b)를 생성한다. 한편, 메모리 시스템(1)은, 그 메모리 시스템(1)의 불휘발성 기억 영역으로서의 NAND 플래쉬 메모리(12) 중에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FAT(18)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한 호스트 장치(2)로서의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에 의해, 호스트 장치(2)로부터 메모리 시스템(1)에 대하여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가 발생한다.
메모리 시스템(1)의 컨트롤러(11)(실제적으로 CPU(13))은, 호스트 장치(2)로부터 FAT(5a) 및 그 FAT(5a)의 백업 정보로서의 FAT(5b)에 대응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에 응하여, 도 2의 굵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FAT(5a)에만 FAT(18)을 관련시키는 제어 동작, 즉 판독/기입을 행한다.
한편, FAT(5b)에 대응한 판독의 지시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1)는, 도 2의 굵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FAT(18)의 파일 관리 정보를 되돌리고, 기입의 지시에 대하여는, 그 기입 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기입의 지시를 무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스트 장치(2)로부터 FAT(5a)에 관한 데이터의 기입의 지시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컨트롤러(11)는 NAND 플래쉬 메모리(12)에 의해 지시된 데이터를 기입한다. 그 데이터가, 파일의 파일 관리 정보인 경우에는, 컨트롤러(11)은 FAT(18)의 파일 관리 정보 부분을 기입하고, FAT(18)의 내용은 변경된다.
마찬가지로, 호스트 장치(2)로부터 FAT(5a)의 데이터의 판독의 지시에 응답해서, 컨트롤러(11)는 NAND 플래쉬 메모리(12)로부터 지시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경우, 그 판독을 위해 지시된 데이터가 FAT(18)에 기억된 파일 관리 정보인 경우에는, 컨트롤러(11)는 그 FAT(18)의 파일 관리 정보를 판독(참조)한다. 그리고나서, 컨트롤러(11)는 판독한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로 송신한다.
호스트 장치(2)는, 컨트롤러(11)로부터 송신된 파일 관리 정보가 FAT(5a)의 이전의 것과 다른 경우에는, FAT(5a)의 파일 관리 정보를 갱신한다.
호스트 장치(2)로부터 FAT(5a)의 백업 정보로서의 FAT(5b)에 관한 데이터의 판독의 지시에 응답해서, 컨트롤러(11)는, FAT(5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지시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나서, 컨트롤러(11)는 판독한 정보를 호스트 장치(2)로 송신한다.
호스트 장치(2)로부터 FAT(5b)에 관한 데이터의 기입의 지시에 응답하여, 컨트롤러(11)는 그 데이터의 기입의 제어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메모리 시스템(1)의 컨트롤러(11)는, 상기와 같이,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를 사용해서 파일 관리를 행하는 호스트 장치(2)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처한다. 이 판독/기입 대처의 결과로, 메모리 시스템(1)은, 호스트 장치(2)와 같이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를 생성하지 않는다, 메모리 시스템(1)은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이 파일 관리 정보에 의해,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처한다. 따라서, 불휘발성 기억 영역이 다중화 때문에 소비되어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제어하고, 불휘발성 기억 영역이 다중화 때문에 감소되어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지시에 대응하는 처리량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를 다중화했을 경우보다 고속 처리가 가능해진다.
제2 구성예로서, CPU(13)은, FAT(18)을 FAT(5a)에만 관련시키고,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에 대처한다. 도 3은, 제2 구성예의 메모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한 동작의 개략을 나타낸다.
도 3의 동작은, 도 2의 동작에 있어서, FAT(5a)와 FAT(5b)를 교체한 동작에 해당한다. 따라서, 그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의 효과는, 제1 구성예의 경우와 같다.
제3 구성예로서, CPU(13)은, FAT(18)을 FAT(5a)와 FAT(5b)의 양쪽 모두에 관련시켜서,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에 대처한다. 도 4는, 이 제3 구성예의 메모리 시스템(1)에 있어서의 호스트 장치(2)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한 동작의 개략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호스트 장치(2)로부터 FAT(5a)에 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에 응답하여, CPU(13)은, FAT(18)에 의해 그 지시에 따른 판독/기입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호스트 장치(2)로부터 FAT(5b)에 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의 지시에 응답하여, CPU(13)은, FAT(18)에 의해 그 지시에 따른 판독/기입을 행한다.
이 경우에도, 불휘발성 기억 영역이 다중화 때문에 소비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호스트 장치(2)로부터 가장 최근에 지시된 파일 관리 정보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호스트 장치(2)측이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를 사용해서 파일 관리를 행하는 것에 대해서, 메모리 시스템(1)측의 컨트롤러(11)는, 그 다중화를 해제하여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에 의해 파일 관리를 행한다. 따라서, 이하와 같이 에러 정정 코드(ECC)를 부가해서 파일 관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5는, 예를 들어 제3 구성예의 경우에 대하여,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파일 관리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FAT(18)의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FAT 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에도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데이터를 기입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초의 스텝 S1에 있어서, 컨트롤러(11)의 CPU(13)는 호스트 컨트롤러(4)로부터의 지시를 기다린다.
호스트 컨트롤러(4)로부터 지시를 수신하면, CPU(13)은, 그 지시가 스텝 S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의 기입인지 또는 스텝 S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의 판독인지의 판정을 행한다.
스텝 S2의 판정에 있어서 CPU(13)은, 그 지시가 데이터의 기입의 지시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시된 데이터에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하고 그 데이터를 NAND 플래쉬 메모리(12)에 기입한다.
CPU(13)은, 지시된 데이터가 FAT(18)에 기입하는 파일 관리 정보로서의 FAT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 FAT 데이터에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FAT 데이터의 기입을 행한다.
지시된 데이터가 FAT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CPU(13)는, 그 데이터에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동시에, 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FAT 데이터에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FAT 데이터의 기입을 행한다(변형예로서, FAT 데이터인 경우에만,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나서, 스텝 S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3)는, 기입의 동작 완료를 호스트 장치(2)의 호스트 컨트롤러(4)에 통지하고, 이 기입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2의 판정에서 지시가 기입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3에 있어서 CPU(13)는 그 지시가 데이터의 판독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지시가 데이터의 판독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스텝 S6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3)은 데이터를 판독하고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한다. 스텝 S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3)은 그 데이터를 호스트 장치(2)의 호스트 컨트롤러(4)에 송신하고 이 판독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3의 판정 처리에 있어서 그 지시가 판독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도 5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파일 관리를 행함으로써, 다중화하지 않고 FAT(18)에 의해 파일 관리를 행하는 경우에도, 에러 정정 코드의 부가에 의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에러 정정 코드의 부가에 의해, 부가하지 않을 경우보다도 기억 영역이 더 소비된다. 그러나, 다중화할 경우의 데이터량에 비교하면, 소비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의 처리를, 제1 구성 또는 제2 구성의 경우에 적용해도 된다.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할 경우, 그 에러 정정 기능 및 정정 능력을 유저가 선택 및 설정할 수 있게 해도 된다.
캐쉬 영역(19)을 사용해서 재기입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의 기입에 대처하면, 데이터의 재기입시에 블록 소거 등을 행하는 일없이, 고속으로 데이터의 재기입을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FAT 파일 시스템을 채용한 호스트 장치(2)를 설명했지만, 호스트 장치(2)가 다중화해서 파일을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NTFS(New Technology File System) 및 Ext(Second Extended File System) 등의 파일 시스템의 경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및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메모리 장치의 파일 관리에 적용할 수 있다.
본원은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서 일본에서 2007년 9월 6일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07-231819호를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일본특허출원의 개시 내용은 본원 명세서 및 본원 특허청구범위에 원용되어 있다.

Claims (20)

  1. 메모리 장치로서,
    데이터를 재기입 가능하게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고,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생성하며,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외부 호스트 장치 - 상기 외부 호스트 장치는 백업 정보를 포함하도록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를 생성하며, 파일 시스템에 의해 관리됨 - 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판독/기입 지시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가 제1 파일 관리 정보와,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의 백업 정보로서의 제2 파일 관리 정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에만 관련시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 내에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이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만,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의 판독/기입의 제어를 행하는, 메모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지시가 상기 제2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 대하여는,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기입 지시가 상기 제2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 대하여는, 실질적으로 아무것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의 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메모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가 파일 관리 정보의 기입 지시인 경우,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메모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NAND 플래쉬 메모리로 형성되는, 메모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의 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메모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NAND 플래쉬 메모리로 형성되는, 메모리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의 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메모리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NAND 플래쉬 메모리로 형성되는, 메모리 장치.
  11. 파일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를 재기입 가능하게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와,
    백업 정보를 포함하도록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가 기억 영역에 생성되는 호스트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하는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고,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생성하며,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의 판독/기입 지시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파일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메모리에 생성되는 상기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가 제1 파일 관리 정보와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의 백업 정보로서의 제2 파일 관리 정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에만 관련시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 내에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이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만,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의 판독/기입의 제어를 행하는, 파일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지시가 상기 제2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 대하여는,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기입 지시가 상기 제2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 대하여는, 실질적으로 아무것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파일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의 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파일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NAND 플래쉬 메모리로 형성되는, 파일 시스템.
  16. 파일 시스템으로서,
    데이터를 재기입 가능하게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 영역을 갖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와,
    데이터를 재기입 가능하게 기억하는 기억 영역을 포함하는 호스트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제어하는 호스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호스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에 의해, 백업 정보를 포함하도록 다중화된 복수의 파일 관리 정보가 상기 기억 영역에 생성되고, 상기 메모리 장치에 의해,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하나의 파일 관리 정보가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생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판독/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생성된 파일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판독/기입에 대응하는 제어를 행하는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메모리에 생성되는 상기 다중화된 파일 관리 정보가 제1 파일 관리 정보와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의 백업 정보로서의 제2 파일 관리 정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에만 관련시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기입이 상기 제1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만,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의 판독/기입의 제어를 행하는, 파일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관리 정보 제어부는,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지시가 상기 제2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 대하여는, 상기 백업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파일 관리 정보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기입 지시가 상기 제2 파일 관리 정보에 해당할 경우에 대하여는, 실질적으로 아무것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파일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데이터의 기입 지시에 응답하여,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해서 상기 불휘발성 기억 영역에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파일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NAND 플래쉬 메모리로 형성되는, 파일 시스템.
KR1020107005030A 2007-09-06 2008-09-03 메모리 장치 및 파일 시스템 KR101139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1819A JP2009064263A (ja) 2007-09-06 2007-09-06 メモリ装置
JPJP-P-2007-231819 2007-09-06
PCT/JP2008/066265 WO2009031689A1 (en) 2007-09-06 2008-09-03 Memory device and fil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518A KR20100052518A (ko) 2010-05-19
KR101139076B1 true KR101139076B1 (ko) 2012-04-30

Family

ID=4042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5030A KR101139076B1 (ko) 2007-09-06 2008-09-03 메모리 장치 및 파일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41677A1 (ko)
EP (1) EP2186009A1 (ko)
JP (1) JP2009064263A (ko)
KR (1) KR101139076B1 (ko)
CN (1) CN101796495A (ko)
WO (1) WO20090316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550A (ko) * 2013-12-24 2015-07-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3577B2 (ja) * 2006-05-16 2011-04-06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データ記憶装置およびこの初期化方法
TWI431464B (zh) * 2009-04-29 2014-03-21 Micro Star Int Co Ltd Computer system with power control and power control method
JP2011118623A (ja) * 2009-12-02 2011-06-16 Canon Inc データ同期装置
CN103577574B (zh) * 2013-11-05 2017-02-08 中船重工(武汉)凌久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nand flash的高可靠线性文件系统
CN103577121B (zh) * 2013-11-05 2016-07-06 中船重工(武汉)凌久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Nand Flash的高可靠线性文件存取方法
CN103678182A (zh) * 2013-12-10 2014-03-26 惠州华阳通用电子有限公司 一种提高车机系统数据安全的掉电保护方法及系统
CN103870364B (zh) * 2014-03-31 2017-10-24 北京工业大学 一种基于时间戳的yaffs2文件最终版恢复方法
CN104007939A (zh) * 2014-06-23 2014-08-27 深圳供电局有限公司 用于小文件频繁写入的嵌入式fat文件系统及方法
US11372812B2 (en) * 2018-10-08 2022-06-28 Silicon Motion, Inc. Mobile device and method capable of earlier determining that a number of files in a directory of an external connected storage device is about to full
JP7226394B2 (ja) * 2020-05-22 2023-02-21 株式会社デンソー 録画装置および録画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119A (ja) * 2004-01-30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媒体
JP2005339628A (ja) * 2004-05-25 2005-12-08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読み出し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133923A (ja) * 2004-11-04 2006-05-25 Sony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8086B1 (en) * 1998-07-13 2002-08-20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00287169A (ja) * 1999-03-30 2000-10-13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音声多重記録装置
US7340153B2 (en) * 2000-01-11 2008-03-04 Hitachi,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JP4114318B2 (ja) * 2000-12-26 2008-07-0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5136537A (ja) * 2003-10-29 2005-05-26 Sony Corp ファイル記録装置、ファイル再生装置、ファイル編集装置、ファイル記録方法、ファイル再生方法、ファイル編集方法、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編集方法のプログラム、ファイル記録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再生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ファイル編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記録媒体
JPWO2005103903A1 (ja) * 2004-04-20 2007-08-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
JP2006039966A (ja) * 2004-07-27 2006-02-09 Toshiba Corp メモリカードおよびメモリカードに搭載されるカード用コントローラ並びにメモリカードの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6119A (ja) * 2004-01-30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媒体
JP2005339628A (ja) * 2004-05-25 2005-12-08 Sony Corp 記録装置および方法、読み出し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133923A (ja) * 2004-11-04 2006-05-25 Sony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記録媒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4550A (ko) * 2013-12-24 2015-07-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KR102156222B1 (ko) 2013-12-24 2020-09-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1689A1 (en) 2009-03-12
EP2186009A1 (en) 2010-05-19
JP2009064263A (ja) 2009-03-26
US20100241677A1 (en) 2010-09-23
KR20100052518A (ko) 2010-05-19
CN101796495A (zh)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076B1 (ko) 메모리 장치 및 파일 시스템
US8489850B2 (en) Memory apparatus and memory control method
US20080028132A1 (en) Non-volatile storage device, data storage system, and data storage method
JP2005301591A (ja) 不揮発性メモリを備えた装置及びメモリコントロ−ラ
JP2011022657A (ja) 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57485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8198310A (ja) ビットエラーの修復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5592478B2 (ja) 不揮発性記憶装置及びメモリコントローラ
JP4745465B1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
JP4843222B2 (ja) 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メモリカード、及びホスト機器
JP5874525B2 (ja) 制御装置、記憶装置、記憶制御方法
US99488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mory management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using discretely arranged blocks in prioritizing information
JP2009032305A (ja) 情報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308780B2 (ja) 半導体メモリ装置、メモリコントローラ及びデータ記録方法
JPH07121444A (ja) 補助記憶装置
JP2007233838A (ja) メモリ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19199059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62452A (ja) 記録デバイスのキャッシュ方法および記録装置
JP5533141B2 (ja) 書き込み装置、書き込み方法、及び書き込みプログラム
JP2010003150A (ja) メモリコントローラおよびフラッシュメモリのデータ管理方法
JP2011175666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半導体記憶装置の制御方法
CN102096612A (zh) 嵌入式设备参数保存方法及装置
US7634612B2 (en)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JP2006127268A (ja) 情報処理装置
JP2006127287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