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173B1 -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173B1
KR101138173B1 KR1020100118175A KR20100118175A KR101138173B1 KR 101138173 B1 KR101138173 B1 KR 101138173B1 KR 1020100118175 A KR1020100118175 A KR 1020100118175A KR 20100118175 A KR20100118175 A KR 20100118175A KR 101138173 B1 KR101138173 B1 KR 101138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information
lamp
amount
high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읍
Original Assignee
김성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읍 filed Critical 김성읍
Priority to KR102010011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8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involving trading of energy or energy transmission righ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조명등에 할당된 전력측정기로부터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와, 상기 고효율 조명등에 대응되는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전력 절감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절감량과 현재 전력원가를 이용하여 전력 절감액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으로서,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 조명등에 대비한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액을 산출하고, 전력 절감액에 일정 요율을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청구 및 수수함에 따라 고효율 조명등의 초기 공급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전력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reducing power of high efficiency light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조명등에 비해 전력을 절감할 수 있고 고효율 조명등의 초기 공급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 보안등,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 등과 같은 에너지 효율이 낮은 기존 조명등을 고효율의 LED 조명등으로 교체할 경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설치된 LED 조명등의 종류 및 사용시간이 항상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전력 절감액을 계산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조명등의 종류가 다양하고 사용시간이 일정치 않을 경우에는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감된 전력량에 대하여 사용자 측에서 확인이 불가능하여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조명등에 대비한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액을 산출하고 이에 요율을 적용한 금액을 사용자 측에 청구 및 수수함에 따라 고효율 조명등의 초기 공급가격을 낮출 수 있고 전력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효율 조명등에 할당된 전력측정기로부터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와, 상기 고효율 조명등에 대응되는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전력 절감량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절감량과 현재 전력원가를 이용하여 전력 절감액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으로서,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요율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어 적용되고, 상기 청구금액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공급업체 측에 지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측정기는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소비시간을 더 측정하고, 상기 전력 절감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소비시간과 동일한 시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통해 상기 전력 절감량을 계산하되, 상기 전력 절감액을 월 단위로 누계하여 계산하고, 상기 표시 단계는, 현재까지 누적된 적산 전력량 정보와 적산 전력 소비시간 정보, 상기 월 단위로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 상기 청구금액 정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 각각의 정보에 대한 월별 통계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효율 조명등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전력측정기는 복수 개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전력측정기별 할당된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정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개별 고유코드 정보, 상기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 그리고 상기 고효율 조명등을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전력측정기별 할당된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하여 상기 전력측정기 측에 전송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측정기로부터, 상기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하여 수신하여 상기 고유코드별로 각각의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현재 전력원가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전력 절감액을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청구금액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공급업체 측에 지급되도록 금융기관 서버에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자 별 상기 전력 절감액을 포함한 전력사용 정보를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유무선 접속된 사용자에게 해당 전력 사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단계는,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와 목표 절감액 정보를 더 표시하고,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이 상기 목표 절감액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셧다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전력측정기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셧다운을 제어하도록, 상기 명령을 상기 전력측정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효율 조명등에 할당되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소비시간과 소비전력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전력측정기와, 상기 전력측정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와 비교하여 전력 절감량 정보를 계산하고 전송하며,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으로서,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하여 상기 청구금액을 계산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측에 상기 현재 전력원가와 상기 청구금액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청구금액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공급업체 측에 지급되도록 금융기관 서버에 통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와 목표 절감액 정보를 더 표시하고, 상기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이 상기 목표 절감액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전력측정기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셧다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셧다운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전력측정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기존 조명등에 대비한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액을 산출하고, 전력 절감액에 일정 요율을 적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수함에 따라 고효율 조명등의 초기 공급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전력 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부에 나타내는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상기 고효율 조명등이란 에너지 효율이 낮은 기존 조명등(ex, 가로등, 보안등, 형광등, 백열등, 할로겐등)에 비해 효율이 우수한 LED 조명등, 무전극 램프, CDM(세라믹 메탈 헬라이드), CPO(코스모폴리스램프) 등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기 LED 조명등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시스템은 상기 LED 조명등(10)의 임대 공급 사업에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장을 고려한다면, 기존 조명등에 비하여 고가의 특성을 갖는 LED 조명등을 직접 구매 및 교체하는 것이 부담된다. 따라서, LED 조명등(10)의 공급업체(20) 측에서는 LED 조명등(10)을 사용자 측에 임대하여 LED 조명등(10)의 초기 공급가격을 낮추게 되고, LED 조명등(10)의 사용에 따른 전력 절감액의 일부를 사용자로부터 수수받아 이익을 창출하면서 사용자에게는 전력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LED 조명등(10)을 임대 공급하는 공급업체(20)와 LED 조명등(10)을 공급받은 사용자 상호 모두에게 이익의 창출이 가능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공급업체(20)는 LED 조명등(10)의 공급과 관련된 업체 즉, 제품의 공급, 교체, 설치 등에 참여하는 업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LED 조명등의 임대 공급에 따른 비즈니스 활용을 그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용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전력측정기(100),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그리고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전력측정기(100)는 사용자 측에 임대한 LED 조명등(10)에 할당되는 것으로서, 타이머부(110), 메모리부(120), 송신부(130), 측정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부(140)는 상기 LED 조명등(10)의 전력 소비시간과 소비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송신부(130)는 상기 측정부(140)의 측정된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측으로 무선 전송한다.
전력측정기(100)와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상호 일정 시간 간격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각각의 정보를 송수신한다. 만약, 송신부(130)의 전송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ASK)이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지 않으면, 메모리부(120)는 응답이 없는 해당 전송 정보를 임시로 기록해 두고 이후 재전송을 반복 시도한다. 물론, 재전송이 성공되면 해당 정보의 기록을 삭제한다.
그리고, 타이머부(110)는 실제로 LED 조명등(10)이 켜져서 사용된 시간 즉, 실제 전력 소비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는 추후 LED 조명등(10)의 실제 전력 소비시간과 동일한 시간 기준으로 계산된 기존 조명등의 전력 소비량과의 비교를 위한 것이다.
상기 전력측정기(100)는 각각의 LED 조명등(10)마다 개별 할당되거나, 여러 개의 LED 조명등(10)에 공동으로 할당될 수 있다. 즉, 전력측정기(100)와 LED 조명등(10)은 1:1 또는 1:N(2 이상의 자연수)로 존재할 수 있다.
만약, 사용되는 복수 개의 LED 조명등(10)들이 모두 동일 용량(소비전력)인 경우에는 전력측정기(100)를 한 대만 사용하여 전력측정기(100)의 사용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경우에는 분전반 측에 전력측정기(100)를 한 개만 설치하여 한번에 측정한다.
만약, 다른 용량의 LED 조명등(10)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 용량의 LED 조명등(10)들 마다 전력측정기(100)를 각각 설치하여 개별 센싱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동일 용량의 LED 조명등(10)들에 대응되는 스위치마다 전력측정기(100)를 개별 설치한다. 이러한 경우, 최후단에 위치한 전력측정기(100)를 라우터로 설정하여 자신의 정보 및 나머지 전력측정기(100)들의 정보를 취합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상기 전력측정기(100)로부터 무선 전송받은 상기 LED 조명등(10)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와 비교하여 전력 절감량 정보를 계산하고 전송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상기 LED 조명등(10)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와, 상기 LED 조명등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으로서,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각각 표시한다.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부터 유무선으로 전송받은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하여 상기 청구금액을 계산한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측에 상기 현재 전력원가와 상기 청구금액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청구금액이 상기 LED 조명등의 공급업체 측에 지급되도록 금융기관 서버(500)에 통보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에 관하여 도 2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력측정기(100)에 할당된 상기 LED 조명등(10)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정보, 상기 LED 조명등(10)의 개별 고유코드 정보, 상기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 그리고 상기 LED 조명등(10)을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부(250)를 통해 입력받는다(S110). 이때, 전력측정기(100)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전력측정기(100) 별로 해당 정보를 입력받는다.
즉, 이러한 S110 단계는, LED 조명등 정보와 기존 조명등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미리 데이터로 저장하고, 각 전력측정기(100) 별 할당된 LED 조명등(10)의 정보들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LED 조명등(10)을 임대 공급하는 공급업체(20) 측에서 정보를 제공하여 LED 조명등(10)의 설치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상기 전력측정기(100)에 할당된 상기 LED 조명등(10)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하여 상기 전력측정기(100) 측에 전송부(230)를 통해 전송하여 업데이트한다(S120). 물론, 상기 전력측정기(100)가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전력측정기(100) 별로 개별 고유코드를 부가하도록 하여, 개별 고유코드에 대응되는 전력측정기(100) 측으로 각각의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데이터의 혼돈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S120단계는 전력측정기(100)마다 연결된 해당 LED 조명등(10)의 정보를 규정하는 역할을 하여, 추후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의 정보 전송시, 전송된 정보가 어디서 전송된 정보인지 알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업데이트 된 상기 전력측정기(100)에서는 그와 연결된 LED 조명등(10)의 소비전력량(전력 소비시간 정보 포함)을 측정하고 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 측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수신부(210)에서는 상기 LED 조명등(10)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상기 전력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한다(S130). 여기서, 상기 수신부(210)는 상기 LED 조명등(10)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하여 수신하여, 상기 고유코드별로 각각의 정보를 구분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계산부(220)에서는 상기 LED 조명등(10)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와, 상기 LED 조명등에 대응되는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전력 절감량을 계산한다(S140).
여기서, 상기 전력측정기(100)는 상기 LED 조명등(10)의 소비전력량 뿐만 아니라 전력 소비시간을 측정하여 전송하므로, 상기 S140 단계는, 상기 전력 소비시간과 동일한 시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통해 상기 전력 절감량을 계산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계산부(220)는 상기 전력 절감량과 현재 전력원가를 이용하여 전력 절감액을 계산한다(S150). 물론, 이를 위해, 상기 S150 단계 이전에는 상기 관리 서버(300)로부터 상기 현재 전력원가를 수신하도록 한다. 현재 전력원가란 전기를 공급하는 업체(ex, 한전) 즉, 관할기관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해당된다.
여기서, 상기 계산부(220)는 상기 전력 절감액을 월 단위로 누계하여 계산하도록 한다. 이는 정산 효율을 높이고 정산 과정을 간편하게 한다. 예를 들어, 매일 수신된 소비전력량 정보에 전력원가를 적용하여 전력 절감액을 일별로 계산한 다음 이를 월 단위로 누계하거나, 매일 수신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월 단위로 누계한 다음, 누계된 소비전력량 정보에 전력원가를 한 번에 적용하여 전력 절감액을 간편히 계산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력측정기(100)에 저장된 한 달 분량의 누계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월 단위의 전력 절감액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전원을 항상 온 시킬 필요 없이, 한 달에 한 번 정도만 온 시켜서 정보를 한 번만 수신하면 되므로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유지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음, 상기 LED 조명등(10)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를 표시부(240)를 통해 표시한다(S160). 만약, 기존 조명등 사용시 전력사용 요금이 3만원이고, LED 조명등(10) 사용시 전력사용 요금이 2만원인 경우, 1만원에 해당되는 전력 절감액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사용 요금 2만원에 해당되는 대금은 전기 공급업체(ex, 한전) 즉, 관할기관 서버(400)가 사용자 측으로 청구하는 금액이다. 이는 일반적인 전력 사용에 대한 대금 지불 과정에 해당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 절감액인 1만원에 해당되는 대금 중 일부 금액은 사용자에게 청구된 후 관리 서버(300) 측에 회수되는 금액이다.
즉, 상기 S160단계 이후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으로서,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표시부(240) 상에 표시한다(S170).
예를 들어, 상기 요율이 0.9일 경우, 1만원의 0.9배(90%)에 해당되는 9천원의 금액이 사용자 측에게 청구된 다음 공급업체(20) 측에 지급(회수)된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지불 대상이 되는 전체 전력 절감액(1만원)의 중 10%에 상당하는 금액을 미리 할인받은 것과 동일한 효과에 해당된다.
또한, 공급업체(20)의 입장에서 볼 때, 상기 사용자에게 LED 조명등(10)을 임대 공급하는 대신, 월 계산되는 전력절감액 1만원의 0.9배에 해당되는 9천원의 금액을 수수받는다. 결론적으로, 상기 전체 전력 절감액 중 상기 요율에 상당하는 90%의 금액은 공급업체(20) 측에, 그 나머지 10% 금액은 사용자 측에 혜택이 주어지는 것과 같다. 즉, 상기 전력절감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급업체(20)는 LED 조명등(10)의 임대에 따른 소정의 비용을 사용자로부터 수수받게 되고, 사용자는 임대에 따른 비용을 상기 공급업체(20) 측에 지불하는 것이다.
상기 요율은 상기 LED 조명등(10)의 사용 기간 즉, 임대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도록 함에 따라, 장기 임대 사용자에게 혜택이 증가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임대 기간의 만료가 다다른 시기의 요율이 0.1로 설정되어 있고, 이때 사용자 측의 전력 절감액이 8천원인 경우,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로부터 8천원의 10%에 해당되는 1천원만을 수수받아 상기 공급업체(20) 측에 지급한다. 즉, 사용자에게는 8천원의 90%에 해당되는 7200원에 대한 혜택이 주어진다. 결론적으로, 임대 기간이 점점 증가할수록, 전력 절감액에 대응되는 사용자 청구요금이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LED 조명등(10)의 임대 공급을 통해 LED 조명등(10)의 초기 공급가격을 혁신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LED 조명등(10)을 임대 공급받아 사용함으로 인하여 얻어지는 전력 절감액 상에 상기의 요율을 적용한 상기 청구금액을 사용자로부터 회수하여 공급업체(20) 측에서 이윤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전력 절감액에서 상기 청구금액을 차감한 나머지 금액은 사용자가 별도 지불하지 않도록 사용자 측에 혜택을 줌으로써, 전력 절감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만약, 임대 기간이 총 6년인 경우, 임대 시점부터 4년은 요율을 적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전력절감액에 대한 일정 금액을 회수하는 기간으로 정하고, 나머지 2년은 상기 전력절감액에 대한 대금 회수를 전혀 고려하지 않되,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와 전력측정기(100)의 대여 및 유지 보수(AS, 프로그램 업데이트 등)에 필요한 대금을 사용자로부터 수수하여 공급업체(20) 측에서 또 다른 이득을 창출할 수 있다.
상기 S170 단계에서 표시부(240)는 보다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현재까지 누적된 적산 전력량 정보와 적산 전력 소비시간 정보, 상기 월 단위로 누계된 전력량 정보와 전력 소비시간 정보, 상기 월 단위로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 상기 청구금액 정보, 상기 LED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 각각의 정보에 대한 월별 통계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여기서, 적산 전력량 정보, 적산 전력 소비시간 정보는 상기 전력측정기(100)의 타이머부(110)에 의해 측정된, 현재까지 적산된 전력량, 전력 소비시간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월별 통계 결과는 그래프, 테이블, 이미지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표시부에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는 적산 전력계, X월 전력 사용량, X월 전력 절감액, X월 청구금액을 표시하는 예이다. 물론, 상기 표시부(240)의 정보 표시 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서 직접 계산될 수도 있고, 상기 관리 서버(300)에서 계산된 정보를 클라이언트 단말기(200)가 수신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상기 계산된 전력 절감액을 상기 전송부(230)를 통해 관리 서버(300)에 무선 전송한다. 이때, 이를 사용자 고유코드와 연계하여 전송하여, 관리 서버(300) 상에서 사용자 별 해당 정보의 구분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자 별 상기 전력 절감액을 포함한 전력사용 정보를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유무선 접속된 사용자에게 해당 전력 사용정보를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상기 전력 절감액에 상기 요율을 적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청구금액 정보를 해당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로 전송함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는 수신된 청구금액 정보를 표시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리 서버(300)는 금융기관 서버(500)와 연계되어, 상기 계산된 청구금액이 상기 LED 조명등(10)의 공급업체(20) 측에 지급되도록 금융기관 서버(500)에 통보하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240)는 상술한 정보 이외에도,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와 목표 절감액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목표 절감액 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에 기 저장된 정보로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조작부(260)를 통해 직접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한 공급 업체(20)에서 제공하는 권장 절감액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조작부(260)는 상기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이 상기 목표 절감액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LED 조명등(10)의 셧다운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러면, 상기 전송부(230)는 상기 입력받은 명령을 상기 전력측정기(100)로 무선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전력측정기(100)의 제어부(150)가 상기 LED 조명등(10)의 셧다운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셧다운 명령의 입력과 그에 따른 셧다운 제어 과정은 S160 단계 이후의 시점에 진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력측정기(100)는 상기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상기 LED 조명등(10)을 셧다운시켜, 전력 소비를 줄인다. 물론, 이러한 제어부(150)는 조작부(260)의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LED 조명등(10) 소등뿐만 아니라 점등 상태로의 복귀 제어도 언제든지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의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200)의 표시부(240)를 통해 현재 누계된 전력 절감액이 기 지정된 목표 절감액을 초과하는 것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만약, 목표 절감액을 초과한 사항이 모니터링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260)를 통해 LED 조명등(10)의 셧다운을 즉시 컨트롤할 수 있으며, 결론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전력 절감이 가능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LED 조명등 20: 공급업체
100: 전력측정기 110: 타이머부
120: 메모리부 130: 송신부
140: 측정부 150: 제어부
200: 클라이언트 단말기 210: 수신부
220: 계산부 230: 전송부
240: 표시부 250: 입력부
260: 조작부 300: 관리 서버
400: 관할기관 서버 500: 금융기관 서버

Claims (7)

  1. 고효율 조명등에 할당된 전력측정기로부터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와, 상기 고효율 조명등에 대응되는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비교하여, 전력 절감량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절감량과 현재 전력원가를 이용하여 전력 절감액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으로서,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청구금액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공급업체 측에 지급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요율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되어 적용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력측정기는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소비시간을 더 측정하고,
    상기 전력 절감량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소비시간과 동일한 시간 기준으로 계산된 상기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통해 상기 전력 절감량을 계산하되, 상기 전력 절감액을 월 단위로 누계하여 계산하고,
    상기 표시 단계는,
    현재까지 누적된 적산 전력량 정보와 적산 전력 소비시간 정보, 상기 월 단위로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 상기 청구금액 정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 각각의 정보에 대한 월별 통계결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효율 조명등 및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전력측정기는 복수 개로 존재하고,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전력측정기별 할당된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정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개별 고유코드 정보, 상기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 그리고 상기 고효율 조명등을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전력측정기별 할당된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종류 및 개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하여 상기 전력측정기 측에 전송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현재 전력원가를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전력 절감액을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측정기로부터, 상기 측정된 소비전력량 정보를 상기 고유코드와 연계하여 수신하여 상기 고유코드별로 각각의 정보를 구분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청구금액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공급업체 측에 지급되도록 금융기관 서버에 통보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그리고 상기 사용자 별 상기 전력 절감액을 포함한 전력사용 정보를 각각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유무선 접속된 사용자에게 해당 전력 사용정보를 제공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와 목표 절감액 정보를 더 표시하고,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이 상기 목표 절감액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셧다운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전력측정기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셧다운을 제어하도록, 상기 명령을 상기 전력측정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6. 고효율 조명등에 할당되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소비시간과 소비전력량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전력측정기;
    상기 전력측정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를, 기존 조명등의 소비전력량 정보와 비교하여 전력 절감량 정보를 계산하고 전송하며, 상기 전력 절감량과 현재 전력원가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전력 절감액 정보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사용자에게 청구되는 금액으로서,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한 청구금액 정보를 각각 표시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전력 절감액에 요율을 적용하여 상기 청구금액을 계산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측에 상기 현재 전력원가와 상기 청구금액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청구금액이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공급업체 측에 지급되도록 금융기관 서버에 통보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 정보와 목표 절감액 정보를 더 표시하고, 상기 현재 누계된 상기 전력 절감액이 상기 목표 절감액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전력측정기가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셧다운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로부터 상기 고효율 조명등의 셧다운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전력측정기로 전송하는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시스템.
KR1020100118175A 2010-11-25 2010-11-25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38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75A KR101138173B1 (ko) 2010-11-25 2010-11-25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175A KR101138173B1 (ko) 2010-11-25 2010-11-25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173B1 true KR101138173B1 (ko) 2012-04-26

Family

ID=46143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75A KR101138173B1 (ko) 2010-11-25 2010-11-25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90A2 (ko) * 2011-09-21 2013-03-28 Kim Ki Ho 대체 조명 사용량에 기초한 대체 조명 관리 서버의 운영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855B1 (ko) * 2009-07-03 2010-07-13 주식회사 필루체 전력 사용 장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절감 금액을 표시하기 위한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855B1 (ko) * 2009-07-03 2010-07-13 주식회사 필루체 전력 사용 장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절감 금액을 표시하기 위한 통합 제어 시스템 및 그 표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2990A2 (ko) * 2011-09-21 2013-03-28 Kim Ki Ho 대체 조명 사용량에 기초한 대체 조명 관리 서버의 운영 방법
WO2013042990A3 (ko) * 2011-09-21 2013-05-23 Kim Ki Ho 대체 조명 사용량에 기초한 대체 조명 관리 서버의 운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6608B2 (en) Computer based energy management
JP5958921B2 (ja) エネルギープラニングシステム
CN105741433A (zh) 一种智能电费管理系统
JP5788591B2 (ja) 電力監視装置および電力監視システム
JP2014501960A (ja) スマートなエネルギー消費のためのリソース測定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を用いた方法
KR101092507B1 (ko) 실시간 에너지 정보 표시 시스템
JP2002369385A (ja) 電力送電管理システム、電力受電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力送受電管理システム
JP2002123578A (ja) 電力小売システム
JP2005185016A (ja) 電力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20066574A (ko) 목표금액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138173B1 (ko) 고효율 조명등의 전력 절감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03196B1 (ko) 원격검침데이터 기반 최적 전력요율제 산출 방법
JP2021096872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20180010850A (ko) 신재생에너지 공유 시스템
KR101256946B1 (ko) 지능형 전력 사용정보 관리 시스템
JP5422334B2 (ja) 電力供給管理システム、電力供給管理方法、および電力供給管理プログラム
KR101909755B1 (ko) 목표전력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TWI520090B (zh) Electricity cost diagnosis system and its method
KR101286178B1 (ko) 내연발전소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02032441A (ja) 省エネルギー機器導入方法
WO2020031306A1 (ja) 節電支援システム、遠隔管理装置及び節電支援プログラム
JP2002098407A (ja) 省エネルギー機器導入方法、及び省エネルギー機器導入システム
JP2010501930A (ja) ユーティリティ販売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46943B1 (ko) 전력절감량 보상시스템의 운영방법
JP2019186114A (ja) 照明運用システム及びクラウド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