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156B1 -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156B1
KR101138156B1 KR1020100129462A KR20100129462A KR101138156B1 KR 101138156 B1 KR101138156 B1 KR 101138156B1 KR 1020100129462 A KR1020100129462 A KR 1020100129462A KR 20100129462 A KR20100129462 A KR 20100129462A KR 101138156 B1 KR101138156 B1 KR 101138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rew
wire
r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종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0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having means for preventing complete unscrewing of screw or nut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링단자를 전선을 전선 접속용 단자에 접속할 때 단자 나사를 완전히 해체한 다음 링단자와 전선 접속용 단자의 정렬후 다시 단자 나사를 체결해야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링단자(ring terminal)를 가진 전선을 접속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를 갖는 상기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용 단자; 전선접속용 단자와 링단자를 가진 전선의 접속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전력개폐기기에 고정적으로 마련되는 단자 하우징(terminal housing) 및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에서 상승할 때 상기 링단자를 밀어올려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에 접촉시키고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로 하강할 때 상기 링단자를 해방하는 단자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CABLE CONNECTING MECHANISM FOR ELECTRIC POWER SWITCH}
본 발명은 전력개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개폐기기의 단자와 외부 전선을 접속하는 전선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개폐기, 전자접촉기, 배선용차단기와 같은 저전압 전력개폐기기의 단자와 외부 전선을 접속하는 전선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일 예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전선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중 단자 나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에 접속될 수 있는 링단자를 가진 전선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에 접속될 수 있는 링단자를 가진 링단자 전선(3)은 전선부(3b)와, 전선부(3b)의 단부에 끼워지는 링단자(3a)를 가진 전선(3)으로 구성된다. 도 3에서 부호 3a1은 후술하는 단자 나사가 관통될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를 지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중 단자 나사(4')는 머리부인 동시에 스크류 드라이버(screw driver)가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 드라이버 삽입홈을 가진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와, 하부의 나선부(4c)를 포함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단자 나사(4')는 머리부에 해당하는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가 도 1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도 3의 부호 3a1 참조)보다 훨씬 커서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내로 끼워지지 못하고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의 위에 안착하게 설치됨을 볼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의한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용 단자와 외부 전선의 접속 및 분리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력개폐기기에 부설된 단자 하우징(terminal housing)(1)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 전선접속용 단자(2)의 상면에 링단자 전선(3)의 링단자(3a)를 올려 놓은 상태에서,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미도시)와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을 연통하게 정렬하고, 단자 나사(4')를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해서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조여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용 단자와 외부 전선을 접속하였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나사(4')는 머리부에 해당하는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가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도 3의 부호 3a1 참조)보다 훨씬 커서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내로 끼워지지 못하고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의 위에 안착한다.
한편 전선접속용 단자와 외부 전선의 분리 동작은, 단자 나사(4')를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해서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선접속용 단자(2) 및 링단자 전선(3)의 링단자(3a)로부터 완전히 제거한 다음, 링단자(3a)를 분리해야 한다. 따라서 전선접속용 단자와 외부 전선의 분리가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기존에 접속된 링단자 전선(3)을 분리하고 새로운 링단자 전선(3)을 접속하거나 새로히 링단자 전선(3)을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단자 나사(4')를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해서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선접속용 단자(2) 및 링단자 전선(3)의 링단자(3a)로부터 완전히 제거한 다음, 기존 전선의 링단자(3a)를 분리하고 나서 또는 바로 새로운 링단자 전선(3)의 링단자(3a)를 전선접속용 단자(2)위에 올려 놓은 후, 단자 나사(4')를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해서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여주여야 하므로, 전선접속용 단자와 외부 전선의 분리 및 접속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접속용 단자와 외부 전선의 분리 및 접속이 편리하고 접속과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새로운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링단자(ring terminal)를 가진 전선을 접속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를 가지며 상기 링단자가 하부에서 접촉되는 상기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용 단자;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와 상기 링단자를 가진 전선의 접속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전력개폐기기에 고정적으로 마련되는 단자 하우징(terminal housing); 및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에서 상기 단자 하우징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에서 상승할 때 상기 링단자를 밀어올려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에 접촉시키고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로 하강할 때 상기 링단자를 해방하는 단자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는,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를 가지며 링단자가 하부에서 접촉되는 전선접속용 단자와; 전선접속용 단자와 링단자를 가진 전선의 접속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전력개폐기기에 고정적으로 마련되는 단자 하우징과;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에서 상기 단자 하우징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에서 상승할 때 상기 링단자를 밀어올려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에 접촉시키고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로 하강할 때 상기 링단자를 해방하는 단자 나사;를 포함하여 단자 나사가 링단자를 하위에서 상방으로 밀어 접속하고 단자나사가 링단자의 하위로 하강하면서 해방하는 방식이어서, 단자 나사가 링단자 및 전선접속용 단자를 완전히 관통하는 하향 접속 및 상향 분리(해방) 방식의 종래기술에 대비해서 링단자와 전선접속용 단자의 접속과 분리가 용이하고 신속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나사는, 상기 링단자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를 포함하므로, 단자 나사가 상기 링단자의 하위에서 상승할 때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가 상기 링단자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어서, 상기 링단자 및 링단자를 가진 전선이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와의 접속상태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나사는, 상기 링단자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내로도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를 포함하므로, 상기 링단자 및 링단자를 가진 전선이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와의 접속상태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더욱 확고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나사는, 상위의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와 하위의 나선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승시 상기 링단자를 아래로부터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쪽으로 밀도록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광직경 부를 더 포함하므로, 링단자가 상위의 전선접속용 단자에 넓은 면적에서 밀착하여 접촉함으로써, 접속부에 있어서 발열의 원인이 되는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나사의 나선부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단자 하우징에 매설되는 너트(nut)를 더 포함하므로, 너트와 나선결합되어 상기 단자 나사가 상기 단자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 하우징은, 상기 너트를 매설하기 위한 너트 홈부; 및 상기 너트 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 나사의 나선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선홈부를 포함하므로, 너트가 위치 고정되게 지지될 수 있고 너트를 관통한 단자 나사의 나선부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의 높이는,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두께와 상기 링단자의 두께의 합산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높이를 가지므로, 단자 나사가 상승하여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가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관통구부와 상기 링단자의 관통구부내로 삽입되어도 이들 전선접속용 단자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정도이어서, 단자 나사가 링단자 및 전선접속용 단자를 완전히 관통하는 하향 접속 및 상향 분리(해방) 방식의 종래기술에 대비해서 링단자와 전선접속용 단자의 접속과 분리가 용이하고 신속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전선접속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중 단자 나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에 접속될 수 있는 링단자를 가진 전선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와 링단자를 가진 전선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중 단자 나사의 특징적 구성을 보여주는 단자 나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전선의 링단자가 접속될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수직방향상 위치를 단면도로서 보여주는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분리 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분리 상태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8은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이 접속완료된 상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이 접속완료된 상태의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이고,
도 10은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이 접속완료된 상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발명의 목적과 이를 달성하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와 링단자를 가진 전선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는 링단자(ring terminal)를 가진 전선을 접속하는 장치로서, 전선접속용 단자(2)와, 단자 하우징(1)과, 단자 나사(4)를 포함한다.
전선접속용 단자(2)는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2a)를 가지며 링단자(3a)가 하부에서 접촉되는 전력개폐기기의 단자이다.
단자 하우징(1)은 전선접속용 단자(2)와 링단자(3a)를 가진 링단자 전선(3)의 접속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전력개폐기기에 고정적으로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하우징(1)은 직육면체의 전기적 절연재로 만들어진 부재로서, 높이의 개략 중간 상부를 파내어 상면과 전면이 개방되고, 상부가 양 측벽 및 후벽으로 구성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후벽에는 전선접속용 단자(2)가 관통하도록 허용하는 단자 관통구{전선접속용 단자(2)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음)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는 단자 나사(4)의 나선부(4c)와 나사결합되고, 단자 하우징(1)에 매설되는 너트(nut)(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너트(5)를 수용하기 위해서, 도 8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하우징(1)은 전선접속용 단자(2)와 링단자 전선(3)의 접속을 위한 공간의 바닥{즉, 단자 하우징(1)의 하반부의 상부면)에서 하방으로 형성되고 너트(5)의 폭에 공차를 추가한 폭을 가진 너트 홈부(부호 미부여)를 구비하여, 해당 너트 홈부에 너트(5)를 매설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단자 하우징(1)은, 너트(5)를 매설하기 위한 상기 너트 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게 형성되어 단자 나사(4)의 나선부(4c)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선홈부(1a)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나사(4)는 전선접속용 단자(2)의 아래에서 단자 하우징(1)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된다. 단자 나사(4)는, 전선접속용 단자(2)의 아래에서 상승할 때 링단자(3a)를 밀어올려 전선접속용 단자(2)에 접촉시켜 전선접속용 단자(2)와 링단자(3a)를 접속시키고, 전선접속용 단자(2)의 아래로 하강할 때 링단자(3a)를 해방한다.
도 5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자 나사(4)는,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를 포함한다.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는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2a)내로도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의 높이(h)는, 전선접속용 단자(2)의 두께(T1)와 링단자(3a)의 두께(T2)의 합산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높이를 가진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 식 (1)과 같다.
Figure 112010083204473-pat00001
따라서, 도 7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나사(4)를 미도시의 스크류 드라이버로 회전시켜 상승시킴에 의해서 링단자(3a)를 가진 링단자 전선(3)과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접속을 완료했을 때,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는 밀착한 전선접속용 단자(2)와 링단자(3a)를 관통하여 돌출하지 않게 된다.
단자 나사(4)는, 상위의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와 하위의 나선부(4c) 사이에 위치하고, 상승시 링단자(3a)를 아래로부터 전선접속용 단자(2)쪽으로 밀도록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광직경 부(4b)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작용을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분리 상태로부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접속 상태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상 단자 나사(4)와 상위의 전선접속용 단자(2)사이에 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링단자 전선(3)의 링단자(3a)를 단자 나사(4)와 상위의 전선접속용 단자(2)사이의 상기 공간속으로 밀어넣는다.
다음,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2a)를 통해 스크류 드라이버(미도시)를 단자 나사(4)의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에 접속시키고, 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단자 나사(4)를 풀어 상승시킨다.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에 의한 단자 나사(4)의 상승 조작은 광직경 부(4b)가 링단자(3a)를 밀어올려 링단자(3a)가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저면에 접촉하고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가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 및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2a) 내로 삽입된 도 8에 도시된 상태로 될 때까지 지속한다.
이로써,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단자 전선(3)과 전선접속용 단자(2)간의 접속이 완료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접속 상태로부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링단자를 가진 전선과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의 분리 상태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스크류 드라이버를 단자 나사(4)의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에 접속시키고,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단자 나사(4)를 조여 하강시킨다. 그러면 도 6을 참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나사(4)가 하강하면서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가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 및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2a) 로부터 이탈하고, 따라서 링단자(3a)가 해방된다.
다음, 링단자(3a)를 가진 링단자 전선(3)을 잡아 당겨 분리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는, 단자 나사(4)가 링단자(3a)를 하위에서 상방으로 밀어 접속하고 단자 나사(4)가 링단자(3a)의 하위로 하강하면서 해방하는 방식이어서, 단자 나사(4)가 링단자(3a) 및 전선접속용 단자(2)를 완전히 관통하는 하향 접속 및 상향 분리(해방) 방식의 종래기술에 대비해서 링단자(3a)와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접속과 분리가 용이하고 신속해 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단자 나사(4)는,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를 포함하므로, 단자 나사(4)가 링단자(3a)의 하위에서 상승할 때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가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어서, 링단자 전선(3)이 전선접속용 단자(2)와의 접속상태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단자 나사(4)는,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고 또한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2a)내로도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를 포함하므로, 링단자 전선(3)이 전선접속용 단자(2)와의 접속상태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더욱 확고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단자 나사(4)는, 상위의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와 하위의 나선부(4c) 사이에 위치하고, 상승시 링단자(3a)를 아래로부터 전선접속용 단자(2)쪽으로 밀도록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광직경 부(4b)를 더 포함하므로, 링단자(3a)가 상위의 전선접속용 단자(2)에 넓은 면적에서 밀착하여 접촉함으로써, 접속부에 있어서 발열의 원인이 되는 접촉저항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나사의 나선부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단자 하우징에 매설되는 너트(nut)를 더 포함하므로, 너트와 나선결합되어 상기 단자 나사가 상기 단자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단자 하우징(1)은, 너트(5)를 매설하기 위한 너트 홈부 및 상기 너트 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게 형성되어 단자 나사(4)의 나선부(4c)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선홈부(1a)를 포함하므로, 너트(5)가 위치 고정되게 지지될 수 있고 너트(5)를 관통한 단자 나사(4)의 나선부(4c)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의 높이(h)는, 전선접속용 단자(2)의 두께(T1)와 링단자(3a)의 두께(T2)의 합산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높이를 가지므로, 단자 나사(4)가 상승하여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4a)가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2a)와 상기 링단자(3a)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3a1)내로 삽입되어도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2a)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 정도이어서, 단자 나사(4)가 링단자(3a) 및 전선접속용 단자(2)를 완전히 관통하는 하향 접속 및 상향 분리(해방) 방식의 종래기술에 대비해서 링단자(3a)와 전선접속용 단자(2)의 접속과 분리가 용이하고 신속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단자 하우징(terminal housing)
1a: 나선홈부
2: 전선접속용 단자 2a: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
3: 링단자 전선 3a: 링단자
3a1: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
3b: 전선부 4: 단자 나사
4a: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 4b: 광직경 부
4c: 나선부 5: 너트

Claims (7)

  1. 링단자(ring terminal)를 가진 전선을 접속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에 있어서,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를 가지며 상기 링단자가 하부에서 접촉되는 상기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용 단자;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와 상기 링단자를 가진 전선의 접속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전력개폐기기에 고정적으로 마련되는 단자 하우징(terminal housing);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에서 상기 단자 하우징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에서 상승할 때 상기 링단자를 밀어올려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에 접촉시키고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아래로 하강할 때 상기 링단자를 해방하는 단자 나사; 및
    상기 단자 나사의 나선부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단자 하우징에 매설되는 너트(nu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나사는,
    상기 링단자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나사는,
    상기 링단자의 제 2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제 1 나사접속용 관통구부내로 아래로부터 상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나사는,
    상위의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와 하위의 나선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승시 상기 링단자를 아래로부터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쪽으로 밀도록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보다 넓은 직경을 갖는 광직경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하우징은,
    상기 너트를 매설하기 위한 너트 홈부; 및
    상기 너트 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 나사의 나선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선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드라이버 접속부의 높이는,
    상기 전선접속용 단자의 두께와 상기 링단자의 두께의 합산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KR1020100129462A 2010-12-16 2010-12-16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KR101138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462A KR101138156B1 (ko) 2010-12-16 2010-12-16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462A KR101138156B1 (ko) 2010-12-16 2010-12-16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156B1 true KR101138156B1 (ko) 2012-04-23

Family

ID=4614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462A KR101138156B1 (ko) 2010-12-16 2010-12-16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1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844B1 (ko) * 2013-08-30 2015-0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터미널 단자대
KR101540112B1 (ko) * 2015-04-09 2015-07-30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22Y1 (ko) * 2001-06-12 2001-10-29 상원전기 주식회사 전기 기기의 전선 취부기구
KR100670993B1 (ko) * 2004-10-07 2007-01-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코일 터미널의 단자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22Y1 (ko) * 2001-06-12 2001-10-29 상원전기 주식회사 전기 기기의 전선 취부기구
KR100670993B1 (ko) * 2004-10-07 2007-01-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코일 터미널의 단자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844B1 (ko) * 2013-08-30 2015-0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터미널 단자대
KR101540112B1 (ko) * 2015-04-09 2015-07-30 주식회사 와이앤제이이앤씨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6398B2 (en) Angled plug-on neutral connectors, circuit breakers including same, panel boards incuding angled neutral bars, and methods of making neutral connections
US10153590B2 (en) Socket structure capable of preventing plugs from dropping off
US10727636B2 (en) Terminal and disconnection link
CN1744253A (zh) 具有反向接线保护功能的接地故障线路断路器
CN104137342A (zh) 测试端子块
KR101138156B1 (ko) 전력개폐기기의 전선접속장치
JP5770547B2 (ja) コネクタ
US9496111B1 (en) Prong-less neutral connector assemblies, circuit breakers including prong-less neutral connector, panel boards with flexible neutral bars, and neutral connection methods
CN104718674A (zh) 对配电板或配电板相关的改进
CN105679576B (zh) 具有辅助输出端的用于电气连接的装置及有其的开关设备
CN116315753A (zh) 电气实验接线座
CA2594016C (en) Contact termination memb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US10418197B2 (en) Circuit breaker accessory cover interlock and forced safety tripp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130861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KR200419127Y1 (ko) 플러그 및 콘센트
US10847921B2 (en) Test plug for a FT switch
KR20090055822A (ko) 플러그 원터치 분리형 멀티 탭
KR101617330B1 (ko) 와이어 분리 성능이 향상된 포크인 커넥터
CN208753166U (zh) 接线端子
CN104953419A (zh) 断路器热插拔连接器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JP2008066196A (ja) 差込式端子台
JP5918426B2 (ja) コネクタ
JP3195045U (ja) マグネット付きプラグ
US20120122333A1 (en)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Fastening A Cable In Such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