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554B1 -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554B1
KR101136554B1 KR1020090133465A KR20090133465A KR101136554B1 KR 101136554 B1 KR101136554 B1 KR 101136554B1 KR 1020090133465 A KR1020090133465 A KR 1020090133465A KR 20090133465 A KR20090133465 A KR 20090133465A KR 101136554 B1 KR101136554 B1 KR 101136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time
unit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069A (ko
Inventor
황선원
Original Assignee
황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원 filed Critical 황선원
Publication of KR2010008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8Albu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세트 기기,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들을 입력받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된 제1 확장 연결부; USB, 메모리카드,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장치로부터 데이터들을 입력받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된 제2 확장 연결부; 상기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들을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데이터 방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 각각에서 입력받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의 출력시작시간, 출력종료시간, 볼륨조절, 텍스트의 문자 크기를 조절하는 키입력부; 상기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 각각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들 및 상기 데이터들을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들의 출력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출력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관리하며, 업데이트 시간 경과 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의 다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설정된 시간 및 작동모드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 한 종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및 작동모드에 따라 각 종교의 특정 영상과 멘트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품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종교, 학습자료, 다기능, 액자기능

Description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MULTI-FUNCTION AUTOMATIC OUTPUT DEVICE AND OUTPUT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다양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이미지나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인화하여 진열하기 위해서는 사진 액자가 사용되고 있다. 사진액자는 한 장 혹은 두 장 정도의 사진만을 진열할 수 있는 제약으로 인하여 다수 장의 사진을 진열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사진 액자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다른 사진의 진열을 위해서는 현재 진열된 사진을 제거한 다음 새로운 사진으로 교체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이러한 사진 액자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복수의 이미지(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이미지(영상)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표시하는 전자 액자 출력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자액자 출력장치는 이미지(영상) 데이터 제공 매체에서 가공된 이미지 데이터 또는 컴퓨터 등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 다음 일정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하거나 사용자에 의한 선택으로 임의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전자액자 출력장치는 슬라이딩 기능을 통해 저장된 복수 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순차적 또는 선택으로 표시하거나 표시되는 이미지(영상) 데이터에 효과를 제공하여 마치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과 같이 표시한다.
이러한, 전자액자 출력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출력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미지(영상)만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설정된 시간 및 작동모드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및 작동모드에 따라 각 종교의 특정 영상과 멘트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품 활용도를 높이도록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는,
카세트 기기,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들을 입력받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된 제1 확장 연결부;
USB, 메모리카드,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장치로부터 데이터들을 입력받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된 제2 확장 연결부;
상기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에서 수신받은 데이터들을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데이터 방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모드의 출력시작시간, 출력종료시간, 볼륨조절, 텍스트의 문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키입력부;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들 및 상기 데이터들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들의 출력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출력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관리하며, 업데이트 시간 경과 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를 원거리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의 모든 키 기능이 부여된 리모컨으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들은 각종 학습자료, 각종 종교의 음성자료, 영상자료 및 텍스트 자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한 상기 데이터의 출력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시간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업데이트 시간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출력방법은,
(a)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학습모드 또는 종교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모드의 데이터들의 출력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들의 출력방식의 설정이 완료되면, 시간 감지부로부터 감지한 시간정보 및 메모리부에 설정된 각 데이터의 출력방식 시간정보에 따라 (c) 설정된 데이터 내용에 대한 메뉴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d) 상기 검색된 메뉴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출력된 데이터의 구성을 판단하여 음성(또는 음악), 문자, 영상 자료가 독립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f) 단계 (a)에서 설정된 데이터의 출력구간 및 출력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출력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g) 상기 판단에 기초하여 움직임 센서와 연계된 데이터출력완료 후 움직임 센서 인터벌 시간이 경과되면 움직임 센서를 작동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h)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검출되면 설정내용 검색에 따라 데이터 출력을 반복 또는 광센서의 광 변화 검출에 의해 야간 출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a)는,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전원을 온하는 단계;
상기 종교 모드 또는 상기 학습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드가 출력될 날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모드가 출력될 출력화면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모드가 출력될 시작시간, 종료시간, 업데이트 횟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에 따르면, 다수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설정된 시간 및 작동모드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교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및 작동모드에 따라 각 종교의 특정 영상과 멘트가 출력되도록 하여 상품 활 용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메모리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는, 키입력부(120), 리모컨 신호 수신부(180), 시간감지부(130), 표시부(140), 센서부(110), 확장 연결부(150), 데이터 변환부(190), 저장부(160), 알림부(170),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키입력부(120)는, 메뉴키, 설정키, 선택키 등 다수의 기능키가 구비된 키패드로서, 사용자가 키를 입력하면 그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낸다. 메뉴키는 학습출력시간, 종교모드 출력시간, 기상/취침시간 및 각종 모드 선택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뉴키는 반복키 버튼(반복을 위한 핫키)을 두어 반복키 버튼이 눌려지면 앞 문장이 반복(3회 내지 10회) 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키는 설정키의 설정 완료 시 사용된다. 설정키는 각 메뉴의 시작시간, 센서시간, 각종 모드 설정, 볼륨 강도 조절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키는 일례로, 년, 월, 일, 날짜, 시간(시, 분, 초)을 “0”이나 “00” 등의 상태에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설정하도록 한 후 선택키를 통해 입력이나 수정 등을 완료하도록 할 수 있다.
리모컨 신호 수신부(180)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를 원거리에서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키입력부(120)의 모든 키를 리모컨에 부여하고 해당 리모컨으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한다.
시간감지부(130)는, 현재 시각을 체크하여 제어부(100)로 알려준다.
표시부(140)는, LCD, PDP, OLED 등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자료와 관련된 데이터, 다수의 종교와 관련된 데이터, 사진, 이미지 데이터, 일상생활과 관련된 데이터(출근시간, 퇴근 시간, 기상시간, 취침시간)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표시부(140)에 각종 학습자료와 관련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학습내용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표시부(140)는 학습자료의 데이터가 음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음성만 출력되도록 하고, 학습자료의 데이터가 텍스트 형식 즉, 문자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문자로만 출력되도록 하고, 학습자료의 데이터가 문자, 음성 및 영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문자, 음성 및 영상의 조합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문자와 영상을 화면상에서 분할하여 출력되도록 하거나 문자만 크게 보 이도록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서 출력되는 문자는 이동문자, 정지문자, 깜박이문자, 문장의 앞 부분부터 차례로 출력되는 완성형 문자일 수 있고, 표시부(140)의 화면상에 출력되는 영상의 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전체화면, 전체화면의 2 분할화면, 전체화면의 4 분할화면 등 다수의 분할화면 영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부(140)에는 영상뿐만 아니라 텍스트 문자 데이터가 상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문장 또는 긴 문장이 출력되기 때문에, 글자의 크기가 작아져서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표시부(140)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영상 표시부분을 확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에는 제어부(100)를 제어하는 별도의 중앙제어부가 별도로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학습 모드 시간이 아닌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자액자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메모리로부터 영상데이터를 불러와 출력시킬 수 있다. 표시부(140)에 동시 출력되는 영상 수는 1, 2, 4, 6, 8 등의 분할 화면 영상이 교차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출력 방식 설정에 따라 일정 시간 후에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의 수는 변화되면서 출력될 수 있다. 즉, 영상 > 화면분할 > 1, 2, 4 > 인터벌 10초 > 업데이트 시간 24 > 업데이트 수 8로 설정하면 10초마다 표시부에 영상이 1 영상, 2 영상, 4 영상의 방식으로 교차 출력될 수 있다. 업데이트 영 상수가 8이라고 가정하면, 1 영상일 때는, 8개의 영상이 1번부터 차례로 1개씩, 2영상일 때는, 1, 2번 3, 4번 순으로, 4 영상일 때는 1, 2, 3, 4번 4개, 다음에는 5, 6, 7, 8번 4개의 방식으로 8개의 영상이 차례로 출력된다. 24시간 후에는 다음 8개의 영상이 동일 방식으로 출력된다.
또한, 표시부(140)는 초기화면, 영상화면, 문자출력화면 등 선택화면이 상호 교차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초기화면(시계 캘린더 등이 표시되는 화면), 사진영상이 나타나는 영상화면, 종교모드 등의 텍스트 문자만 출력되는 텍스트 문자 출력화면의 교차 출력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시계, 캘린더 등의 초기화면이 출력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영상출력 전자액자로, 다시 텍스트 문자 출력화면으로 전환되어 문자가 설정대로 출력된다. 다시 교차 출력시간이 경과되면, 영상은 초기화면으로 출력된다. 교차시간 설정이 없으면, 영상은 사용자가 선택한 방식으로 계속 출력된다. 또한, 야간에는 초기화면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교차출력 > 초기화면, 영상화면, 텍스트 문자 선택 > 인터벌 또는 교차출력 > 초기화면 10, 영상화면 20, 텍스트 문자 30의 방식으로 설정하며, 초기화면 10초, 영상화면 20초, 텍스트 문자 30초 출력이 반복된다. 영상화면이 인터벌 10초의 분할화면 설정으로 되어있는 경우에는, 10초, 10초, 2회의 영상화면이 교체 출력된 후 텍스트 문자 화면으로 교차되는 것을 의미한다. 캘린더 시계 등이 나타나는 초기화면은, 선택을 위하여 다수의 레이아웃 모델이 표시부에 전시되고 사용자는 이중 하나를 선택하여 초기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종교모드 선 택의 초기화면은, 크리스천 모드일 경우에는 십자가나 교회 등의 배경사진이 있는 시계 캘린더가, 아잔모드 선택일 경우에는 이슬람 캘린더와 아잔 시계가 있는 여러 방식의 레이아웃 초기화면이 선택을 위하여 표시부에 나타난다. 또한, 학습 시간이 아닌 경우,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텍스트 문자의 출력 방식으로는 하기에 기재된 4가지 중 어느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1. 텍스트 콘텐츠가 캘린더와 시계 등의 초기화면 또는 영상화면의 일부분에 설정대로 업데이트되어 문자로 상시 출력되도록 하고, 음성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2. 초기화면 또는 영상화면(전자액자)의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초기화면과 영상은 사라지고 문자만 또는 문자와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3. 초기화면 또는 영상화면(전자액자)의 설정 없이 표시부에 텍스트 문자만 상시 출력되도록 하고, 음성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설정된 시간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4. 초기화면이나 전자액자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에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배합의 출력 양식 중에서 하나의 출력방식을 선택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140) 장치가 하나가 아니라 유, 무선으로 연결되는 2개 이상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는 경우, 상호 연동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수 디스플레이 모드를 설정한다. 이때는 복수의 표시부(140)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모듈이 필요하다. 또는 중앙제어모듈, 메모리모듈 등 상기 구성부의 일부를 갖춘 센터 컨트롤 제어장치로 센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 또는 각각의 장치 내의 데이터가 각각의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에 설정 방식대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표시부(140) 출력모듈을 가진 장치가 아니라 3개 또는 5개, 또는 그 이상의 독립 표시부(140) 출력모듈을 가진 장치로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출력모듈에 출력되는 방식을 독립해서 또는 상호 연계해서 출력되도록 하는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장치가 가로 또는 세로로 연속 배치된 경우, 복수의 영상이 설정된 업데이트 및 인터벌 시간으로 출력된다. 업데이트 24시간 > 업데이트 영상 수(또는 문장 수) 16 > 인터벌 10초의 설정일 경우, 16개의 업데이트 영상(또는 문장) 중 4개의 영상(또는 문장)이 4개의 디스플레이모듈에서 10초 인터벌로 24시간 동안 출력된다.
또한, 차례로 전환되는 모드와 동시 전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차례로 전환되는 모드는 16개의 영상(또는 문장)이 차례로 10초마다 1개의 다음 영상(또는 문장) 으로 4개의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에 차례로 출력되는 모드이다. 즉, ABCD 4개의 디스플레이모듈의 화면에 ①②③④번의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10초 후에 A 출력부에 ⑤번 영상이, 다음 10초 후에 B 출력부에 ⑥번 영상이, 다음 10초 후에 C 출력부에 ⑦번 영상이 출력되는 방식으로 하루 동안 16개의 영상이 번갈아 출력된다. 다음날에는 17번 영상부터 32번 영상까지 동일 방식으로 출력된다.
동시전환모드는 영상 전환이 동시에 교체되는 출력방식으로서, ABCD 4개의 영상 출력부에 ①②③④번의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10초 후에 ABCD 영상 출력부에 ⑤⑥⑦⑧번 영상으로 동시에 교체 출력되는 모드이다. 영상 출력부가 5개로 증가된 경우, 동시전환모드에서의 동시 교체 출력방식은 ①②③④⑤-10초경과-⑥⑦⑧⑨⑩-10초경과-⑪⑫⑬⑭⑮-10초경과-①②③④-10초경과-⑤⑥⑦⑧⑨-의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40)는, 차례로 전환되는 모드와 동시 전환모드의 혼합 출력 방식도 가능하다. 업데이트 시간이나 업데이트 영상수의 설정이 없고 인터벌 시간만 설정되는 경우에는 메모리 내의 모든 영상이 출력되는 모드가 된다. 표시부(140)는 야간모드 설정으로 야간모드 시간 시, 야간모드 영상이 출력되고 나머지 시간에만 상기 설정 모드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4개의 표시부 중 한 개의 표시부는 시계 캘린더 등의 초기화면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3개 표시부는 학습모드, 종교모드, 일반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방식으로 영상(또는 문자)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1번 출력부 > 초기화면 선택 또는 설정 > 고정 선택으로 나머지 3개 출력부만 출력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가로, 세로, 사 각형 형태 등으로 늘어난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복수의 영상은 모두 동시 또는 차례로 다음 영상으로 교체되도록 하거나, 영상화면과 문자화면이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80)는 독립방식 출력일 경우, 제어부의 제어로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40)의 가로 세로 비율을 높이는 다른 방법으로, 현재 모두 유사한 가로 세로 비율로 되어있는 표시부의 규격을 더욱 확대한 보다 긴 직사각형 모양의 표시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140)는 16:10 비율의 와이드(wide) 화면보다도 15:5, 16:4 또는 16:2와 같이 3배 이상의 가로 세로 비율을 적용한 보다 긴 표시부(140)가 큰 글자의 문장, 문자 자료의 출력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표시부(140)의 가로 세로 비율을 이처럼 일정 비율 이상의 와이드 화면의 영상 출력을 위한 일정 섹터로 화면을 분할(3등분 4등분 5등분 등)하여 각각의 섹터 안에 독립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문자를 출력할 때는 하나의 출력부에 가로로 또는 세로로 큰 글씨의 텍스트 문자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는 또한 카운트다운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카운트다운 모드는 특정 기념일을 위하여 수 일 전에 미리 설정하는 것으로 “D-30”의 형태로 표시부(140)에 출력된다. 특정 기념일을 월, 일 및 출력 시간을 설정한 후 카운트다운 시작 30일로 설정 시, 30일 전부터 기념일 D-30일 형태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정 위치에 출력된다. 해당 날에는 기념일 관련 축하 영상과 음악 및 축하 멘트 등 이 출력되도록 저장 설정할 수 있다.
표시부(140)에는 또한 배경액자 모드가 표시될 수 있다. 배경액자 모드 설정일 경우, 표시부(140)의 가장자리(바젤과 접한 부분)에 실제 액자모양이 출력되도록 하는 모드 설정이다. 예를 들어, 일정 설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다음 액자 프레임으로 변환되도록 하거나, 여러 가지 액자 프레임 모습 중 사용자가 지정한 프레임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설정이다.
또한, 표시부(140)에는 학습자료 자동 출력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동작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움직임 센서부(112), 사용자의 취침 소등 시 광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부(114), 및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음성 센서부(1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학습 데이터, 종교 데이터, 일반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의 출력시작 시각과 종료 시각을, 예컨대 09:00 ~ 20:00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선택된 데이터가 종료되면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인터벌 설정시간이 경과하는 것을 판단할 수 있고, 인터벌 설정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움직임 센서부(112)는 대기상태가 된다. 움직임 감지 센서부(112)를 통해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 감지 시 설정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또한, 광센서부(114)는 광 변화 를 감지하여 취침 시 설정된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때, 광센서부(114)의 감지에 의해 (또는 종료시간 경과로) 표시부(140)는 영상 데이터의 출력을 종료하고 다음 시작 시각까지 야간 출력모드로 전환시킴으로써 다기능 출력장치의 전력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광센서부의 작동시간은 종료시간 수분 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음성 센서부(116)는 사용자의 음성이 감지되면, 녹취 음성저장부로부터 녹취된 음성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한다.
확장연결부(150)는 외부로부터 다수의 데이터(예컨대, 음성, 영상, 텍스트 자료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연결부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제1 확장 연결부(150a)는 카세트 기기,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확장 연결부(150b)는 USB, 메모리카드,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데이터라 함은 학습에 관련된 데이터 및 각종 종교와 관련된 데이터, 사진,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부(190)는 확장연결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카세트테이프, 비디오테이프, CD, DVD, USB 메모리의 파일을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데이터 출력방식에 적합하게 변환한다.
저장부(160)는 각종 데이터들 및 각종 데이터들을 구동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여 제어부(10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프로그램 저장부(162), 데이터 저장부(164), 녹취음성 저장부(166), 및 시간정보 관리저장부(168)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프로그램 저장부(162)는 확장연결부(150)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들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출력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164)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출력데이터로 변환된 확장연결부(150)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부(164)에는 일예로, 동일한 타이틀을 가진 문자 파일과 음성 파일이 동일하게 저장되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저장된 문자 파일이 출력될 때 음성 파일이 제어부(100)에 의해 동시에 호출되고, 문자 데이터의 식별정보(Time-Lapse 정보 또는 문장번호정보)에 대응하는 동일 식별정보를 갖는 음성데이터가 동기화되어 출력된다. 이때, 문자데이터의 각각의 문장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전체 파일에서 차지하는 문장 시작부분과 문장 종료 부분에 대한 시간 정보를 갖는다. 녹취 음성 저장부(166)는 음성센서부(116)로부터 녹취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 음성파일들을 저장될 수 있다.
시간정보 관리저장부(168)는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 출력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시간 저장부(168a), 및 데이터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업데이트 시간 저장부(168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출력시간 저장부에는 학습자료와 관련된 데이터의 학습시간, 각종 종교와 관련된 데이터의 출력시간이 설정될 수 있 다. 일례로, 학습자료와 관련된 데이터의 출력시간을 저장한 경우, 출력시간 저장부에는 학습할 학습자료의 학습 구간, 즉 시작지점과 종료지점(시작과 종료지점 설정이 없으면 선택된 자료의 처음부터 끝까지 출력되는 것으로 간주)이 저장되고, 학습시간(1일 학습량으로 문장의 수 또는 1분, 3분 등의 시간 량)이 저장된다. 또한, 학습자료의 출력방식이 저장될 수 있다.
업데이트 시간 저장부(168b)에는 데이터 업데이트 시간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자료의 업데이트 단위는 문장 수, 단어 수, 번호 수, 페이지 수, 세그먼트 수, 및 특정 구간, 그리고 시간으로 구분한다. 음성 문장의 경우에는 문장과 문장 사이의 일정 길이의 무음 부분(Length of silence)을 문장의 끝 부분으로, 1일 4문장 일 때는 4번째 음성 단절부(일정시간 이상 음의 단절 부분)를 인식하여 종료하고, 시간 기준이 될 때, 예를 들어 1일 3분으로 업데이트 설정 시, 3분을 초과하는 최초 음성 단절 부분을 탐색하여 업데이트 분량을 정한다. 문장, 음악 및 정지영상의 경우는 저장 순서대로 일련번호로 처리할 수 있고, 저장 전에 일련번호를 붙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는 교육자료 저장 전에 업데이트 1회 분(또는 1단위)에 해당하는 구간마다 특정 신호(번호)로서 처리하는 등의 제어부가 인식 가능한 수단으로 작업하여(표식을 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자료 또는 파일 종류(Text, Book, Music, 동영상(Movie) 등)에 따른 업데이트 학습량은 문장 수 또는 시간, 페이지 수 또는 문장 수 또는 시간, 곡 수, 문장 수, 세그먼트 수, 시작 지점과 종료지점 설정 등으로 업데이트 단위를 지정할 수 있다.
알림부(170)는 시간 정보 관리 저장부(168)에 기초하여 제어부(100)에 의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에 데이터 저장부(164)와 녹취 음성 저장부(166)에 저장된 데이터의 음성 및 사용자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알림부(170)는 동일한 타이틀을 가진 문자자료와 함께 저장된 음성자료 및 동영상이 음성과 동기화되어 출력될 때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시간에 음성 또는 음악을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의 출력은 TTS(Text-To-Speech) 프로그램으로 동기화되어 또는 음성 데이터 출력 기능키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문자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함께 저장되는 경우, 문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어드레스(Address) 부분의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알림부(170)는 문자만 출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음성 데이터 출력 기능키에 의해 해당 문자(문장)에 대응하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알림부(170) 및 표시부(140)에는 녹취 음성 저장부(166)를 통해 기상 시간, 등/하교 시간, 출/퇴근 시간, 집을 나가거나 돌아왔을 때, 취침할 때에 사용자가 설정한 연예인 및 좋아하는 사람의 영상과 멘트, 애완동물 캐릭터 등의 영상과 음성 멘트(또는 소리)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알림부(170)로부터 개, 고양이, 앵무새 등을 포함하는 애완동물, 사용자가 선호하는 캐릭터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되는 경우, 개 짓는 소리, 고양이 우는 소리 등이 흘러나오면, 표시부(140)에서는 알림부(170)에서 흘러나오는 소리에 적합한 장면이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퇴근 또는 하교 시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강아지 모습이 표시부(140)에서 출력되도록 하고, 알림부(170)를 통해 마치 살아있는 강아지가 주인을 보고 반기듯이 멍멍 짖으며 꼬리치는 모습을 보이고 언어로 주인에게 인사(멘트)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알림부(170)를 통해 설정된 일정 애완동물 출력 시간이 지나면 강아지는 사라지고 초기화면이나 전자액자의 형태로 복귀한다.
알림부(170)는 사용자가 기상 영상 멘트를 보고 들으면서 일어나고, 등교/출근하면서 출력되는 영상 멘트를 출력할 수도 있고, 하교/ 퇴근시간은 일정할 수 없으므로 설정된 하교/퇴근 시간 후 최초의 센서 동작 시에 영상 멘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멘트 설정방법은 영상 멘트 출력모드 선택 > 기상, 출근, 퇴근, 취침 선택 > 기상시간 06:30, 출근시간 07:10, 퇴근시간 18:00 > 업데이트 시간 24 > 출력 멘트 수 1 > 반복 출력수 2로 설정 시, 설정된 기상, 출근, 퇴근, 취침시간에 24 시간마다 새로운 1개의 인사 멘트가 2회씩 반복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취침 시간은 설정된 광센서 작동시간으로 광센서 광 변화 감지(소등) 시에 출력된다. 기상 시간이나 취침시간에 학습내용이나 다른 출력 내용이 있을 경우에는, 학습 내용 등 다른 내용이 출력된 후에 영상 멘트가 나중에 출력된다. 일예로, 취침 시간에 음악을 듣거나 음악과 교육내용을 듣는 경우(Music+)라면, 음악 또는 음악과 교육내용이 출력된 후에 취침 인사 멘트와 영상이 마지막으로 출력된다. 인사 멘트와 영상은 설정대로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내용이 출력될 수 있지만, 고정 설정을 할 수 있으며, 고정 설정 해제로 원래의 업데이트 모드로 복귀한다.
설정 방법은 영상멘트출력모드 선택 > 멘트/영상저장부 선택 > 멘트/영상 선택 > 고정으로 설정 시, 선택된 영상이 고정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데이터학습 시간에 출력되는 텍스트 문자 자료를 학습 시간이 아닌 경우(시간)에 표시부(초기화면 영상출력화면 시)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일정 세그먼트가 설정된 학습 시간에 출력되는 경우 스크립트 내용(Text 문자 부분) 중 특정 문장이 반복 학습할 필요가 있는 문장이라고 생각될 때, 이를 주요문장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를 학습 시간이 아닐 때에 초기화면과 영상 출력화면의 일부분에 출력시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학습시간에 출력되는 학습 내용의 문장 전체가 출력되는 전체 문장 출력 모드, 주요 문장이 출력되는 주요문장 출력모드, 우리말이 출력되고 얼마 후에 그에 대한 영어문장이 출력되는 우리말 출력모드가 있다. 전체 문장 출력 모드는 당일 공부한 내용의 텍스트 또는 문장 자료가 있는 경우, 당일 학습한 텍스트 자료가 계속하여 또는 일정 시간마다 순차적으로 초기화면과 영상출력화면의 일정 위치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텍스트가 나타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정지 문장 출력, 이동 문장 출력, 괄호 문장 출력, 깜빡이는 문장 출력 등의 독립 또는 혼합 방식으로 또는 각종 색깔이 혼합된 문장으로 출력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성경 말씀(어구), 쿠란, 교육적인 어구 또는 기타 사용자가 선호하는 내용의 텍스트(문자) 자료 또는 음성 자료를 선택한 후, 1일 1문장 또는 1세그먼트, 2일 1문장 또는 1세그먼트 등의 설정 방법에 따라 업데이트되 어 출력 되도록 한다. 물론 자료 저장 전에 자료출력에 적합하도록(제어장치 식별 가능하도록) 문장 단위 또는 세그먼트 단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0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기본적인 구동 프로그램과 사용자 설정 출력 방식 설정을 바탕으로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구동 프로그램 저장부(162)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 및 데이터 저장부(164)에 저장된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시간정보 관리저장부(168)를 제어하여 데이터의 출력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관리하며, 업데이트 시간 경과 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되기 전 데이터 또는 업데이트 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들의 업데이트 시간을 시간정보 관리저장부(168)로부터 제공받아 업데이트하여 출력시킨다. 제어부(100)는 업데이트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 설정 모드를 기준으로 기 출력된 데이터들을 출력시키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데이터가 동영상인 경우, 음성을 동기화하여 출력시키고 데이터가 동영상이 아닌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데이터들이 독립적 또는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문자인 데이터를 출력할 경우 동일한 명칭의 문자 파일과 음성 파일이 함께 있으면 문자와 음성이 동기화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다수의 설정 시간에 저장된 데이터가 설정된 시간에 업데이트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또한 카운트다운 모드와 배경액자 모드가 설정대로 표시부(140)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메뉴 설정 방법, 즉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출력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메뉴 설정 방법은,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312), 종교모드 및 학습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314), 선택된 모드가 출력될 날짜를 설정하는 단계(316), 선택된 모드가 출력될 출력화면 설정하는 단계(318), 및 선택된 모드가 출력될 시작시간, 종료시간, 업데이트 횟수 설정하는 단계(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전원이 온(312) 되면, 표시부에는 학습모드와 종교모드의 선택 창이 보이도록 한다. 도 3에서는, 선택 창에 보이도록 하는 모드를 학습모드와 종교모드로 한정하였지만, 이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한정한 것으로서, 학습모드, 종교모드 이외에도 사진 및 이미지 모드, 일상생활과 관련된 일반모드(출근시간, 퇴근 시간, 기상시간, 취침시간)를 선택 창에 보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표시부에 표시된 선택 창을 통해 학습모드와 종교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314). 이때, 학습모드란 학습자료 출력모드, 기상시간, 취침시간, 액자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종교모드는 크리스천모드, 아잔모드, 불교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모드와 종교모드의 종류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학습모드와 종교모드 중에서 종교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종교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크리스천모드와 아잔모드, 불교모드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종교 선택 창들이 표시부에 나타나게 된다. 사용자는 표시부에 나타난 다수의 선택 창 중에서 크리스천 모드를 선택하게 되고, 선택된 종교모드에 따른 하위 선택 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위 선택 창에는 크리스천모드가 출력될 날짜를 설정(316)하도록 하는 창으로 변경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크리스천모드가 출력되는 날짜를 일요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아잔 종교의 신도인 경우, 아잔모드를 선택할 시에는 금요일 설정 관련 창이 나타나게 되고, 입력이 완료되면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초기 메뉴 창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는 크리스천모드가 출력될 날짜를 선택한 다음, 크리스천모드가 화면상에 출력되는 형태를 설정한다(318).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초기 메뉴 창에서 크리스천 초기화면, 영상출력화면(사진, 이미지 및 동영상 포함), 텍스트를 포함하는 문자출력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화면을 선택한다. 일례로, 사용자가 텍스트를 포함하는 문자출력 화면을 선택한 경우, 메모리로부터 크리스천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문자를 제공받아 출력방식(업데이트 분량, 업데이트 시간, 출력시간 또는 출력횟수)을 설정하고, 텍스트 문자가 화면에 출력되는 방식(layout)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영상출력화면을 선택한 경우에는 전체화면을 2분할 또는 4분할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화면 분할 출력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분할 방 식을 선택한 후 각 화면의 교체 출력 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초기화면, 영상화면 및 문자출력화면 중 적어도 2개의 화면을 선택한 경우에는, 선택된 화면들이 표시부에서 교차 출력되도록 하는 교차출력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출력 화면이 설정되면, 크리스천모드의 화면출력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업데이트 회수를 설정할 수 있다(320).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데이터 출력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서와 같이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메뉴 설정이 완료되면,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데이터 출력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제어부에서는 시간 감지부로부터의 시간정보와 운영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부에 설정된 각 데이터의 출력방식 시간정보에 따라 설정된 데이터 내용에 대한 메뉴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412, 414), 검색된 메뉴 정보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416), 검색된 메뉴 정보가 업데이트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탐색 업데이트하여 업데이트된 데이터로 출력하는 단계(418), 검색된 메뉴 정보가 업데이트가 되지 않은 경우, 전날 출력된 동일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420), 단계 420 또는 단계 422에 따라 출력된 데이터가 음성, 음성과 문자, 음성과 영상, 음성, 영상 및 문자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데이터가 독립적 또는 복합적으로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424), 제어부가 설정된 데이터 출력구간 및 출력방식에 따라 출력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출력 완료될 때까지 지속하거나 반복하는 단계(426), 움직임 센서와 연계된 데이터(주로 학습데이터) 출력완료 후 움직임 센서 인터벌 시간이 경과되면 움직임 센서를 작동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428), 움직임 센서를 통해 움직임이 검출되면 설정내용 검색에 따라 데이터 출력을 반복하는 단계(432), 및 광센서의 광 변화 검출(또는 종료시간 경과)에 기초하여 야간 출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434)를 포함하여 데이터 출력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메모리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메뉴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데이터 출력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부 110: 센서부
120: 키입력부 130: 시간감지부
140: 표시부 150: 확장연결부
160: 저장부 170: 알림부
180: 리모컨 신호 수신부 190: 음성녹취부

Claims (13)

  1.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에 있어서,
    카세트 기기,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비디오 기기를 포함하는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들을 입력받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된 제1 확장 연결부;
    USB, 메모리카드,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장치로부터 데이터들을 입력받도록 하는 단자로 구성된 제2 확장 연결부;
    상기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 각각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들을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데이터 방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 각각에서 입력받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데이터의 출력시작시간, 출력종료시간, 볼륨조절, 텍스트의 문자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키패드로 구성되는 키입력부;
    상기 제1 및 제2 확장 연결부 각각에서 입력받은 상기 데이터들 및 상기 데이터들을 구동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들의 출력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출력시간 및 업데이트 시간을 관리하며, 업데이트 시간 경과 여부에 따라 업데이트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화면이 가로, 세로 소정 비율을 가지도록 다수 개로 분할되거나, 2개 이상의 유, 무선으로 연결된 독립된 화면에 서로 다른 데이터들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된 화면 또는 2개 이상의 유, 무선으로 연결된 독립된 화면은, 독립적 또는 상호 연계되어 상기 데이터를 출력시키도록 설정되며,
    상기 데이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면 분할 방식에 따라, 또는 2개 이상의 유, 무선으로 연결된 독립된 화면에 일정 인터벌 시간 후에 설정방식에 따라 교차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를 원거리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의 모든 키 기능이 부여된 리모컨으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리모컨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들은 각종 학습자료, 각종 종교의 음성자료, 영상자료 및 텍스트자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설정한 상기 데이터의 출력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시간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업데이트 시간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면 분할에 따라 시계, 사진,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초기 화면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화면, 및 텍스트 문자 데이터가 출력되는 텍스트 문자 출력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학습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부는, 학습 시간이 아닌 경우에도 상기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의 초기화면 상에서 전체문장, 주요문장 및 우리말 문장출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가 영상 멘트 출력모드인 경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가 설정한 영상 및 멘트가 출력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가 음악인 경우, 업데이트 시간, 업데이트 음악의 수, 인터벌 시간, 출력 시간 횟수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음악의 출력시간이 학습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Music+, 또는 Voice+의 설정으로 음악이 출력된 후 학습 내용이 출력되도록 하고, 학습 내용이 출력되면 다시 음악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운트다운 모드, 배경액자모드가 설정된 경우, 설정대로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자동출력장치.
  12. 삭제
  13. 삭제
KR1020090133465A 2009-01-29 2009-12-29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KR101136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6776 2009-01-29
KR1020090006776 2009-01-29
KR1020090084836A KR20100088057A (ko) 2009-01-29 2009-09-09 다기능 전자액자 출력장치 및 방법
KR1020090084836 2009-09-09
KR1020090103426 2009-10-29
KR1020090103426A KR20100088062A (ko) 2009-01-29 2009-10-29 영상 문자 음악 음성 데이터 자동출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069A KR20100088069A (ko) 2010-08-06
KR101136554B1 true KR101136554B1 (ko) 2012-04-17

Family

ID=4275438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36A KR20100088057A (ko) 2009-01-29 2009-09-09 다기능 전자액자 출력장치 및 방법
KR1020090103426A KR20100088062A (ko) 2009-01-29 2009-10-29 영상 문자 음악 음성 데이터 자동출력장치 및 방법
KR1020090133465A KR101136554B1 (ko) 2009-01-29 2009-12-29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36A KR20100088057A (ko) 2009-01-29 2009-09-09 다기능 전자액자 출력장치 및 방법
KR1020090103426A KR20100088062A (ko) 2009-01-29 2009-10-29 영상 문자 음악 음성 데이터 자동출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0008805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260A (ko) * 2004-09-14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앨범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5287A (ko) * 2005-07-06 2007-01-10 (주)이디지콤 다기능 전자액자
KR20080057822A (ko) * 2006-12-21 2008-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9260A (ko) * 2004-09-14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앨범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05287A (ko) * 2005-07-06 2007-01-10 (주)이디지콤 다기능 전자액자
KR20080057822A (ko) * 2006-12-21 2008-06-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069A (ko) 2010-08-06
KR20100088057A (ko) 2010-08-06
KR20100088062A (ko) 201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65B1 (ko) 휴대 단말기의 초기화면의 영상, 문자, 음악 및 음성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고 출력하는 장치
JP5466063B2 (ja) 機能を強化した電子ブック
CN1750632B (zh) 具有电子相册功能的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0719776B1 (ko) 휴대형 코드인식 음성 합성출력장치
KR101434199B1 (ko)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
US7746730B2 (en) Multifunction reminder system
JP4309468B1 (ja) フォトアルバムコントローラ
US8395637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CN1905644B (zh) 一种电视贺卡显示方法
JP4561867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US20030189653A1 (en) Image recording device and method
KR101136554B1 (ko) 다기능 자동 출력장치 및 그 출력방법
JP2006330520A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編集装置、データ編集装置用プログラム
CN101437117A (zh) 数字图像处理设备
WO2023003928A1 (en) Context-controlled video quality camera system
CN101219029A (zh) 提供佛教道场场景的可视终端、显示方法和存储介质
KR20100042223A (ko) 학습자료 자동출력장치 및 방법
CN201435163Y (zh) 一种电子学习系统
KR200307072Y1 (ko) 디지털 전자 액자
CN101219030A (zh) 用于播放佛教媒体信息的可视终端和方法
KR20140135386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0629860B1 (ko) 쿠란 데이터를 재생하는 텔레비전 및 재생 방법
KR100518611B1 (ko) 디지탈 어학 학습기
KR100433101B1 (ko) 지능형 갤러리 표시장치 및 운영방법
KR200342001Y1 (ko) 센서와 플래쉬메모리(저장장치) 및 디지털 시계가 장착된 음성 압축 저장 및 자동 전진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