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71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718A
KR20080050718A KR1020060121305A KR20060121305A KR20080050718A KR 20080050718 A KR20080050718 A KR 20080050718A KR 1020060121305 A KR1020060121305 A KR 1020060121305A KR 20060121305 A KR20060121305 A KR 20060121305A KR 20080050718 A KR20080050718 A KR 20080050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view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이태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1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0718A/ko
Publication of KR20080050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 뷰어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에 있어서, 문서 리스트를 불러오는 단계와; 상기 문서 뷰어 시, 상기 문서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고, 표시하기 위해 문서를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서 뷰어시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할 수 있게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하기 때문에 문서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문서 뷰어, 하이라이트, 발췌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Method for Selection Viewer Document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중 하이라이트 부분의 표시 범위를 설정한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중 하이라이트 부분의 표시 범위를 전체 화면으로 설정한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중 하이라이트 부분의 표시 범위를 분할 화면으로 설정한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키입력부 110 : 근거리 통신 모듈
120 : 메모리 130 : 음향 출력부
140 : 표시부 150 :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문서 뷰어 시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부분을 발췌하여 하이라이트 효과를 주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서를 보려면, 직접 책을 보거나 pc를 이용해서 보곤 했다. 그러나 요즘 하루 24시간 1분 1초도 떨어지기 않고 우리 주위에 떡하니 버티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본래 기능인 통화기능 외에도 라디오, MP3, 카메라, 지문인식, 하드디스크를 내장하며 날로 새로운 기능들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 열거한 여러 기능들 외에도 문서 뷰어 기능이 있는데, 이것은 MS오피스·PDF파일 등을 책 보듯이 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기능으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근래의 문서 뷰어 기능은 자동 또는 수동 스크롤시 단순히 문서 내용만을 표시하여 주는 방법 밖에 제공하지 못했다.
특히, 장문의 문서를 정독할때 지하철, 버스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서 읽을 경우엔, 초점이 흐려져서 집중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흔들거리는 곳에서는 보기 때문에 시력이 나빠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서 뷰어 시 특정 부분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주어 문서 가독성을 향상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문서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문서 뷰어 시, 상기 문서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고, 표시하기 위한 문서 변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문서를 표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은 문서 뷰어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에 있어서, 문서 리스트를 불러오는 단계와; 상기 문서 뷰어 시, 상기 문서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고, 표시하기 위해 문서를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키입력부(10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복수개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 신호를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0)은 소정 반경 내에 있는 기기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을 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데이터는 문서 리스트로서, 타 단말기와 문서 리스트를 송수신한다.
메모리(1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120)는, 문서 리스트를 저장한다.
음향 출력부(130)는 상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로 구성되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20)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120)에 저장된 문서를 TTS(text to speech)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고 출력한다.
표시부(140)는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따라, 키입력부(100)로부터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상기 문서를 표출한다.
제어부(150)는 상기 문서 뷰어 시, 상기 문서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고, 표시하기 위한 문서 변환을 제어한다.
이하, 도 2를 통하여 문서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표시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흐름도이다.
키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키 신호에 따라 문서 리스트를 불러온다(S200). 상기 문서 리스트는 MS오피스·PDF파일, 텍스트 문서다.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선택된 문서를 표출한다(S210). 이때 하이라이트 효과가 설정되어 있는지 검색하고(S220), 검색결과 하이라이트 효과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설정에 따라 상기 문서를 변환한다(S230).
상기 하이라이트 효과는 하이라이트 부분을 문서의 글자 색깔 변화, 배경색 변화, 글자 크기 변화, 밑줄 변화를 주는 것으로서, 문서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상기 하이라이트 부분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TTS(text to speech)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면, 마찬가지로 문서의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TTS는 컴퓨터 문서에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음성 합성 애플리케이션으로 음성 합성 기능이 부가된 컴퓨터에서 문자를 음성으로 바꿔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문서를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라이트 부분을 화면 단위 또는 라인 단위로 변환한다. 또한 전체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하는 방법에 대해선 도 3a 내지 도 5b를 통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설정에 따라 문서를 변환하면, 변환된 문서를 표시부(140)를 통해 표출한다(S240).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중 하이라이트 부분의 표시 범위를 설정한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하이라이트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기 위 해 표시하는데, 도 3a는 하이라이트 표시 범위를 화면 단위로 표시한 것으로, 제일 좌측부터 순서대로 설명하면, 첫 글자를 기준으로, 첫 단어를 기준으로, 첫 라인을 기준으로, 첫 문장을 기준으로 배경색을 달리하여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여했다. 즉, 첫 글자는 "늦", 첫 단어는 "늦은", 첫 라인은 " 늦은 나이에야 겨우 과거", 첫 문장은 "늦은 나이에야 겨우 과거에 급제했다." 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하이라이트 부분을 TTS 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b는 하이라이트 표시 범위를 라인 단위로 표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 3a에 비해 좀더 가독성을 향상시켰다. 즉, 여러 조합 방식에 의해 좌측부터 순서대로 설명하면, 첫 라인을 밑줄을 그어서 표시하고, 첫 라인을 글자색과 배경색을 달리하여 표시하고, 첫 라인을 글자색과 글자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고, 첫 라인의 글자를 글자마다 다른 색으로 구분짓되 글자크기도 조절하여 표시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b는 상기 도 3a에 비해 문서의 가독성이 향상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중 하이라이트 부분의 표시 범위를 전체 화면으로 설정한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사용자가 문서 리스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선택하면, 문서 뷰어 시 도 4a와 같은 본원 내용이 표시된다. 왼쪽 하단의 도면은 라인 단위로 이동하면서 첫 라인만 배경색을 달리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인 것을 강조한다. 오른쪽 하단의 도면은 화면 단위로 이동하면서 첫 라인만 배경색을 달리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인 것을 강조한다. 상기 두 도면 모두 자동 스크롤 시간 또는 상하좌우 방향키를 이용해서 라인 및 화면을 이동한다. 도 4a에서는 배경색을 달리하여 구분하였지만, 도 3b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방식을 조합해서 하이라이트 부분을 강조할 수 있다. 도 4b도 도 4a와 비슷하지만, 설정상태가 화면 단위 이동, 자동 스크롤 시간을 5초로 설정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왼쪽 도면은 5초마다 라인이 변경됨과 동시에 배경색이 구분된다. 오른쪽 도면은 5초마다 라인이 변경됨과 동시에 글자색이 변경되고, 글자에 밑줄이 그어져서 구분된다.
상기 도 4b에서는 자동 스크롤 시간을 5초로 설정했지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화면에 표시되는 문서의 라인이 10라인이고, 자동 스크롤 시간이 5초면, 1라인은 0.5초가 된다. 즉, 0.5초마다 라인이 갱신되는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중 하이라이트 부분의 표시 범위를 분할 화면으로 설정한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하이라이트 부분의 표시 범위를 분할 화면으로 설정한 것으로, 도 5a는 화면을 상단과 하단으로 분할하여 상단에 본원을 표시하고, 하단에는 본원에서 하이라이트 부분을 발췌하여 표시함으로써, 가독성을 향상시킨다.
도 5a의 좌측 도면은 라인 단위로 이동하고 상단에는 배경색을 달리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을 강조하고, 하단에는 글자색과 글자크기를 달리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을 강조하였다. 마찬가지로, 도 5a의 우측 도면은 화면 단위로 이동하고, 상단에는 배경색을 달리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을 강조하고, 하단에는 글자색을 달리하여 하이라이트 부분을 강조하였다.
도 5b는 상기 도 5a와 비슷하지만 설정상태가 화면 단위 이동, 자동 스크롤 시간을 3초로 설정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단에는 6라인을, 하단에는 상기 상단에서 강조되는 하이라이트 부분을 표시한다. 상단에는 하이라이트 부분을 배경색을 달리하였고, 하단에는 하이라이트 부분을 글자색을 달리하였다.
상기 4b와 마찬가지로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문서의 라인이 6라인이고, 자동 스크롤 시간이 3초면, 1라인은 0.5초가 된다. 즉, 0.5초마다 화면 상단의 라인이 갱신되면서, 하이라이트 부분 또한 하단에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은 문서 뷰어시 특정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할 수 있게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하기 때문에 문서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문서 뷰어 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에 있어서,
    문서 리스트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문서 뷰어 시, 상기 문서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고, 표시하기 위해 문서를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문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단계는 화면 단위 또는 라인 단위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3. 상기 변환 단계는 전체화면 또는 분할화면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부분은 문서의 글자 색깔 변화, 배경색 변화, 글자 크기 변화, 밑줄 변화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 부분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TTS(text to speech)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문서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문서 뷰어 시, 상기 문서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다른 부분과 구분하고 ,표시하기 위한 문서 변환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문서를 표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를 TTS(text to speech)기능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고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21305A 2006-12-04 2006-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KR20080050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305A KR20080050718A (ko) 2006-12-04 2006-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305A KR20080050718A (ko) 2006-12-04 2006-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718A true KR20080050718A (ko) 2008-06-10

Family

ID=3980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305A KR20080050718A (ko) 2006-12-04 2006-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07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0119A2 (en) * 2010-02-12 2011-08-18 Nicholas Lum Indicators of text continuity
KR20120012947A (ko) * 2010-08-03 2012-02-13 안명환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US9026907B2 (en) 2010-02-12 2015-05-05 Nicholas Lum Indicators of text continuit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0119A2 (en) * 2010-02-12 2011-08-18 Nicholas Lum Indicators of text continuity
WO2011100119A3 (en) * 2010-02-12 2011-11-03 Nicholas Lum Indicators of text continuity
US9026907B2 (en) 2010-02-12 2015-05-05 Nicholas Lum Indicators of text continuity
US10102182B2 (en) 2010-02-12 2018-10-16 Beeline Reader, Inc. Indicators of text continuity
KR20120012947A (ko) * 2010-08-03 2012-02-13 안명환 비가독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4554B2 (en) Method for activating user functions by types of input signals and portable terminal adapted to the method
US9563621B2 (en) Search based user interface
US20110289457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ing files
KR20080051258A (ko) 컨텐츠 탐색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탐색방법
KR20130129749A (ko) 녹음된 음성의 탐색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기기
CN105139848B (zh) 数据转换方法和装置
US7925142B2 (en)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20140019167A (ko) 음성 안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567449B1 (ko) 음성인식에 기반한 애니메이션 재생이 가능한 전자책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507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서 뷰어 발췌 방법
CN102081499B (zh) 电子辞书装置以及电子辞书装置中的检索方法
JP2003108487A (ja) 通信端末
US20100318696A1 (en) Input for keyboards in devices
US20090055181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inputting message thereto
US8700598B2 (en) Manual search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00006495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웹페이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40081622A1 (en) Information display control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display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inform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is recorded
KR2015006613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280636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udio data in electronic device
CN101944090A (zh) 电子设备及显示方法
KR102487810B1 (ko) 저시력자를 위한 웹문서 제공방법 및 그 사용자 단말
JP5894074B2 (ja) テキスト変換装置、テキスト変換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221574B (zh) 声音输出装置及声音输出方法
KR101041795B1 (ko) 한자변환 서비스가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
JP6332433B2 (ja) コンテンツ表示装置、コンテンツ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