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352B1 -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352B1
KR101136352B1 KR1020100053764A KR20100053764A KR101136352B1 KR 101136352 B1 KR101136352 B1 KR 101136352B1 KR 1020100053764 A KR1020100053764 A KR 1020100053764A KR 20100053764 A KR20100053764 A KR 20100053764A KR 101136352 B1 KR101136352 B1 KR 101136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high frequency
frequency
output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4022A (ko
Inventor
박희창
함상용
박철훈
윤동원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5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35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4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2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operating from a resonant DC source, i.e. the DC input voltage varies periodically, e.g. resonant DC-link i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4815Resonant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주파의 출력과 고주파의 출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듀얼 입력 CT의 1차측에 인가하고, CT의 2차측으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OUTPUT METHOD FOR SIMULTANEOUS DUAL FREQUENCY}
본 발명은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부하에 인가함에 있어 안정적인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 전자식 안정기, 초음파모터 구동전원 등 고주파 교류 전원이 필요한 요소에 공진형 인버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공진형 인버터의 경우에 출력주파수에 비례하는 스위칭 주파수로 스위칭을 행하기 때문에 스위칭 손실이 전체 시스템의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시스템의 효율 향상과 스위칭 소자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영전압 스위칭(ZVS : Zero Voltage Switching)과 영전류 스위칭(ZCS : Zero Current Switching) 기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인버터 출력 전압의 고조파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위상시프트(Phase Shift) 스위칭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데 있어서는 인버터 출력주파수를 조정하는 펄스주파수 변조(PFM : Pulse Frequency Modulation) 기법을 대부분 적용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공진형 인버터는 유도가열 열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유도가열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유도가열(IH: Induction Heating)은 패러데이(Faraday)의 전자유도현상을 이용한 금속의 가열 방법의 일종으로서, 금속과 같은 도체에 코일을 감고 이 코일에 저주파, 또는 고주파 전류를 흘려주면, 패러데이에 의해 밝혀진 전자유도 작용에 의해서 도체의 내부에는 유기 기전력(EMF: Electro Motive Force)이 발생하게 되고, 이 유기 기전력에 의해 도체의 내부에는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도체 내부를 흐르는 와전류가 표면부의 저항에 의해서 와전류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줄(Joule)의 법칙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되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여기서 코일에 저주파, 또는 고주파 전류를 흘려주는 것이 인버터로서, 피가열체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형상과 같은 복잡한 형상을 취한 것이라면, 저주파 인버터는 피가열체의 전체 표면이 아닌 A 부분만을 열처리하고, 고주파 인버터는 B 부분만을 열처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3과 같이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제공하면, 기어의 치고와 치저 모두 고루 열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를 위해서는 고주파와 저주파의 동시 출력을 부하에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면서도 안정적인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저주파의 출력과 고주파의 출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듀얼 입력 CT의 1차측에 인가하고, CT의 2차측으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S100 단계는 저주파 출력 전에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S10)와; 상기 고주파의 출력 전에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S2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100단계는 상기 저주파 출력에서 저주파의 제로크로스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저주파가 제로 크로스 지점에 근접될 때마다 고주파의 출력을 설정시간 동안 차단하는 단계(S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S30단계에서 고주파의 출력을 설정시간 동안 차단하는 것은, 상기 고주파 출력을 위한 전원을 차단하거나, 고주파 필터부의 동작은 유지하면서도 CT의 1차측으로의 출력 전달은 차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가열체의 열처리를 위한 예열 과정이 필요없어 유도가열장치의 열처리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주파수 조절을 통해 복잡한 형상의 피가열체(예컨대, 기어 형상)의 표면도 원형 코일에 의해 신속하고 고른 열처리가 가능해지고, 제로크로스 직전에 고주파를 차단함으로써 저주파의 제로크로스 소프트웨어 스위칭을 용이하게 하여 구동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은 종래의 저주파 인버터 시스템의 사용예로서, 기어형상의 피가열체에 사용하면 치저 부분(A)만 열처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고주파 인버터 시스템의 사용예로서, 기어형상의 피가열체에 사용하면 치고 부분(B)만 열처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을 통해 기어형상의 피가열체의 치저 부분과 치고 부분이 모두 열처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적용되는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적용되는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의 기능 중 제로크로스 직전에 고주파를 차단하는 기능을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저주파의 출력과 고주파의 출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듀얼 입력 CT(400)의 1차측에 인가하고, CT의 2차측으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CT(Current Transformer)(400)의 입력부를 저주파, 고주파 입력을 분리하여 받아들이는 듀얼 입력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포함하여 동시 이중 주파수(SDF: Simultaneous Dual Frequency) 구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동시 이중 주파수를 하기 위해 저주파와 고주파를 출력함에 있어 각각의 주파수 출력전에 저주파는 고주파 잡음이 제거되야 하고, 고주파는 저주파 잡음이 제거되어야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주파의 출력 전에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S10)와, 상기 고주파의 출력 전에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S20)를 상기 S100 단계에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S100단계의 안전성을 위해, 즉, 저주파 출력에서 저주파의 제로크로스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저주파가 제로 크로스 지점에 근접될 때마다 고주파의 출력을 설정시간 동안 차단하는 단계(S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S30단계에서 고주파의 출력을 설정시간 동안 차단하는 형태는, 상기 고주파 출력을 위한 전원을 차단하거나, 고주파 필터부의 동작은 유지하면서도 CT의 1차측으로의 출력 전달은 차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은 아래와 같은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은 저주파를 출력하는 저주파 인버터(100)와 고주파를 출력하는 고주파 인버터(200)로 구성된 듀얼 인버터부와, 1차측은 상기 고주파 및 저주파 인버터(100,200)의 출력측(90,190)과 각각 연결되어 고주파와 저주파를 각각 독립적으로 입력받고 2차측은 듀얼 인버터부로부터 인가된 고주파 및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는 듀얼 입력 방식의 CT(400)를 포함하며,
상기 듀얼 인버터부는 저주파가 제로 크로스 지점에 근접될 때마다 고주파의 출력을 설정시간 동안 차단하는 메인컨트롤러(300)를 더 구비하여 저주파의 제로크로스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고, 상기 듀얼 인버터부의 저주파 인버터(100) 및 고주파 인버터(200)는 각각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1 SDF 필터(11)와,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2 SDF 필터(111)를 더 구비한다.
제1,2 SDF 필터(11,111)에 의해 고주파 인버터(200)에서는 저주파 잡음을, 저주파 인버터(100)에서는 고주파 잡음이 제거되고, 저주파를 기준으로 저주파가 제로 크로스 지점에 근접될 때마다 고주파의 출력을 메인컨트롤러(300)가 차단함으로써, 고주파가 저주파에 복조되어 있는 상황에서 저주파의 제로크로스를 찾기 어렵게 되면 저주파 인버터의 출력소자가 하드웨어 스위칭을 하게 되어 전력손실이 크게 되거나 소자가 파손될 가능성이 커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로 크로스 지점의 근접 여부는 저주파의 일정전압의 크기를 정하여 차단지점(Positive/Negative Skip Start)을 설정함으로써 고주파를 차단하여 저주파의 제로크로스를 용이하게 찾는 방식이다. 저주파가 제로크로스를 통과하면 고주파가 다시 구동한다.
고주파 인버터(200)와 저주파 인버터(100)의 출력측(90,190)은 도 5와 같이 CT(400)의 1차측에 각각 연결되어 CT(400)를 통해 부하(500)에 저주파와 고주파를 동시에 인가한다.
상기 저주파 인버터(100)는,
입력 전원으로부터 3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AD컨버터(41)와, 상기 AD컨버터(41)에 의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출력하는 DA컨버터(42)와, 상기 DA컨버터(42)의 교류 전력을 인가받아 저주파를 출력하는 저주파 트랜스부(30)와, 상기 저주파 트랜스부(30)의 출력측 저주파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설정된 펄스폭으로의 저주파 출력을 위한 제1 SDF 필터(11)를 포함하는 저주파 필터부(10) 및 저주파 컨트롤부(20)를 포함한다.
AD컨버터(41)는 입력 전원으로부터의 3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사이리스터(thyristor)를 이용한 3상 위상제어를 사용할 수 있다. 변환된 직류 전력은 저주파 필터부(10) 및 저주파 컨트롤부(20)가 사용한다.
DA컨버터(42)는 AD컨버터(41)로부터의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저주파 필터부(10)에 의한 저주파 컨트롤부(20)의 고속 스위칭 작용으로 고주파의 교류로 변경시키는 구성이다.
저주파 트랜스부(30)는 정합 변압기(matching)인 트랜스(31)와, 인덕터(32)와, 직렬 공진용 콘덴서(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고주파의 교류를 트랜스(31)를 통과하여 부하(500)와 콘덴서(33)의 직렬 조합으로 직렬 공진 부하를 형성하되, 저주파 트랜스부(30)의 출력측은 저주파의 출력을 위해 전압을 유도하는 인덕터(32)가 더 구비되어 있어 DA컨버터(42)에서 출력되는 고주파는 저주파로 전환된다.
콘덴서(33)의 커패시턴스는 저주파 필터부(10)의 제1 SDF 필터(11)에 제공되어 제1 SDF 필터(11)가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데 따른 정보로 활용된다.
저주파 필터부(10)와 저주파 컨트롤부(20)는 AD컨버터(41)와 DA컨버터(42)의 제어를 주목적으로 하며, AD컨버터(41)의 경우 사이리스터(thyristor)의 위상제어 신호를 입력하고, DA컨버터(42)의 경우 IGBT 등의 게이트 신호를 입력한다. 또한 부수적인 기능으로 시퀀스 제어나 이상 신호 등을 입력받아 제어하는 기능도 포함되어있다.
저주파 컨트롤부(20)는 저주파 필터부(10)의 신호를 기초로 저주파 인버터(100)에 입력되는 전원과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손실을 줄이기 위해 스위칭과 파워를 컨트롤하는 구성이다.
상기 고주파 인버터(200)는,
입력 전원으로부터 3상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AD컨버터(141)와, 상기 AD컨버터(141)에 의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출력하는 DA컨버터(142)와, 상기 DA컨버터(142)의 교류 전력을 인가받아 고주파를 출력하는 고주파 트랜스부(130)와, 상기 고주파 트랜스부(130)의 출력측 고주파의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설정된 펄스폭으로의 고주파 출력을 위한 제2 SDF 필터(111)를 포함하는 고주파 필터부(110) 및 고주파 컨트롤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고주파 인버터(200)는 대부분의 구성이 상기 저주파 인버터(100)의 구성과 동일하나, 고주파를 출력하는 것이어서 상기 저주파 인버터(100)에 구비된 인덕터(32)의 구성은 제외되고, 저주파 인버터(100)에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1 SDF 필터(11) 대신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제2 SDF 필터(111)가 구성된다.
상기 고주파 트랜스부(130)의 출력측은 고주파의 공진을 위해 도 5와 같이 콘덴서(133)가 구비된다.
한편,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에서의 CT(400)는 메인컨트롤러(300)에 의해 설정 시간 동안 저주파를 출력하다가 설정 시간이 지나면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거나, 메인컨트롤러(300)에 의해 설정 시간 동안 고주파를 출력하다가 설정 시간이 지나면 고주파 및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거나, 메인컨트롤러(300)에 의해 설정 시간 동안 고주파 및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다가 설정 시간이 지나면 고주파, 또는 저주파를 출력하는 방식의 구동이 가능하다.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은 저주파 및 고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이어서, 예열과정이 불필요하나, 저주파를 출력하다가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는 경우는 예열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에 염두한 제어방식이고, 그외의 출력방식은 이와 같은 방식이 피가열체(600)에 따라 효과적인 열처리 방식일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 의한 것이다. 즉,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은 메인컨트롤러(300)와 고주파, 저주파 인버터(200,100)의 필터부(10,110)와 컨트롤부(20,120)에 의해 상기와 같은 다양한 출력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저주파 필터부 11: 제1 SDF 필터
20: 저주파 컨트롤부 30: 저주파 트랜스부
32: 인덕터 41,141: AD컨버터
42,142: DA컨버터 100: 저주파 인버터
110: 고주파 필터부 111: 제2 SDF 필터
120: 고주파 컨트롤부 130: 고주파 트랜스부
12,112: GDU 13,113: 게이트 컨트롤러
14,114: 이상검출기 15,115: PLL
16: LPF 116: LPF & S/H
31,131: 트랜스 33,133: 콘덴서
90: 저주파 인버터의 출력측 190: 고주파 인버터의 출력측
200: 고주파 인버터 300: 메인컨트롤러
400: CT 500: 부하
600: 피가열체

Claims (4)

  1.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저주파의 출력과 고주파의 출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듀얼 입력 CT의 1차측에 인가하고, CT의 2차측으로 고주파와 저주파를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며,
    상기 S100 단계는,
    상기 저주파의 출력 전에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S10)와;
    상기 고주파의 출력 전에 저주파 잡음을 제거하는 단계(S20)와;
    저주파 출력에서 저주파의 제로크로스에 대한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저주파가 제로 크로스 지점에 근접될 때마다 고주파의 출력을 설정시간 동안 차단하는 단계(S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S30단계에서 고주파의 출력을 설정시간 동안 차단하는 형태는,
    상기 고주파 출력을 위한 전원을 차단하거나, 고주파 필터부의 동작은 유지하면서도 CT의 1차측으로의 출력 전달은 차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53764A 2010-06-08 2010-06-08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 KR101136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764A KR101136352B1 (ko) 2010-06-08 2010-06-08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764A KR101136352B1 (ko) 2010-06-08 2010-06-08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22A KR20110134022A (ko) 2011-12-14
KR101136352B1 true KR101136352B1 (ko) 2012-04-18

Family

ID=45501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764A KR101136352B1 (ko) 2010-06-08 2010-06-08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2293B2 (ja) * 2012-05-18 2016-06-29 高周波熱錬株式会社 誘導加熱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934012B (zh) * 2012-05-18 2019-04-12 高周波热錬株式会社 感应加热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111A (ja) * 2004-04-19 2005-11-04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電力供給装置
KR20070018927A (ko) * 2004-04-21 2007-02-14 인덕터히트 인코포레이티드. 유도 가열에 의한 가공품의 다중­주파수 열처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2111A (ja) * 2004-04-19 2005-11-04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電力供給装置
KR20070018927A (ko) * 2004-04-21 2007-02-14 인덕터히트 인코포레이티드. 유도 가열에 의한 가공품의 다중­주파수 열처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4022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419B1 (ko)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이 가능한 공진형 인버터 시스템
JP4652983B2 (ja) 誘導加熱装置
JP3884664B2 (ja) 誘導加熱装置
Saha et al. Commercial frequency AC to high frequency AC converter with boost-active clamp bridge single stage ZVS-PWM inverter
US11395378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interference noise removal function and power control function
CN102484907A (zh) 感应加热装置
JP2006331964A (ja) 誘導加熱装置
JP2007026728A (ja) 誘導加熱方法及び焼入方法
JP2006140088A (ja) 誘導加熱調理器
Bi et al. A novel multiple-frequency resonant inverter for induction heating applications
JP4910004B2 (ja) 電磁誘導加熱装置
KR101136352B1 (ko) 유도가열 방식의 열처리를 위한 동시 이중 주파수 구동 방법
JP4929305B2 (ja) 電磁誘導加熱装置
Jittakort et al. A variable-frequency asymmetrical voltage-cancellation control of series resonant inverters in domestic induction cooking
JP3831298B2 (ja) 電磁誘導加熱装置
Esteve et al. Using pulse density modula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GBT inverters in induction heating applications
JP3649322B2 (ja) 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方法
JP2007194228A (ja) 電磁誘導加熱装置
Bhattacharya et al. Voltage controlled hybrid resonant inverter an essential tool for induction heated equipment
JP5939903B2 (ja) 電磁誘導加熱装置
Jittakort et al. A soft switching class D current source inverter for induction heating with non-ferromagnetic load
JP2004006331A (ja) 誘導加熱装置
Yachiangkam et al. Resonant inverter with a variable-frequency asymmetrical voltage-cancellation control for low q-factor loads in induction cooking
JP2009099324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7194229A (ja) 電磁誘導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