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996B1 -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996B1
KR101135996B1 KR1020100060851A KR20100060851A KR101135996B1 KR 101135996 B1 KR101135996 B1 KR 101135996B1 KR 1020100060851 A KR1020100060851 A KR 1020100060851A KR 20100060851 A KR20100060851 A KR 20100060851A KR 101135996 B1 KR101135996 B1 KR 10113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gbee
cycle
song
period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470A (ko
Inventor
강전희
박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10006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9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은, 노래반주기와; 상기 노래반주기의 근거리에 위치되어 상기 노래반주기와 무선통신으로 연동되는 외부장치와; 상기 외부장치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비 모듈과; 상기 노래반주기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지그비 모듈과 무선 인터페이스가 가능하여 상기 노래반주기와 상기 외부장치가 연동되도록 한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KARAOKE SYSTEM EMBODIED WIRELESS INTERFACE USING ZIGBEE}
본 발명은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그비(Zigbee)로 노래반주기와 이 노래반주기와 연결 및 연동되는 외부장치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노래반주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저비용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곡신호에 따라 별도의 출력장치를 통해 노래반주 데이터와 자막 및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노래반주기(10)와, 이 노래반주기(10)에 연결되어 노래반주기(10)와 연동되는 외부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래반주기(1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노래반주기(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노래반주기(1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노래반주 데이터와 자막 및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 메모리와, 노래반주기(10)의 자체 성능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된 시스템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20)는, 중앙관리기(21), 계수장치(22), 비누검품 발생기(23), 및 조명기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노래반주 시스템은, 우선, 노래방의 관리자가 중앙관리기(21)를 통해 계수장치(22)로 노래반주기(10)의 구동시간을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계수장치(22)는 노래반주기(10)로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동작제어신호에 따라 노래반주기(10)는 사용자가 키(key) 입력부를 통해 입력하는 키 신호(key signal)에 대응하여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관리기(21)는 계수장치(22)로 노래반주기(10)의 동작시간 또는 연주곡 수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출력하고, 계수장치(22)는 중앙관리기(2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해당되는 시간 또는 연주곡 수만큼만 노래반주기(10)가 동작되도록 제어신호를 노래반주기(10)로 출력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노래반주 시스템의 노래반주기(10)와 외부장치(20)는 모두 유선 케이블(30)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노래반주 시스템 설비시 유선 케이블(30)을 설치하기 위한 설비공사를 해야 하고, 설비공사 후에도 새로운 외부장치(20)를 연결하기 위해 새로운 설비공사가 필요했다.
또한 종래에는 노래반주 시스템과 관련된 외부업체(third party)가 새로운 외부장치(20)(또는 노래방 액세서리)를 구현하기가 어려웠고, 예컨대, 무선랜(Wireless LAN)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20)가 유선 케이블(30)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노래반주 시스템 사용시 복잡하게 설치된 유선 케이블(30) 때문에 불편하고, 유선 케이블(30)로 인하여 노래방의 공간 사용이 비효율적이었으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공간을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노래반주기와 외부장치를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통신에 의해 연동되게 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하게 되고, 새롭게 추가되는 장치의 구현이 용이하며, 저비용으로도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은, (I) 노래반주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리모콘의 전원부가 작동되면, 상기 리모콘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장착된 지그비 모듈이 상기 노래반주기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로 작동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J) 상기 노래반주기의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은 수신한 작동신호를 노래반주기의 제어부에 전달하고, 작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노래반주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노래반주기가 작동되는 단계와; (K) 작동되는 상기 노래반주기로 상기 리모콘에서 곡의 검색 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노래반주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노래반주기에 연결된 모니터의 화면에 소정 데이터가 표시되는 단계와; (L) 상기 노래반주기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노래반주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미 메모리에 저장된 곡의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노래반주기와 연결 설치된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와; (M) 상기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곡의 오디오 및 영상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노래반주기의 이벤트 신호는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을 통해 노래반주기와 연동되는 조명기기 및 비누거품 발생기의 지그비 모듈로 무선 송신되는 단계와; (N) 상기 지그비 모듈은 조명기기 및 비누거품 발생기의 각 제어부에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조명기기 및 비누거품 발생기가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단계 (K)에서, 상기 리모콘에서 검색 데이터를 노래반주기로의 송신은, 지그비 모듈과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의 무선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래반주기와 외부장치의 노래반주 시스템이 지그비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한 유선 공사 등이 필요 없고, 초기 설비 후에도 외부장치의 추가 설비 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정형화한 프로토콜을 구현 및 제공할 수 있으므로 노래반주 시스템을 설비하는 (외부)업체에서 반주기 외부장치(예: 조명기기, 비누거품 발생기 등)의 구현이 용이하다.
또한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에 비해 지그비의 경우에는 노래반주 시스템의 무선통신의 구현이 매우 쉬우며, 매우 적은 비용으로도 노래반주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노래반주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이 적용된 노래반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이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이 적용된 노래반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비 모듈(Zigbee module)(211~261) 및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Zigbee gateway module)(111)을 포함한 지그비는, 근거리 무선통신 규약의 하나로 저속이면서 전송거리도 짧지만 지그비가 근거리 무선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는 이유는 크게 '저 전력 소비'와 '저비용'을 꼽을 수 있다.
전력 소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그비는 전력 소모면에서 소형 배터리(예컨대, AA건전지)로 수개월에서 수년 이상 배터리의 사용기간을 지속시킬 수 있으며, 지그비를 구현하는 비용도 극히 저렴하다.
이와 같은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은, 노래반주기(100)와, 이 노래반주기(100)의 근거리에 위치(또는 배치)되어 노래반주기(100)와 무선통신으로 노래반주기(100)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노래반주기(100)의 기능이 구현되거나 향상되도록 하는 외부장치(200)와, 이 외부장치(200)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electric interface)가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비 모듈(211~261)과, 상기 노래반주기(100)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그비 모듈(211~261)과 무선 인터페이스가 가능하여 노래반주기(100)와 외부장치(200)가 연동되도록 한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장치(200) 및 노래반주기(100)는 연동되는 것으로 조명기기(210), 비누거품 발생기(220), 무선 조이스틱(230), 중앙관리기(240), 계수장치(250) 및 리모콘(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장치(200)는 도 2의 일 실시예로 나타낸 것 외에도 노래반주기(100)와 연동되며 작동될 수 있는 노래반주 시스템은 어느 것이나 해당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래반주기(100)와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그비 모듈(211~261)과 무선 통신하는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은 노래반주기(100) 내부(또는 내장) 또는 외부(또는 외장)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장치(200)에 전기적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비 모듈(211~261)은 각 외부장치(2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200)인 조명기기(210), 비누거품 발생기(220), 무선 조이스틱(230), 중앙관리기(240), 계수장치(250) 및 리모콘(260)에는 지그비 모듈(211~261)이 각각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노래반주기(100) 및 외부장치(200)에 지그비가 설치됨으로써 노래반주기(100) 및 외부장치(200)는 양방향 통신을 통해서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는데, 상기 외부장치(200)가 노래반주기(100)에만 동작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노래반주기(100)와 외부장치(200)의 페어링(paring)을 통해서 노래반주기(100)에 저장하여 해당 외부장치(200)와 통신만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노래반주 시스템을 적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은, 우선, 노래반주기(100) 및 이 노래반주기(100)와 연동되는 외부장치(200)가 작동(ON) 중인지 판단한다.(단계 310)
상기 단계 310에서, 상기 노래반주기(100)와 외부장치(200)가 작동(ON) 중이라고 판단되면, 노래반주기(100) 또는 외부장치(200)가 이벤트(event)를 발생했는지 판단한다.(단계 320)
상기 단계 320에서, 노래반주기(100) 또는 외부장치(200)에서 이벤트를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이벤트를 발생한 상기 노래반주기(100) 또는 외부장치(200)의 제어부에서 노래반주기(100)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 또는 외부장치(200)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비 모듈(211~361)에서 이벤트 신호를 외부로 무선 송신한다.(단계 330)
그러면, 이벤트 신호를 송신한 상기 노래반주기(100) 또는 외부장치(200)와 근거리에 위치한 해당 노래반주기(100)의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 또는 외부장치(200)의 지그비 모듈(211~261)이 이벤트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다.(단계 340)
이어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 노래반주기(100) 또는 외부장치(200)의 제어부에서 상기 이벤트 신호를 처리한다.(단계 350)
그리고 상기 이벤트 신호를 송신한 노래반주기(100) 또는 외부장치(200)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 노래반주기(100) 또는 외부장치(200)가 서로 연동하며 작동한다.(단계 36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장치(200)는 조명기기(210), 비누거품 발생기(220), 무선 조이스틱(230), 중앙관리기(240), 계수장치(250) 및 리모콘(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이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노래반주기(100)를 작동(ON)시키기 위해 리모콘(260)의 전원부(power)(263)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리모콘(260)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장착된 지그비 모듈(261)이 노래반주기(100)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로 작동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노래반주기(100)의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은 수신한 작동신호를 제어부(112)에 전달하고, 이렇게 작동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노래반주기(100)가 작동(ON)된다.
이와 같이 노래반주기(100)에 작동되면, 상기 리모콘(26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부르고자 하는 곡의 검색 데이터(예컨대, 곡 번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노래반주기(100)에 연결된 모니터(또는 TV)(270)의 화면에 곡 번호, 곡명, 가수명 등의 데이터(또는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러한 리모콘(260)에서 검색 데이터를 노래반주기(100)로 송신하는 작동은 당연히 지그비 모듈(261)과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의 무선통신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리모콘(260)을 이용하여 시작 버튼(미도시)을 누르면, 즉 노래반주기(10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노래반주기(100)의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이미 메모리(113)에 저장된 곡의 데이터(음원 및 동영상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노래반주기(100)와 연결 설치된 모니터(270) 및 스피커(280)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모니터(270) 및 스피커(280)를 통해 곡의 오디오 및 영상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노래반주기(100)의 이벤트 신호는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을 통해 노래반주기(100)와 연동되는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의 지그비 모듈(211,221)로 무선 송신된다.
그러면, 각 지그비 모듈(211,221)은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의 각 제어부(212,222)에 이벤트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가 작동하게 된다.
이들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는 예컨대, 노래의 박자에 맞추어 조명기기(210)의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의 작동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노래반주기(100)의 박자에 맞추어 조명기기(210)의 밝기 정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은, 상기 노래반주기(100)와 외부장치(200)와의 지그비를 이용하여 양방향 무선통신을 구현한 것으로, 노래반주 시스템의 확장 및 구현이 더욱 쉬워진다.
예컨대, 노래반주기(100)에서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통신으로 정형화한 프로토콜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즉, 반주 시작, 정지, 코인입력, 리모콘(260)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에 지그비를 이용하여 각각의 정형화된 데이터를 송신하면 외부장치(200)들은 그 신호에 동기를 맞추어 동작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리모콘(260)에 의해 노래반주기(100)가 시작의 동작 데이터를 수신하면 노래반주기(100)와 연동되는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는 자신의 제어부(212,222)에 제어에 의해 조명기기(210)와 비누거품 발생기(220)를 동작시킨다. 마찬가지로, 노래반주기(100)가 반주 정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의 동작을 중지한다.
이는 지그비 모듈(211~261)과 지그비 게이트웨이(111) 모듈의 양방향 무선통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하며 예컨대, 무선 조이스틱(230)의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면 노래반주기(100)에서 각종 어플리케이션(예: DDR)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노래반주기(100) 상태에 대한 데이터는 공개되고, 공개된 무선 데이터에 의해 노래반주 시스템을 설비하는 (외부)업체의 노래반주기(100) 및 외부장치(200)에 대한 개발도 용이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노래반주기
111.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
112. 제어부
200. 외부장치
210. 조명기기
211~261. 지그비 모듈
220. 비누거품 발생기
230. 무선 조이스틱
240. 중앙관리기
250. 계수장치
260. 리모콘
263. 전원부
270. 모니터
280. 스피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I) 노래반주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리모콘(260)의 전원부(263)가 작동되면, 상기 리모콘(260)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장착된 지그비 모듈(261)이 상기 노래반주기(100)에 전기적인 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설치된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로 작동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J) 상기 노래반주기(100)의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은 수신한 작동신호를 노래반주기(100)의 제어부(112)에 전달하고, 작동신호를 수신한 상기 노래반주기(100)의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노래반주기(100)가 작동되는 단계와;
    (K) 작동되는 상기 노래반주기(100)로 상기 리모콘(260)에서 곡의 검색 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노래반주기(100)의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노래반주기(100)에 연결된 모니터(270)의 화면에 소정 데이터가 표시되는 단계와;
    (L) 상기 노래반주기(10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노래반주기(100)의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이미 메모리(113)에 저장된 곡의 데이터가 인코딩되어 노래반주기(100)와 연결 설치된 모니터(270) 및 스피커(280)를 통해 출력되는 단계와;
    (M) 상기 모니터(270) 및 스피커(280)를 통해 곡의 오디오 및 영상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노래반주기(100)의 이벤트 신호는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을 통해 노래반주기(100)와 연동되는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의 지그비 모듈(211,221)로 무선 송신되는 단계와;
    (N) 상기 지그비 모듈(211,221)은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의 각 제어부(212,222)에 이벤트 신호를 전달하여 조명기기(210) 및 비누거품 발생기(220)가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단계 (K)에서, 상기 리모콘(260)에서 검색 데이터를 노래반주기(100)로의 송신은, 지그비 모듈(261)과 지그비 게이트웨이 모듈(111)의 무선통신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00060851A 2010-06-25 2010-06-25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 KR10113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51A KR101135996B1 (ko) 2010-06-25 2010-06-25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851A KR101135996B1 (ko) 2010-06-25 2010-06-25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70A KR20120000470A (ko) 2012-01-02
KR101135996B1 true KR101135996B1 (ko) 2012-04-17

Family

ID=4560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851A KR101135996B1 (ko) 2010-06-25 2010-06-25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54639S1 (en) 2014-09-03 2016-04-26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USD761769S1 (en) 2015-02-12 2016-07-19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KR101785648B1 (ko) * 2015-04-06 2017-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032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기기 제어 방법
KR20070063395A (ko) * 2005-12-14 2007-06-19 김성규 휴대형 반주기기 및 이와 연동되는 고정형 지원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6032A (ko) * 2005-07-07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주변기기 제어 방법
KR20070063395A (ko) * 2005-12-14 2007-06-19 김성규 휴대형 반주기기 및 이와 연동되는 고정형 지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70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64883A1 (en) Compact modular wireless control devices
CN104422088B (zh) 空气调节器
KR102273306B1 (ko) 전자 장치들 사이의 무선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KR102088322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어플라이언스 제어 시스템
US9595248B1 (en) Remotely operable bypass loop device and system
KR101135996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노래반주 시스템 제어방법
JP2015005856A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操作信号発生装置
JP2020021748A (ja) 照明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US20140277591A1 (en) Electrical Equipmen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105703806A (zh) 播放设备的蓝牙模块控制方法、装置及音视频播放系统
KR20150123676A (ko)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방법
KR101677131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JP2015207999A (ja) 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の統合型システム
CN109993951A (zh) 一种门牌系统及其控制方法和装置
CN209167840U (zh) 具有音箱功能的智能网关以及智能家居系统
JPH08275255A (ja) ホームバス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バスシステムにおけるリモート機器制御方法
JP7123334B2 (ja) 入力支援ユニット及び入力支援システム
CN203465570U (zh) 家电设备远距监控系统
CN207165862U (zh) 智能型模块化系统
JP5308195B2 (ja) 宅内機器制御システム
CN217484737U (zh) 用于设备控制系统的智能面板、设备控制系统
JP2009260523A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管理装置、制御方法、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TWM561894U (zh) 充電式觸控行動ktv系統
US20190019482A1 (en) Remotely operable sound effect control device and system
CN204178159U (zh) 融矩阵、控制和电源管理为一体的智能控制服务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