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357B1 -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357B1
KR101135357B1 KR1020040068395A KR20040068395A KR101135357B1 KR 101135357 B1 KR101135357 B1 KR 101135357B1 KR 1020040068395 A KR1020040068395 A KR 1020040068395A KR 20040068395 A KR20040068395 A KR 20040068395A KR 101135357 B1 KR101135357 B1 KR 10113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plate body
flexible rubber
rubber plate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748A (ko
Inventor
황태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기연
Priority to KR1020040068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35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보를 도복시킬 때 지면에 대해 평판형으로 완전하게 도복되어지도록 하는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은 단위면적을 가지는 얇은 평판형의 탈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탈형부재를 사이에 두고 단위면적을 가지는 적어도 2매 이상의 얇은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와 보강포들을 양단부가 일치되게 반으로 접어 교호 적층시키는 단계; 일단부가 다른 단부 보다 두껍고 또한 가장 바깥 보강포의 접혀진 상태의 길이보다 긴 상, 하층 미가황고무시이트의 일단부를 적층물의 접혀진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하여 서로 일치시키고 타단부를 적층물의 양단부와 상호 일치되게 적층시키는 단계; 적층물들을 열가황접착 후 탈형부재를 적층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 탈형부재가 이탈된 적층물들의 양단부들을 외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돌출부분이 가요성 고무판체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그 가요성 고무판체의 소정위치에 다수 매의 예비판체들과 하천폭방향으로 열가황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가요성 고무판체가 공기의 주입 때 외향으로 펼쳐져 구형상으로 기립되고, 공기의 배출 때에는 내향으로 완전하게 접혀져 지면에 대해 평판형으로 도복되어짐으로써 물의 방류 때 함께 방류되는 날카로운 유목 또는 유석 등으로부터의 손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METHOD MASKING FLEXIBLE PLATE BODY FOR RUBBER DAM}
도 1은 종래의 가요성 고무판체로 이루어진 고무댐이 기립되어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무보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일의 예비판체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부위에 나타내는 가요성 고무판체의 표면에 통기핀이 결합되어진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가요성 고무판체로 이루어진 고무댐이 기립되어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5a, 5b는 도 4의 B부위에 나타내는 가요성 고무판체에 돌출부를 가지는 통기핀 고무판체의 제조공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b에 의해 제조된 통기핀 고무판체가 가요성 고무판체에 열가황접착되어 기립된 상태를 보인 도 4의 B부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부위에 적용되는 통기핀 고무판체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4의 B부에 적용되는 통기핀 고무판체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 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무보 11 : 가요성 고무판체
120 : 통기핀 고무판체 121 : 탈형부재
122a 내지 122d : 보충고무시이트 123a 내지 123d : 보강포
124 : 상층 고무시이트 125 : 하층 고무시이트
128 : 돌출부 129 : 구면
본 발명은 예컨대, 강이나 하천 등을 가로질로 저수량을 확보하는 고무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보의 외부 표면에 하천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월류하는 하천수에 공기를 자연스럽게 투입시켜서 하천 내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진동방지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기핀을 고무보와 일체화시켜 그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도복 때 공기주머니와 같은 공간발생 없이 고무보가 지면에 대해 완전하게 접혀지도록 하는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보의 도복 때 취약부분으로 알려진 둥글게 접혀지는 부위의 강도와 접합효율을 보다 한층 개선한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취수보,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상수도 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또는 하구의 해수 댐의 수위조절용 울타리로서 철제의 자동 전도식 울타리가 주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철제 울타리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작동되므로 정비조작이 대단히 곤란하며 약한 기초위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최근에는 공기, 물 등과 같은 유체의 직접적인 공급에 의해서 운전되며 설비나 정비가 용이한 각기 고무시트로 구성된 소위 조립식 고무댐이라는 수위 조절용 댐들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은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는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 물 등의 유체의 공급 조절로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울타리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들의 가요성 고무판체는 대부분 댐의 폭 또는 길이에 따라 탄력성을 갖는 고무시트 재료를 중첩?접착한 후 이 고무시트 사이에 얇은 편직물포(布)를 매설?접착하여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가요성 고무판체는 팽창 및 이완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가요성 고무판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그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플로트 밸브를 갖는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고무댐들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보(10)의 기립과 도복을 위해 댐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에 매설되는 공기관(13)은 제방의 조작실 내에 설치되는 송풍기(도면에 미 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에 폭방향으로 매설되어 있는 공기관(13)에는 공기 입, 배출구(14)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 면에 설치되는 고무보(10)의 가요성 고무판체(11) 내로 연통되어 있다.
가요성 고무판체(11)와 공기 입, 배출구(14)의 결합에 있어서는 가요성 고무판체(11)를 사이에 두고 공기 입, 배출구(14)에 두 개의 고무판 브라킷트(21)(22)를 각각 억지끼운 후 가요성 고무판체(11)에 접착제로 접착시켜 줌으로써, 그 가요성 고무판체(11)와 공기 입, 배출구(14)가 결합이 이루어져 가요성 고무판체(11) 내의 공기의 기밀이 유지된다.
고무보(10)의 가요성 고무판체(11)는 탄성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에 보강용 편직물포와 보충고무를 넣어서 충분한 인장을 갖도록 가황프레스의 가황온도 하에서 가압 가열하여 접착?제작되어진다.
이와 같은 가요성 고무판체(11)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균일하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제1, 제2 하상구조체(19)(20)를 상호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제1, 제2 앵커볼트(17)(18)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매설하여 둔다.
제1, 제2 하상구조체(19)(20)에 가요성 고무판체(11)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15)(16)를 사용한다.
가요성 고무판체(11)를 고정하는 방법은 가요성 고무판체(11)를 공장에서 공급된 상태 그대로 하상 큰크리트의 바닥에 펼쳐 놓은 다음 가요성 고무판체(11)의 일 단부로부터 대략 1/5 정도되는 지점에 제2 클램핑 플레이트(16)를 덮어놓고 제2 앵커볼트(18)에 너트를 조여 주는 것으로 고정이 된다.
이후 가요성 고무판체(11)의 양단부를 겹쳐서 제1 하상구조체(19) 위에 올려놓은 다음 제1 클램핑 플레이트(15)를 덮어놓고 제1 앵커볼트(17)에 너트를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이 쉽게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무보(10)의 가요성 고무판체(11)가 도복되었을 때 접혀지는 부분, 즉 가요성 고무판체(11)가 펼쳐졌을 때의 1/2되는 지점의 표면에 T자형의 통기핀(12)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천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결합한다. 이 통기핀(12)은 고무보(10)의 가요성 고무판체(11)가 팽창?기립되었을 때 그 가요성 고무판체(11)의 표면으로 월류하는 하천수에 공기를 자연스럽게 투입시켜 하류 쪽의 하천수 내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또한 물이 월류하여 낙하될 때 그 낙하물과 고무보(10) 사이에서 발생된 부압변화로 인하여 고무보(10)가 진동하는 것을 잡아주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 고무판체(11)가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방에 설치된 상기 송풍기를 이용, 공기관(13) 및 이에 연통된 공기 입, 배출구(14)를 통해 가요성 고무판체(11)에 대하여 공기를 유입 또는 배출하게 되면 고무보(10)의 가요성 고무판체(11)가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그리고 고무보(10)의 가요성 고무판체(11)는 설치하고자 하는 하천의 폭에 따라 충분한 길이와 폭을 가지고 제작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고무보(10)의 가요성 고무판체(11)를 폭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성형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여러 매의 단일 예비판체(110)를 성형 제작한다.
상기한 단일의 예비판체(110)의 성형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한 매의 하층 고무시이트(112)의 표면에 하층 편직물포(114), 보충고무 시이트(115), 상층 편직물포(113) 및 한 매의 상층 고무시이트(111)를 차례로 적층시킨다. 이와 같이 조립된 예비판체(110)를 가황프레스에서 가압?열가황하여 접착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 성형된 한 매의 제1 예비판체(110)에 또다른 예비판체를 계속 결합하여 소망하는 폭과 길이를 갖는 가요성 고무판체(11)를 제조하게 되는바, 도 1과 같은 가요성 고무판체(11)를 폭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한 매의 제1 예비판체(110)의 일측부위를 스텝(Step: 계단)을 갖도록, 즉 상, 하층 고무시이트(111)(112), 상, 하층 편직물포(113)(114) 및 보충고무 시이트(115)가 계단형상을 이루도록 절단?제거하되, 상층 편직물포(113)와 보충고무 시이트(115)는 단부가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절단하고 상, 하층 고무시이트(111)(112)와 보충고무 시이트(115)는 각각 상, 하층 편직물포(113)(114)의 표면 일부가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에서 보이도록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제거한다. 그리고 제1 예비판체(110)와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구조를 갖는 또다른 제2 예비판체도 제1 예비판체(110)와 동일한 방법으로 절단?제거하여 이 두 매의 예비판체 절단부위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미가황고무를 개재시켜 가황프레스에서 가압하고 소정의 가황온도 하에서 가열?접착하는 것에 의해 도 1과 같은 소망의 폭과 길이를 갖는 가요성 고무판체(11)를 얻을 수가 있다.
이렇게 제조된 가요성 고무판체(11)는 소정의 길이에 따라 제조 가능하므로 각기 다른 폭을 가진 하천 등의 고무댐으로서 적합하며, 또한 하천에 설치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고무판체(11)가 도복되었을 때 접혀지는 부분의 겉표면에 T자형으로 형성된 별도의 통기핀(12)을 하천 폭방향으로 접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은 기립과 도복을 위한 가요성 고무판체의 전체가 일정한 두께를 갖는 예비판체들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이루어진 가요성 고무판체를 하천에 설치한 상태에서 담수된 물을 하류쪽으로 방류하고자 상기 가요성 고무판체를 도복시켰을 때 두 겹이 접혀져 만나는 끝부분의 예비판체, 즉 감아돌린 부분의 예비판체의 두께에 의해서 완전하게 도복이 이루어지지 않고 공기주머니와 같이 볼록하게 돌출되며, 이것에 의해 상류의 물이 완전하게 하류로 방류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물과 함께 방류되는 날카로운 유목 또는 유석 등에 의해 상기 감아돌린 부분에 마모, 긁힘, 구멍뚫림, 찢어짐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손상이 야기된다.
또한, 하천수 내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진동방지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기핀을 상기 접혀진 부분의 겉표면에 별도로 접착하여 결합해 줌으로써, 그 결합부위의 강도가 매우 약하며 이것에 의해 물이 월류하면서 통기핀에 충격을 가했을 때 이탈될 염려가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물의 저장과 방류를 위해 가요성 고무판체가 주기적으로 기복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감아돌린 부분이 주기적으로 접혀지고 펼쳐지는 것에 의해 그 부분이 노후화가 빨라지고 특히, 상기 감아돌린 부분에 스크러치가 발생했을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그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그 부분이 점점 벌어져 결국, 가요성 고무판체가 손상되며, 이것들에 의해 막대한 재산상의 피해와 인명사고를 불러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치유하면서도 작업성의 면에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통기핀을 결합할 수 있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그리고 안전성 면에서는 가요성 고무판체와 통기핀의 결합부위의 강도를 보다 보강시켜 가요성 고무판체의 주기적인 기복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도록 하는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진동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기핀의 결합부위를 보다 강화시켜 물의 충격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은 통기핀과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통기핀 고무판체에 돌출부를 구비시켜 상기 가요성 고무판체의 소정위치에 하천폭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열가황접착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무보의 도복 때 공기주머니와 같은 공간발생 없이 그 고무보가 지면에 대해 평판형으로 밀착되어 접혀지도록 하는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은 공기의 주입 때 외향으로 펼쳐져 구형상으로 기립되고 공기의 배출 때 내향으로 접혀져 평판형으로 도복되는 단위면적의 통기핀 고무판체를 구비시켜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제안하는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 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에 의하면,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다수의 단일 예비판체를 서로 일체가 되게 열가황접착하여 공기의 주입과 그로부터의 배출에 의해 기립과 도복을 하는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단위면적을 가지는 얇은 평판형의 탈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준비된 탈형부재를 사이에 두고 단위면적을 가지는 적어도 2매 이상의 얇은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와 보강포들을 각각 양단부가 일치되게 반으로 접 어 교호로 적층시키는 단계;
(3) 일단부가 다른 단부 보다 두껍고 또한 상기 가장 바깥 보강포의 접혀진 상태의 길이보다 긴 상, 하층 미가황고무시이트의 일단부를 상기 적층물의 접혀진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하여 서로 일치시키고 상기 타단부를 상기 적층물의 양단부와 상호 일치되게 하여 적층시키는 단계;
(4) 상기 적층물들을 열가황접착한 다음 상기 탈형부재를 상기 적층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탈형부재가 이탈된 상기 적층물들의 양단부들을 외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분이 상기 가요성 고무판체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그 가요성 고무판체의 소정위치에 상기 다수 매의 예비판체들과 하천폭방향으로 열가황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 하층 미가황고무시이트 상에 상기 돌출부분을 포함하여, 또다른 보강포와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를 차례대로 반으로 접어 적층한 후에 열가황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장 안쪽의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의 접혀진부분의 내면이 하천폭방향에 대해 원형에 가깝도록 일단부가 원형에 가까운 탈형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적층물을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다수 매의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와 보강포 및 미가황 고무시이트가 차례로 접혀져 적층되고 열가황접착으로 이루어진 통기핀 고무판체에 상기 통기핀과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가요성 고무판체와 결합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요성 고무판체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그 가요성 고무판체의 소정위치에 상기 다수 매의 예비판체들과 하천폭방향으로 열가황접착시켜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가요성 고무판체의 통기핀 고무판체가 공기의 주입 때 외향으로 펼쳐져 구형상으로 기립되고, 공기의 배출 때에는 내향으로 접혀져 지면에 대해 평판형으로 도복되어짐으로써 상기 접혀진 부분에 공기주머니와 같은 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물의 방류 때 함께 방류되는 날카로운 유목 또는 유석 등에 의한 마모, 긁힘, 구멍뚫림, 찢어짐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고, 또한 하천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진동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기핀의 결합부위가 보다 강화되어 물의 충격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은 고무댐의 크기에 무관하고 여러 종류의 고무댐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요성 고무판체로 이루어진 고무댐이 기립되어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5a, 5b는 도 4의 B부위에 나타내는 가요성 고무판체에 돌출부를 가지는 통기핀 고무판체의 제조공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고무댐의 한 종류를 형성하는 고무보(10)는 그 기본구성부재로서, 하층 고무시이트(112)의 표면에 면섬유의 하층 편직물포(112), 보충고무시이트(115), 상층 편직물포(113) 및 상층 고무시이트(111)가 차례로 적층되고 가황하여 성형되어진 단위면적의 예비판체들을 서로 열가황접착하여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가요성 고무판체(11)를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조되는 가요성 고무판체(11)는 그 양단부가 겹쳐져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면상에 배치되고 하천폭방향으로 배열?매설된 제1, 제2 앵커볼트(17)(18)에 끼워지고 그 위로 제1, 제2 클램핑 플레이트(15)(16)가 얹혀진 다음 너트로 체결되어짐으로써, 가요성 고무판체(11)가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에 확고하게 체결된다.
이와 같이 가요성 고무판체(11)에 의해서 형성된 고무보(10) 내로 공기관(13)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고무보(10)는 기립된다.
그리고 기립된 고무보(10) 위로의 물유동은 하류측상의 고무보(10)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낙하된다.
이때, 낙하되는 물과 고무보(10) 사이에서 발생된 부압변화로 인하여 진동이 고무보(10) 내로 도입되고, 상기 언급된 부압변이의 진동수가 고무보(10)의 진동수 와 일치하게 되면, 상기 고무보는 공진으로 인해 크게 진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공진을 피하기 위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성 고무판체(11)의 소정의 위치, 즉 다시 말해서 가요성 고무판체(11)의 감아돌린 부분,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고무판체(11)가 펼쳐진 상태하의 1/2지점에 돌출부(128)가 일체로 돌출되어 형성된 단위면적의 통기핀 고무판체(120)를 하천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통기핀 고무판체(120)는 전술한 공기관(13)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 그 양단부가 외향으로 펼쳐져 가요성 고무판체(11)와 함께 구형상으로 기립되고, 또 그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면 그 양단부가 내향으로 완전하게 접혀져 가요성 고무판체(11)와 함께 지면에 대해 평판형으로 도복되어진다. 이때 돌출부(128)는 가요성 고무판체(11)의 표면에 대해서는 수직상향으로 돌출되어지고 지면에 대해서는 약간 경사지게 위치를 잡게 된다.
계속해서, 전술한 범람한 물이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돌출부(128)에서 박리되어 낙하되면, 이 범람한 물은 돌출부(128)를 통과하는 물의 유동과 그 돌출부(128)를 통과하기 전에 가요성 고무판체(11)의 상부 표면에서 잔류하는 물의 유동으로 분리되며, 그 결과 이 분리된 물의 유동이 서로 상쇄되어짐으로써, 고무댐의 공진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부압변이가 발생되지 않아 고무보(10)의 진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돌출부(128)를 통해 물이 낙하될 때 그 돌출부(128)와 가요성 고무판체(11)의 표면 사이로 공기가 유통됨으로 상기 낙하는 물 에 공기가 투입되어 하류쪽의 용존산소량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고무보(10)에 제공되는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성형 제작 방법에 있어서는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단위면적을 가지는 금속제 또는 두께가 두꺼운 종이제 등으로 이루어진 평판형의 탈형부재(121)를 준비한다.
이후 상기 준비된 탈형부재(121)를 사이에 두고 단위면적을 가지는 얇은 제1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122a), 스트립형상의 제1 보강포(123a), 제2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122b), 제2 보강포(123b), 제3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122c), 제3 보강포(123c)들의 수순으로 각각 양단부가 일치되게 반으로 접어서 적층시킨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적층물의 상, 하부에 일단부가 다른 단부 보다 두꺼우며 또한 상기 제3 보강포(123c)의 접혀진 상태의 길이보다 길고 내부에는 각각 스트립형상의 상, 하층 편직물포(126)(127)가 매립되어 있는 상, 하층 미가황고무시이트(124)(125)를 적층시킨다. 이때 두께가 다른 단부보다 두꺼운 상, 하층 미가황고무시이트(124)(125)의 일단부를 제3 보강포(123c)의 접혀진 부분으로부터 충분하게 돌출되게 하여 서로 일치시키고 두께가 상기 일단부 보다 얇은 타단부를 제3 보강포(123c)의 양단부와 상호 일치되게 하여 적층시켜 준다.
이후 상기 적층물들을 가황프레스에서 가압?열가황하여 접착한 다음에 얇은 금속제나 달라붙지 않는 두꺼운 종이류와 같은 탈형부재(121)를 제1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 즉 다시말해 가황후의 제1 보충고무시이트(122a)로부터 이탈시켜 줌으로써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 하층 미가황 고무시이트의 일단부들, 즉 가황후의 상, 하층 고무시이트(124)(125)의 일단부들에 의해 형성되어진 돌출부(128)를 가지는 통기핀 고무판체(120)가 성형?제조되며, 이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양단부 각각은 이후에 설명될 예비판체의 두께와 동일하고 또한 반으로 접혀진 부분, 즉 돌출부(128)를 중심으로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양단부가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외향으로 펼쳐지고 내향으로 접혀지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성형된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결합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양단부와 전술한 예비판체의 양단부를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계단형으로 절개한다.
이후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양단부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향으로 펼친상태에서 돌출부(128)가 가요성 고무판체(11)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한 다음 가요성 고무판체(11)의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기 예비판체들과 하천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열가황접착시켜 줌으로써, 도 4와 같이 통기핀(돌출부)이 일체화된 고무댐이 제공되는 것이다.
도 7은 도 4의 B부위에 적용되는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로서, 여기서 통기핀 고무판체(120)을 제조할 때 일단부의 단면이 폭방향으로 거의 원형에 가까운 전술한 금속제의 탈형부재(121)를 개재시킨 다음 열가황 접착후에 그 탈형부재(121)를 이탈시켜 줌으로써, 전술한 가황된 제1 보충고무시이트(122a)의 접혀진부분의 내면에 구면(129)이 형성되고, 이 구면(129)은 하천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져 고무보(10)가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해 주기적으로 기립과 도복을 반복할 때 그 구면(129)에 의해 접혀지고 펼쳐지는 부분의 보강력이 한층 더 강화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4의 B부에 적용되는 통기핀 고무판체(120)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로서, 도 5a와 같이 적층된 상, 하층 미가황고무 시이트(124)(125) 상에 돌출부(128)를 포함하여, 또다른 제4 보강포(123d)와 제4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122d)를 차례대로 반으로 접어서 적층한 다음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열가황접착으로 성형?제조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통기핀 고무판체(120)에 있어서, 제4 보강포(123d)는 상기 가황된 상, 하층 고무시이트(124)(125)의 열가황접착부위의 보강력을 한층 더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적층된 제4 보강포(123d)와 가황된 제4 보충고무 시이트(122d)는 고무댐의 폭에 따라서 길이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그들의 접혀진 상태에서의 길이는 200mm 내지 2000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고무보의 도복 때 접혀진부분이 완전하게 도복되지 않고 공기주머니와 같이 볼록하게 돌출되고, 또 통기핀이 고무보의 겉표면에 별도로 접착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통기핀 고무판체에 종래의 통기핀과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가요성 고무판체와 일체로 열가황접착시켜 주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요성 고무판체의 통기핀 고무판체가 공기의 주입 때 외향으로 펼쳐져 구형상으로 기립되고, 공기의 배출 때에는 내향으로 완전하게 접혀져 지면에 대해 평판형으로 완전하게 도복되어짐으로써 공기주머니와 같은 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물의 방류 때 함께 방류되는 날카로운 유목 또는 유석 등으로부터의 손상이 방지되고, 또 통기핀의 결합부위가 보다 강화되어 물의 충격 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발명의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에 의하면, 가요성 고무판체가 공기의 주입 때 외향으로 펼쳐져 구형상으로 기립되고, 공기의 배출 때에는 내향으로 접혀져 지면에 대해 평판형으로 도복되어짐으로써 공기주머니와 같은 공간이 발생되지 않아 물의 방류 때 함께 쓸려내려오는 날카로운 유목 또는 유석 등에 의한 마모, 긁힘, 구멍뚫림, 찢어짐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고, 또한 하천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고 진동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통기핀의 결합부위가 보다 강화되어 물의 충격으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원주방향으로 분할된 다수의 단일 예비판체를 서로 일체가 되게 열가황접착하여 공기의 주입과 그로부터의 배출에 의해 기립과 도복을 하는 가요성 고무판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단위면적을 가지는 얇은 평판형의 탈형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준비된 탈형부재를 사이에 두고 단위면적을 가지는 적어도 2매 이상의 얇은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와 보강포들을 각각 양단부가 일치되게 반으로 접어 교호로 적층시키는 단계;
    (3) 일단부가 다른 단부 보다 두껍고 또한 상기 가장 바깥 보강포의 접혀진 상태의 길이보다 긴 상, 하층 미가황고무시이트의 일단부를 상기 적층물의 접혀진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게 하여 서로 일치시키고 상기 상, 하층 미황고무시트의 타단부를 상기 적층물의 양단부와 상호 일치되게 하여 적층시키는 단계;
    (4) 상기 적층물들을 열가황접착한 다음 상기 탈형부재를 상기 적층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탈형부재가 이탈된 상기 적층물들의 양단부들을 외향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적층물의 접혀진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상, 하층미가황고무시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가요성 고무판체의 표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그 가요성 고무판체의 소정위치에 상기 다수 매의 예비판체들과 하천폭방향으로 열가황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의 접혀진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상, 하층 미가황고무시이트의 일단부 상에 또다른 한매의 보강포와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를 차례대로 반으로 접어 적층 후에 이들의 적층물을 열가황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장 안쪽의 미가황 보충고무시이트의 접혀진부분의 내면이 하천폭방향에 대해 원형에 가깝도록 일단부가 원형에 가까운 탈형부재를 개재시켜 상기 적층물을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KR1020040068395A 2004-08-30 2004-08-30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KR10113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395A KR101135357B1 (ko) 2004-08-30 2004-08-30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395A KR101135357B1 (ko) 2004-08-30 2004-08-30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849U Division KR200367432Y1 (ko) 2004-08-31 2004-08-31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48A KR20060019748A (ko) 2006-03-06
KR101135357B1 true KR101135357B1 (ko) 2012-04-16

Family

ID=3712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395A KR101135357B1 (ko) 2004-08-30 2004-08-30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3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68B1 (ko) * 2009-03-30 2011-03-16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고흡수성 보강포를 이용한 고무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18594B1 (ko) * 2009-03-30 2011-03-03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자기 밀폐성 고무댐
KR102387668B1 (ko) * 2021-12-29 2022-04-19 명보 주식회사 기립 및 도복 기능이 향상된 고무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0320A (ja) * 1987-11-05 1989-05-12 Bridgestone Corp 補強材で強化された折曲形状のゴム膜の製造方法
JP2003027450A (ja) 2001-07-17 2003-01-2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堰の製造方法
JP2003261922A (ja) 2002-03-12 2003-09-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堰の製造方法
JP2004068323A (ja) 2002-08-02 2004-03-04 Bando Chem Ind Ltd ゴム製袋体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0320A (ja) * 1987-11-05 1989-05-12 Bridgestone Corp 補強材で強化された折曲形状のゴム膜の製造方法
JP2003027450A (ja) 2001-07-17 2003-01-2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堰の製造方法
JP2003261922A (ja) 2002-03-12 2003-09-19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ム堰の製造方法
JP2004068323A (ja) 2002-08-02 2004-03-04 Bando Chem Ind Ltd ゴム製袋体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748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9589B2 (en) Hybrid solid-inflatable mandrel for blade manufacturing
KR100443648B1 (ko) 맨홀용라이닝재및맨홀용라이닝공법
CA2229213C (en) Connection system for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s
KR20070100410A (ko)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KR100761550B1 (ko) 가요성 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35357B1 (ko)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제조방법
KR100644779B1 (ko) 가요성 고무댐
KR100273922B1 (ko) 가요성막 둑
KR200367432Y1 (ko)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KR200413712Y1 (ko) 파손방지 가요성 고무댐의 보강구조
KR100737839B1 (ko) 고무댐용 고무판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9313B1 (ko) 고무댐의 가요성 고무판체 및 그 가요성 고무판체의제조방법
JP2003227117A (ja) 防水用具および該防水用具を使用する防水方法
CN106193072A (zh) 止水胶囊及其制造方法
KR102195447B1 (ko) 공기틈을 구비하는 가동보용 에어백 제조방법
KR100877128B1 (ko) 가요성 보 및 그 제조방법
KR101777255B1 (ko) 고무보 에어백 제조 방법
KR101348277B1 (ko) 펜더제조방법
KR200367430Y1 (ko) 단계적 수위조절이 용이한 고무댐
US20200040595A1 (en) Modular pool
JP2004068323A (ja) ゴム製袋体とその製造方法
KR200323126Y1 (ko) 고무댐용 가요성 고무판체
JP3148924B2 (ja) コンクリート施工用型枠
KR910000225Y1 (ko) 유체 팽창식 고무댐
JP4682471B2 (ja) ゴム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