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322B1 - 외부업체데이터 등재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업체데이터 등재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322B1
KR101135322B1 KR1020100060730A KR20100060730A KR101135322B1 KR 101135322 B1 KR101135322 B1 KR 101135322B1 KR 1020100060730 A KR1020100060730 A KR 1020100060730A KR 20100060730 A KR20100060730 A KR 20100060730A KR 101135322 B1 KR101135322 B1 KR 101135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d
registration
module
setting data
l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387A (ko
Inventor
양수연
조영민
박영근
Original Assignee
한신정신용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신정신용정보(주) filed Critical 한신정신용정보(주)
Priority to KR1020100060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3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3Storage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업체데이터(EED: External Enterprise Data) 등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산담당자 단말과 통신을 취하여, EED의 등재절차(예컨대, 등재대상 EED의 취득절차, 취득된 EED의 임시 등재절차, 임시 등재된 EED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절차, 보정 완료된 EED의 기간 데이터 서버로의 정식 등재절차, 정식 등재된 EED의 최종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절차 등)와 관련된 전산담당자 측 설정데이터를 접수?저장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접수터미널에 통신?접속하여, 외부업체 측으로부터 전달?접수된 등재대상 EED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 내에 EED의 정보내역을 판독?기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합성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EED의 정합성을 체크한 후, 이상이 있는 EED를 찾아내어 보정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식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기간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테이블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에 EED 임시등재 테이블 측 EED를 이식?등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등재테이블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이에 기록되어 있던 EED를 최종 정제 처리함과 아울러, 각 외부업체의 독자적인 예외규칙에 따라, EED 등재테이블 내에 기재되어 있던 EED를 변경?삭제 또는 부가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산담당자 측에서, 수 작업을 통한 별도의 EED 등재프로그램 개발절차 없이, 단지,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외부업체별 EED 특성에 따라 변경?지정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각 외부업체의 EED를 기간 데이터 서버의 필요영역에 신속하게 자동?등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 측에서, <EED 등재프로그램의 수 작업 개발에 기인하였던 전산담당자의 업무효율 저하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문법오류, 수치기입오류, 문자기입오류 등에 기인하였던 EED의 신뢰성 붕괴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개발 호환성 저하에 기인하였던 EED의 등재효율 악화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자사의 전체적인 업무생산성, 업무효율 등이 크게 개선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외부업체데이터 등재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a recording process of a external enterprise data}
본 발명은 외부업체데이터(EED: External Enterprise Data; 이하, "EED"라 함)를 기간 데이터 서버 내에 등재하는 절차를 전산?관리해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산담당자 단말과 통신을 취하여, EED의 등재절차와 관련된 전산담당자 측 설정데이터를 접수?저장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접수터미널에 통신?접속하여, 외부업체 측으로부터 전달?접수된 등재대상 EED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 내에 EED의 정보내역을 판독?기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EED의 정합성을 체크한 후, 이상이 있는 EED를 찾아내어 보정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기간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테이블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에 EED 임시등재 테이블 측 EED를 이식?등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산담당자 측에서, 수 작업을 통한 별도의 EED 등재프로그램 개발절차 없이, 단지,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외부업체별 EED 특성에 따라 변경?지정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각 외부업체의 EED를 기간 데이터 서버의 필요영역에 신속하게 자동?등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 측에서, <EED 등재프로그램의 수 작업 개발에 기인하였던 전산담당자의 업무효율 저하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문법오류, 수치기입오류, 문자기입오류 등에 기인하였던 EED의 신뢰성 붕괴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개발 호환성 저하에 기인하였던 EED의 등재효율 악화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자사의 전체적인 업무생산성, 업무효율 등이 크게 개선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EED 등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관련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대부분의 기업에 전산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각종 업무내용을 디지털데이터로 교환하는 기업 간 업무공유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업체와 거래 중인 외부업체(1) 측의 EED(2)(예컨대, 각종 업무협조데이터, 각종 업무의뢰 데이터, 각종 업무정산데이터 등)가 해당 업체 측에 접수되면, 이 업체에 소속된 전산담당자(5) 측에서는 EED 등재프로그램(4) 및 전산담당자 단말(3)을 토대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여, 자사가 보유한 기간 데이터 서버(6)의 정보저장영역(7) 내에 해당 EED(2)를 등재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각 EED(2)는 각 외부업체(1)에 맞는 고유의 데이터포맷 및 데이터레이아웃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만약, 신규 외부업체(1a) 측으로부터 EED(2a)가 접수되는 경우, 전산담당자(5) 측에서는 기존 작성되어 있던 다른 외부업체용 EED 등재프로그램(4)을 재활용하지 못하고, 어쩔 수 없이, 해당 신규업체(1a)에 맞는 EED 등재프로그램(10)을 새로이 신규 작성?개발한 후, 이렇게 신규 작성?개발된 EED 등재프로그램(10)을 활용하여, 일련의 EED 등재처리절차를 진행할 수밖에 없게 된다.
어쩌면 당연하게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전산담당자(5) 측에서, 신규 외부업체(1a) 측 EED(2a)의 접수?등재시점마다, 해당 EED(2a)에 맞는 EED 등재프로그램(10)을 새로이 작성?개발하여야 하는 경우, 해당 전산담당자(5)의 업무효율은 신규 프로그램의 추가개발에 비례하여,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업체 측에서는 전체적인 EED 등재효율, EED 등재시간 등이 크게 악화되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물론, 이러한 업무효율의 저하 상황 하에서, 각 전산담당자(5) 측에서, <프로그램 문법오류>, <수치기입오류>, <문자기입오류> 등의 실수를 범할 개연성은 크게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업체 측에서는 기간 데이터 서버(6)의 정보저장영역(7)에 최종 등재되는 EED(2,2a)의 정보신뢰성이 크게 떨어지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물론, 이러한 EED(2,2a)는 업체 내에서 진행되는 여러 업무에 걸쳐, 가장 기본적인 정보소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만약, 이러한 EED(2,2a)의 신뢰성 붕괴가 현실화되는 경우, 업체 측에서는 그로 인한 심각한 인적/물적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체제 하에서, EED 등재프로그램(4,10)은 각 전산담당자(5)의 지극히 개인적인 업무역량 하에 폐쇄적으로 처리?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만약, 특정 전산담당자(5a)가 다른 전산담당자(5)가 개발 중이던 EED 프로그램을 중간 수임하게 되는 경우, 해당 전산담당자(5a) 측에서는 이전 전산담당자(5)와의 프로그램 개발방식(예컨대, 사용 코드 방식 등)의 불일치로 인해 EED 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업체 측에서는 전체적인 EED 등재효율, EED 등재시간 등이 크게 악화되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산담당자 단말과 통신을 취하여, EED의 등재절차(예컨대, 등재대상 EED의 취득절차, 취득된 EED의 임시 등재절차, 임시 등재된 EED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절차, 보정 완료된 EED의 기간 데이터 서버로의 정식 등재절차, 정식 등재된 EED의 최종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절차 등)와 관련된 전산담당자 측 설정데이터를 접수?저장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접수터미널에 통신?접속하여, 외부업체 측으로부터 전달?접수된 등재대상 EED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 내에 EED의 정보내역을 판독?기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합성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EED의 정합성을 체크한 후, 이상이 있는 EED를 찾아내어 보정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식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기간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테이블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에 EED 임시등재 테이블 측 EED를 이식?등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등재테이블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이에 기록되어 있던 EED를 최종 정제 처리함과 아울러, 각 외부업체의 독자적인 예외규칙에 따라, EED 등재테이블 내에 기재되어 있던 EED를 변경?삭제 또는 부가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고, 이를 통해, 전산담당자 측에서, 수 작업을 통한 별도의 EED 등재프로그램 개발절차 없이, 단지,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외부업체별 EED 특성에 따라 변경?지정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각 외부업체의 EED를 기간 데이터 서버의 필요영역에 신속하게 자동?등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체 측에서, <EED 등재프로그램의 수 작업 개발에 기인하였던 전산담당자의 업무효율 저하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문법오류, 수치기입오류, 문자기입오류 등에 기인하였던 EED의 신뢰성 붕괴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개발 호환성 저하에 기인하였던 EED의 등재효율 악화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자사의 전체적인 업무생산성, 업무효율 등이 크게 개선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외부업체데이터(EED: External Enterprise Data)를 접수?처리하는 EED 접수터미널, 상기 EED 접수터미널에 의해 접수된 상기 EED를 저장?관리하는 기간 데이터 서버, 상기 EED와 관련된 전산담당자의 EED 등재업무를 지원하는 전산담당자 단말과 통신하면서, 상기 EED의 취득 및 임시 등재, 그리고, 상기 EED의 상기 기간 데이터 서버로의 등재를 제어하는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산담당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전산담당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접수?저장하는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상기 EED 접수터미널과 통신하여, 상기 EED를 취득하는 EED 취득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상기 EED의 각 컬럼에 수록되어 있던 데이터를 추출한 후, 데이터 특성항목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해당 데이터 특성항목에 임시 등재하는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데이터 특성항목에 등재되어 있는 EED와 상기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EED의 정합성을 체크하고, 이상이 있는 EED를 보정하는 EED 정합성 처리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데이터 특성항목에 등재되어 있는 EED를 상기 기간 데이터 서버의 정보저장영역에 이식?등재하는 EED 등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D 등재 관리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산담당자 단말과 통신을 취하여, EED의 등재절차(예컨대, 등재대상 EED의 취득절차, 취득된 EED의 임시 등재절차, 임시 등재된 EED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절차, 보정 완료된 EED의 기간 데이터 서버로의 정식 등재절차, 정식 등재된 EED의 최종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절차 등)와 관련된 전산담당자 측 설정데이터를 접수?저장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접수터미널에 통신?접속하여, 외부업체 측으로부터 전달?접수된 등재대상 EED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 내에 EED의 정보내역을 판독?기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합성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EED의 정합성을 체크한 후, 이상이 있는 EED를 찾아내어 보정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식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기간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테이블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에 EED 임시등재 테이블 측 EED를 이식?등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등재테이블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이에 기록되어 있던 EED를 최종 정제 처리함과 아울러, 각 외부업체의 독자적인 예외규칙에 따라, EED 등재테이블 내에 기재되어 있던 EED를 변경?삭제 또는 부가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전산담당자 측에서는 수 작업을 통한 별도의 EED 등재프로그램 개발절차 없이, 단지,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외부업체별 EED 특성에 따라 변경?지정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각 외부업체의 EED를 기간 데이터 서버의 필요영역에 신속하게 자동?등재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업체 측에서는 <EED 등재프로그램의 수 작업 개발에 기인하였던 전산담당자의 업무효율 저하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문법오류, 수치기입오류, 문자기입오류 등에 기인하였던 EED의 신뢰성 붕괴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개발 호환성 저하에 기인하였던 EED의 등재효율 악화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자사의 전체적인 업무생산성, 업무효율 등이 크게 개선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EED 등재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ED 등재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EED 등재 관리시스템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의 세부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EED 취득모듈의 세부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의 세부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EED 정합성 처리모듈 및 EED 등재모듈의 세부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EED 정제모듈의 세부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EED 예외규칙 처리모듈의 세부 기능수행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EED 등재 관리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특정 업체와 거래 중인 외부업체(1) 측의 EED(2)(예컨대, 각종 업무협조데이터, 각종 업무의뢰 데이터, 각종 업무정산데이터 등)가 EED 접수터미널(30) 측에 접수되면, 이 업체에 소속된 전산담당자(5) 측에서는 전산담당자 단말(3)을 토대로 일련의 전산작업(예컨대, EED 등재작업)을 진행하여, 자사가 보유한 기간 데이터 서버(20)의 정보저장영역(21) 내에 해당 EED(2)를 등재 처리하는 절차를 전담?진행하게 된다.
이때, 외부업체(1)의 EED(2)가 EED 접수터미널(30) 측에 접수되는 경로는 예를 들어, <외부업체(1)의 서버 측으로부터 EED 접수터미널(30) 측으로 직접 전송?접수되는 경로>, <업체에 소속된 담당자가 외부업체(1) 측의 EED(2)를 전자메일 등으로 접수한 후, 접수된 EED(2)를 EED 접수터미널(30) 측에 저장하는 경로> 등으로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다. 이 경우, EED 접수터미널(30)은 상황에 따라, 기간 데이터 서버(20)의 프로그램 블록 내에 종속 설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앞의 전산담당자 단말(3)로는 예컨대,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가 전산담당자(5)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EED 등재 관리시스템(100)은 인터페이스 모듈(101)을 매개로, <EED(2)를 접수?처리하는 EED 접수터미널(30)>, <EED 접수터미널(30)에 의해 접수된 EED(2)를 저장?관리하는 기간 데이터 서버(20)>, <EED(2)와 관련된 전산담당자(5)의 전산업무(예컨대, EED 등재업부)를 지원하는 전산담당자 단말(3)> 등과 통신을 취하면서, EED(2)가 기간 데이터 서버(20)의 정보저장영역(21)에 등재되는 절차(예컨대, 등재대상 EED의 취득절차, 취득된 EED의 임시 등재절차, 임시 등재된 EED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절차, 보정 완료된 EED의 기간 데이터 서버로의 정식 등재절차, 정식 등재된 EED의 최종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절차 등)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과, 이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의 제어 체제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운영 보조모듈(104),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5),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 EED 취득모듈(107),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108), EED 정합성 처리모듈(109), EED 등재모듈(110), EED 정제모듈(111), EED 예외규칙 처리모듈(112)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측에서는 EED 등재관리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가이드 프레임(201: 도 4 참조)의 생성을 위한 각종 소스정보(문자정보, 이미지정보, 폰트정보, 설정정보, 컴포넌트 정보, 링크정보 등), 전산담당자(5)의 등록정보, 전산담당자 단말(3)의 등록정보, EED 접수터미널(30)의 등록정보, 기간 데이터 서버(20)의 등록정보, 시스템(100)의 자원현황 정보, 시스템(100) 내 각 전산모듈들의 전산 프로세스 진행에 필요한 컴포넌트 정보 등을 자신의 정보저장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행하게 된다(물론, 위에 열거된 각 운영정보들은 시스템(100) 측 상황에 따라, 그 종목 또는 범위가 탄력적으로 추가/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 보조모듈(104) 측에서는 EED 등재관리 서비스의 시행에 필요한 각종 운영 보조절차, 예컨대, 전산담당자(5) 측의 시스템(100) 로그인 과정을 관리하는 절차, 외부 전산장치(3,20,30) 측과의 통신세션을 형성/유지하는 절차, 운영정보 저장모듈(103) 내의 누적정보를 갱신/관리하는 절차 등을 다채롭게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5) 측에서는 전산담당자(5) 측에서, 전산담당자 단말(3)을 통해, 본 발명의 EED 등재 관리시스템(100) 측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 운영정보 저장모듈(103)에 접근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각종 운영 보조정보, 예컨대, 온라인 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등을 융통성 있게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각 운영정보를 토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201)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1)을 전산담당자 단말(3)을 통해 게시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EED 등재관리 서비스 절차의 기초환경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순조롭게 조성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 측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전산담당자 단말(3)과 통신을 취하면서, 이 전산담당자 단말(3) 측으로부터 <EED 등재관련설정 개시 메시지>가 전송되었는가를 감시하게 된다.
이때, 전산담당자(5) 측에서 가이드 프레임(301)을 토대로, 일련의 전산작업을 진행하여, 전산담당자 단말(3) 측으로부터 <EED 등재관련설정 개시 메시지>가 전송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 측에서는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105)과 통신을 취하면서, <전산담당자(5) 측의 EED 등재관련 설정절차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202)>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가이드 프레임(202)을 전산담당자(5) 측으로 전송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전산담당자 단말(3)에 <전산담당자 측의 EED 등재관련 설정절차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프레임(202)>이 전송?게시된 상황에서, 전산담당자(5) 측에서, 이 가이드 프레임(202)을 토대로, 일련의 전산작업(예컨대, 등재대상 EED(2)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입력하는 절차, 취득된 EED(2)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입력하는 절차, 임시 등재된 EED(2)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과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입력하는 절차, 보정 완료된 EED(2)의 기간 데이터 서버(20)로의 정식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입력하는 절차, 정식 등재된 EED(2)의 최종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입력하는 절차 등)을 진행하여, 전산담당자 단말(3) 측으로부터 예컨대, 등재대상 EED(2)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 취득된 EED(2)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 임시 등재된 EED(2)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과 관련된 설정데이터, 보정 완료된 EED(2)의 기간 데이터 서버(20)로의 정식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 정식 등재된 EED(2)의 최종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가 전송되면,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토대로, 이를 접수?취득한 후, 취득 완료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106a)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EED 등재 관리절차의 기초환경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순조롭게 조성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물론, 상술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의 저장장소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하 같음).
이렇게 하여, 등재대상 EED(2)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 취득된 EED(2)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 임시 등재된 EED(2)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과 관련된 설정데이터, 보정 완료된 EED(2)의 기간 데이터 서버(20)로의 정식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 정식 등재된 EED(2)의 최종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가 저장 완료된 상황에서,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EED 취득모듈(107) 측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106a)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 중에서, 예컨대, 등재대상 EED(2)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선별?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등재대상 EED(2)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가 판독 완료되면, EED 취득모듈(107) 측에서는 등재대상 EED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각종 설정내역(예컨대, 등재하여야할 EED 파일이 접수되어 있는 곳의 주소, 등재하여야할 EED 파일의 명칭, 등재하여야할 EED 파일의 개수 등과 같은 설정내역)을 참고하면서,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EED 접수터미널(30)에 접속하여, 등재대상 EED(2)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EED(2)를 자신의 정보저장영역(107a)에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EED 등재 관리절차의 기초환경이 별다른 문제점 없이 순조롭게 조성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도 6 참조)(물론, 상술한 EED 취득관련 설정내역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하 같음).
이렇게 하여, 등재대상 EED(2)가 저장 완료된 상황에서,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108) 측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정보저장영역(106a)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 중에서, 예컨대, EED(2)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선별?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EED(2)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가 판독 완료되면,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108) 측에서는 EED(2)의 임시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기재되어 있는 각종 설정내역(예컨대, <EED(2)의 어떤 컬럼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은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의 어떤 데이터 특성항목에 등재하여라>라고 하는 설정데이터)을 참고하면서, EED(2)의 각 컬럼에 수록되어 있던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 완료된 데이터를 자가 정보저장영역(108a)에 미리 저장되어 있으면서, 각 데이터 특성항목(예컨대, 고객번호항목, 채권번호항목, 채권상태항목, 연체개월항목, 주소지항목, 연락처항목, 위임일자항목, 수납처리방식항목 등)이 미리 정의되어 있던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의 해당 데이터 특성항목(예컨대, 고객번호항목, 채권번호항목, 채권상태항목, 연체개월항목, 주소지항목, 연락처항목, 위임일자항목, 수납처리방식항목 등)에 임시 등재시키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도 7 참조)(물론, 상술한 EED 임시등재 관련 설정내역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재, EED(2)의 <XX컬럼~△△컬럼>에 수록되어 있던 내용은 <EED(2)의 임시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의 <고객번호>라는 데이터 특성항목에 임시 등재되는 과정을 겪게 되며, EED(2)의 <○○컬럼~○X컬럼>에 수록되어 있던 내용은 <EED(2)의 임시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의 <채권번호>라는 데이터 특성항목에 임시 등재되는 과정을 겪게된다.
이렇게 하여, EED(2)의 각 컬럼에 수록되어 있던 데이터가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에 임시 등재 완료되면,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EED 정합성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108)과 통신을 취하여,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에 등재되어 있는 EED(2)를 판독?파악하는 절차를 진행함과 아울러,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 중에서, 예컨대, <EED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과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선별?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에 등재되어 있는 EED>, <임시 등재되어 있는 EED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과 관련된 설정데이터> 등이 판독?파악 완료되면, EED 정합성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이들을 비교하여,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에 등재되어 있는 EED>의 정합성을 체크하고, 이를 통해, 이상이 있는 EED를 선별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고객번호>라고 하는 데이터 특성항목에 필요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는 EED(2), <채권상태>라고 하는 데이터 특성항목에 필요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는 EED(2) 등은 이상이 있는 EED로 선별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이상이 있는 EED(2)가 선별되면, EED 정합성 처리모듈(109) 측에서는 <임시 등재되어 있는 EED(2)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과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참조하면서,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에 임시 등재되어 있는 EED(2)를 대상으로,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이상이 있는 EED(2)를 보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고객번호>라고 하는 데이터 특성항목에 필요 데이터가 누락되어 있는 이상 EED(2)는 <EED의 보정과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고객번호라고 하는 데이터 특성항목에 사내고유번호가 직권?부여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도 8 참조).
상술한 절차를 통해,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에 임시 등재되어 있던 EED(2)의 정합성 체크 및 보정이 완료되면,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EED 등재모듈(110) 측에서는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108)과 통신을 취하여, 이의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에 등재되어 있던 EED(2)를 추출한 다음,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기간 데이터 서버(20) 측과 통신을 취하여, 추출 완료된 EED(2)를 이의 정보저장영역(21)에 미리 정의되어 있던 EED 등재테이블(21a)에 이식?등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결국, EED 접수터미널(30)에 최초 접수되어 있던 EED(2)는 기간 데이터 서버(20)의 EED 등재테이블(21a)에 정식으로 자동 등재되는 절차를 겪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산담당자 단말(3)과 통신을 취하여, EED(2)의 등재절차와 관련된 전산담당자(5) 측 설정데이터를 접수?저장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5)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취득과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접수터미널(30)에 통신?접속하여, 외부업체(1) 측으로부터 전달?접수된 등재대상 EED(2)를 취득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5)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임시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 내에 EED(2)의 정보내역을 판독?기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5)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합성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임시등재 테이블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EED(2)의 정합성을 체크한 후, 이상이 있는 EED(2)를 찾아내어 보정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산담당자(5)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식 등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기간 데이터 서버(20)에 접속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테이블(21a)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에 EED 임시등재 테이블(108b) 측 EED(2)를 이식?등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전산담당자(5) 측에서는 수 작업을 통한 별도의 EED 등재프로그램 개발절차 없이, 단지,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외부업체(1)별 EED(2) 특성에 따라 변경?지정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각 외부업체(1)의 EED(2)를 기간 데이터 서버(20)의 필요영역에 신속하게 자동?등재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업체 측에서는 <EED 등재프로그램의 수 작업 개발에 기인하였던 전산담당자의 업무효율 저하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문법오류, 수치기입오류, 문자기입오류 등에 기인하였던 EED의 신뢰성 붕괴문제>, <EED 등재프로그램의 개발 호환성 저하에 기인하였던 EED의 등재효율 악화문제> 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자사의 전체적인 업무생산성, 업무효율 등이 크게 개선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절차를 통해, EED 접수터미널(30)에 최초 접수되어 있던 EED(2)가 기간 데이터 서버(20)의 EED 등재테이블(21a)에 정식으로 등재 완료된 상황에서,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EED 정제모듈(111) 측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 중에서, 예컨대, <정식 등재된 EED(2)의 최종 정제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선별?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정식 등재된 EED(2)의 최종 정제와 관련된 설정데이터>가 판독?파악 완료되면, EED 정제모듈(111)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기간 데이터 서버(20) 측과 통신을 취하여, EED 등재테이블(21a)에 접근한 다음, <정식 등재된 EED(2)의 최종 정제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토대로,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EED 등재테이블(21a)에 정식으로 이식?등재되어 있던 EED(2)를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최종 보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EED 등재테이블(21a)의 <위임일자>라고 하는 데이터 특성항목에 수록되어 있던 EED는 <EED 최종 정제 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2010년1월13일>로 일괄 세팅되는 과정을 겪게 되며, EED 등재테이블(21a)의 <추심>이라고 하는 데이터 특성항목에 수록되어 있던 EED는 <EED 최종 정제 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113243AA>라는 코드로 일괄 세팅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상술한 절차를 통해, EED 등재테이블(21a)에 이식?등재되어 있던 EED(2)가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최종 보정 완료되면, EED 예외규칙 처리모듈(112) 측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106)과 통신을 취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 중에서, 예컨대, <EED(2)의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선별?판독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EED(2)의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가 판독?파악 완료되면, EED 예외규칙 처리모듈(112)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기간 데이터 서버(20) 측과 통신을 취하여, EED 등재테이블(21a)에 접근한 다음, <EED(2)의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를 토대로,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EED 등재테이블(21a)에 정식으로 이식?등재되어 있던 EED(2)를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정의되어 있는 각 외부업체(1)의 독자적인 예외규칙>에 따라 최종 보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절차 하에서, 예컨대, 외부업체 A 측으로부터 전달된 EED에 수록된 <연체 개월>이라는 데이터 특성항목의 데이터는 다른 외부업체 측 EED와 달리, <3개월 이상이면, 모두 장기연체처리>라고 하는 외부업체 A의 독자적인 예외규칙에 따라, 그 내역이 보정되는 절차를 겪게 되며, 외부업체 A 측으로부터 전달된 EED에 수록된 <수납처리방식>이라는 데이터 특성항목의 데이터는 다른 외부업체 측 EED와 달리, <수납처리방식을 XX로 일괄 세팅>이라고 하는 외부업체 A의 독자적인 예외규칙에 따라, 그 내역이 보정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여러 전산모듈들 이외에도, <전산담당자(5) 측에 의해 지정된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예컨대, EED의 정제 및 예외규칙 처리와 관련된 설정데이터)에 따라, EED 등재테이블(21a) 내의 각 데이터 특성항목을 판독하여, 이에 기록되어 있던 EED(2)를 최종 정제 처리함과 아울러, 각 외부업체(1)의 독자적인 예외규칙에 따라, EED 등재테이블(21a) 내에 기재되어 있던 EED(2)를 변경?삭제 또는 부가 처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추가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전산담당자(5) 측에서는 수 작업을 통한 별도의 EED 등재프로그램 개발절차 없이, 단지,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외부업체별 EED 특성에 따라 변경?지정하는 지극히 간단한 절차만으로도, 최종 등재된 EED의 품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어느 한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외부데이터의 관리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여러 다른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2: EED 3: 전산담당자 단말 20: 기간 데이터 서버 30: EED 접수터미널
100: EED 등재 관리시스템 101: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
102: 인터페이스 모듈 103: 운영정보 저장모듈 104: 운영 보조모듈
105: 가이드 프레임 관리모듈 106: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
107: EED 취득모듈 108: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 109: EED 정합성 처리모듈
110: EED 등재모듈 111: EED 정제모듈 112: EED 예외규칙 처리모듈

Claims (3)

  1. 외부업체데이터(EED: External Enterprise Data)를 접수?처리하는 EED 접수터미널, 상기 EED 접수터미널에 의해 접수된 상기 EED를 저장?관리하는 기간 데이터 서버, 상기 EED와 관련된 전산담당자의 EED 등재업무를 지원하는 전산담당자 단말과 통신하면서, 상기 EED의 취득 및 임시 등재, 그리고, 상기 EED의 상기 기간 데이터 서버로의 등재를 제어하는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산담당자 단말과 통신하여, 상기 전산담당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접수?저장하는 EED 등재관련설정 접수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상기 EED 접수터미널과 통신하여, 상기 EED를 취득하는 EED 취득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상기 EED의 각 컬럼에 수록되어 있던 데이터를 추출한 후, 데이터 특성항목이 미리 정의되어 있는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해당 데이터 특성항목에 임시 등재하는 EED 임시등재 처리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데이터 특성항목에 등재되어 있는 EED와 상기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EED의 정합성을 체크하고, 이상이 있는 EED를 보정하는 EED 정합성 처리모듈과;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 임시등재 테이블의 데이터 특성항목에 등재되어 있는 EED를 상기 기간 데이터 서버의 정보저장영역에 이식?등재하는 EED 등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D 등재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가 상기 기간 데이터 서버의 정보저장영역에 이식?등재된 상황에서, 상기 기간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정보저장영역에 이식?등재되어 있던 상기 EED를 상기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따라 최종 보정하는 EED 정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D 등재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ED 등재관리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EED가 상기 기간 데이터 서버의 정보저장영역에 이식?등재된 상황에서, 상기 기간 데이터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정보저장영역에 이식?등재되어 있던 상기 EED를 상기 EED 등재관련 설정데이터에 정의되어 있는 각 외부업체의 독자적인 예외규칙에 따라 최종 보정하는 EED 예외규칙 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D 등재 관리시스템.
KR1020100060730A 2010-06-25 2010-06-25 외부업체데이터 등재 관리시스템 KR101135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30A KR101135322B1 (ko) 2010-06-25 2010-06-25 외부업체데이터 등재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30A KR101135322B1 (ko) 2010-06-25 2010-06-25 외부업체데이터 등재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87A KR20120000387A (ko) 2012-01-02
KR101135322B1 true KR101135322B1 (ko) 2012-04-17

Family

ID=45608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30A KR101135322B1 (ko) 2010-06-25 2010-06-25 외부업체데이터 등재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3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598A (ja) 2000-11-27 2002-06-07 Uni System:Kk 書類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040073386A (ko) * 2003-02-13 2004-08-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문서 내 엘리먼트와 데이터베이스 내 대응 필드, 질의,프로시져와의 링크
KR20080019392A (ko) * 2006-08-28 2008-03-04 김학준 문서 자동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89601A (ko) * 2008-02-19 2009-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문서 작성용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서의 양식과 입력데이터를 결합하여 자동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문서 작성자동화 시스템 및 문서 작성 자동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3598A (ja) 2000-11-27 2002-06-07 Uni System:Kk 書類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040073386A (ko) * 2003-02-13 2004-08-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문서 내 엘리먼트와 데이터베이스 내 대응 필드, 질의,프로시져와의 링크
KR20080019392A (ko) * 2006-08-28 2008-03-04 김학준 문서 자동 편집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89601A (ko) * 2008-02-19 2009-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문서 작성용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서의 양식과 입력데이터를 결합하여 자동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문서 작성자동화 시스템 및 문서 작성 자동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87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08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ciling one or more financial transactions
Díaz et al. Agile product line engineering—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CN108769229A (zh) 信息定制发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90340701A1 (en) Systems and method for combined account reconciliation and variance/flux analysis
Martínez-Fernández et al. Benefits and drawbacks of reference architectures
CN109598427B (zh) 机器人的管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4089498A1 (en) Compliance service
US200701858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ttestations
CN105787633A (zh) 处理并发审批流程的系统及方法
KR101135322B1 (ko) 외부업체데이터 등재 관리시스템
JP2009026060A (ja) 給与計算システム及び給与計算サーバ装置
US20080059223A1 (en) Electronic remittance advice file splitter
JP2007249422A (ja) 組織構成管理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ム
US200902543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using smart health cards
CN113568869A (zh) 文件管理方法、管理平台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869653B1 (ko) 온-나라 연계 행정업무 전산화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행정업무 전산화 처리 방법
CN105955718A (zh) 一种软件定制方法及系统
JP2011065367A (ja) ワークフロー管理装置、ワークフロー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ワークフロー管理方法
Hassan et al. Development of an order processing system using Google Sheets and Appsheet for a Malaysian automotive SME factory warehouse
Lušicky et al. Terminology: Don’t only collect it, use it!
JP2004110454A (ja) 国際会計システム、該システムの機能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371976B1 (ko) 실시간 매입전표 작성을 지원하는 전자세금계산서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2302295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pplication data
Dubey et al. Laboratory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 A tool to increase laboratory productivity
Coatham INQUIRY INTO COMMUNITY-LED RETREAT-//Local Government New Zealand’s submission on the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