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296B1 -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296B1
KR101135296B1 KR1020090004746A KR20090004746A KR101135296B1 KR 101135296 B1 KR101135296 B1 KR 101135296B1 KR 1020090004746 A KR1020090004746 A KR 1020090004746A KR 20090004746 A KR20090004746 A KR 20090004746A KR 101135296 B1 KR101135296 B1 KR 101135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inding
polishing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457A (ko
Inventor
윤송원
Original Assignee
윤송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송원 filed Critical 윤송원
Priority to KR1020090004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2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275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sensing element expanding, contracting, or fusing in response to changes of temperature
    • G05D23/27535Details of the sensing element
    • G05D23/27536Details of the sensing element using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05Switches using a fusibl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35Electrical circuits used in resistive hea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날연마장치의 후측에 설치되어 효율적이며 간단하게 칼날의 정상 연마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칼날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공급된 상기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촬영된 연마부분의 두께를 판단하여 칼날의 정상 연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칼날 검사방법 및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칼날연마공급부와; 상기 칼날연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칼날 상측에 위치하여,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을 확대시켜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칼날, 블레이드, 연마, 검사

Description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AN APPRATUS FOR DETECTING A BLADE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BLADE}
본 발명은 칼날 연마 후, 칼날의 정상 연마여부를 검사하는 칼날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칼날연마장치의 후측에 설치되어 효율적으로 간단하게 칼날의 정상 연마 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칼날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날을 형성하는 경우, 띠 형상의 칼날원재료를 다양한 형상의 연마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마하여 가공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띠 형상의 칼날원재료의 우측 상부를 연마재로 가공하고, 그 후 좌측 상부를 연마재로 가공하여 칼날원재료의 일측부를 칼날로 구성한다.
칼날 원재료의 일측부를 칼날로 구성한 후 만들어진 최종 칼날제품에 대하여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칼날이 정상적으로 연마되었는지를 검사한 후 제품이 출시되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상기 검사공정에서 칼날의 좌우가 동일하게 연마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칼날의 끝이 날카롭게 가공되었는지 여부를 주로 검사한다.
이러한 종래의 칼날 검사 방법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칼날을 하나씩 검사함으로써, 칼날의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아니할 뿐더러 검사속도도 상당히 느리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칼날 검사방법은 칼날제조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 실시간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조치하는 시간이 늦음으로써, 불량품이 다량 양산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칼날의 검사공정을 자동화하여 칼날의 품질관리를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검사속도의 효율성도 향상시키는 칼날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칼날 불량품이 발생하는 경우 불량상태를 측정하여 이 불량상태에 따라 실시간적으로 연마상태를 보정하여 더 이상의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하는 칼날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칼날검사방법은, (a) 칼날을 연마하 여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공급된 상기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촬영된 연마부분의 두께를 판단하여 칼날의 정상 연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상기 칼날의 좌,우측 상단부를 각각 촬영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칼날의 좌,우측 상단부의 연마두께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에 따라 정상 연마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c) 단계의 정상여부의 검지결과에 따라 칼날연마를 보정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칼날검사방법의 상기 (c)단계는 상기 칼날의 상단부에 나타나는 흰선 유무를 통하여 칼날연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한다.
다른면으로는, 본 발명은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칼날연마공급부와; 상기 칼날연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칼날 상측에 위치하여,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을 확대시켜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칼날의 좌우 상측에 각각 위치하여 칼날연마부분 중 상기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한 쌍의 카메라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8~12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칼날검사장치 및 칼날검사방법에 따르면, 칼날 검사를 자동으로 행함으로써 칼날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칼날 검사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칼날검사의 결과에 따라 칼날연마공정을 실시간으로 보정함으로써 불량품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방법을 통한 결과치를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장치는, 칼날연마공급부(10), 카메라부(500), 디스플레이부(6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연마공급부(10)는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칼날이송부(100), 칼날연마부(200), 구동부(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이송부(100)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게 형성되는 두개의 핀치롤로 형성되며, 상기 핀치롤 사이로 칼날 원재료(110)를 공급받아 상기 칼날연마부(200)로 칼날 원재료(110)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칼날연마부(200)는 제1칼날연마부(210)와 제2칼날연마부(220)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칼날연마부(210)는 칼날원자재(110)의 좌측상면을 가공하고, 상기 제2칼날연마부(220)는 상기 제1칼날연마부(210)의 하류측에 위치하며 상기 칼날원자재(110)의 우측상면을 가공한다.
상기 제1칼날연마부(210)는, 제1원통형프레임(211)과 제1연마재(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원통형프레임(211)은 상기 칼날이송부(100)의 후측에 위치하며, 속이 빈 통형상, 즉, 도우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원통형프레임(211)의 하측에는 상기 원통형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213)이 형성되고, 상기 제1원통형프레임(211)의 상측에는 상기 제1원통형프레임(21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로서 제1구동모터(301)가 장착된다. 상기 제1구동모터(301)의 축과 상기 제1원통형프레임(211)은 풀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원통형프레임(211)의 내측면 원주를 따라 제1연마재(21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마재(212)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칼날이송부(100)로부터 이송된 칼날 원재료를 링 형상의 내측면을 이용하여 연마한다.
상기 제1연마재(212)가 제1원통형프레임(211)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연마재(212)의 내측면을 이용하여 칼날 원재료를 연마함으로써, 상기 칼날 원재료의 상측부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곡률이 형성된다. 따라서, 끝단부가 종래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곡률이 형성되는 칼날에 비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13)의 하측에는 상기 제1칼날연마부(21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310)가 위치한다.
상기 수평이동장치(310)는 상기 지지프레임(213)을 볼스크류방식을 이용하여 이송시킴으로써 칼날 연마부(210)를 수평이동시킨다. 즉, 사용자가 손잡이(311)를 회전시키면 손잡이(311)와 연결된 회전축(312)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축(312)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지지프레임(213)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칼날연마부(210)의 하류측에는 제2칼날연마부(220)가 위치하며, 상기 제1칼날연마부에서 좌측상단이 연마된 칼날원재료를 공급받아 우측 상단을 연마하여 칼날을 가공한다.
상기 제2칼날연마부(220)는 제2원통프레임(221), 제2연마재(222), 제2구동모터(302), 제2수평이동장치(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칼날연마부의 구성은 이미 상술한 제1칼날연마부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칼날연마부(200)의 후측에는 칼날높이측정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칼날높이측정부(400)는 "Y"자 형상의 기본프레임(410), 발광부(420), 수광부(430), 제어부(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연마부(200)에서 연마된 칼날은 상기 기본프레임(410)의 "Y" 자 형상의 상단 사이로 지난다.
상기 발광부(420)는 상기 기본프레임 상단의 일측내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광부(430)는 상기 기본프레임(410) 상단 타측 내면에 상기 발광부(420)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발광부(420)는 상기 수광부(430)로 레이저를 전송하며, 상기 수광부(430)는 상기 레이저빛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레이저 빛의 상태에 따라 상기 칼날의 높이를 측정, 판단한다.
즉, 상기 발광부(420)에서 전송된 레이저 빛 중 일부는 상기 기본프레임을 지나는 칼날에 의하여 반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수광부(430)는 상기 반사된 빛 이외의 빛만 수광하게 된다.
상기 수광부(430)에 이러한 빛이 수광되면,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칼날의 높이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칼날높이측정부(400)의 후측에는 카메라부(500)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한쌍의 카메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칼날높이측정부를 통과한 칼날의 상측에 위치하여, 실제 칼날이 형성되는 부분인 칼날 원재료(110)의 상부(110a)를 촬영한다.
상기 카메라 중 하나는 상기 칼날 원재료(110)의 좌측 상단에 위치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칼날 원재료(110)의 우측 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한쌍의 카메라는 상기 칼날 원재료의 좌,우측상단을 촬영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칼날높이측정부(400)로부터 수신된 칼날높이 측정치 및 상기 카메라부(500)로부터 수신된 칼날의 촬영정보에 기초하여 보정치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2수평이동장치(310)(320)를 이동시킨다.
상기 칼날높이측정부(400)에서 상기 칼날이 높게 이송되어진다는 정보가 들어오면, 칼날의 상부가 설정치보다 더 많이 연마가 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수평이동장치(310)(320)를 이용하여 상기 제1,2칼날연마부(210)(220)를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연마되는 부분을 조절한다.
상기 카메라부(500)의 영상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를 이루는 한 쌍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각각의 칼날 연마부의 폭(W1, W2)이 측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날의 좌우측 연마부 폭을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칼날의 좌우측 연마부 폭이 동일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칼날의 양 쪽이 균일하게 연마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칼날을 불량품으로 판정한다.
상기 좌측 연마 폭(W1)이 우측 연마폭(W2)보다 큰경우에는 제어부는 칼날의 좌측부가 우측부보다 더 많이 연마되어 중심이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제1 칼날연마부(210)를 좌측으로 미세하게 이송시켜 칼날의 좌측부가 덜 연마되도록 한다.
한편, 우측연마폭(W2)이 좌측 연마폭(W1)보다 더 큰 경우에는 칼날의 우측부가 좌측부보다 더 많이 연마되어 중심이 맞지 아니하는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칼날연마부(220)를 우측으로 미세하게 이송시켜 칼날의 우측부가 덜 연마되도록 한다.
상기 우측연마폭과 좌측연마폭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날은 양품이라고 판단하고, 다음으로 상기 좌우측 칼날연마부의 영상의 상단(610a)(620a)에 흰색선이 발현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흰색선은 칼날의 끝단면이 날카롭게 연마되었을 때 발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흰색선이 끝단에 발현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2칼날 연마부(210)(220)를 이송시켜 연마상태를 조정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500)의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부(500)의 촬영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600)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600)의 화면은 두개로 분할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의 연마면을 디스플레이하며,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8~12배 정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을 기초로 하여 현재 칼날연마상태의 정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불량이 발생한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수동으로 연마장치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제1,2칼날연마부(210)(220)를 조정할 수 있 음은 물론이다.
또는, 작업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칼날의 촬영영상(610)(620)에서 칼날의 상부에 흰색선이 발현하는 것을 관찰하여 칼날의 끝단면이 날카롭게 가공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수동으로 상기 제1,2칼날연마부(210)(220)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500)의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부(500)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프레임(510)이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지지프레임(510)의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지지프레임(510)을 수평 또는 수직 이동시키는 카메라 이동장치(520)가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이동장치(520)의 측면부에는 수평이동손잡이(522)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에 고정된 수평축은 "ㄱ"자 형상의 수직지지지부재(523)의 측면과 결합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523)는 하단이 하부블럭(521)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단에는 수직이동손잡이(524)에 결합된 수직축(525)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축(525)의 하단은 상기 카메라지지프레임(510)과 결합된다.
상기 카메라부(500)의 수평이동은 수평이동손잡이(522)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기 수평이동손잡이(522)가 회전이 되면 스크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수직지지부재(523)가 하부블럭(521)상에서 좌우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부재(523)에 결합된 카메라지지프레임(510) 및 카메라부(500)도 동시에 좌우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부(500)의 수직이동은 수직이동손잡이(524)에 의하여 조절 된다. 상기 수직이동손잡이(524)가 회전이되면 스크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수직축(525)이 상하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수직축(525)과 결합된 카메라지지프레임(510) 및 카메라부(500)가 동시에 상하 이동된다. .
상기 카메라이동장치(520)는 상기 카메라가 적절하지 않은 촬영위치에 있는 경우 칼날의 연마부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방법은,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단계(S10: 칼날 연마 공급단계), 칼날의 연마부분(칼날부분)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단계(S20: 칼날 연마부 촬영단계) 및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 판단하여 칼날의 정상연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0: 칼날 정상 연마 여부 판단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단계는 띠형상의 칼날원재료의 상부 좌우측면을 연마가공하여 상부측에 연마면을 생성하여 후측으로 공급하는 단계이다.
상기 칼날 연마부가 형성된 칼날이 공급되면, 한 쌍의 카메라로 이루어진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칼날의 좌,우측 칼날 연마부를 각각 촬영한다.
촬영된 상기 좌,우측 칼날 연마부 영상(610)(620)은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된 칼날의 좌,우측 영상을 기초로 하여 상기 칼날의 정상연마여부를 결정한다.(S40)
상기 칼날의 정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40)는 칼날연마부의 폭(W1)(W2)을 기초로 하여 판단하는 단계(S41)와 칼날연마부 상단에 발현하는 흰선 유무를 기초로 하여 판단하는 단계(S42)로 이루어진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칼날의 좌,우측 연마부 영상에서 칼날 연마부의 폭(W1)(W2)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한다. (S41)
상기 좌,우측 칼날 연마부의 폭이 동일한 경우에는 양측의 연마정도가 동일한 것이므로 제어부는 정상으로 판단하며, 만약 일측의 폭이 타측의 폭보다 더 큰 경우에는 불량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로 영상정보가 보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칼날의 좌,우측 영상정보는 디스플레이장치(600)로 바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상기 칼날의 영상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칼날의 좌,우측 연마부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 하며(S30 : 칼날 연마부 디스플레이 단계), 작업자는 상기 칼날의 좌,우측 영상의 폭을 서로 비교하여 칼날의 양부판단을 한다.
이렇게 칼날의 정상여부판단과정에서 칼날이 불량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 또는 작업자는 상기 제1,2칼날연마부(210)(220)를 조절하여 칼날연마정도를 보정한다. (S50)
한편, 상기 칼날의 좌우측 연마폭(610)(620)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 또는 작업자는 좌,우측 영상 상단에 흰선이 발현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
상기 흰선이 발현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칼날의 끝단이 날카롭지 않게 가공된 것이므로 제어부 또는 작업자는 칼날이 불량 가공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2칼날연마부(210)(220)를 조절하여 칼날연마정도를 보정한다.(S50)
상기 칼날연마정도가 보정된 후, 칼날촬영단계(S20) 내지 칼날의 정상여부판단단계(S40)를 반복하고, 양품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종료단계로 진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칼날검사방법을 통한 결과치를 표시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칼날 이송부 110 : 칼날 원재료
200 : 칼날연마부 210 : 제1칼날연마부
211 : 제1원통프레임 212 : 제1연마재
220 : 제2칼날연마부 221 : 제1칼날연마부
300 : 구동부 310 : 제1수평이동장치
320 : 제2수평이동장치 400 : 칼날높이측정부
500 : 카메라부 600 : 디스플레이장치
S10 : 칼날 연마 공급단계 S20 : 칼날 연마부 촬영단계
S30 : 칼날 연마부 디스플레이 단계 S40 : 칼날 정상 연마 여부 판단 단계
S50 : 칼날연마보정단계

Claims (13)

  1. 삭제
  2. (a)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공급된 상기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촬영된 연마부분의 두께를 판단하여 칼날의 정상 연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칼날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한쌍의 카메라로 좌,우측 칼날 연마부를 각각 촬영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칼날의 좌,우측 연마부의 폭을 비교하여 동일 여부에 따라 정상 연마 여부를 결정하는 칼날검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촬영된 상기 좌,우측 칼날 연마부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칼날검사방법
  4. (a)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공급된 상기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촬영된 연마부분의 두께를 판단하여 칼날의 정상 연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칼날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정상여부의 검지결과에 따라 칼날연마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 검사방법.
  5. (a)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공급된 상기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촬영된 연마부분의 두께를 판단하여 칼날의 정상 연마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칼날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칼날의 상단부에 나타나는 흰선 유무를 통하여 칼날연마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검사방법.
  6. 삭제
  7.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칼날연마공급부와; 상기 칼날연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칼날 상측에 위치하여,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을 확대시켜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칼날의 좌우 상측에 각각 위치하여 칼날연마부분 중 상기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한 쌍의 카메라이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8~12배 확대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인 칼날검사장치.
  8.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칼날연마공급부와; 상기 칼날연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칼날 상측에 위치하여,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을 확대시켜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칼날연마공급부는,
    칼날원재료를 공급받아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칼날이송부와;
    상기 칼날이송부의 후측에 위치하며 속이 빈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통형프레임과, 상기 원통형프레임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칼날이송부로부터 이송된 칼날원재료를 연마하는 연마재로 이루어지는 칼날연마부와;
    상기 원통형프레임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칼날연마부는,
    속이 빈 원통형의 제1원통프레임과, 상기 제1원통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는 링 형상의 제1연마재를 포함하여 칼날의 일측상면을 가공하는 제1칼날연마부와;
    상기 제1칼날연마부의 하류측에 위치하되, 속이빈 원통형상의 제2원통프레임과 상기 제2원통프레임 내측에 형성되는 링형상의 제2연마재를 포함하여 칼날의 타측상면을 가공하는 제2칼날연마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원통프레임의 상측에는 상기 제1,2원통프레임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2구동모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검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칼날의 좌우 상측에 각각 위치하여 칼날연마부분 중 상기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한 쌍의 좌우카메라이며, 상기 좌우 카메라의 영상의 폭을 서로 비교하여 폭이 상이한 경우 상기 칼날연마부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장치는.
    상기 제1원통프레임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 레임을 수평이동시키도록 볼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
  12. 칼날을 연마하여 공급하는 칼날연마공급부와; 상기 칼날연마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칼날 상측에 위치하여, 칼날의 연마부분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영상을 확대시켜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수직 또는 수평이동시키는 카메라이동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날검사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이동장치는,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지지하는 카메라지지프레임과; 상기 카메라지지프레임과 하단이 결합되며 직립되어 형성되는 수직축과; 상기 수직축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직이동손잡이와; "ㄱ"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수직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을 상부에 구비하며, 하단이 하부블럭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직지지부재와;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수평이동손잡이를 포함하는 칼날검사장치.
KR1020090004746A 2009-01-20 2009-01-20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135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46A KR101135296B1 (ko) 2009-01-20 2009-01-20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746A KR101135296B1 (ko) 2009-01-20 2009-01-20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457A KR20100085457A (ko) 2010-07-29
KR101135296B1 true KR101135296B1 (ko) 2012-04-12

Family

ID=4264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746A KR101135296B1 (ko) 2009-01-20 2009-01-20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442B1 (ko) * 2018-12-19 2020-11-13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493A (en) * 1997-04-04 1998-08-1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System for maintaining the cutting condition of double ground knife blad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493A (en) * 1997-04-04 1998-08-1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System for maintaining the cutting condition of double ground knife bla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457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4418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18017639A (ja) 表面欠陥検査方法及び表面欠陥検査装置
CN108627524A (zh) 轧辊磨削表面清洁及机器视觉检测系统
CN112730419A (zh) 外观瑕疵检测装置
CN110567968A (zh) 一种零件缺陷检测方法及装置
JP2014188663A (ja) ワークの外周加工装置
KR100639417B1 (ko) 러빙롤러 및 러빙포 검사 장치
TWI480541B (zh) 晶圓之圖案檢查方法及裝置
KR101135296B1 (ko)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208255087U (zh) 轧辊磨削表面清洁及机器视觉检测系统
KR20150084207A (ko) 필름의 권취 불량 검사 방법
CN113447487A (zh) 网版破损检测方法、网版破损检测系统和丝网印刷设备
CN103091332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u型粉管的检测方法及其检测系统
JP2001194322A (ja) 外観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109894391A (zh) 一种检测表面瑕疵的自动检测装置
JP2004219358A (ja) 鋼片の表面疵検出装置
EP36501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orting ceramic balls
JP2010194678A (ja) 加工装置
CN211402165U (zh) 外观瑕疵检测装置
JP2002303583A (ja) 容器の検査方法及び容器の検査装置
WO2009096626A1 (en) Apparatus for removing inferiority of rubbing cloth
JP2019178933A (ja) 欠陥検査システム、及び欠陥検査方法
CN211374539U (zh) 外观瑕疵检测装置
JPH0894329A (ja) ガラス管棒の端面形状検査方法
CN114074294B (zh) 一种用于圆钢修磨质量检测系统的抑制炫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