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094B1 -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094B1
KR101135094B1 KR1020090060381A KR20090060381A KR101135094B1 KR 101135094 B1 KR101135094 B1 KR 101135094B1 KR 1020090060381 A KR1020090060381 A KR 1020090060381A KR 20090060381 A KR20090060381 A KR 20090060381A KR 101135094 B1 KR101135094 B1 KR 101135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table
bending
cooling
presen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746A (ko
Inventor
김인규
박성열
Original Assignee
박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열 filed Critical 박성열
Priority to KR102009006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0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 B21D7/162Hea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 B21D7/165Cool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테이블에 고정된 소재를 고주파열처리를 하면서 실린더로 밀어, 자동적으로 소재의 벤딩(bending)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테이블(100)과;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소재(M)를 고정하는 고정치구(110)와; 상기 고정치구(110)에 고정된 소재(M)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120)과;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재(M)를 밀어 회전테이블(100)이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수단(13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곡률의 크기에 관계없이 소재의 벤딩(bending)이 용이하고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파이프, 벤딩(bending), 회전테이블, 실린더

Description

벤딩장치{B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테이블에 고정된 소재를 고주파가열을 하면서 실린더로 밀어, 자동적으로 소재의 벤딩(bending)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봉이나 파이프(pipe)를 굽히기 위해서는, 각각 하나의 환봉이나 파이프(pipe) 소재를 수동에 의해 일일이 벤딩(bending)한다.
그리고, 이러한 벤딩작업은, 거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벤딩(bending)이 어렵다. 따라서, 동일한 라운드를 가지는 규격품의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방식에 의해 파이프(pipe)를 굽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파이프(pipe)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제대로 굽혀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파이프(pipe)를 일측 방향으로 굽힌 경우에는, 파이프(pipe)와 좌우 두께가 달라진다. 즉, 파이프(pipe)를 벤딩(bending)하는 경우에는 안쪽 부분은 두께가 두꺼워지는 반면, 반대쪽은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파이프(pipe)의 두께가 얇아진다. 따라서, 파이프(pipe)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 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테이블의 회전과 실린더의 힘에 의해 자동적으로 파이프(pipe)의 벤딩(bending)이 이루어지는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주파가열기와 같은 가열수단이 구비되어, 파이프(pipe)의 벤딩(bending)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제품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시에 다수의 파이프(pipe) 벤딩(bending)이 가능하며, 벤딩(bending)이 이루어진 후에는 파이프(pipe)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는 벤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테이블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상측에 구비되어, 소재를 고정하는 고정치구와; 상기 고정치구에 고정된 소재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과; 상기 회전테이블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재를 밀어 회전테이블이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벤딩장치에 따르면, 회전테이블에 구비되는 고정치구에 소재(파이프)를 고정한 다음, 실린더를 통해 소재를 미는 동작에 의해 소 재의 벤딩(bending)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간단한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소재의 벤딩(bending)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고주파가열기에 의해 소재의 벤딩(bending) 부위를 가열하면서 굽히게 되며, 가열된 다음에는 냉각수단에 의해 바로 냉각이 된다. 따라서, 소재의 벤딩(bending) 작업이 보다 작은 힘으로도 가능하며, 소재를 가열하여 벤딩(bending)한 다음에는 바로 냉각되므로, 원하는 형상이 성형(벤딩)된 후 변형(타원)이 방지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성능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회전테이블 위에 설치되는 고정치구가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재의 원하는 벤딩(bending) 반경에 따라 고정치구를 쉽게 이동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벤딩(bending) 작업에 투입되는 소재가 미리 일측(좌측)이 타측(우측)보다 두께가 얇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소재가 일측(좌측)으로 벤딩(bending)된 다음에는 상대적으로 우측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파이프(pipe)의 좌우 두께가 같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벤딩(bending) 후에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치구의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소재(피벤딩물)가 굽혀지는 반경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1.5DR이하로 벤딩(bending)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소재의 직경(Ø)이 80mm인 경우에, 소재(피벤딩물)의 반경(R)이 120mm 이하가 되도록 벤딩(bending)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의 'A-A'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테이블(100)과,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소재(M)를 고정하는 고정치구(110)와, 상기 고정치구(110)에 고정된 소재(M)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120)과,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소재(M)를 밀어 회전테이블(100)이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수단(13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하측에는 지지테이블(104)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테이블(1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테이블(104)은 내부가 원형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이러한 함몰 부위에 상기 회전테이블(100)이 수용되어 회전된다.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단은,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테이블(10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을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단을 완전히 덮게 된다.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중앙부분 외측에는 구름볼(10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테이블(100)은, 이러한 구름볼(102)에 의해 상기 지지테이블(104) 내부에서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도 2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테이블(100)과 지지테이블(104)에는 서로 대칭되는 반구 형상의 볼홈(102a)이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볼홈(102a)에 구름볼(102)이 삽입된다. 상기 볼홈(102a)은,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원주면 전체와, 상기 지지테이블(104)의 내주면 전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름볼(102)은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다. 이러한 구름볼(102)은 볼베어링의 볼(ball)과 같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테이블(104)의 측면에는 상기 볼홈(102a)으로 구름볼(102)을 삽입하기 위한 투입구(102b)가 더 형성된다.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치구(110)가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레일(140)이 더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면 우측부분에는 좌우로 길게 유동레일(1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동레일(140)을 따라 아래에서 설명할 고정치구(110)가 좌우 유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치구(110)는,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회전테이블(100)은, 소재(M)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테이블(100)에 장착되며, 상기 유동레일(140)을 따라 좌우(도 1 및 도 2에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동레일(140)을 따라 좌우로 유동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절절한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고정치구(110)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고정치구(110)의 전면(도 1에서)에는 소재(M)가 수용되는 소재홈(112)이 후방으로 함몰 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소재홈(112)에 소재(M)의 한 쪽 끝단(도 1에서는 후단)이 수용되어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치구(110)가 상기 유동레일(140)에 의하지 아니하고, 직접 상기 회전테이블(100)에 볼트(Bolt) 등으로 고정되거나, 별도의 상판을 회전테이블(100) 상면에 더 구비하여 볼트(Bolt)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교체 가능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원하는 다양한 곡률에 적합하도록 회전테이블(100) 상면의 임의 위치에 상기 고정치구(110)를 여러 개 각각 장착하고, 별도의 상판이나 현재의 회전테이블(100) 상면에 볼트(Bolt) 등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열수단(120)은, 상기 소재(M)를 가열하여 벤딩(bending)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주파가열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120)은, 열을 발산하는 환형의 가열코일(122), 고주파가열기의 본체(1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코일(122)은, 상기 소재(M)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코일(122)은,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상기 소재(M)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주파가열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가열수단(120)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더 구비된다.
고주파(高周波)가열기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열을 발산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기는 고주파열처리기 등의 이름으로 널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가열수단(120)의 구성과 이론적 지식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력수단(130)은, 에어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본체(132)와, 상기 실린더본체(13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로드(134)와, 상기 로드(134)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소재(M)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단(136) 등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회전테이블(100)과 이격된 인접 위치에 지지대(150)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지지대(150)에는 실린더본체(132)가 전후(도 1에서)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동력수단(130)은, 에어실린더 혹은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본체(132)의 후방(도 1에서)으로는 실린더본체(132) 내부의 에어나 유압에 의해 유동하는 로드(134)가 후방(도 1에서)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로드(134)의 끝단에 고정단(13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단(136)은, 소재(M)의 일단(도 1에서는 선단)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단(136)의 후면에는 전방으로 함몰된 고정홈(136a)이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홈(136a)에 상기 소재(M)의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고정홈(136a)은, 상기 고정치구(110)의 소재홈(112)과 같이 소재(M)의 외관과 대응되는 원형을 가지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150)의 상면에는 안내레일(152)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안내레일(152)은, 상기 실린더본체(132)의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150)의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레일(152)의 상측에는 고정편(154)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고정편(154)에 의해 상기 실린더본체(132)가 안내레일(152)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 편(154)이 상기 실린더본체(132)의 상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고정편(154)의 양단이 상기 안내레일(152) 또는 지지대(150)에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가열수단(120)의 일측에는 냉각수단(16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단(160)은, 상기 가열수단(120)에 의해 가열된 소재(M)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수단(160)은, 냉각수를 공급하는 몸체(162)와, 상기 가열코일(122)의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어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노즐(164)과, 상기 몸체(162)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냉각노즐(164)로 안내하는 안내호스(16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노즐(164)은, 상기 가열코일(122)의 후측(도 1에서)에 동일한 형태로 구비된다. 즉, 상기 가열코일(122)과 같이 원형의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M)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원형의 냉각노즐(164)로부터 동시에 분사되는 냉각수가 소재(M)의 외면을 냉각시키게 된다.
도 1에서는, 상기 냉각수단(160)의 냉각노즐(164)이 상기 가열코일(12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냉각노즐(164)이 상기 가열코일(122)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소재(M)가 가열코일(122)에 의해 가열되면서 완전히 벤딩(bending)이 완료되고 난 다음에,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일측에는 회전테이블(100)의 냉각을 위한 냉각기구(17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냉각기구(170)는, 상기 냉각수단(160)의 몸체(162)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의 일부가 상기 회전테이블(100)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테이블(100)을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기구(1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내부에 다수 회 감겨진 나선 형태의 냉각관(172)과, 상기 몸체(162)로부터 냉각관(172)으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공급관(174)과, 상기 냉각관(172)을 경유하면서 고온으로 된 냉각수가 배출되어 상기 몸체(162)로 회수되도록 안내하는 회수관(176) 등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냉각기구(170)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단(160)과 동일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냉각수단(160)을 구성하는 몸체(162)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별도의 본체를 구비하고, 이러한 본체로부터 냉각수가 상기 냉각기구(170)를 통해 회전테이블(10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100)은 소정의 각도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상기 공급관(174)과 회수관(176)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기구(170)는,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가열을 방지하여, 회전테이블(100)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회전테이블(100)은,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상기 가열코일(122) 등에 의해 점차 뜨거워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테이블(100)은 가열됨에 따라 부피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테이블(104)과 점차 밀착되어 회전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테이블(100)이 고온에 의해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냉각기구(170)가 구비된다.
도 3에는 상기 소재(M)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에 공급되는 원 소재(M)의 형상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M)는, 일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소재(M)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두꺼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소재(M)의 두께를 다르게 하는 것은, 상기 소재(M)가 벤딩(bending)된 다음에 양측의 두께가 같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소재(M)를 벤딩(bending)하게 되면, 소재(M)가 좌측으로 굽게 되는데, 이때 우측은 소재(M)의 길이가 늘어나고 좌측은 소재가 굵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소재(M)의 좌측 두께를 더 얇게 하면, 소재(M)의 벤딩(bending)이 완료된 다음에는 소재(M)의 좌우 두께가 거의 같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벤딩장치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과 같이, 소재(M)를 장착한다. 이때 소재(M)의 후단은 상기 고정치구(110)에 장착되고, 선단은 상기 고정단(136)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열수단(120)이 작동하면, 상기 가열코일(122)이 가열되어 상기 소재(M)의 표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본체(132)가 상기 로드(134)를 밀게 되면, 상기 소재(M)가 화살표(도 1에서)와 같이 후방(도 1에서)으로 밀려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테이블(100)이 반시계방향(도 1에서)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동력수단(130)에 의해 소재(M)가 밀림에 따라 회전테이블(100)이 회전하면, 상기 소재(M)는 양단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후단부가 좌측(도 1에서)으로 굽히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냉각수단(160)이 작동되어 상기 냉각노즐(164)을 통해서는 냉각수가 분사되어 상기 가열수단(120)에 의해 가열되어 이동되는 소재(M)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냉각기구(170)는,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가열을 방지하여, 회전테이블(100)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점차 회전테이블(100)이 회전되어, 소재(M)가 벤딩(bending)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상기 과정에 의해 소재(M)의 벤딩(bending) 작업이 완전히 완료된 상태의 평면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수단(130)이 소재(M)의 선단을 지속적으로 밀게 되면, 회전테이블(100)이 회전하게 되므로, 소재(M)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후방이 좌측으로 굽혀지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가열코일(122)과 냉각노즐(164)은 회전테이블(100)과는 별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처음의 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소재(M)가 후단부터 선단까지 차례로 상기 가열코일(122)과 냉각노즐(164)을 통과하 여, 가열과 냉각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즉, 소재(M)가 상기 가열코일(122)을 통과하면서 가열 상태에서 벤딩(bending)이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냉각노즐(164)을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과다한 벤딩(bending)이 방지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소재(M)의 벤딩(bending)이 완료되고 나면, 다음으로는, 상기 고정치구(110)와 고정단(136)으로부터 벤딩(bending)된 소재(M)를 분리시킨다. 그런 다음, 다시 회전테이블(100)을 원위치시켜 다음 소재를 가공한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벤딩(bending)이 완료된 소재(파이프)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과 같이 좌우의 두께가 불균형으로 된 소재(M)가 벤딩(bending) 후에는 좌우의 두께가 같아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수단(120)으로 고주파가열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주파가열기 외에도 상기 소재(M)의 온도를 올리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가열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동력수단(130)으로 에어실린더 혹은 유압실린더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동력수단(130)도 상기 소재(M)를 일방향으로 미는 것이 가능한한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측에 하나의 고정치구(110)가 설치되어, 소재(M)가 하나씩 벤딩(bending)되는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 나, 다수의 소재(M)가 한꺼번에 벤딩(bending)되도록 다수의 고정치구(110) 및 동력수단(130), 가열수단(12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2 이상의 고정치구(110)가 구비되어 동시에 2 이상의 소재(M)를 벤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는 3개의 고정치구(110)와 동력수단(130) 등이 구비되어, 동시에 3개의 소재(M)를 벤딩(bending)하는 벤딩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이 다수의 고정치구(110)가 구비되어 다수의 소재(M)를 동시에 벤딩(bending)하는 경우에는 각 부품과 소재(M) 상호간의 간섭이 방지되는 범위내에서 벤딩(bending)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벤딩(bending)되는 원 소재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인 부분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벤딩(bending)이 완료된 소재(파이프)의 형상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벤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회전테이블 110. 고정치구
120. 가열수단 130. 동력수단
140. 유동레일 150. 지지대
160. 냉각수단 170. 냉각기구

Claims (5)

  1. 지지테이블(10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테이블(100)과;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소재(M)를 고정하는 고정치구(110)와;
    상기 고정치구(110)와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동레일(140)과;
    상기 고정치구(110)에 고정된 소재(M)에 열을 가하는 가열수단(120)과;
    상기 가열수단(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열된 소재(M)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160)과;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소재(M)를 밀어 회전테이블(100)이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수단(130)과;
    상기 동력수단(130)과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152)과;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열수단(1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상기 회전테이블(100)을 냉각시키는 냉각기구(170)를 포함하는 벤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100)과 상기 지지테이블(104)의 중앙에는 서로 대칭되는 반구 형상의 볼홈(102a)이 형성되며, 상기 볼홈(102a)에는 구름볼(102)이 장착되어 상기 회전테이블(1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볼(102)은,
    상기 지지테이블(104)의 측면에서 상기 볼홈(102a)으로 상기 구름볼(102)을 삽입하기 위한 투입구(10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딩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90060381A 2009-07-02 2009-07-02 벤딩장치 KR101135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381A KR101135094B1 (ko) 2009-07-02 2009-07-02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381A KR101135094B1 (ko) 2009-07-02 2009-07-02 벤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46A KR20110002746A (ko) 2011-01-10
KR101135094B1 true KR101135094B1 (ko) 2012-04-16

Family

ID=4361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381A KR101135094B1 (ko) 2009-07-02 2009-07-02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921B1 (ko) * 2011-07-15 2011-09-27 엠피에스 주식회사 튜브 시스템 벤딩머신
KR101066923B1 (ko) * 2011-07-15 2011-09-22 엠피에스 주식회사 2-헤드 2-래디어스 시스템 벤딩머신
KR101349940B1 (ko) * 2011-11-17 2014-01-13 주식회사 에이에프티 링형 클램프 제조방법
CN103223429B (zh) * 2013-04-28 2015-12-02 游本俊 一种热管折弯机
KR102400811B1 (ko) * 2021-03-10 2022-05-20 정여균 튜브 가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540B1 (ko) * 1992-11-26 1995-04-14 주식회사 성일기계 고주파 파이프 벤더를 통한 금속관 압축 벤딩 가공방법 및 장치
JP2000126821A (ja) 1998-10-27 2000-05-09 Babcock Hitachi Kk 曲げ加工方法および曲げ加工装置
JP2004141927A (ja) 2002-10-24 2004-05-20 Tama Tlo Kk 曲げ加工方法および曲げ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540B1 (ko) * 1992-11-26 1995-04-14 주식회사 성일기계 고주파 파이프 벤더를 통한 금속관 압축 벤딩 가공방법 및 장치
JP2000126821A (ja) 1998-10-27 2000-05-09 Babcock Hitachi Kk 曲げ加工方法および曲げ加工装置
JP2004141927A (ja) 2002-10-24 2004-05-20 Tama Tlo Kk 曲げ加工方法および曲げ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46A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5094B1 (ko) 벤딩장치
ES2248139T3 (es) Metodo de fabricacion de un tubo enrollado en helice.
ES2528391T3 (es) Proceso y dispositivo para producción preferiblemente contínua de tubos de vidrio con un perfil interior predeterminado
US9187796B2 (en) Inner-diameter quenching device
JP2010099788A (ja) 平面用ディンプル成形工具
JP2008168300A (ja) スパイラル管の製造方法及びスパイラル管の製造装置
KR101155442B1 (ko) 파이프 내부 냉각장치
CN205733862U (zh) 一种钢球保持圈钻孔用夹持机构
JP5976168B1 (ja) 管材の内面凹凸加工装置及び管材の内面凹凸加工方法
KR101780749B1 (ko) 엘보관 제조장치
JP2005000992A5 (ko)
KR20170026779A (ko) 관 내부 코팅장치
JP6850733B2 (ja) 軸方向に固定された転がり軸受を有するリング圧延機
JP6436000B2 (ja) 浸炭装置
KR101648174B1 (ko) 헬릭스 파이프 벤딩장치
US10955198B2 (en) Fin-assembled tube
KR101755371B1 (ko) 파이프 벤딩장치
KR101507217B1 (ko) 연통 이중관의 플랜지 포밍장치
KR102212878B1 (ko) 핀튜브 제조장치
US20090014906A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bellows type hos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004744B1 (ko) 연속식 파이프 제조장치
CN115365523B (zh) 一种恒功率雕铣电动主轴
KR101339711B1 (ko) 발사관 가공장치
KR100992965B1 (ko) 연속식 파이프 제조설비
KR100338595B1 (ko) 엑스엘피이 파이프 성형 다이의 불소수지층 제거 장치 및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