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015B1 -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5015B1
KR101135015B1 KR1020100078146A KR20100078146A KR101135015B1 KR 101135015 B1 KR101135015 B1 KR 101135015B1 KR 1020100078146 A KR1020100078146 A KR 1020100078146A KR 20100078146 A KR20100078146 A KR 20100078146A KR 101135015 B1 KR101135015 B1 KR 10113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guide tube
tube
grou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751A (ko
Inventor
이숙재
Original Assignee
이숙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숙재 filed Critical 이숙재
Priority to KR1020100078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01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관띠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이 봉합된 관형태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하나의 띠형태로 삽입된 심재를 가지고, 일 측이 개구된 형태로 제조된 관바디부와 상기 관바디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관바디부에 설치된 관뚜껑을 갖는 장례관을 일체로 묶는 데 사용되는 결관띠를 제조하기 위한 결관띠제조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전방지지면과 후방지지면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면과 상기 후방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외피고정홈이 상기 전방지지면에 인접한 종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결관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결관띠의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astening Tie}
본 발명은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구하는 과정에서 장례관을 묶는 데 사용되는 결관띠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구는 장례 과정 중 장례관의 내부에 안치된 시신을 장지로 옮기기 위한 과정의 하나로 행해진다.
이러한 운구절차는 보통 6~8인의 관운반자가 참여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운구하는 과정에서 장례관(202)의 뚜껑(202b)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관운반자가 장례관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례관바디부(202a)의 양측에 매듭이 만들어지도록 결관띠(110)를 장례관(202)에 묶는다.
다음에 관운반자는 장례관(202)의 양측에 서서 결관띠매듭을 손에 잡고 장례관(202)을 들어올려 목적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운구절차를 위해서는 대략 18미터 정도의 결관띠를 준비하여야 하며 종래 결관띠를 만드는 방법을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청, 광목 등으로 제작된 폭 30 센티미터와 길이 18미터 정도의 끈재료(203)를 지그재그형태로 적층한다.
다음에 관운반자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끈재료(203)를 훑어가면서 결관띠(110)를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결관띠에 따르면, 끈재료(203)를 훑어갈 때 끈형태가 와해되기 때문에 결관띠(110)의 제작작업이 어렵고, 결관띠(110)의 제작효율을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관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결관띠의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양단이 봉합된 관형태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하나의 띠형태로 삽입된 심재를 가지고, 일 측이 개구된 형태로 제조된 관바디부와 상기 관바디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관바디부에 설치된 관뚜껑을 갖는 장례관을 일체로 묶는 데 사용되는 결관띠를 제조하기 위한 결관띠제조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전방지지면과 후방지지면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면과 상기 후방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외피고정홈이 상기 전방지지면에 인접한 종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안내관을 포함하거나 또는 지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전방지지면과 후방지지면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면과 상기 후방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안내관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띠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외피모재를 효율적으로 안내관에 포설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는 지면에 기립설치되는 바닥지지체와, 상기 바닥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면은 상기 지지롤러의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양단이 개방된 관형태의 외피모재를 제작하는 외피모재제작단계와; 상기 외피모재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안내관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심재료를 포설하는 심재료안내관포설단계와;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외피모재의 일단을 상기 안내관의 전단에 고정한 후, 상기 외피모재의 안팎이 뒤집어지고 상기 안내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외피모재를 상기 안내관의 후단을 향해 잡아당겨 상기 외피모재를 상기 안내관의 둘레영역에 포설하는 외피모재포설단계와; 상기 안내관의 전단에 대한 상기 외피모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심재료가 상기 외피모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포설된 심재료와 상기 안내관의 둘레영역에 포설된 외피모재를 상기 안내관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을 따라 함께 잡아당기는 심재료외피모재견인단계와; 상기 심재료가 포설된 외피모재의 양단을 봉합하는 외피모재봉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띠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결관띠에 나타나는 박음질 흔적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피모재제작단계는 상기 외피모재에 대응하는 외피전개모형을 제작한 후, 상기 제작된 외피전개모형을 두 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박음질하는 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안내관을 매개로 외피의 내부에 심재를 삽입함으로써, 결관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결관띠의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관띠제조장치에 따라 제조된 결관띠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관띠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3, 도4, 도5, 도6, 도7,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관띠제조장치와 결관띠제조방법을 사용하여 결관띠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관띠제조장치의 안내관영역의 사시도,
도11은 일반적인 결관띠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종래에 결관띠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관띠제조장치에 따라 제조된 결관띠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관띠제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관띠제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지지체(20)와, 지지체(20)에 설치된 안내관(31)을 갖고 있다.
지지체(20)는 지면에 기립 설치된 테이블(21)과, 테이블(21)의 상면에 설치된 긴 장방형상의 지지판(22)과, 지지판(22)의 전단 인접영역에 기립설치된 한 쌍의 정렬기둥(23)과, 정렬기둥(23)의 후방에서 지지판(22)에 기립 설치된 한 쌍의 지지기둥(24)과, 지지기둥(24)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 지지롤러(25)와, 지지판(22)의 후단 인접영역에 기립설치된 지지블럭(26)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정렬기둥(23)은 안내관(31)이 지지롤러(25)의 설치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저지하는 작용을 한다.
지지롤러(25)는 안내관(31)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지지롤러(25)의 표면 상측영역은 전방지지면으로 작용한다.
지지블럭(26)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관(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공(26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공(26a)은 안내관(31)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지지공(26a)의 내표면 하측영역은 후방지지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블럭(26)은 지지공(26a)의 하측영역(후방지지면)이 지지롤러(25)의 표면(전방지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테이블(21)의 상면에 설치된다.
안내관(31)에는 외피고정홈(31a)이 전단(전방지지면에 인접한 종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안내플랜지(31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내관(31)은 후술하는 외피모재(11')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지지롤러(25)의 표면(전방지지면)과 지지공(26a)의 하측영역(후방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관띠제조장치를 사용하여 결관띠를 제조하는 방법을 도3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피모재제작단계
외피모재(11')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천연섬유로 직조한 원단(소창, 광목 등),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로 직조한 원단, 인견 등의 재생섬유로 직조한 원단 등을 긴 직사각형 형태로 재단하여 외피전개모형을 제작한다.
다음에 외피전개모형을 두 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박음질하면 개방된 관형태의 외피모재(11')가 완성된다.
심재료안내관포설단계
심재료(201)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안내관(31)의 내부에 포설할 수 있다.
먼저 면 등의 천연섬유로 직조한 원단(소창, 광목 등),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섬유로 직조한 원단, 인견 등의 재생섬유로 직조한 원단을 테이블(21)의 후방영역에 지그재그형태로 적층되도록 배치한다(도3 참조).
다음에 안내관(31)의 후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철사 등의 견인줄(32)을 안내관(31)의 전단으로부터 삽입한다(도3 참조).
다음에 견인줄(32)에 심재료(201)를 묶은 후 안내관(31)의 전단을 넘어 노출되도록 잡아당긴다(도4 참조).
다음에 안내관(31)의 전단을 넘어 노출된 심재료길이구간을 절단한다(도5 참조).
외피모재포설단계
외피모재(11')를 안내관(31)의 둘레영역에 포설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피모재(11')의 일단을 외피고정홈(31a)에 끼워 외피모재(11')의 일단을 안내관(31)의 전단에 고정한다(도6 참조).
다음에 외피모재(11')의 안팎이 뒤집어지고 안내관(31)을 둘러싸도록 외피모재(11')를 안내관(31)의 후단을 향해 잡아당긴다(도7 및 도8 참조).
심재료외피모재견인단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심재료(201)와 외피모재(11')를 견인한다.
먼저 안내관(31)의 전단을 외피고정홈(31a)으로부터 이탈시켜 안내관(31)의 전단에 대한 외피모재(11')의 고정상태를 해제한다.
다음에 심재료(201)가 외피모재(11')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안내관(31)의 내부에 포설된 심재료(201)와 안내관(31)의 둘레영역에 포설된 외피모재(11')를 안내관(31)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을 따라 함께 잡아당긴다.
다음에 심재료(201)를 안내관(31)의 전단에서 절단한다(도9 참조).
외피모재봉합단계
심재료(201)가 포설된 외피모재(11')의 양단을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봉합하면 도1에 도시된 결관띠(10)가 완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결관띠는 양단이 봉합된 관형태의 외피(11)와, 외피(11)의 내부에 하나의 띠형태로 삽입된 심재(12)를 갖게 된다.
다음에 전술한 외피모재포설단계, 심재료외피모재견인단계 및 외피모재봉합단계를 반복하여 결관띠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안내관(31)에 형성된 외피고정홈(31a)에 끼워 외피모재(11')의 일단을 안내관(31)의 전단에 고정시키고 있으나,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고정홈(31a)을 생략하는 한편 고정캡(33')을 사용하여 외피모재(11')의 일단을 안내관(31')의 전단에 고정시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고정캡(33')은 관형태의 캡바디부(33'a)와, 캡바디부(33'a)의 일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캡플랜지(33'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캡(33')을 사용하여 외피모재(11')의 일단을 안내관(31')의 전단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피모재(11')의 일단을 안내관(31')의 내부에 약간 진입시킨다.
다음에 캡바디부(33'a)와 안내관(31')의 내표면사이에서 외피모재(11')의 진입구간이 압착되도록 고정캡(33')을 안내관(31')에 결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안내관(31)을 매개로 외피(11)의 내부에 심재(12)를 삽입함으로써, 결관띠(1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결관띠(10)의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롤러(25)의 표면을 전방지지면으로 이용함으로써, 외피모재(11')를 효율적으로 안내관(31)에 포설할 수 있게 된다(전방지지면에 외피모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
또한 외피모재(11')에 대응하는 외피전개모형을 제작한 후, 외피전개모형을 두 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박음질하는 방법으로 외피모재(11')를 제작함으로써, 결관띠(10)에 나타나는 박음질 흔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10, 110 : 결관띠 11 : 외피
12 : 심재 20 : 지지체
21 : 테이블 23 : 정렬기둥
25 : 지지롤러 26 : 지지블럭
31 : 안내관 33' : 고정캡

Claims (5)

  1. 양단이 봉합된 관형태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하나의 띠형태로 삽입된 심재를 가지고, 일 측이 개구된 형태로 제조된 관바디부와 상기 관바디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관바디부에 설치된 관뚜껑을 갖는 장례관을 일체로 묶는 데 사용되는 결관띠를 제조하기 위한 결관띠제조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전방지지면과 후방지지면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면과 상기 후방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외피고정홈이 상기 전방지지면에 인접한 종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안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띠제조장치.
  2. 양단이 봉합된 관형태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하나의 띠형태로 삽입된 심재를 가지고, 일 측이 개구된 형태로 제조된 관바디부와 상기 관바디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관바디부에 설치된 관뚜껑을 갖는 장례관을 일체로 묶는 데 사용되는 결관띠를 제조하기 위한 결관띠제조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전방지지면과 후방지지면을 갖는 지지체와;
    상기 전방지지면과 상기 후방지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내표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안내관의 일단에 결합된 고정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띠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지면에 기립설치되는 바닥지지체와, 상기 바닥지지체에 지지되고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지지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면은 상기 지지롤러의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띠제조장치.
  4. 양단이 봉합된 관형태의 외피와 상기 외피의 내부에 하나의 띠형태로 삽입된 심재를 가지고, 일 측이 개구된 형태로 제조된 관바디부와 상기 관바디부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관바디부에 설치된 관뚜껑을 갖는 장례관을 일체로 묶는 데 사용되는 결관띠를 제조하기 위한 결관띠제조방법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관형태의 외피모재를 제작하는 외피모재제작단계와;
    상기 외피모재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안내관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심재료를 포설하는 심재료포설단계와;
    상기 안내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외피모재의 일단을 상기 안내관의 전단에 고정한 후, 상기 외피모재의 안팎이 뒤집어지고 상기 안내관을 둘러싸도록 상기 외피모재를 상기 안내관의 후단을 향해 잡아당겨 상기 외피모재를 상기 안내관의 둘레영역에 포설하는 외피모재포설단계와;
    상기 안내관의 전단에 대한 상기 외피모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심재료가 상기 외피모재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안내관의 내부에 포설된 심재료와 상기 안내관의 둘레영역에 포설된 외피모재를 상기 안내관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을 따라 함께 잡아당기는 심재료외피모재견인단계와;
    상기 심재료가 포설된 외피모재의 양단을 봉합하는 외피모재봉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띠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모재제작단계는 상기 외피모재에 대응하는 외피전개모형을 제작한 후, 상기 제작된 외피전개모형을 두 겹으로 접은 상태에서 박음질하는 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관띠제조방법.
KR1020100078146A 2010-08-13 2010-08-13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13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46A KR101135015B1 (ko) 2010-08-13 2010-08-13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46A KR101135015B1 (ko) 2010-08-13 2010-08-13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51A KR20120015751A (ko) 2012-02-22
KR101135015B1 true KR101135015B1 (ko) 2012-04-09

Family

ID=4583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46A KR101135015B1 (ko) 2010-08-13 2010-08-13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0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87Y1 (ko) 2005-02-15 2005-05-06 박기황 표면에 봉제선이 표출되지 않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KR200438426Y1 (ko) 2007-02-05 2008-02-15 이숙재 시신용 턱받이
KR20100016861A (ko) * 2008-08-05 2010-02-16 윤 호 김 봉제선 하단형 매트
KR101036446B1 (ko) 2009-04-10 2011-05-24 양건태 터널관을 이용한 면발 포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87Y1 (ko) 2005-02-15 2005-05-06 박기황 표면에 봉제선이 표출되지 않는 자동차용 핸들 커버
KR200438426Y1 (ko) 2007-02-05 2008-02-15 이숙재 시신용 턱받이
KR20100016861A (ko) * 2008-08-05 2010-02-16 윤 호 김 봉제선 하단형 매트
KR101036446B1 (ko) 2009-04-10 2011-05-24 양건태 터널관을 이용한 면발 포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51A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81343B (zh) 提供缝合线无约束分配的缝合包及其方法
KR101135015B1 (ko)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
US7000788B2 (en) Umbrella-type laundry drying apparatus with protective cover
JP6162928B2 (ja) 土嚢集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立体土嚢集合体
GB2499685A (en) A curtain backstop with a football goal flap extending out from it
JPH01501764A (ja) 引き上げ可能な窓掛け
CN205901247U (zh) 一种不打结的电线放线车
CN105908673B (zh) 软体排水下铺排装置及铺排方法
JP2003129444A5 (ko)
CN202850591U (zh) 安全遮拦机构
JP6734121B2 (ja) 防水装置
JP2007138470A (ja) 補強籠および現場打ちコンクリ−ト杭の施工法並びに現場打ちコンクリ−ト杭
WO2009050467A1 (en) Tent with locators for poles
CN103718917A (zh) 一种苗木运输中包覆土球的土球袋
KR101200709B1 (ko) 결관띠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102001612A (zh) 一种缝被平台
CN104168796B (zh) 一种安全提包及构成内置安全嵌层装置的方法
CN206090461U (zh) 防汛土工袋
JP3220309U (ja) 耐圧土のう袋
CN207075312U (zh) 日光温室大棚
CN107859426B (zh) 一种高空间利用率的军用帐篷及其设置方式
KR101291315B1 (ko) 식생롤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생롤 제조방법
KR102527943B1 (ko) 운구용 결관 손잡이 고정브라켓
JP3140493U (ja) 簾/蓆で製作した収納装置
KR20100009980U (ko) 유골함 보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