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891B1 - 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 - Google Patents

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891B1
KR101133891B1 KR1020090067240A KR20090067240A KR101133891B1 KR 101133891 B1 KR101133891 B1 KR 101133891B1 KR 1020090067240 A KR1020090067240 A KR 1020090067240A KR 20090067240 A KR20090067240 A KR 20090067240A KR 101133891 B1 KR101133891 B1 KR 101133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olume
handle
motor
moving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9831A (en
Inventor
여희주
김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피아
Priority to KR1020090067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891B1/en
Publication of KR20110009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62B3/005Details of storage means, e.g. drawers, bin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6One motor drives two whe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의 제1 본체(111)와 상기 제1 본체(1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판상의 제2 본체(115)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며 구동부(120)의 모터(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제2 본체(115)의 하부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캐스터(119)와, 상기 캐스터(119)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본체(115)의 하부로 설치되며 모터(127)와 휠(123)을 구비한 구동부(120)와, 상기 제1 본체(111)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130)와, 상기 제2 본체(115)의 상부로 구비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100)에 관한 것으로; 파지가 편리하고, 파지한 후 부분적인 동작만으로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속도 가변이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미세한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최대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전성과 편의성이 증대되며, 적재물이 많아 시야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운전이 가능하며, 적재부의 설치 개수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110 and the body portion 110 consisting of a hollow first body 111 and a plate-shaped second body 115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first body 111, A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127 of the driving unit 120, at least one caster 119 disposed under the second body 115, and the second body (1) spaced apart from the caster 119. 115 is installed below the drive unit 120 including the motor 127 and the wheel 123 and the first body 1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unit 120 to input a driving command It relates to an electric moving cart (100)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including an operation unit (130), and a loading unit (140) provided above the second main body (115); It is convenient to hold, speed can be controlled only by partial operation after holding, and because the variable speed is double structure, fine speed can be adjusted and maximum speed can be adjusted to increase safety and convenience. Operation is possible even if it is cover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djusted the number and height of the mounting portion.

전동, 카트, 가변 Electric, cart, variable

Description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

본 발명은 물건을 운반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지한 후 부분적인 동작만으로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속도 가변이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미세한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최대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전성과 편의성이 증대되며, 적재물에 의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운전이 가능하며, 적재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of transporting goods,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eed by only a partial operation after gripping, and because the speed variable is a dual structure, fine speed adjustment is possible. The maximum speed can be adjusted to increase safety and convenience, and even when the field of view is obscured by the load, the driving is possible, and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oading is related to an electric moving cart.

공장 등에서는 컨베이어와 같은 자동화 라인을 설치하여 생산 속도를 증가시키면서 작업자의 노동 부하를 감소시켰다. 그러나 예를 들면 중소규모 공장이나 병원 등에서 좁은 공간이나 근거리로 환자나 물건, 장비 등의 운반 시에는 사람의 힘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낮으며 근골격계 질환과 같은 직업병도 발생할 수 있다.In factories, etc., automation lines, such as conveyors, were install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speed, reducing the labor load on the workers. However, for example, in small and medium-sized factories or hospitals, the use of human power is used to transport patients, objects, and equipment in small spaces or at short distances, resulting in low work efficiency and occupational diseases such as musculoskeletal disorders.

이로부터 종래 단순한 형태의 무빙 카트로 힘겹게 운반하던 것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이나 장비 등도 손 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동 무빙 카트(10)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The electric moving as shown in FIG. 1 enables easy transportation of heavy objects and equipment by using a motor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from the conventionally simple moving cart. The need for the cart 10 is increasing.

도 1에 도시한 상기 전동 무빙 카트(10)는 적재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운전 조작 레버(11)와는 별도로 방향 조작 레버(12)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운전 조작 레버(11)와 방향 조작 레버(12)를 조작하여 전후 진행과 진행 속도를 속도 조절 볼륨(13)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는 한편 좌우로의 방향 회전을 하였다. 적재부에 다량을 적재한 상태에서 운반하고 상기 운전 조작 레버(11)에서 손을 떼면 자동으로 정지되게 한다.Since the electric moving cart 10 shown in FIG. 1 is equipped with a direction operating lever 12 separately from the driving operation lever 11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oading portion, the driving operation lever 11 and the direction operating lever (12) was operated to adjust the advancing and advancing speeds forward and backward by the operation of the speed regulating volume 13 while rotating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s. The vehicle is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a large amount is loaded in the stacking unit and is automatically stopped by releasing the driving operation lever 11.

그러나 종래 전동 무빙 카트(10)는, 상기 운전 조작 레버(11) 이외에 별도의 방향 조작 레버(12)를 조작하여 전후 진행과 방향을 조절하고 또한 속도 조절 볼륨(13)의 조작에 의해 속도를 조절하므로 최대 속도를 변경할 수 없었으며, 안전 사고의 문제점 있었으며, 적재함의 높이를 변경할 수 없었으며, 속도가 미세하게 조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ic moving cart 10 controls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operating a separate direction operation lever 12 in addition to the driving operation lever 11, and also adjusts the speed by operating the speed adjustment volume 13. Therefore, the maximum speed could not be changed, there was a problem of a safety accident,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could not be changed, and the speed was not finely adjus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최대 속도를 변경할 수 있고 미세 속도 조정이 가능하며, 적재함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조정할 수 있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that can change the maximum speed, fine speed can be adjusted, the height of the loading box can be adjusted as desired It is d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의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판상의 제2 본체로 이루어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구동부의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제2 본체의 하부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본체의 하부로 설치되며 모터와 휠을 구비한 구동부와, 상기 제1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와, 상기 제2 본체의 상부로 구비되는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제1 손잡이 및 제2 손잡이와, 제1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배터리와 모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의 속도를 가변하는 제1 볼륨과, 상기 제2 손잡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제1 볼륨과 모터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볼륨과 직렬 연결되어 모터의 속도를 가변하는 제2 볼륨과, 상기 제1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방향전환 레버로 이루어지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portion consisting of a hollow first body and a plate-shaped second body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first body, and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of the drive unit A battery, at least one caster provided below the second main body, a drive unit spaced apart from the caster and installed below the second main body, having a motor and a wheel, provided in the first main body, An operation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input a driving command, and a loading unit disposed above the second main body;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protruding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a first volume rotatably provided in the first main body and electrically loca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motor to vary the speed of the motor; A second volume rotatably provided to the second hand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volume and the motor to be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volume to vary the speed of the motor, and rotatably provided to the first handle It provides an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consisting of a turning lev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2 본체의 상부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봉 형상인 복수의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가 삽입되어 제2 본체의 상부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적재패널부와, 중공체로서 상기 지주부가 삽입되어 상기 제2 본체와 적재패널부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패널부는 상기 지주부가 삽입되는 삽입통공이 형성된 복수의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판상의 적재판과, 양단이 상기 삽입부재에 연결되며 적재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측면부재로 이루어지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 동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ing portion is a plurality of rod-shaped pillars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ain body, one or more stacking panel portion provid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is inserted into the pillar portion, hollow A plurality of spacers inserted into the struts and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body and the stacking panel portion; The stacking pane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ng members having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posts are inserted, a plate-shaped stacking plate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ng members, and a plurality of ends connected to the inserting member and positioned along edges of the stacking plate. It provides an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consisting of side member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손잡이는 제1 턱부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나타내는 지시부재와 제2 볼륨이 차례로 삽입되어 지시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1 턱부와 대면하며, 상기 제2 볼륨은 원통형으로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손잡이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는 제2 볼륨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andle has a first jaw, and the indicator member and the second volume, which indic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are sequentially inserted so that one side of the indicator member faces the first jaw, and the second volume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rotation protrusion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handle has a concave portion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which the rotation protrusion is rotatably positioned, and the second handle has a safety protruding from the second volume. It provides an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본체의 단부에는 카메라를, 상기 제1 본체에는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과 날짜 및 전후진과 같은 부가항목이 표시되는 LCD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LCD monitor that is connected to the camera at the end of the second body, the LCD monitor that is connected to the camera to display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additional items such as date and forward and backward. It provides an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부는 제2 본체에 고정되어 제2 본체의 상부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1 지주와, 상기 제1 지주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와 제1 턱부를 형성하여 삽입부로부터 연장되는 확관부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중공의 제2 지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확관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확관부의 중심으로부터 내면까지의 최대 거리는 중심으로부터 외면까지의 최소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간격부재는 내경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 오목부 또는 제2 오목부에 위치하는 제3 돌출부를 가지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portion is formed by forming a hollow first support to be fixed to the second body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first jaw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first support One or more hollow second posts having expansion tubes extending therefrom; The insertion portion has one or more second recesses formed conca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xpansion tube has one or more first recesses formed conca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pansion tube is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urface. Less than the minimum distance to; The spacer member protrudes toward an inner diameter to provide an 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having a third protrusion located at the first recess or the second recess.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100)는 제2 볼륨(135)으로부터 제2 손잡이(132)가 돌출 연장되므로 파지가 편리하고, 파지한 후 부분적인 동작만으로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속도 가변이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미세한 속도 조절이 가능하며 최대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전성과 편의성이 증대되며, 적재물이 많아 시야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운전이 가능하며, 적재부의 설치 개수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electric moving cart 100 has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handle 132 protrudes and extends from the second volume 135, the gripping is convenient, and the gripping speed can be adjusted only by the partial operation. It has a dual structure of variable speed, so it is possible to finely control the speed and the maximum speed can be adjusted to increase safety and convenience,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even when the field of view is obstructed due to the large loads. There is a possible effect.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며,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names as those in the prior art are used, and descriptions of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prior art ar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A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적재패널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지주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제2 지주를 도시 한 측면도이며, 도 12 및 도 13은 제2 지주와 간격부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속도 가변 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moving cart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view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A,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B of FIG. 3,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3, and FIG. 7 is a loading panel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an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upport portion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and FIG. 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econd support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2 and 1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support and the spacer, and FIG. 14. Seen In order to explain the speed varying means provided in the invention the electric moving cart, Figure 15 shows a drive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100)는 중공의 제1 본체(111)와 상기 제1 본체(1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판상의 제2 본체(115)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며 구동부(120)의 모터(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제2 본체(115)의 하부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캐스터(119)와, 상기 캐스터(119)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본체(115)의 하부로 설치되며 모터(127)와 휠(123)을 구비한 구동부(120)와, 상기 제1 본체(111)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130)와, 상기 제2 본체(115)의 상부로 구비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본체(111)는 하부로 배터리수납부(1101)가 형성되어 배터리가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수납부(1101)의 상부로 서류 등을 투입하여 보관하는 수납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111)의 상면은 운전자가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에 가까워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110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2, the electric moving cart 100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first body 111 and a plate-shaped second body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first body 111. 115, a body (not shown)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127 of the driving unit 120, and the second main body 115 of the main body 110. At least one caster 119 provided below, spaced apart from the caster 119, installed below the second main body 115, and provided with a motor 127 and a wheel 123. The control unit 130 is provided on the first main body 11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20 to input a driving command, and a loading unit 140 provided above the second main body 115. do. The first main body 111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storing unit 1101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the battery is installed, the receiving unit 113 for storing the documents and put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receiving unit 1101. hav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1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1105 that is lowered as the driver approaches the driver.

상기 제1 본체(111)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 본체(115)의 단부에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본체(111)의 경사면(1105)에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과 날짜 및 전후진과 같은 부가항목이 표시되는 LCD 모니터(15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카메라와 LCD 모니터(155)를 구비함으로써 적재물로 인하여 시야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A camera (not shown) is installed at an end of the second main body 115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ain body 111, and is connected to the camera on an inclined surface 1105 of the first main body 111 to connect the camera.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LCD monitor 155 displaying the image taken by the additional items such as the date and forward and backward. By providing the camera and the LCD monitor 155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afely drive even when the field of view is obstructed by the load.

상기 경사면(1105)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정지버튼(151)과 키홀더(153)가 구비된다. 비상정지버튼(151)과 키홀더(153)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inclined surface 1105 is provided with an emergency stop button 151 and a key holder 153, as shown in FIG. The emergency stop button 151 and the key holder 153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130)는 본체부(110)의 양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제1 손잡이(131) 및 제2 손잡이(132)와, 제1 본체(1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배터리와 모터(127)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127)의 속도를 가변하는 제1 볼륨(139)과, 상기 제2 손잡이(13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제1 볼륨(139)과 모터(127)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볼륨(139)과 직렬 연결되어 모터(127)의 속도를 가변하는 제2 볼륨(135)과, 상기 제1 손잡이(1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방향전환 레버(133)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331은 상기 방향전환 레버(133)를 제1 손잡이(1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힌지(1331)에는 일단은 제1 손잡이(131)에 걸리며 타단은 방향전환 레버(133)에 걸리는 토션스프링이 삽입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 레버(133)는 모터(127)의 전기 회로에 구비되는 릴레이(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모터(127)의 회전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2 to 5, the operation unit 130 rotates on the first handle 131 and the second handle 132 and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first main body 111. The first volume 139 and the second handle 132 are rotatably provided and electrically located between the battery and the motor 127 to vary the speed of the motor 127. A second volume 135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volume 139 and the motor 127 and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first volume 139 to vary the speed of the motor 127, and the first handle 131. It consists of a turning lever 133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FIG. 5, reference numeral 1331 illustrates a hinge rotatably supporting the turning lever 133 to the first handle 131. One end of the hinge 1331 may be caught by the first handle 131, and the other end thereof may have a torsion spring inserted into the turning lever 133 to generate a restoring force. The turning lever 133 is connected to a relay (not shown) provided in an electric circuit of the motor 127 to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127.

상기 조작부(130)의 제1 손잡이(131)와 제2 손잡이(132)는 상기 경사면(1105)으로부터 연장된 경사면을 가지며 제1 본체(111)로부터 돌출 연장된 돌출부(1103)의 양측으로 돌출 구비한다. 도 4에서 도면부호 1351은 상기 제2 볼륨(135)에 구비되는 지시돌기를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handle 131 and the second handle 132 of the operation unit 130 has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inclined surface 1105 and protrudes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103 protruding from the first body 111. do. In FIG. 4, reference numeral 1351 illustrates an indicator protrusion provided in the second volume 135.

모터(127)의 속도를 가변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27)와 배터리 사이에 제1 가변 저항을 설치하고, 제1 볼륨(139)을 회전시켜 제1 가변 저항의 저항값을 변화시켜 배터리로부터 모터(127)로 공급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모터(127)의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변 저항과 모터(127) 사이에 또 하나의 제2 가변 저항을 설치하고 제2 볼륨(135)을 회전시켜 제2 가변 저항의 저항값을 변화시켜 배터리로부터 모터(127)로 공급되는 전압을 가변하여 모터(127)의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직렬로 제1 가변 저항과 제2 가변 저항을 설치하고 각각 제1 볼륨(139)과 제2 볼륨(135)을 회전시켜 저항을 가변하는 경우, 제2 볼륨(135)을 최대가 되도록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제1 볼륨(139)에 의하여 모터(127)의 최대 속도가 제한되므로 제2 볼륨(132)으로 가변할 수 있는 모터(127)의 최대 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모터(127)의 속도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A method of varying the speed of the motor 127 will be described briefly. As shown in FIG. 14, a first variable resistor is installed between the motor 127 and the battery, and the first volume 139 is rotated to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variable resistor to the motor 127. The speed of the motor 127 may be varied by varying the supplied voltage. Then, another second variable resistor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variable resistor and the motor 127, the second volume 135 is rotated to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and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motor 127. The speed of the motor 127 may be varied by varying the voltag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variable resistor and the second variable resistor are installed in series, and the resistance is varied by rotating the first volume 139 and the second volume 135, respectively, the second volume 135 has a maximum value. Even when the rotation is possible, the maximum speed of the motor 127 is limited by the first volume 139, so that the maximum speed of the motor 127 that can be changed to the second volume 132 may be adjusted, and the motor 127 may be adjusted. You can finely adjust the speed of.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은 저항에 의한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FET반도체 소자에 의한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모터(127)로 공급되는 전압을 단속하여 모터(127)의 속도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펄스폭 변조 방식에 의한 모터(127)의 속도 가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method shown in FIG. 14 has a disadvantage in that power loss due to resistance occurs, the speed of the motor 127 is varied by controlling the voltage supplied to the motor 127 in a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by the FET semiconductor element. It is also possibl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variable speed of the motor 127 by the pulse width modulation method is omitted.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손잡이(132)는 제1 턱부(1321)를 구비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나타내는 지시부재(137)와 제2 볼륨(135)이 차례로 삽입되어 지시부재(137)의 일측은 상기 제1 턱부(1321)와 대면하며, 상기 제2 볼륨(135)은 원통형으로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돌기(1351)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손잡이(132)에는 상기 회전돌기(1351)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1327)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132)는 제2 볼륨(135)으로부터 돌출 연장된다. 도 6에서 도면부호 1323은 제2 턱부를, 1325는 상기 제2 손잡이(132)를 돌출부(1103)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1353은 상기 제2 볼륨(135)으로부터 돌출부(1103)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부를, 1355는 제2 볼륨(135)과 함께 회전하면서 가변저항의 저항값을 변하게 하는 접촉부를 도시한 것이다. 지시부재(137)는 제1 턱부(1321)와 제2 볼륨(13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second handle 132 includes a first jaw portion 1321, and the indicator member 137 and the second volume 135 are sequentially inserted to indic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ne side of the facing the first jaw portion 1321, the second volume 135 is provided with a rotary projection (1351)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as a cylindrical, the second handle 132 has the rotary projection ( A recess 1327 is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which 1351 is rotatably positioned, and the second handle 132 protrudes from the second volume 135. In FIG. 6, reference numeral 1323 denotes a second jaw portion, 1325 denotes a fixing screw for fixing the second handle 132 to the protrusion 1103, and 1353 extends from the second volume 135 toward the protrusion 1103. 1355 shows a contact portion for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while rotating with the second volume 135. The pointing member 137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jaw 1321 and the second volume 135.

상기 제2 손잡이(132)와 제2 볼륨(135) 사이에는 일단은 상기 제2 손잡이(132)에 걸리며 타단은 제2 볼륨(135)에 걸리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A torsion spring may be provided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handle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volume 135 between the second handle 132 and the second volume 135.

상기에서와 같이 제2 손잡이(132)는 제2 볼륨(135)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므로, 운전자는 제2 손잡이(132)를 파지한 후 엄지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제2 볼륨(135)을 회전시켜 모터(127)의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제2 손잡이(132)가 제2 볼륨(135)으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2 볼륨(135)을 파지한 후 손 전체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손목이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되므로 장시간 운전하는 경우 손목에 무리가 올 수 있다.Since the second handle 132 protrudes from the second volume 135 as described above, the driver grips the second handle 132 and then conveniently rotates the second volume 135 using a thumb or the like. The speed of the motor 127 can be varied. If the second handle 132 is not protruding from the second volume 135, the second volume 135 should be rotated with the entire hand after gripping the second volume 135, so that the wrist is in an unnatural posture. The crowd can come.

도 2 및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40)는 제2 본체(115)의 상부로 설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봉 형상인 복수의 지주부(143)와, 상기 지주부(143)가 삽입되어 제2 본체(115)의 상부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적재패널부(141)와, 중공체로서 상기 지주부(143)가 삽입되어 상기 제2 본체(115)와 적재패널부(141)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부재(145)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패널부(141)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지주부(143)가 삽입되어 적재패널부(141)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부재(14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140)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S. 2 and 7 to 13, the loading part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main body 115 and has a plurality of rod-shaped support parts 143 which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loading panel portion 141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15 and a main portion 143 is inserted therein, and the support portion 143 is inserted into the hollow body so that the second main body 115 and the loading panel are inserte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rs 145 located between the portions 141. When the stacking panel unit 141 is provided in plural, the holding unit 143 is inserted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pacers 145 positioned between the stacking panel unit 141. The stacking unit 140 may be changed in various forms.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부(143)는 제2 본체(115)에 고정되어 제2 본체(115)의 상부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1 지주(1435)와, 상기 제1 지주(1435)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32)와 제1 턱부(1438)를 형성하여 삽입부(1432)로부터 연장되는 확관부(1433)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중공의 제2 지주(1431)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8, the pillar portion 143 is fixed to the second body 115 and has a hollow first pillar 1435 extending above the second body 115, and the first pillar 1435. It consists of one or more hollow second support (1431) having an insertion portion (1432) and a first jaw portion (1438)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and an expansion tube (1433)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1432). .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43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오목부(1436)를 가지고, 상기 확관부(1433)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오목부(1437)를 가진다. 상기 제1 오목부(1437)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돌출부(1435)를 가지며, 제2 오목부(1436) 사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돌출부(1434)를 가진다. As shown in FIGS. 11 to 13, the insertion portion 1432 has one or more second recesses 1434 formed conca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larged portion 1433 i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has one or more first recesses 1437 formed. The first concave portion 1437 has a first protrusion 1435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436 has a second protrusion 143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간격부재(145)는 제1 링(1453)과, 상기 제1 링(1453)을 감싸는 제2 링(145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링(1453)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2 링(145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링(1451)은 간격부재(145)로 전달 되는 적재물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제2 본체(115)와 적재패널부(141)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적재패널부(141) 사이에 간격부재(145)를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적재부(1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spacer 145 includes a first ring 1453 and a second ring 1451 surrounding the first ring 1453. The first ring 1453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the second ring 145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second ring 1451 serves to support the load by the load transferred to the spacer 145. The height of the stacking unit 140 may be adjusted by adding or removing the spacer 145 between the second body 115 and the stacking panel unit 141 and between the stacking panel unit 141.

상기 삽입부(1432)가 제2 오목부(1436)를 가지며, 확관부(1433)가 제1 오목부(1437)를 가지는 경우 상기 간격부재(145)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면으로부터 내향 돌출되어 상기 제2 오목부(1436) 또는 제1 오목부(1437)에 위치하는 제3 돌출부(1453a)를 가진다. 상기 제3 돌출부(1453a)의 내측 단부는 제1 오목부(1437)의 외면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1433)의 중심으로부터 내면까지의 최대 거리(R1)는 중심으로부터 외면까지의 최소 거리(R2)보다 작게 한다.When the insertion portion 1432 has a second recess 1434 and the expansion pipe 1333 has a first recess 1435, the spacer 145 is as shown in FIGS. 12 and 13. It has a third protrusion 1453a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and positioned in the second recess 1436 or the first recess 1437. The inner end of the third protrusion 1453a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cess 1437, and the maximum distance R1 from the cen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pansion pipe 1433 is the minimum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urface. It is made smaller than the distance R2.

상기 제3 돌출부(1453a)가 삽입부(1432)의 제2 오목부(1436)와 대면하는 경우 제3 돌출부(1453a)의 곡률 반경이 제2 오목부(1436)의 곡률 반경보다 크게 되므로 삽입부(1432)의 형태를 단순히 원형으로 하는 경우보다 제3 돌출부(1453a)와 제2 오목부(1436) 사이의 틈새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간격부재(145)와 지주부(143) 사이의 틈새에 의한 간격부재(145)의 기울어짐을 감소시킬 수 있다. When the third protrusion 1453a faces the second recess 1436 of the insertion part 1432,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third protrusion 1453a is greater tha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cond recess 1434. The clearance between the third protrusion 1453a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436 is reduced rather than the case where the shape of 1432 is simply circular. Therefore, the inclination of the spacer 145 due to the gap between the spacer 145 and the support 143 may be reduced.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패널부(141)는 상기 지주부(143)가 삽입되는 삽입통공(1412)이 형성된 복수의 삽입부재(1411)와, 상기 삽입부재(1411) 사이에 위치하는 판상의 적재판(1417)과, 양단이 상기 삽입부재(1411)에 연결되며 적재판(1417)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측면부재(1413)로 이루어진다. 도 7에서 도면부호 1415는 상기 측면부재(1413)를 상하로 연결하여 측면부재(1413)의 변형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는 연결부재를, 1419는 적재판(1417)의 하부로 위치하 여 측면부재(1413) 사이에 연결된 보강부재를 도시한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loading panel 141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insertion members 1411 having the insertion holes 1412 into which the support portions 143 are inserted, and the insertion member 1411. A plate-shaped loading plate 1417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member 1411 and include a plurality of side members 1413 positioned along an edge of the loading plate 1417. In FIG. 7, reference numeral 1415 denotes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side member 1413 up and down to improve the strength against deformation of the side member 1413, and 1419 is positioned below the loading plate 1417. The reinforcing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1413 is shown.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100)의 구동부(120)는 모터(127)와, 모터(127)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동축(121)과, 상기 구동축(121)의 양단에 구비되어 구동축(121)과 일체로 회전하는 휠(123)로 이루어진다. 도 15에서 도면부호 125는 차동기어부를 도시한 것으로, 구동축(121)에 차동기어부(125)를 구비함으로써 선회시 내측 휠(123)과 외측 휠(123)의 속도 차이를 보정하여 미끄럼을 방지하여 선회가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차동기어부(125)의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s shown in FIG. 15, the driving unit 120 of the electric moving cart 100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127, a driving shaft 121 connected and driven to the motor 127, and The wheel 12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driving shaft 121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driving shaft 121. In FIG. 15, reference numeral 125 denotes a differential gear part. The differential gear part 125 is provided on the driving shaft 121 to compensate for slippage by correcting a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wheel 123 and the outer wheel 123 during turning. Prevents turning smoothly.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ifferential gear unit 125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hould be interpreted as belonging to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동 무빙 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moving card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동 무빙 카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moving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동 무빙 카트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moving cart shown in FIG. 1.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part A of FIG. 3.

도 5는 도 3의 B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part B of FIG. 3.

도 6은 도 3의 A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3.

도 7은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적재패널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ing panel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지주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8 is shown to explain the holding portion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2의 A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9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도 10은 도 9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11은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제2 지주를 도시한 측면도이다.11 is a side view showing a second support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및 도 13은 제2 지주와 간격부재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2 and 1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cond support and the spacer.

도 14는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속도 가변 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다.14 is a view illustrating a speed varying means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 전동 무빙 카트에 구비되는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다.15 illustrates a driving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moving c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중공의 제1 본체(111)와 상기 제1 본체(1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판상의 제2 본체(115)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며 구동부(120)의 모터(1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제2 본체(115)의 하부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캐스터(119)와, 상기 캐스터(119)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2 본체(115)의 하부로 설치되며 모터(127)와 휠(123)을 구비한 구동부(120)와, 상기 제1 본체(111)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운전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130)와, 상기 제2 본체(115)의 상부로 구비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130)는 본체부(110)의 양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제1 손잡이(131) 및 제2 손잡이(132)와, 제1 본체(11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배터리와 모터(127)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127)의 속도를 가변하는 제1 볼륨(139)과, 상기 제2 손잡이(13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기적으로 상기 제1 볼륨(139)과 모터(127)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볼륨(139)과 직렬 연결되어 모터(127)의 속도를 미세하게 가변하는 제2 볼륨(135)과, 상기 제1 손잡이(1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모터(127)로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방향전환 레버(1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손잡이(132)는 제1 턱부(1321)를 구비하여 배터리 잔량을 나타내는 지시부재(137)와 제2 볼륨(135)이 차례로 삽입되어 지시부재(137)의 일측은 상기 제1 턱부(1321)와 대면하며, 상기 제2 볼륨(135)은 원통형으로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돌기(1351)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손잡이(132)에는 상기 회전돌기(1351)가 회전 가능하게 위치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1327)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132)는 제2 볼륨(135)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100).The main body part 110 which consists of a hollow 1st main body 111 and the plate-shaped 2nd main body 115 extended to the one side from the said 1st main body 111, and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part 110, and the drive part 120 A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tor 127 of FIG. 1), at least one caster 119 disposed below the second body 115, and spaced apart from the caster 119 of the second body 115. A driver 120 installed below and provided with a motor 127 and a wheel 123, and an operation unit 130 provided in the first body 111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r 120 to input a driving command. ), And a loading part (140) provided above the second body (115); The operation unit 130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first handle 131 and the second handle 132 and the first main body 111 protruding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and the motor. A first volume 139 positioned between 127 to vary the speed of the motor 127, and rotatably provided at the second handle 13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volume 139 and the motor ( A second volume 135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volume 139 and serially connected to the first volume 139, and rotatably provided at the first handle 131 to provide a second volume 135. A turning lever 133 for regulat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127; The second handle 132 is provided with a first jaw portion 1321, and the indicator member 137 and the second volume 135, which are indicative of the remaining battery level, are inserted in this order, so that one side of the indicator member 137 has the first jaw portion ( 1321, the second volume 135 has a cylindrically shaped radially extending rotational projection 1351, and the second handle 132 is rotatably positioned with the rotational projection 1351.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1327) is formed, the second handle (132) is an electric moving cart (100)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from the second volume (13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40)는 상기 제2 본체(115)의 상부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봉 형상인 복수의 지주부(143)와, 상기 지주부(143)가 삽입되어 제2 본체(115)의 상부로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적재패널부(141)와, 중공체로서 상기 지주부(143)가 삽입되어 상기 제2 본체(115)와 적재패널부(141)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간격부재(145)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패널부(141)는 상기 지주부(143)가 삽입되는 삽입통공(1412)이 형성된 복수의 삽입부재(1411)와, 상기 삽입부재(1411) 사이에 위치하는 판상의 적재판(1417)과, 양단이 상기 삽입부재(1411)에 연결되며 적재판(1417)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측면부재(14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100).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140 is a rod-shaped plural pillars provided with 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15 and the support portion 143 is inserted into At least one stacking panel portion 141 provided above the main body 115 and the support portion 143 is inserted as a hollow body and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main body 115 and the stacking panel portion 141. A plurality of spacers 145; The stacking panel portion 141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members 1411 having an insertion hole 1412 into which the support portion 143 is inserted, and a plate-shaped stacking plate 1417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on members 1411.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member (1411) and the electric moving cart (100)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ide members (1413) located along the edge of the loading plate (1417).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115)의 단부에는 카메라를, 상기 제1 본체에는 상기 카메라에 연결되어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과 날짜 및 전후진과 같은 부가항목이 표시되는 LCD 모니터(1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100).The LCD monitor 155 of claim 1, wherein a camera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main body 115, and the first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camera to display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and additional items such as dates and forwards and backwards. Electric moving cart 100 with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143)는 제2 본체(115)에 고정되어 제2 본체(115)의 상부로 연장되는 중공의 제1 지주(1435)와, 상기 제1 지주(1435)로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32)와 제1 턱부(1438)를 형성하여 삽입부(1432)로부터 연장되는 확관부(1433)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중공의 제2 지주(14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143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오목부(1436)를 가지고, 상기 확관부(1433)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 오목부(1437)를 가지며 상기 확관부(1433)의 중심으로부터 내면까지의 최대 거리는 중심으로부터 외면까지의 최소 거리보다 작으며; 상기 간격부재(145)는 내경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제1 오목부(1437) 또는 제2 오목부(1436)에 위치하는 제3 돌출부(1453a)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100).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ortion 143 is fixed to the second body 115, the hollow first support (1435) exte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115, and the first support (1435) It is composed of one or more hollow second support (1431) having an expansion portion (1433)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1432) to form the insertion portion (1432) and the first jaw portion (1438) is slidably inserted into ; The insertion portion 1432 has one or more second recesses 1434 formed conca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xpansion portion 1433 defines one or more first recesses 1437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ilator 1433 is smaller than the minimum distance from the center to the outer surface; The spacer 145 has a third protrusion 1453a protruding toward an inner diameter and positioned at the first recess 1437 or the second recess 1436, thereby providing improved safety and convenience. Cart 100.
KR1020090067240A 2009-07-23 2009-07-23 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 KR101133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40A KR101133891B1 (en) 2009-07-23 2009-07-23 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240A KR101133891B1 (en) 2009-07-23 2009-07-23 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31A KR20110009831A (en) 2011-01-31
KR101133891B1 true KR101133891B1 (en) 2012-04-09

Family

ID=4361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240A KR101133891B1 (en) 2009-07-23 2009-07-23 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8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596B1 (en) 2017-03-16 2018-08-17 김흥식 Electric car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408Y1 (en) * 2019-11-01 2021-10-12 엠투엠글로벌(주) Electric Cart for transporting go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272A (en) * 1995-12-20 1997-06-30 Nawa Denki:Kk Electric carrier
KR200300375Y1 (en) * 2002-10-24 2003-01-14 주식회사 에스피애드 Cart for accomplishing advertisement and trans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9272A (en) * 1995-12-20 1997-06-30 Nawa Denki:Kk Electric carrier
KR200300375Y1 (en) * 2002-10-24 2003-01-14 주식회사 에스피애드 Cart for accomplishing advertisement and trans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596B1 (en) 2017-03-16 2018-08-17 김흥식 Electric car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831A (en) 201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487B1 (en) Eletric bicy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090699B (en) A wheeled object of the type adapted to be operated by a walking person
AU2003214829B2 (en) Bi-directional autonomous truck
US7775306B1 (en) Motorized wheelbarrow and associated method
JP2009502306A (en) Self-powered vehicle with selectable operating modes
DE102017114585A1 (en) Motorized transport cart
US20140231164A1 (en) Power assist wheelbarrow
US20180229748A1 (en) Carriage
CN103359139A (en) Lifting trolley
KR101133891B1 (en) Electric Moving Cart Having Improved Safety And Convience
US11400966B2 (en) Handcart
JPH10230879A (en) Motor-driven vehicle
EP2248500B1 (en) Auxiliary drive device for a manual device for transporting a patient lying area
JP6155066B2 (en) Dolly drive assist unit
KR102522520B1 (en) Electric assist carrier
EP2933138B1 (en) Equipment for the collection and discharge of material
JP2015208404A (en) Transport device
US20170305681A1 (en) Powered wheel assebmly for an auger assembly
KR20170001090U (en) Electric Cart
CN205737603U (en) Construction material mover
CN207157262U (en) Modular equipment portable vehicle using motor
JP5428726B2 (en) Auxiliary powered vehicles and carts with auxiliary powered vehicles
CN106985888B (en) Baby carriage
CN217808595U (en) Manually-operated four-way walking stacking vehicle
EP2929797B1 (en) Trolley type container, convertible into a scoo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