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887B1 -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887B1
KR101133887B1 KR1020110132855A KR20110132855A KR101133887B1 KR 101133887 B1 KR101133887 B1 KR 101133887B1 KR 1020110132855 A KR1020110132855 A KR 1020110132855A KR 20110132855 A KR20110132855 A KR 20110132855A KR 101133887 B1 KR101133887 B1 KR 10113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english
presenting
unit
present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길
Original Assignee
김세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길 filed Critical 김세길
Priority to KR1020110132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887B1/ko
Priority to PCT/KR2012/009749 priority patent/WO20130893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Abstract

본 발명은 모국어 습득식 영어교육방법 및 모국어 습득식 영어교육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한 주제를 가지는 영어문장이 기재된 문장제시부와, 상기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한 국어문장으로서 상기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을 제시하는 문제제시부 및 상기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영작공간을 제시하는 영어교육자료가 반복적으로 구성되어, 평서문으로 기재된 영어문장을 의문문으로 변형하고, 의문문으로 제시된 영어문장을 평서문으로 변형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영어를 습득할 수 있는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영어교육을 위한 교재에 있어서, 특정한 주제를 가지는 영어문장이 기재된 제1 문장제시부,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1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1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교육자료 및 상기 제1 영작공간에 들어가야 할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제2 문장제시부,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2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2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교육자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A STUDY BOOK FOR ENGLISH AND A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모국어 습득식 영어교육방법 및 모국어 습득식 영어교육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한 주제를 가지는 영어문장이 기재된 문장제시부와, 상기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한 국어문장으로서 상기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을 제시하는 문제제시부 및 상기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영작공간을 제시하는 영어교육자료가 반복적으로 구성되어, 평서문으로 기재된 영어문장을 의문문으로 변형하고, 의문문으로 제시된 영어문장을 평서문으로 변형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영어를 습득할 수 있는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은 외국어를 습득하기가 쉽지 않으나, 어린아이들은 외국어를 쉽게 습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외국어를 습득하는 교육과정이 단순히 언어를 익히는 것에 중점을 둔 것이 아니라 문법적인 내용 위주로 구성되어 실제 언어를 습득하는 데는 바람직 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기존의 교육방식이 언어를 습득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보다 교육수준이 낮음 에도 불구하고 성인들도 쉽게 영어를 배우는 국가들이 있는데, 이는 대한민국의 언어가 영어와는 어순이 상당히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대한민국과 동일한 언어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일본인도 영어를 습득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고, 일본인이 한국어를 배우거나 한국인이 일본어를 배우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없다는 점에서 매우 설득력이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경우에 태생적으로 영어를 습득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영어를 잘하는 것만으로 그 사람의 실력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도 하였으며, 영어를 배우기 위하여 엄청난 사교육비를 투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어를 습득하여 실제 외국인과 대화를 하거나 영작을 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한국인 또는 일본인이더라도 어린 시절부터 미국 등,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에서 자라는 경우에는 쉽게 영어를 익힐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언어를 습득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막연한 추측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아기나 어린아이들은 언어를 배우는데 기초가 되는 문법적 지식이나 사물에 대한 명칭 등에 대한 지식이 성인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완전히 신뢰할 만한 이론이 되기는 어렵다. 특히, 성인의 경우에도 외국어를 터득하는 능력이 탁월한 사람들이 많으며, 이러한 사람들 중 상당수는 해당 외국어를 체계적으로 교육받거나 해당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에 가본 적이 없이 오로지 스스로의 노력으로 여러 국가의 언어를 습득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신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어린 아이들이 언어를 습득하거나 아기들에게 언어를 가르치는 부모에게는 자신도 모르게 가장 합리적이고 빨리 언어를 터득하고 가르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성인이 영어를 습득하기 위해서는 무작정 영어를 암기하거나 영어권 국가에 어학연수나 유학 등을 하는 것보다는 어린아이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파악하여 이를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도 영어학습법에 관한 수많은 이론이나 교육법이 개발되었으나,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특별히 효과를 발휘한 교육방법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언어, 특히 영어를 배우거나 가르치는 방법에 관한 연구 또한 어린아이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주목할 필요성이 있으나, 아직까지는 어린아이나 아기들의 언어습득방법을 적용한 외국어 교육방법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기들이 언어를 습득할 때 각 언어의 특징적인 부분과 억양 및 강조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아기들에게 언어를 가르치는 부모들 또한 본능적으로 이러한 부분을 중심으로 가르치는 점에 착안하여 영어와 국어의 특징 및 강조부분을 집중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영어교육교재 및 이러한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영어교육을 위한 교재에 있어서, 특정한 주제를 가지는 영어문장이 기재된 제1 문장제시부,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1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1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교육자료 및 상기 제1 영작공간에 들어가야 할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제2 문장제시부,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2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2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교육자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영어교육교재는 n개의 교육자료로 구성되되, 상기 제n 교육자료는, 제n-1 영작공간에 들어가야 할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제n 문장제시부,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n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n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n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각 교육자료에는 상기 각 문장제시부의 상황을 묘사하는 이미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영어교육교재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재생되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각 영작공간에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영어문장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영작공간에 입력된 영어문장이 정답인 경우에는 다음 교육자료로 화면이 변경되고, 상기 각 영작공간에 입력된 영어문장이 오답인 경우에는 재입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영어교육자료는, 상기 문장제시부의 일측에 재생버튼이 구비되어, 피교육자가 상기 재생버튼을 클릭하면 원어민이 상기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읽어주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영어교육자료에는, 상기 문장제시부에 표시된 상황을 묘사하는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각 문제제시부에 표시되는 국어문장은, 상기 각 문제제시부와 동일한 교육자료에 구비된 상기 각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 내에서 특정의 단어를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영어교재는 다수개의 주제가 시리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영어교육교재는, 동일한 교육자료에 구비되어 있는 문장제시부와 문제제시부는 의문문 또는 평서문으로 구비되되, 상기 문장제시부와 상기 문제제시부는 서로 다른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입력수단은 키보드 또는 음성입력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는 아기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의 특징을 파악하여 이를 성인에게 적용함으로써, 성인들도 쉽게 외국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는 우리나라의 언어와 영어의 가장 큰 차이점을 파악하여, 이를 반복적으로 연습하도록 함으로써, 우리나라나 일본과 같이 태생적으로 영어를 습득하기 어려운 국가의 사람들도 쉽게 영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국어와 영어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파악하여 상기 차이점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교육을 함으로써, 피교육자가 별도의 사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사교육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의 제1 교육자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의 제2 교육자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동일한 주제를 가지는 교육자료의 일례를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7은 또 다른 주제를 가지는 교육자료의 일례를 연속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에 대한 설명에 앞서, 아기들의 언어습득과정과 한국어와 영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사고를 하고, 언어를 통하여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아기들은 생후 2개월 가량이 지나면 '아아아' 또는 '어어어' 등과 같은 모음으로 된 소리를 내게 되는데, 이를 쿠잉(cooing) 또는 옹알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쿠잉은 별다른 의미를 갖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실제로는 아기가 자신의 의사나 기분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점에서 체계화된 언어로서는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지만 광의의 의미로는 분명히 언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생후 6개월 가량이 되면 쿠잉(옹알이)은 점점 길어지면서 양적?질적으로 매우 발달하고, 상대방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소리를 수정하기도 한다. 즉, 자신만의 언어를 구사하는 단계를 지나서 체계화된 언어에 적응하면서 상대방이 자신의 언어를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노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가 외국어를 배우는 단계와 비교하면 언어를 배우는 첫 번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주변에서 반응해 주거나 말을 걸어주면 아기들의 언어발달속도는 매우 빨라지게 된다. 미국의 국립보건원(NIH) 산하의 '국립아동건간 및 인적 발달 연구소'의 연구결과를 보면 유아들은 국적을 불문하고 명사를 가장 먼저 배우고, 그 다음으로 동사와 형용사를 차례로 배운다는 조사결과가 있다. 따라서 언어를 습득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명사나 동사 및 형용사를 단편적으로 습득하게 된다. 하지만 언어를 습득하는 마지막 단계에서는 그 언어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을 익히는데 중점을 두게 된다. 물론,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은 위 과정이 단개별?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문장을 익히는 과정에서도 끊임없이 명사나 동사 등을 습득하는 것이지만, 발달과정은 분명한 단계가 있는 것이다.
아기들이 언어의 최종단계인 문장을 습득하는 단계에서는, 문장의 중간에 들어가는 단어보다는 문장의 기본틀을 익히는데 중점을 두고 익히게 된다고 한다. 즉, 가장 의미가 큰 부분을 집중하여 배우게 되는 것이다. 한국어의 경우에는 단어보다는 동사나 조사가 그 문장의 뜻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가장 주요하고, 실제로 한국의 아이들은 동사를 가장 빨리 습득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예를 들어 "~를 보아라." 또는 "~하지마" 등과 같이, 문장의 동사를 가장 집중하여 습득하고, 실제로 '무엇을'보라는 의미인지, '무엇을'하지마라는 의미인지는 몰라도 위와 같은 단어가 나오면 지시하는 것을 바라보거나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부모들이 어린아이들과 대화를 하는 소리를 녹음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의 부모들이나 일본의 부모들은 아기와 대화를 할 때 평상시보다 고음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부분인 동사를 강조하게 된다. 강조하는 방법으로는 해당 부분을 늘어뜨려 천천히 이야기를 하는 방법이나 해당 부분을 조금 더 높은 음으로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즉, "○○○야 ~하지마~~~"와 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부분을 천천히 늘어뜨려 말하거나 "○○○야 ~하지마"에서 "마"부분을 조금 더 높은 음으로 이야기한다고 한다.
반대로, 미국이나 서양과 같이 어순이 중요한 언어에 있어서는 아기들이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어순에 가장 집중하여 먼저 배우게 되고, 부모들도 아기들과 대화를 할 때에 평상시하고는 달리 어순이 변경된 부분을 특히 강조하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평상시보다는 고음으로 대화를 하는 경향이 많다고 한다.
이와 같이, 어린아이들이 언어를 배우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그 언어의 가장 중요한 틀을 익히는 것이다. 그리고 해당 언어의 틀은 평서문과 의문문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가장 크게 부각이 된다고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경우에는 어린아이가 "엄마 사과 줘."하고 이야기를 하면, 엄마가 "사과 줘?"하면서 되물으면서 아이의 반응을 살피게 된다. 이때, 엄마는 "줘?" 부분을 특히 과장된 표현으로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로 "줘?" 부분을 앞쪽에 오는 말들에 비하여 조금 높은 음으로 이야기를 하거나 "줘~~?"하고 다소 늘어뜨려 이야기를 하게 된다. 이때 "줘~~?"부분을 노래를 부르듯이 리듬과 음정을 주면 더욱 효과적이라고 한다. 이는 한국어가 동사나 조사가 중요한 언어이기 때문에 이 부분을 특히 강조하여 가르치기 위한 방법이고, 아기들 또한 이 부분을 중점적으로 습득을 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나라에서는 언어를 습득하는 마지막 단계에서 문장의 순서를 가장 강조한다고 한다. 이때, 아이가 평서문으로 어떤 이야기를 하면, 엄마는 의문문으로 되묻는 습관이 있는 것은 동일하다고 한다.
여기서, 영어와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과 이러한 특징이 평서문 및 의문문을 반복하는 것과 어떠한 연관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면, 한국어의 경우에는 어순은 거의 중요하지가 않은 언어이다. "나는 빵을 먹는다", "빵을 나는 먹는다", "먹는다 나는 빵을"은 모두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정도의 차이는 있고, 다소의 어색함은 있을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문장이나 말이 어순을 달리한다고 하여 의미전달이 어려운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영어의 경우에는 어순이 매우 중요한 언어이다. "I Love you"와 "You Love I"라고 했을 때, 전자와 후자는 전혀 다른 의미가 된다. 그리고 "I eat bread."와 "eat bread I"와 "bread eat I"는 모두 전혀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한편, 각 언어의 평서문과 의문문은 그 언어의 중요한 부분을 가장 잘 반영한 문장이다. 즉, 한국어의 경우에는 "빵을 먹다"라는 평서문과 "빵을 먹었니?"라는 의문문이 있을 때, 두 문장은 "빵을 먹"까지는 동일하고, 차이는 "먹다"와 "먹었니?"의 부분이다. 한국어에서 순서가 중요치 않음은 의문문에서도 동일하다. 즉, "빵을 먹었니?"와 "먹었니? 빵을"은 강조부분 등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겠지만 누구에게나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영어는 "I eat bread"라는 평서문과 "Did you eat bread?"라는 의문문이 있을 때, 두 문장의 차이는 "Did"와 "you"이다. 여기서 "you"는 어느 언어를 불문하고 화자의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라고 할 때 어순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난다. 영어에서는 의문문에서도 "bread eat you?" 또는 "Did bread eat you?"는 "Did you eat bread?"와 전혀 다른 의미가 된다.
이와 같이, 각 언어에서 동일한 문장을 평서문과 의문문으로 변경하는 것은 그 언어를 습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아이의 엄마가 아이와 대화를 할 때, 아이의 말을 의문문 또는 평서문으로 바꿔서 대꾸해 주는 것도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아기에게 언어를 가르치기 위한 본능적인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불론,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바꾸거나 의문문을 평서문으로 바꾸는 교육방법은 기존에도 이미 존재하던 것이다. 이러한 교육방법은 이미 인류가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존재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이 영어를 공부하면서 의문문을 평서문으로,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바꾸는 훈련도 이미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모국어습득법에 기초하여 유사한 문장을 반복하면서 의문문을 평서문으로,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바꾸는 교육방식 또는 교육교재는 그 동안 존재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방법에 기초하여 가장 효과적인 영어습득방법에 관한 교육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내용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의 제1 교육자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의 제2 교육자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는, 특정한 주제를 가지는 영어문장이 기재된 제1 문장제시부(110), 상기 제1 문장제시부(110)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1 문장제시부(110)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1 문장제시부(110)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1 문제제시부(130)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1 문제제시부(130)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영작공간(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교육자료(100); 및 상기 제1 영작공간(150)에 들어가야 할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제2 문장제시부(210), 상기 제2 문장제시부(210)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2 문장제시부(210)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2 문장제시부(210)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2 문제제시부(230)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2 문제제시부(230)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영작공간(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교육자료(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문장제시부(110)는 제1 교육자료(100)의 특정부분에 제시되는 문장으로, 특정의 주제에 관한 문장을 제시한다. 제1 문장제시부(110)는 제1 교육자료(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문장제시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He murmured" 등과 같은 평서문으로 제시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Did he murmur?"와 같은 의문문이 먼저 제시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제1 문제제시부(130)에는 평서문의 국어가 제시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1 문장제시부(110)에 평서문이 먼저 제시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문장제시부(110)에서 제시된 특정의 주제는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연달아서 제공되는 교육자료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즉, 도 1에서 "He murmured"라는 주제가 제시되었다면, "murmur"라는 주제로 주어와 대상을 바꾸거나 추가해 가면서 반복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제1 문장제시부(100)에서 제시되는 특정의 주제가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니라 바로 직전에 제시된 문제제시부의 주제와 동일하게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체 교육자료를 통하여 동일한 주제가 제시되거나, 직전에 제시된 문장제시부의 주제와 동일하게 하여 반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피교육자의 입장에서도 이미 학습한 주제가 포함된 문제를 보고 자신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1 문제제시부(130)는 전술하여 설명한 제1 문장제시부(110)에서 제시된 기본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1 문장제시부(110)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대상)을 추가하여 상기 제1 문장제시부(110)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게 된다. 제1 문제제시부(130)는 제1 교육자료(100)의 어느 부분에 오더라도 무관하나,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장제시부(110)의 하부에 오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다음 순서로 넘어갈 수 있도록 한다. 학습교재에서 이러한 기술순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여기서 제시된 문장을 연관문장으로 변형한다는 말은 도 1과 같이 처음 제시되는 문장의 경우에는 해당 문장의 의문문을 제시하고, 도 2와 같이 이미 한번 나온 문장이 제시된 경우에는 특정의 단어(주어나 목적어)를 변경하여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제1 문장제시부(110)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한다는 말은 기존의 문장에 새로운 대상을 추가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1 문장제시부(110)에 "He murmured"라는 문장이 제시되고 상기 문장이 처음 제시된 문장이면, 제1 문제제시부(130)에서는 "그는 중얼거렸습니까?"와 같이 제1 문장제시문(110)에 기재된 영어에 대한 의문문을 한국어로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Did he murmur?"라는 의문문이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되어 있는 문장이 이미 이전에 한번 제시된 문장이면, 제1 문제제시부에에서는 "내 여동생이 중얼거렸습니다."와 같이 주어를 변경한 문제를 제시하거나, "아빠가 그것은 불공평하다고 중얼거렸습니다"와 같이 주어를 변경하거나 또는/및 대상을 추가한 한국어가 문제로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제1 문제제시부(130)에서 제시되는 문제는 제1 문장제시부(110)에 기재된 문장과는 다른 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이 된다. 즉, 제1 문장제시부(110)에 평서문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문제제시부(130)는 의문문의 문제가 제시되고, 상기 제1 문장제시부(110)에 의문문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문제제시부(130)는 평서문의 문제가 제시된다.
제1 영작공간(150)은 피교육자가 전술하여 설명한 제1 문제제시부(130)에서 제시된 문장을 영작하는 공간이다. 제1 영작공간(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테두리를 가진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교육자료의 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에 있어서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박스(box) 형상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2 문장제시부(210)는 전술하여 설명한 제1 영작공간(150)에 들어갈 영어문장을 표시한다. 언어에서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제2 문장제시부(210)에 들어갈 영어문장은 화자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2 문장제시부(210)에는 회화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문장을 표시하고, 그 외에 다른 표현방법에 대해서는 부수적으로 기재해 주거나 각주 등을 통하여 기재하고, 부가적인 설명을 더 할 수도 있다.
제2 문제제시부(230)는 제2 문장제시부(210)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2 문장제시부(230)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2 문장제시부(230)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으로 제시한다. 즉, 제2 문장제시부(210)가 평서문인 경우에는 제2 문제제시부는 의문문, 제2 문장제시부(210)가 의문문인 경우에는 제2 문제제시부(230)는 평서문이 된다. 이때, 제2 문제제시부(230)는 제1 교육자료(100)의 제1 문제제시부(130)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한글로 제시된다.
제2 영작공간(250)은 피교육자가 제2 문제제시부(230)에서 제시된 문제를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교육자료(100)와 제2 교육자료(200)를 기본구조로 하되, 다수개의 교육자료가 연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교육자료(100), 제2 교육자료(200), 제1 문장제시부(110), 제1 문제제시부(130), 제1 영작공간(150), 제2 문장제시부(210), 제2 문제제시부(230). 제2 영작공간(250)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이다. 즉, 도 3과 같이, 연속된 또다른 교육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교육자료가 도 3에 도시된 교육자료에 대해서는 제1 교육자료가 되고, 도 3에 도시된 교육자료는 도 2에 도시된 교육자료에 대해서 제2 교육자료가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n개의 교육자료가 연속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자료가 n개의 교육자료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n 교육자료는 제n-1 교육자료의 제n-1 영작공간에 들어가야 할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제n 문장제시부와,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되는 제n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n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n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은 제1 교육자료가 되고, 도 2는 제2 교육자료가 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연속된 교육자료가 하나 더 있는 경우에는, 도 2가 도 3에 대해서 제1 교육자료가 되고, 도 3이 도 2에 대해서 제2 교육자료가 된다. 그리고, 도 4가 있는 경우에는 도 3이 도 4에 대해서 제1 교육자료가 되고, 도 4가 도 3에 대해서 제2 교육자료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n개의 교육자료가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교육자료의 수는 각 주제의 내용이나 교재의 두께에 따라 정해진다.
그리고 문장제시부와 문제제시부는 동일한 교육자료에 구비되고, 상기 문제제시부에 대한 답, 즉 영작공간에 들어갈 문장은 반드시 다음 교육자료에 기재되도록 하여 피교육자가 미리 답을 알고 학습을 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문장제시부와 문제제시부의 문장형은 반드시 의문문과 평서문이 교대로 오도록 한다. 즉, 동일한 교육자료에서 문장제시부가 평서문이면 문제제시부는 의문문이 오고, 문장제시부가 의문문이며 문제제시부는 평서문이 오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각 교육자료에는 각 문장제시부에 제시된 문장의 상황을 묘사하는 이미지(170, 2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제1 문제제시부(130)에 "그는 중얼거렸습니까?"라는 문장이 오면, 제1 이미지(170)는 어떤 사람이 중얼거리는 듯한 상황을 묘사하는 이미지가 오고, 도 2와 같이 제2 문제제시부(230)에 "내 여동생이 중얼거렸다"라는 문장이 오면, 제2 이미지(270)는 여자아이가 중얼거리는 듯한 상황을 묘사하는 이미지가 올 수 있다. 이미지는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문제에 제시된 상황을 묘사한 이미지를 부가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교재에서 다수개의 교육자료가 연속적으로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 3에는 문장제시부(110a)에 도 2의 영작공간(250)에 들어가야 할 모범문장이 기재되고, 문제제시부(130a)에는 상기 문장제시부(110a)의 문장을 변형한 문제가 제시된다. 이때 문제제시부(130a)의 문제는 문장제시부(110a)가 평서문이므로 의문문이 왔으며, 문제제시부(130a)의 문장에서 "내 여동생" 부분을 "그녀는"으로 바꿔서 다시 제시하였다. 이 경우 문장제시부(110a)의 아래에는 상기 문장제시부(110a)에 기재된 문장의 국어번역문이 올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교육자료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도 3은 도 4에 대해 제1 교육자료가 되고, 도 4는 도 5에 대해서 제1 교육자료가 된다. 마찬가지로, 도 3은 도 2에 대해서는 제2 교육자료가 되고, 도 4는 도 3에 대해서 제2 교육자료가 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 10(제1 교육자료에서 제10 교육자료)으로 가면서 문장은 조금씩 길어지거나 복잡해 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적인 내용이므로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7은 도 1 내지 도 9와는 다른 주제로 구성된 영어교육교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어교육교재는 "problem"이라는 주제를 가지며, 구체적인 전개과정은 전술하여 설명한 도 1 내지 도 10에서의 내용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는 다수개의 주제가 시리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8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교재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재생되면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모니터상(미도시)에 제1 교육자료가 나타나고, 상기 제1 교육자료는 제1 문장제시부, 제1 문제제시부, 제1 영작공간 및 제1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작공간은 키보드(keyboard, 미도시) 등과 같은 입력수단에 의하여 제1 문제제시부에서 제시된 문제에 대한 모범문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는 영작공간에 녹음버튼을 구비하여, 피교육자가 녹음버튼(미도시)을 누른 후 마이크 등과 같은 음성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직접 말을 할 수도 있으며, 입력된 음성은 문자로 변환되어 영작공간에 기재되거나 미리 입력된 모범영작과 비교하여 정답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음성인식기술은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전자기기에서 재생되면서 사용되는 교재의 경우에는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영어문장이 모범답안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교육자료로 화면이 변경되고, 상기 영작공간에 입력된 영어문장이 오답인 경우에는 재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오답인 경우에도 피교육자가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다음 교육자료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영어교육자료가 전자기기에 의하여 재생가능한 경우에는, 각 문장제시부의 일측에 재생버튼(미도시)을 구비하여 피교육자가 상기 재생버튼을 클릭하면 원어민이 상기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읽어주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공지의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어교육을 위한 방법은, 특정한 주제를 가지는 영어문장을 제시하는 제1 문장제시단계,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서 제시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1 문장제시단계에서 제시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서 제시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여 피교육자가 상기 제1 문제제시단계에 제시된 문장을 영작하도록 하는 제1 영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교육단계; 및 상기 제1 영작단계에서 영작되어야할 영어문장을 제시하는 제2 문장제시단계, 상기 제2 문장제시단계에서 제시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서 제시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2 문장제시단계에서 제시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여 피교육자가 상기 제2 문제제시단계에서 제시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영작단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교육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영어교육단계는 n개의 교육단계로 구성되어, 상기 제n 교육자료는, 제n-1 영작단계에서 영작되어야할 영어문장을 제시하는 제n 문장제시단계, 상기 제n 문장제시단계에서 제시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n 문장제시단계에서 제시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n 문장제시단계에서 제시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여 피교육자가 상기 제n 문제제시단계에서 제시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n 영작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동일한 주제를 가지는 문장을 의문문 또는 평서문으로 계속하여 반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어와는 다른 언어체계를 가지는 영어의 특징을 단순히 암기하지 않고 모국어를 체득하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게 몸에 익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 교육자료
110: 제1 문장제시부
130: 제1 문제제시부
150: 제1 영작공간
170: 제1 이미지
200: 제2 교육자료
210: 제2 문장제시부
230: 제2 문제제시부
250: 제2 영작공간
270: 제2 이미지

Claims (11)

  1. 영어교육을 위한 교재에 있어서,
    특정한 주제를 가지는 영어문장이 기재된 제1 문장제시부,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1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1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1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교육자료; 및
    상기 제1 영작공간에 들어가야 할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제2 문장제시부,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2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문장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2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2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교육자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어교육교재는 n개의 교육자료로 구성되되,
    상기 제n 교육자료는, 제n-1 영작공간에 들어가야 할 영어문장을 표시하는 제n 문장제시부,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을 연관된 문장으로 변형하거나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제n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과는 다른 형식의 의문문 또는 평서문의 국어로 제시하는 제n 문제제시부 및 피교육자가 상기 제n 문제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영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n 영작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교육자료에는 상기 각 문장제시부의 상황을 묘사하는 이미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어교육교재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서 재생되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각 영작공간에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영어문장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영작공간에 입력된 영어문장이 정답인 경우에는 다음 교육자료로 화면이 변경되고, 상기 각 영작공간에 입력된 영어문장이 오답인 경우에는 재입력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육자료는,
    상기 문장제시부의 일측에 재생버튼이 구비되어, 피교육자가 상기 재생버튼을 클릭하면 원어민이 상기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문장을 읽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교육자료에는, 상기 문장제시부에 표시된 상황을 묘사하는 이미지 또는 애니메이션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각 문제제시부에 표시되는 국어문장은,
    상기 각 문제제시부와 동일한 교육자료에 구비된 상기 각 문장제시부에 기재된 영어문장 내에서 특정의 단어를 변경하거나 추가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영어교육교재는 다수개의 주제가 시리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영어교육교재는,
    동일한 교육자료에 구비되어 있는 문장제시부와 문제제시부는 의문문 또는 평서문으로 구비되되,
    상기 문장제시부와 상기 문제제시부는 서로 다른 형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키보드 또는 음성입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교육교재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1. 삭제
KR1020110132855A 2011-12-12 2011-12-12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13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55A KR101133887B1 (ko) 2011-12-12 2011-12-12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PCT/KR2012/009749 WO2013089356A1 (ko) 2011-12-12 2012-11-16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55A KR101133887B1 (ko) 2011-12-12 2011-12-12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3887B1 true KR101133887B1 (ko) 2012-04-09

Family

ID=4614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855A KR101133887B1 (ko) 2011-12-12 2011-12-12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3887B1 (ko)
WO (1) WO20130893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543A (ko) 2017-12-22 2019-07-0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KR20200033066A (ko) * 2018-09-19 2020-03-27 강철희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592A (ko) * 2002-12-04 2004-06-10 이강석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06130U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영어학습용 교구
KR20090117455A (ko) * 2008-05-09 2009-11-12 이은순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
KR20100111456A (ko) * 2009-04-07 2010-10-15 (주)김앤데이비스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592A (ko) * 2002-12-04 2004-06-10 이강석 특정 키워드를 포함하는 영어 문장을 학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06130U (ko) * 2007-12-17 2009-06-22 주식회사 디자인마루 영어학습용 교구
KR20090117455A (ko) * 2008-05-09 2009-11-12 이은순 영어 말하기 및 영작 훈련 노트
KR20100111456A (ko) * 2009-04-07 2010-10-15 (주)김앤데이비스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6543A (ko) 2017-12-22 2019-07-02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색각이상자를 위한 배색 컬러기록매체
KR20200033066A (ko) * 2018-09-19 2020-03-27 강철희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KR102186917B1 (ko) * 2018-09-19 2020-12-04 강철희 이미지를 이용한 영어 교육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356A1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wiers Building academic language: Meeting common core standards across disciplines, grades 5-12
Al-Jarf YouTube videos as a resource for self-regulated pronunciation practice in EFL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s
Aufa Using Movie to Increase Students' Pronunciation
Puchta Teaching grammar to young learners
Isakova The Role of Parents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Susanti et al. Developing Students’ English Skill Through Digital Video as Multimodal for Young Learners in Online Learning
KR101133887B1 (ko)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Callaway Home literacy practices of Arabic-English bilingual families: Case study of one Libyan American preschooler and one Syrian American preschooler
Melinis The effects of electronic books on the reading experience of first grade students
Boulfelfel et al. An investigation of second-year students’ view about studies, listening comprehension, motivation, and teachers’ styles
HIDAYATULLOH Self-Oriented Learning of Pronunciation through YouTube Videos: A Description of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and Pronunciation Improvement
Pereira et al. Innovative Second Language Speaking Practice with Interactive Videos in a Rich Internet Application Environment.
VEGA THE INFLUENCE OF USING SHORT VIDEO TOWARDS STUDENTS’ACTION VERB MASTERY AT THE SECOND SEMESTER OF THE EIGHTH GRADE OF SMPN 3 KETAPANG SOUTH OF LAMPUNG IN THE ACADEMIC YEAR OF 2019/2020
Safir Short Form Content for Big Minds: Teaching Post-Millennials Phonetics Using YouTube Music Clips
Gajski Students' Attitudes Towards Vocabulary Teaching Techniques at the Helen Doron School of English
Chaimaa et al. The Role of Using Authentic Videos on Learners’ Pronunciation.
Rodríguez Viteri The shadowing technique in the improvement of the oral production skills in adults
Fakhrurriana et al. Utilizing Films in EFL Classroom for Learning Speaking: A Study at English Major
SEPTIANA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LEARNING WITH TPR METHOD
Mendoza An Esp Program to Improve Pronunciation and Cultural Awareness in International Priests
Izzati Developing A Model of Vocabulary Enrichment Based Digital Folklore Story Telling for EFL Young Learners
Sari et al. The Effectiveness of Word Wall Strategy to Improve Students Vocabulary to the 7th Graders of SMP Negeri 1 Jepara
بي عزفة احلام et a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Audio-visual Aids in Teaching/Learning Pronunciation: The Views of EFL Teachers and Second Year EFL Learners at Larbi Tebessi University
Ridarma Mastering Vocabulary and Prionunciation Through Viewing English Subtitled Videos at MAN 3 Rukoh Banda Aceh
بي عزفة et al.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Using Audio-visual Aids in Teaching/Learning Pronunciation: The Views of EFL Teachers and Second Year EFL Learners at Larbi Tebessi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