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1456A -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1456A
KR20100111456A KR1020090029898A KR20090029898A KR20100111456A KR 20100111456 A KR20100111456 A KR 20100111456A KR 1020090029898 A KR1020090029898 A KR 1020090029898A KR 20090029898 A KR20090029898 A KR 20090029898A KR 20100111456 A KR20100111456 A KR 2010011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er
writing
composition
topic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상
Original Assignee
(주)김앤데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김앤데이비스 filed Critical (주)김앤데이비스
Priority to KR1020090029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1456A/ko
Publication of KR2010011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문 지도 시스템이 작문을 지도하는 방법은, 작문 지도 시스템이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단계,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1 이상의 빈 단어칸을 포함하는 예시 작문을 작문 지도 시스템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작문 지도 시스템이 학습자로부터 1 이상의 빈 단어칸에 들어갈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문을 처음 접하거나 작문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학습자로 하여금 작문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글의 전체 구조나 논리 전개 작성 방법을 보다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작문, 지도, 학습, 주제

Description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TEACH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교육 분야에 있어서 어학 교육의 중요성은 해마다 강조되고 있다. 어학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부분 중의 하나는 바로 작문이다. 학생들은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바를 적절한 논거와 함께 구조적인 글로 표현해야 하는데, 읽기 교육 및 짧은 글 쓰기에만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에게 이러한 작문은 항상 어렵게 느껴지기 마련이다.
따라서 작문을 처음 접하거나 아직 작문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작문을 익힐 수 있는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 하지만, 작문 주제나 그에 따른 참고 자료만을 제시한 후 글을 작성하도록 하는 기존의 작문 지도 방법은, 서론-본론-결론으로 이어지는 작문의 구조적인 형태나 주장 및 그에 대한 근거 문장으로 이루어지는 논리 전개 등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문을 처음 접하거나 작문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학습자로 하여금 작문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글의 전체 구조나 논리 전개 작성 방법을 보다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문 지도 시스템이 작문을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문 지도 시스템이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단계,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1 이상의 빈 단어칸을 포함하는 예시 작문을 작문 지도 시스템이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작문 지도 시스템이 학습자로부터 1 이상의 빈 단어칸에 들어갈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문 지도 시스템에 있어서,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작문 주제 관리부,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1 이상의 빈 단어칸을 포함하는 예시 작문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자로부터 1 이상의 빈 단어칸에 들어갈 단어를 입력받는 예시 작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문 지도 시스템이 작문을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문 지도 시스템이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단계,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1 이상의 예시 문장이 포함된 예시 작문을 작문 지도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계 및 작문 지도 시스템이 학습자로부터 1 이상의 예시 문장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문 지도 시스템에 있어서,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작문 주제 관리부,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1 이상의 예시 문장이 포함된 예시 작문을 제공하고, 학습자로부터 1 이상의 예시 문장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예시 작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문을 처음 접하거나 작문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학습자로 하여금 작문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글의 전체 구조나 논리 전개 작성 방법을 보다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시스템의 구성 및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시스템(102)은 인터넷 망과 단말기(예를 들면, 개인용 컴퓨터)를 통해 복수의 학습자들과 연결될 수 있다. 학습자들은 작문 지도 시스템(102)으로부터 작문 주제 및 그에 대응하는 예시 작문을 제공받는다. 작문 지도 시스템(102)은 학습자들로부터 예시 작문 및 그에 관련된 내용에 대한 선택 또는 답변을 입력받고, 학습자들에게 해당 입력에 대한 정답 확인 결과 등을 제공한다. 도 1에 나타난 인터넷에 의한 작문 지도 시스템(102)과 학습자간 연결의 구현 예는 단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의한 작문 지도 시스템과 학습자는 다른 방법 또는 매개체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작문 지도 시스템(102)은 작문 주제 관리부(104), 예시 작문 관리부(106)를 포함한다. 먼저, 작문 주제 관리부(104)는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먼저 학습자가 작성할 작문의 주제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문 주제는 작문 주제 관리부(104)에 의해 결정된다. 작문 주제 관리부(104)가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문 주제 관리부(104)는 기 설정된 1개 이상의 작문 주제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도 있고, 학습자로부터 작문 주제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문 주제 관리부(104)는 학습자가에 기 설정된 1 이상의 대주제(예를 들면, 동물, 식물, 친구, 취미 등)를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이 대주제 중 하나를 선택하면, 작문 주제 관리부(104)는 학습자에게 학습자가 선택한 대주제에 대응되는 질문을 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대주제중 '동물'을 선택했다면, 작문 주제 관리부(104)는 학습자에게 '당신은 사자를 좋아합니까?'와 같은 질문을 제시한다. 그리고 나서, 작문 주제 관리부(104)는 학습자에게 제시한 질문에 대한 답변(예를 들면, 예, 아니오)을 입력받는다. 입력된 답변은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데, 예를 들어 학습자가 위 질문에 대해 '예, 좋아합니다.'를 답변으로 입력했다면, 작문 주제 관리부(104)는 "나는 사자를 좋아합니다."를 작문의 주제로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외에도, 작문 주제 관리부(104)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작문의 주제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 작문 관리부(106)는 작문 주제 관리부(102)를 통해 결정된 작문 주제와 대응되는 예시 작문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문 지도 시스템(102)은 학습자가 결정된 주제에 대한 작문 내용을 전부 써야만 하는 기존의 작문 지도 방법과 달리, 기 설정된 예시 작문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작문을 배울 수 있도록 한다.
예시 작문이란, 하나의 주제에 대하여 미리 작성된 하나의 작문을 말한다. 예시 작문은 일반적인 작문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론(introduction), 본론(body), 결론(conclusion)으로 구성된다. 또한, 서론, 본론, 결론은 각각 주제 문장(thesis or topic statement)과 이 주제 문장에 대한 보조 문장(general or supporting statement)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시 작문 관리부(106)는 이렇게 각 주제에 대한 예시 작문들을 관리하고, 학습자에게 예시 작문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작문 학습을 지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예시 작문 관리부(106)는 작문 주제 관리부(102)를 통해 결정된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1 이상의 빈 단어칸을 포함하는 예시 작문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학습자는 위에 설명한 대로 주제 문장 및 보조 문장을 포함하는 서론, 본론, 결론으로 구성된 예시 작문을 제공받음으로써 기본적인 작문 작성 방법과 작문의 구조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데, 특히 예시 작문에 포함된 빈 단어칸을 채우는 과정에서 전체적인 글의 문맥과 내용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으며, 단어 학습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학습자가 빈 단어칸에 단어를 입력하면, 예시 작문 관리부(106)는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가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시 작문 관리부(106)는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 학습자가 틀린 것으로 확인된 단어에 대한 정답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제공된 정답을 직접 입력 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3g, 도 4를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예시 작문 관리부(106)는 작문 주제 관리부(102)를 통해 결정된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1 이상의 예시 문장이 포함된 예시 작문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예시 문장이란 서론, 본론, 결론에 포함되는 주제 문장 또는 보조 문장에 들어갈 수 있는 문장들로, 학습자는 제시된 1 이상의 예시 문장 중에서 해당 위치에 알맞다고 생각되는 문장을 선택한다. 이 때, 예시 작문 관리부(106)는 단순히 학습자가 선택한 문장을 입력받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습자로 하여금 자신이 선택한 문장을 그대로 따라서 쓰도록 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예시 작문 관리부(106)는 학습자가 선택한 예시 문장이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5f, 도 6을 통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문 주제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학습자가 작문 지도 시스템에 접속한 후 작문 학습을 시작하면, 도 2a와 같은 토픽(대주제) 선택 화면(202)을 볼 수 있다. 선택화면(202)에는 힙합, 귀신, 친구, 동물, 패스트푸드, 별과 같은 대주제들이 나열되어 있다. 학습자는 선택 상자(204)를 통해 원하는 대주제를 선택하고, 계속해서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도 2a에서 학습자는 선택상자(204)를 통해 동물이라는 주제를 선택한다. 그러면, 도 2b와 같은 질문이 학습자에게 제시된다. 도 2a에서는 학습자가 선택한 '동물'이라는 주제에 대응하는 'Do you like lions? Why or why not?' 과 같은 질문이 질문 상자(206)를 통해 제시되고 있다. 학습자는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I like lions'(208) 또는 'I dislike lions'(210)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작문 학습을 시작할 수 있다.
도 2c는 학습자가 'I like lions'(208)를 선택한 경우에 나타나는 작문 학습 화면이다. 도 2c의 최상단에는 학습자가 선택했던 대주제에 대한 질문상자(206)가 그대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어서 해당 질문에 대해 학습자가 선택한 답변인 'I like lions'를 주제로 하는 예시 작문(서론, 본론, 결론)이 제시되는데, 도 2c에서는 서론(208) 부분이 제시되고 있다. 서론(208)은 주제 문장(Thesis Statement)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주제 문장에는 빈 단어칸이 포함되어 있다. 학습자는 정답 입력칸(210)을 통해 해당 빈 칸에 들어갈 단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동 버튼(212)을 통해 자신이 입력을 원하는 빈 칸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a는 학습자가 작문 학습을 시작하기 위해 작문의 주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나타낸다. 작문 주제 선택 화면(302)에는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작문 주제들(304 내지 308)이 제시되고 있다. 학습자는 작문 주제들(304 내지 308) 중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를 선택하여 작문 학습을 시작한다. 이러한 작문 주제 결정 방법 외에도, 앞서 도 2a 내지 도 2c를 통해 설명한 작문 주제 결정 방법을 포함한 다른 여러가지 방법들이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도 3a에서 학습자가 'Why do you like butterflies?'(302)라는 주제를 선택하면, 도 3b와 같이 작문 학습이 시작된다. 작문 학습 화면에는 도 3b와 같이 서론(310), 본론(318) 및 결론(320)으로 구성된 예시 작문이 제시된다. 학습자는 이러한 예시 작문을 통해 작문의 기본 구조를 한 눈에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서론, 본론, 결론은 주제 문장 및 보조 문장으로 다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학습자는 설정된 주제에 대한 논리를 전개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으며, 그 밖에 영어 문장 및 단어 학습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학습을 시작하면, 먼저 서론(310) 부분이 하이라이트 된다. 서론(310)에는 주제 문장(312) 및 보조 문장(314)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문장(314) 부분에는 빈 단어칸(316)이 존재하는데, 학습자는 이곳의 단어 입력창에 커서를 위치하여 문맥상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학습자가 단어를 입력한 후 엔터키를 입력하면, 서론(310) 부분에 존재하는 모든 빈 단어칸이 채워진 상태가 되므로 본론(318) 부분이 하이라이트 되면서, 학습자는 본론(318) 부분에 존재하는 빈 단어칸들을 계속해서 채우게 된다. 이런식으로 학습자는 결론(320) 부분의 빈 단어칸까지 모두 채울 수 있다.
도 3c는 학습자가 서론, 본론, 결론 부분에 존재하는 빈 단어칸을 모두 채운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다. 학습자가 단어 입력을 완료하면, 도 3c와 같이 단어가 채 워진 전체 예시 문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학습자는 상, 하 버튼(322, 324)을 클릭하여 자신이 작성한 예시 문장의 서론, 본론, 결론 부분을 하이라이트시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내용 확인 중에 잘못 입력한 부분이 있다면, 해당 단어칸을 클릭함으로써 입력한 단어를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검토 및 수정이 완료되고 작문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하면, 학습자는 제출 버튼(326)을 클릭하여 작성 완료된 작문을 작문 지도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d는 학습자가 완성된 작문을 제출한 후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채점 결과 화면을 나타낸다. 학습자로부터 완성된 작문을 입력받은 작문 지도 시스템은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가 정답과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도 3d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정답은 초록색 및 오목 곡선으로, 오답은 빨간색 및 볼록 곡선으로 각각 다르게 표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연필 모양의 움직이는 아이콘(328)을 통해 마치 실제로 채점하는 듯한 시각적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3d에서,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 중 본론에 입력한 'much' 및 'four'가 오답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e는 채점이 완료된 후 학습자로 하여금 오답을 확인하고 복습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 중 본론의 'much' 및 'four'가 오답으로 나타났는데, 도 3e에서는 이렇게 틀린 답 위에 맨 처음 나타났던 단어 입력 창(330)이 다시 한 번 나타난다. 이 때, 단어 입력 창(330)에는 해당하는 단어 칸에 들어갈 정답(many)이 흐린 색으로 표시된다. 학습자는 이를 통해 정답을 확인하고, 흐린 색으로 표시된 정답을 따라서 직접 단어를 입력해 봄으로써 정답 확인과 함께 해당 내용을 복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오답인 'four'에 대해서도 정답이 표시된 단어 입력 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f는 학습자가 도 3e의 화면을 통해 정답을 다시 입력 완료한 후의 화면을 나타낸다. 도 3f에서, 학습자가 정답인 'many'(332), 'their'(334)를 다시 입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입력이 끝나면 학습자는 제출 버튼(336)을 클릭하여 학습을 완료한다. 그러면, 도 3g에 나타난 것과 같이 채점 결과 및 수정 내용(338, 340)이 표시된 예시 작문이 서론, 본론, 결론의 표시가 없는 하나의 완성된 글의 형태로 학습자에게 제공된다. 학습자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글이 어떠한 구조 및 논리 흐름에 따라 완성되는지를 효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 아울러 빈 단어칸을 채우고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단어 학습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작문 지도 시스템은 먼저 작문의 주제를 결정한다(402).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방법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작문 주제가 결졍되면, 결정된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1 이상의 빈 단어칸을 포함하는 예시 작문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404). 그리고 학습자로부터 1 이상의 빈 단어칸에 들어갈 단어를 입력받는다(406).
그리고 나서, 작문 지도 시스템은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가 정답과 일치하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408),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410).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틀린 단어에 대한 정답을 제공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정답을 다시 한 번 입력하게 한다(412).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학습자가 'Why do you like butterflies?' 라는 주제를 선택하여 작문 학습이 시작된 화면을 나타낸다.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의 학습 화면에는 서론(502), 본론, 결론 부분이 각각 빈 칸으로 표시되어 있다. 서론(502)에는 주제 문장(504) 및 보조 문장(506)이 포함되는데, 이들 역시 빈 칸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서론(502) 부분의 오른쪽 옆에는 'List'로 표시된 목록 버튼(508)이 나타나 있다. 학습자는 현재 하이라이트 되어 있는 서론(502) 부분의 주제 문장(504)에 들어갈 문장을 입력해야 하는데, 이는 목록 버튼(508)을 클릭함으로써 수행된다. 한편, 화면의 하단에는 현재 하이라이트된 칸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는 정보 상자(510)가 나타난다.
도 5a에서 학습자가 목록 버튼(508)을 클릭하면, 도 5b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도 5b에는 해당 부분에 들어갈 수 있는 예시 문장을 선택하기 위한 문장 선택 화면(512)이 나타나 있다. 문장 선택 화면(512)에는 해당 주제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예시 문장들(514 내지 520)이 표시된다. 학습자는 문장 선택 화면(512)에 나타난 예시 문장들(514 내지 520)을 보고 해당 부분(즉, 서론의 주제 문장)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문장을 클릭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5c는 도 5b에서 학습자가 'I like butterflies very much'(514) 문장을 선택, 입력한 후 나타나는 화면이다. 학습자가 문장 선택 화면(512)에서 예시 문장 중 하나를 선택하면, 화면에는 학습자가 선택한 문장이 표시되고(522), 그 아래에는 선택한 문장을 그대로 따라 입력할 수 있는 문장 입력창(524)이 나타난다. 학습자는 자신이 선택한 문장(522)을 보면서, 문장 입력창(524)에 해당 문장을 그대로 따라 입력한다. 만약 표시된 문장(522)과 다르게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 후 엔터키를 눌러도 다음 단계로 진행되지 않는다. 표시된 문장(522)을 그대로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다음 단계인 서론의 보조 문장 부분이 하이라이트 되고, 그 옆에는 목록 버튼이 표시된다. 학습자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본론 및 결론 부분까지 예시 문장을 선택하고, 선택한 문장을 따라 입력함으로써 예시 작문을 완성할 수 있다.
도 5d는 학습자가 모든 예시 문장을 선택, 입력함으로써 예시 작문을 완성한 상태의 화면이다. 학습자는 상, 하 버튼(526, 528)을 눌러 서론, 본론, 결론 중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학습자가 입력한 예시 문장의 수정을 원하는 경우에는 목록 버튼(530)을 눌러 해당 부분의 예시 문장을 다시 선택하고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검토 및 수정이 완료되면, 학습자는 제출 버튼(532)을 눌러 작성 완료된 작문을 작문 지도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e는 학습자가 제출 버튼(532)을 누른 후 나타나는 화면이다. 제출 버 튼(532)을 누르면, 작문 지도 시스템은 학습자가 입력한 예시 문장들로 구성된 예시 작문을 서론, 본론, 결론의 구분 표시 없이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글을 보여준다. 학습자는 자신이 완성한 작문을 확인하고 다시 한 번 읽어본 후, 화면 오른쪽 하단의 'Report'를 클릭한다.
도 5f는 작문 학습 과정이 끝난 후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학습 결과 보고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5f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습 결과 보고서에는 학습자의 프로파일(534), 학습한 작문의 주제(536), 학습자가 최종 제출한 작문 내용(538) 및 작문 주제(536)에 대응하는 정답(540)이 제시된다. 학습자 제출 내용(538)에는 오른쪽의 정답(540)과 비교하여 다른 문장들이 빨간 색 등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도 5f에서는 정답(540)과 다른 문장인 본론의 첫 번째 문장('Butterflies fly very wmuch.') 및 결론의 첫 번째 문장('I like butterflies because they fly well.')이 빨간 색으로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작문 지도 시스템은 먼저 작문의 주제를 결정한다(602).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방법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작문 주제가 결졍되면, 결정된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1 이상의 예시 문장이 포함된 예시 작문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604). 그리고 학습자로부터 제공된 1 이상의 예시 문장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606).
그리고 나서, 작문 지도 시스템은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자가 선택한 예시 문장을 그대로 따라서 쓰도록 한다(608). 그 다음 작문 지도 시스템은 학습자가 선택한 예시 문장이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610),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612). .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작문을 처음 접하거나 작문에 익숙하지 않더라도, 학습자로 하여금 작문을 연습하는 과정에서 글의 전체 구조나 논리 전개 작성 방법을 보다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시스템의 구성 및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작문 주제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문 지도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24)

  1. 작문 지도 시스템이 작문을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1 이상의 빈 단어칸을 포함하는 예시 작문을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1 이상의 빈 단어칸에 들어갈 단어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주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작문 주제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주제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에게 1 이상의 대주제를 제시하고, 상 기 제시된 대주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대주제에 대응되는 질문을 제시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시 작문은
    서론, 본론 및 결론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론, 본론 및 결론은 각각 주제 문장 및 상기 주제 문장에 대한 보조 문장을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가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 상기 학습자가 틀린 단어에 대한 정답을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정답을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7.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작문 주제 관리부;
    상기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1 이상의 빈 단어칸을 포함하는 예시 작문을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1 이상의 빈 단어칸에 들어갈 단어를 입력받는 예시 작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작문 지도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주제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작문 주제를 입력받는 작문 지도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주제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에게 1 이상의 대주제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대주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으며,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대주제에 대응되는 질문을 제시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 작문 지도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예시 작문은
    서론, 본론 및 결론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론, 본론 및 결론은 각각 주제 문장 및 상기 주제 문장에 대한 보조 문장을 포함하는 작문 지도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예시 작문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가 입력한 단어가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작문 지도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시 작문 관리부는
    상기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 상기 학습자가 틀린 단어에 대한 정답을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정답을 입력하도록 하는 작문 지도 시스템.
  13. 작문 지도 시스템이 작문을 지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상기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1 이상의 예시 문장이 포함된 예시 작문을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1 이상의 예시 문장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주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작문 주제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주제를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에게 1 이상의 대주제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대주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대주제에 대응되는 질문을 제시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예시 작문은
    서론, 본론 및 결론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론, 본론 및 결론은 각각 주제 문장 및 상기 주제 문장에 대한 보조 문장을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예시 문장을 그대로 따라서 쓰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예시 문장이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상기 작문 지도 시스템이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작문 지도 방법.
  19. 작문의 주제를 결정하는 작문 주제 관리부;
    상기 작문 주제와 대응되며 상기 학습자가 선택할 수 있는 1 이상의 예시 문장이 포함된 예시 작문을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1 이상의 예시 문장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예시 작문 관리부를
    포함하는 작문 지도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주제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로부터 상기 작문 주제를 입력받는 작문 지도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작문 주제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에게 1 이상의 대주제를 제시하고 상기 제시된 대주제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으며,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대주제에 대응되는 질문을 제시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 작문 지도 시스템.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예시 작문은
    서론, 본론 및 결론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론, 본론 및 결론은 각각 주제 문장 및 상기 주제 문장에 대한 보조 문장을 포함하는 작문 지도 시스템.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예시 작문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예시 문장을 그대로 따라서 쓰도록 하는 작문 지도 시스템.
  24.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예시 작문 관리부는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예시 문장이 정답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정답 일치 여부 확인 결과를 상기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작문 지도 시스템.
KR1020090029898A 2009-04-07 2009-04-07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KR20100111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898A KR20100111456A (ko) 2009-04-07 2009-04-07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898A KR20100111456A (ko) 2009-04-07 2009-04-07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456A true KR20100111456A (ko) 2010-10-15

Family

ID=4313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898A KR20100111456A (ko) 2009-04-07 2009-04-07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14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87B1 (ko) * 2011-12-12 2012-04-09 김세길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13005928A2 (en) * 2011-07-01 2013-01-10 Young Sil Ka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KR20180130746A (ko) * 2017-05-30 2018-12-10 (주)우리랑코리아 빅데이터 기반 언어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KR20190057494A (ko)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이르테크 색상 정보를 이용한 작문 평가방법
KR102117895B1 (ko) 2018-11-28 2020-06-02 주식회사 이르테크 Stand-off 주석을 이용한 언어학습용 작문오류 교정장치 및 방법
WO2022235073A1 (ko) 2021-05-07 2022-11-10 김상진 독해와 작문 능력의 향상을 가이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5928A2 (en) * 2011-07-01 2013-01-10 Young Sil Ka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WO2013005928A3 (en) * 2011-07-01 2013-04-04 Young Sil Ka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KR101133887B1 (ko) * 2011-12-12 2012-04-09 김세길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WO2013089356A1 (ko) * 2011-12-12 2013-06-20 Kim Se-Kil 영어교육교재 및 영어교육교재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80130746A (ko) * 2017-05-30 2018-12-10 (주)우리랑코리아 빅데이터 기반 언어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
KR20190057494A (ko) 2017-11-20 2019-05-29 주식회사 이르테크 색상 정보를 이용한 작문 평가방법
KR102117895B1 (ko) 2018-11-28 2020-06-02 주식회사 이르테크 Stand-off 주석을 이용한 언어학습용 작문오류 교정장치 및 방법
WO2022235073A1 (ko) 2021-05-07 2022-11-10 김상진 독해와 작문 능력의 향상을 가이드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10696A (ko) * 2021-05-07 2023-07-25 김상진 독해와 작문 능력의 향상을 가이드하는 방법 및 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ton Reconceptualizing and describing teachers’ knowledge of language for content and language integrated learning (CLIL)
Liao Using automated writing evaluation to reduce grammar errors in writing
McLoughlin et al. Audiovisual transla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Integrating subtitling in the foreign-language curriculum
KR101327314B1 (ko)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험지 자동 생성 시스템
Pérez Cañado Using virtual learning environments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to enhance the lexical competence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KR20100111456A (ko) 작문 지도 방법 및 시스템
Rott et al. Preparing students to use wiki software as a collaborative learning tool
Van Drie et al. Writing to engage students in historical reasoning
Kartal et al. The use of Twitter and Youglish for the learning and retention of commonly mispronounced English words
Bontogon et al. Intelligent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ICALL) for nêhiyawêwin: an in-depth user-experience evaluation
US10957210B2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Morgado et al. CLIL training guide: Creating a CLIL learning community in higher education
Chapelle et al. Designing a prototype tablet‐based learning‐oriented assessment for middle school English learners: An evidence‐centered design approach
KR102018786B1 (ko) 지문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자료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uspitasari et al. Smartphone Learning Media Prototype Model Based on SAC (Smart Apps Creator) For 4.0 Learning
Sundari et al. How do EFL university student-writers prepare their draft? An analysis of writing strategy use in EFL writing instruction
Wahyuni Developing writing materials based on CTL approach for Indonesian EFL learners
Cook Reading graphically: Examining the effects of graphic novel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high school students
US202200445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lping language learners learn more
Mäkipää Upper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feedback literacy in second language learning in Finland–A qualitative case study
US10186162B2 (en) Dynamic educational system incorporating physical movement with educational content
Munjishvil et al. System of knowledge revealing and rating–“Cyber 2”
KR102149972B1 (ko) 문제 출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tri et al. Android Media Development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Photosynthetic Material for PGSD UN PGRI Kediri Students
Olaya Developing Autonomy Through Student-Centered English Language Learning Process for Engineering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