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540B1 -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 Google Patents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540B1
KR101133540B1 KR1020100064839A KR20100064839A KR101133540B1 KR 101133540 B1 KR101133540 B1 KR 101133540B1 KR 1020100064839 A KR1020100064839 A KR 1020100064839A KR 20100064839 A KR20100064839 A KR 20100064839A KR 101133540 B1 KR101133540 B1 KR 10113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pair
frequency line
line pattern
conductor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142A (ko
Inventor
이용구
강경일
정경훈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0006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5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ve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 면적을 이루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가장 자리의 다수 위치로 연장 형성되며, 제 1연결부를 갖는 메인 시트부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시트부와 연결되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형성되며, 제 2연결부를 갖는 연결 시트부; 및 상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서로 체결하는 접속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트를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장비에서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분리된 시트들을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고주파 선로 및 접지를 동시에 구현 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SEPARABLE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SEAT AND NOTE-BOOK COMPU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를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장비에서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분리된 시트들을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고주파 선로 및 접지를 동시에 구현 할 수 있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통상, 휴대용 컴퓨터 및 개인 통신 장비에는 입력키들과 회로 기판이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힌지 연결되고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화상 윈도우가 설치되는 커버부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휴대용 컴퓨터 및 개인 통신 장비와 같은 장치에는 외부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들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장치에 마련되는 프레임의 일정 공간에 동축 케이블을 삽입하고, 이 동축 케이블을 프레임에 배치되는 안테나와 고주파 회로부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 장치에 마련되는 엘시디 주변 프레임에 안테나들을 설치 밖에 없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됨에 따라 공간이 한정되어 안테나의 설치 개수가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안테나 수를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수신율이 현저하게 하락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개인용 휴대 전화기와 같은 통신 장비들은 소형화 추세에 이르기 때문에, 프레임 공간을 활용하여 안테나 및 이를 고주파 회로부로 연결하는 고주파 선로를 구현함은 상당한 공간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장비의 본체부와 커버부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고주파 선로가 단선이 되는 경우에, 상기 고주파 선로를 이루는 동축 케이블과 같은 신호 전달 수단 전체를 새로이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테나를 장비의 프레임의 공간에 제약 없이 다수개로 선택적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형성되는 시트 형상을 이루어 장비의 화상 윈도우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공간 상의 제약을 해결하고, 시트를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장비에서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된 시트들을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고주파 선로 및 접지를 동시에 구현 할 수 있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 면적을 이루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가장 자리의 다수 위치로 연장 형성되며, 제 1연결부를 갖는 메인 시트부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시트부와 연결되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형성되며, 제 2연결부를 갖는 연결 시트부; 및 상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서로 체결하는 접속 수단을 포함한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형 연결 방식의 제 1예]
여기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제 1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부는,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연결되는 제 3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단부와 상기 제 2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 및 상기 제 3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를 관통 형성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고,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은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은 상기 제 2연결부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길이를 이루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의 길이는,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연결부는, CPW(coplanar waveguid)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형 연결 방식의 제 2예]
또한, 상기 제 1연결부는, 제 1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부는,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접지 도체 층과,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 및 상기 접지 도체 층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고,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은 상기 제 2연결부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길이를 이루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연결부는, CBCPW(Conductor Backed CoPlanar Waveguid)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형 연결 방식의 제 3예]
또한, 상기 제 1연결부는, 제 1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부는,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접지 도체 층과,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 및 상기 접지 도체 층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고,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은 상기 제 2연결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은 길이를 이루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연결부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부에서 접속 돌기부 형성]
한편, 상기 메인 시트부의 가장 자리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다수의 위치로 연장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의 타단이 연장 형성되는 접속 돌기부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독립 개체로서의 안테나 패턴부들의 메인 시트부 연결]
또한, 상기 메인 시트부의 가장 자리 다수 위치에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의 타단은, 상기 메인 시트부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테나 패턴부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메인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부들]
또한, 상기 메인 시트부의 가장 자리 다수 위치에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의 타단은, 상기 메인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테나 패턴부들과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를 제공한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는 다수의 입력키들로부터 입력 신호를 전송 받는 메인 기판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며, 상기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윈도우를 갖고, 상기 화상 윈도우의 테두리를 에워싸는 에지 프레임과, 상기 화상 윈도우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에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후면 프레임을 갖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지 프레임의 다수의 위치를 향하여 연장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다수의 고주파 선로 패턴들을 갖는 상기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상기 에지 프레임의 다수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고주파 선로 패턴들 각각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안테나 패턴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안테나를 장비의 프레임의 공간에 제약 없이 다수개로 선택적 설치를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형성되는 시트 형상을 이루어 장비의 화상 윈도우의 후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공간 상의 제약을 해결하고, 시트를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장비에서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된 시트들을 서로 결합하는 경우에 고주파 선로 및 접지를 동시에 구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트북 컴퓨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연결부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3의 제 2연결부와 제 1연결부와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연결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도 5의 제 2연결부와 제 1연결부와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연결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7의 제 2연결부와 제 1연결부와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 하여 본 발명의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는 하기와 같이 구성되는 노트북 컴퓨터에 채택된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는 다수의 입력키들(31)로부터 입력 신호를 전송 받는 메인 기판(미도시)을 갖는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30)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며, 상기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윈도우(41)를 갖고, 상기 화상 윈도우(41)의 테두리를 에워싸는 에지 프레임(42)과, 상기 화상 윈도우(41)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에지 프레임(42)과 연결되는 후면 프레임(43)을 갖는 커버부(40)와, 상기 커버부(4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지 프레임(42)의 다수의 위치를 향하여 연장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다수의 고주파 선로 패턴들(20)을 갖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10)와, 상기 에지 프레임(42)의 다수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고주파 선로 패턴들(20) 각각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안테나 패턴부들(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메인 시트부(100)와 상기 연결 시트부(20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독립적인 개체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 할 수도 있다.
이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메인 시트부(100)와 상기 연결 시트부(200)는 서로 독립적 개체를 이루고, 상기 메인 시트부(100)의 제 1연결부(110)와, 상기 연결 시트부(200)의 제 2연결부(210)가 접속 수단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어 연결될 수 있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형 연결 방식의 제 1예]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고주파 선로 패턴(20)은 상기 메인 시트부(100)에 형성되는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상기 연결 시트부(200)에 형성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시트부(100)의 가장 자리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제 1연결부(1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연결부(110)는 상기 후면 프레임(43)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내부 유전체 층(320)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21)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320)은 상기에 언급된 내부 유전체 층(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제 1커버 층(400)은 상기에 언급된 커버 층(4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식각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상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은 제 1연결부(110)의 단부에서의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에 각각 하나씩 파여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연결 시트부(200)의 가장 자리 일정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연결부(2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연결부(210)는 CPW(coplanar waveguid)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210)는 제 2내부 유전체 층(320)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연결되는 제 3고주파 선로 패턴(23)과,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23)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53)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의 단부와 상기 제 2접지 도체 패턴(52)의 단부 및 상기 제 3접지 도체 패턴(53)의 단부를 관통 형성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52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52a)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23)과 상기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53)은 상기 제 2연결부(200)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길이를 이루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의 길이는,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23)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53)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은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 1연결부(110)에서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노출된 영역은 일정의 제 1연결부(110) 영역의 단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은 상기 절개 되어 형성되는 제 1연결부(110) 영역의 단부에서 노출된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들(51a)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들(52a)은 서로 그 위치가 일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부(110)와 제 2연결부(210)는 접속 수단(600)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수단(600)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52a)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110)와 상기 제 2연결부(210)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다. 상기 한 쌍의 결합 볼트는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52a)에 각가 끼워져 나사산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 수단(600)에 의하여 상기 제 1,2연결부(110,210)는 서로 체결되고,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제 3고주파 선로 패턴(23)과 전기적으로 통전될 수 있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주파를 전송할 수 있고,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은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53)과 접속 수단(60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접지 도체 패턴(52)과 접속되어 접지를 이룰 수 있는 상태를 구현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제 3고주파 선로 패턴(23)은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을 경계로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52)과 제 3고주파 선로 패턴(53) 및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을 관통하는 비아홀 및 비아홀에 채워지는 구리와 같은 금속체를 사용하여 서로 통전시킬 수도 있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형 연결 방식의 제 2예]
다음은, 상기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형 연결 방식의 제 2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시트부(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연결부(110)는 상기 후면 프레임(43)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내부 유전체 층(320)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식각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상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은 제 1연결부(110)의 단부에서의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에 각각 하나씩 파여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연결 시트부(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연결부(2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연결부(210')는 CBCPW(Conductor Backed CoPlanar Waveguid) 타입일 수 있다.
제 2연결부(210')는 제 2내부 유전체 층(320)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52')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의 상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접지 도체 층(310)과,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 및 상기 접지 도체 층(310)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52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들(52a)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은 상기 제 2연결부(210')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길이를 이루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부(110)와 제 2연결부(210')는 접속 수단(600)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수단(600)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52a)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110)와 상기 제 2연결부(210')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다. 상기 한 쌍의 결합 볼트는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52a)에 각가 끼워져 나사산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 수단(600)에 의하여 상기 제 1,2연결부(110,210')는 서로 체결되어,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주파를 전송할 수 있고,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은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과 접속 수단(60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 도체 층(310)과 접속되어 접지를 이룰 수 있는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형 연결 방식의 제 3예]
다음은, 도 7 및 도 8을 참조 하여, 상기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의 분리형 연결 방식의 제 2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메인 시트부(1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1연결부(110)는 상기 후면 프레임(43)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 1내부 유전체 층(320)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320)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식각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양측부에 위치되어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는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상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은 제 1연결부(110)의 단부에서의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에 각각 하나씩 파여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연결 시트부(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 2연결부(21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연결부(210")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210")는 제 2내부 유전체 층(320")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의 상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접지 도체 층(310)과,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320")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 및 상기 접지 도체 층(310)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52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은 상기 제 2연결부(2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은 길이를 이루고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연결부(110)에서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노출된 영역은 일정의 제 1연결부(110) 영역의 단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사각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은 상기 절개 되어 형성되는 제 1연결부(110) 영역의 단부에서 노출된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들(51a)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들(52a)은 서로 그 위치가 일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연결부(110)와 제 2연결부(210")는 접속 수단(600)에 의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 수단(600)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52a)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110)와 상기 제 2연결부(210")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다. 상기 한 쌍의 결합 볼트는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51a)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52a)에 각가 끼워져 나사산과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 수단(600)에 의하여 상기 제 1,2연결부(110,210")는 서로 체결되어,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은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주파를 전송할 수 있고,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51)은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52")과 접속 수단(60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지 도체 층(310)과 접속되어 접지를 이룰 수 있는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서의 메인 시트부(100)는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21)이 형성되는 시트로서, 커버부(40)의 화상 윈도우(41)와 후면 프레임(42)의 사이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하드 타입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 시트부(210,210',210")는 본체부(30)와 커버부(40)의 힌지 부분의 사이 영역인 연결 영역에 위치되기 때문에, 굴곡을 이룰 수 있는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시트부(100)와 연결 시트부(210,210',21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연결 방식들을 사용하여 메인 시트부(100)와 연결 시트부(210,210',210")를 서로 연결함과 동시에 고주파 선로 및 공통 접지를 동시에 구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형 재질의 두 개의 시트부에서의 고주파 선로 패턴을 접속 수단(600)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메인 시트부(100)와 연결 시트부(210,210',21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독립 개체로서 제작하기 때문에, 연결 시트부(210,210',210")를 메인 시트부(100)의 단부로부터 네크의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연결 시트부(210,210',210") 이외의 절개 부분 발생에 따르는 원재료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메인 시트부(100)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21) 및 연결 시트부(210,210',210")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21,21',21") 중 어느 하나가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접속 수단(600)을 사용하여 서로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체하고자 하는 시트부 만을 교체할 수 있다.
10 :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20 : 고주파 선로 패턴
21 : 제 1고주파 선로 패턴 22 : 제 2고주파 선로 패턴
30 : 본체부 40 : 커버부
41 : 화상 윈도우 42 : 에지 프레임
43 : 후면 프레임 51, 51',51": 제 1접지 도체 층
52. 52',52": 제 2접지 도체 층 50 : 안테나 패턴부
100 : 메인 시트부 110 : 제 1연결부
200 : 연결 시트부 210,210',210": 제 2연결부
310 : 접지 도체 층 320 : 내부 유전체 층
400 : 커버 층 410 : 접착제 층
420 : 외부 유전체 층

Claims (11)

  1.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 면적을 이루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가장 자리의 다수 위치로 연장 형성되며, 제 1연결부를 갖는 메인 시트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시트부와 연결되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형성되며, 제 2연결부를 갖는 연결 시트부; 및
    상기 다수의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과 상기 다수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서로 체결하는 접속 수단을 포함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제 1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부는,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연결되는 제 3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단부와 상기 제 2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 및 상기 제 3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를 관통 형성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고,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은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은 상기 제 2연결부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길이를 이루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고주파 선로 패턴의 길이는, 상기 제 3고주파 선로 패턴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제 3접지 도체 패턴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는, CPW(coplanar waveguid)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제 1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부는,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접지 도체 층과,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 및 상기 접지 도체 층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고,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은 상기 제 2연결부의 일단과 타단을 잇는 길이를 이루고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는, CBCPW(Conductor Backed CoPlanar Waveguid)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제 1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제 1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단부와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부를 커버하는 제 1커버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연결부는,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접지 도체 패턴의 상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과,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의 상면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접지 도체 층과,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위치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 2내부 유전체 층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 및 상기 접지 도체 층을 관통하는 한 쌍의 제 2체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한 쌍의 제 1체결홀과 상기 한 쌍의 제 2체결홀에 끼워져 상기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결속시키는 한 쌍의 결합 볼트이고,
    상기 제 2고주파 선로 패턴과 상기 한 쌍의 제 2접지 도체 패턴은 상기 제 2연결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길이 보다 일정 길이 짧은 길이를 이루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는, 마이크로스트립(microstrip)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트부의 가장 자리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다수의 위치로 연장되는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이 연장 형성되는 접속 돌기부들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트부의 가장 자리 다수 위치에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은, 상기 메인 시트부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테나 패턴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시트부의 가장 자리 다수 위치에서 상기 제 1고주파 선로 패턴들은, 상기 메인 시트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안테나 패턴부들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11. 다수의 입력키들로부터 입력 신호를 전송 받는 메인 기판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단과 힌지 연결되며, 상기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윈도우를 갖고, 상기 화상 윈도우의 테두리를 에워싸는 에지 프레임과, 상기 화상 윈도우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에지 프레임과 연결되는 후면 프레임을 갖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지 프레임의 다수의 위치를 향하여 연장되어 외부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다수의 고주파 선로 패턴들을 갖는 상기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상기 에지 프레임의 다수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고주파 선로 패턴들 각각의 단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개의 안테나 패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컴퓨터.
KR1020100064839A 2010-07-06 2010-07-06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KR10113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839A KR101133540B1 (ko) 2010-07-06 2010-07-06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839A KR101133540B1 (ko) 2010-07-06 2010-07-06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42A KR20120004142A (ko) 2012-01-12
KR101133540B1 true KR101133540B1 (ko) 2012-04-04

Family

ID=4561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839A KR101133540B1 (ko) 2010-07-06 2010-07-06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5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834A (ko) * 2018-12-13 2018-12-21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주파선로 및 일반선로 일체형 서브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270B1 (ko) * 2014-11-19 2020-11-26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주파선로 일체형 서브보드
EP4239443A4 (en) * 2020-12-04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CROLLABLE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9228A (ja) * 2006-10-23 2008-05-08 Toshiba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9228A (ja) * 2006-10-23 2008-05-08 Toshiba Corp 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834A (ko) * 2018-12-13 2018-12-21 주식회사 기가레인 고주파선로 및 일반선로 일체형 서브보드
KR101971654B1 (ko) * 2018-12-13 2019-04-23 주식회사 기가레인 서브보드 일체형 연성회로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42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94447B (zh) 具有隔离天线结构的电子设备
US9761927B2 (en) Battery case with supplemental antenna features for cellular telephone
KR101676598B1 (ko) 전자 디바이스 인쇄 회로 기판 패치 안테나
US7470862B2 (en) Signal transmission cable adapted to pass through hinge assembly
TWI473444B (zh) 具有具組件之撓性饋送結構之天線
TWI520437B (zh) 具有基於槽孔之寄生元件之天線結構
CN106067587B (zh) 具有外围混合天线的电子设备
US9293816B2 (en) Electronic device plate antenna
US9122446B2 (en) Antenna structures in electronic devices with hinged enclosures
EP3422139B1 (en) Laptop computer
US10268236B2 (en) Electronic devices having ventilation systems with antennas
CN104143701A (zh) 用于覆盖三个通信波段的具有多馈源的电子设备天线
CN103199341A (zh) 具有隔离天线的手持式电子设备
US20120182190A1 (en) Portable wireless device
KR20170100752A (ko) 연성회로기판
CN105024136A (zh) 移动终端
US800542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noise suppression system
KR101133540B1 (ko) 분리형 고주파 신호 전송 시트 및 이를 갖는 노트북 컴퓨터
KR2013003099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20110267240A1 (en) Portable wireless device
US8730107B2 (en) Multi-frequency antenna
KR20180080612A (ko) 연성회로기판
CN106299703A (zh) 无线通信装置及其天线模块
KR101133702B1 (ko) 노트북 컴퓨터
EP3176874B1 (en) Antenna apparatus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