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3196B1 - 조립식 가구 문짝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문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3196B1
KR101133196B1 KR1020100015654A KR20100015654A KR101133196B1 KR 101133196 B1 KR101133196 B1 KR 101133196B1 KR 1020100015654 A KR1020100015654 A KR 1020100015654A KR 20100015654 A KR20100015654 A KR 20100015654A KR 101133196 B1 KR101133196 B1 KR 10113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plate
frame
plate assembly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283A (ko
Inventor
방영식
Original Assignee
방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영식 filed Critical 방영식
Priority to KR102010001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31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006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06B3/78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with panel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2Joints between panels and corne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낮추면서도, 디자인이 다른 문짝을 매우 신속하게 조립하여 얻을 수 있고, 비강화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유리 파손의 염려가 없으며, 문짝 전체의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롤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 문짝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형 알판(27a)의 상부 엣지에, 웹(13)과 전면플랜지(15)로 이루어진 앵글형 프레임(11)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알판(27a)의 하부 엣지에, 전면플랜지(25) 및 후면플랜지(23)가 웹(21) 상하에 알판(27a)의 두께와 같은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을 나사결합하여서 된 상판조립체;
직사각형 알판(27b)의 상부 엣지에, 전면플랜지(25) 및 후면플랜지(23)가 웹(21) 상하에 알판(27a)의 두께와 같은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알판(27b)의 하부 엣지에, 웹(13)과 전면플랜지(15)로 이루어진 앵글형 프레임(11)을 나사결합하여서 된 하판조립체;
세로방향으로 진행하는 웹(3)과 전면플랜지(5)와 후면플랜지(7)가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로는, 하부로부터 상기 하판조립체의 일측단과, 장식부재(29, 31, 33)의 일측단과, 상기 상판조립체의 일측단이 차례로 삽입되고, 나사에 의하여 상기 후면플랜지(7)가 상기 하판조립체 및 상판조립체의 일측단과 일체로 조립되는 제1채널형 프레임(1a); 및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웹(3)과 전면플랜지(5)와 후면플랜지(7)가 형성하는 채널로는, 하부로부터 상기 하판조립체의 타측단과, 장식부재(29, 31, 33)의 타측단과, 상기 상판조립체의 타측단이 차례로 삽입되고, 나사에 의하여 상기 후면플랜지(7)가 상기 하판조립체 및 상판조립체의 타측단과 일체로 조립되는 제2채널형 프레임(1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 문짝{ASSEMBLY DOOR FOR FURNI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 문짝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낮추면서도, 디자인이 다른 문짝을 매우 신속하게 조립하여 얻을 수 있고, 비강화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유리 파손의 염려가 없으며, 문짝 전체의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롤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 문짝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장롱, 붙박이장 등 가구 시장에 있어서, 근래 가구 제조자 또는 판매자의 가구 판매 형태는 팜플렛에 수많은 디자인의 가구 사진을 게재하고, 소비자가 팜플렛을 통하여 선택한 디자인의 가구를, 사후적으로 제작하는 공급하는 형태를 취한다. 장롱, 붙박이장 등의 가구 디자인은 전적으로 문짝의 디자인에 의하여 결정된다. 장롱, 붙박이장 등의 문짝은 다양한 디자인을 낮은 제조 비용으로, 디자인을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변화시키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하여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근래, 가구용 문짝 디자인에는 디자인 소재로 유리를 사용하는 예가 늘어가고 있다. 유리를 가구용 문짝의 디자인 소재로 사용할 경우, 비강화유리를 사용할 경우 운반 중이나 사용 중에 파손되기 쉬우므로, 강화유리를 사용한다. 그러나, 강화유리는 가구 조립 현장에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크기 및 형태로 재단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강화유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리 재단 칼에 의하여 절단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구 문짝 디자인에 사용되는 유리는 비강화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비강화유리는 언제든 파손될 수 있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가구용 문짝이 장롱이나, 붙박이장 등 가구에 미닫이 문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문짝의 중량이 문짝 또는 문짝 이송용 롤러의 수명과 직결된다. 즉, 미닫이 문짝은 롤러에 의하여 슬라이딩 되는데, 문짝의 하중이 지나치게 클 경우에는, 롤러가 쉽게 손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특히 가구용 미닫이 문짝의 무게는 가능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알루미늄 프레임과 목재 알판을 사용한 가구용 문짝이 소개되고 있다. 이들 가구용 문짝들은 알루미늄 프레임의 구조가 복잡하여 알루미늄 소재 소요가 많아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고, 알루미늄 프레임과 목재 알판을 결합하는 구조도 복잡하여 가공 및 조립 공정이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알루미늄 프레임 및 목재 알판을 이용한 가구용 문짝의 단점을, 구조, 가격, 조립성, 디자인 변경 가능성 및 내구성 면에서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가구용 문짝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제1과제는 가구용 문짝의 프레임 구조를 최소 양의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성형할 수 있도록 단순화하여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낮춘 조립식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제2과제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의 가구 문짝을 매우 신속하게 새로이 조립하여 얻을 수 있는 조립식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작업성을 위하여 비강화유리를 디자인 소재로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유리 파손의 염려가 없는 조립식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4과제는 문짝 전체의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가구용 미닫이 문짝의 롤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조립식 가구용 문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과제 및 제2과제는, 조립식 가구 문짝을, 직사각형 알판의 상부 엣지에, 웹과 전면플랜지로 이루어진 앵글형 프레임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알판의 하부 엣지에, 전면플랜지 및 후면플랜지가 웹 상하에 알판의 두께와 같은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이중채널형 프레임을 나사결합하여서 된 상판조립체; 직사각형 알판의 상부 엣지에, 전면플랜지 및 후면플랜지가 웹 상하에 알판의 두께와 같은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이중채널형 프레임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알판의 하부 엣지에, 웹과 전면플랜지로 이루어진 앵글형 프레임을 나사결합하여서 된 하판조립체; 세로방향으로 진행하는 웹과 전면플랜지와 후면플랜지가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로는, 하부로부터 상기 하판조립체의 일측단과, 장식부재의 일측단과, 상기 상판조립체의 일측단이 차례로 삽입되고, 나사에 의하여 상기 후면플랜지가 상기 하판조립체 및 상판조립체의 일측단과 일체로 조립되는 제1채널형 프레임; 및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웹과 전면플랜지와 후면플랜지가 형성하는 채널로는, 하부로부터 상기 하판조립체의 타측단과, 장식부재의 타측단과, 상기 상판조립체의 타측단이 차례로 삽입되고, 나사에 의하여 상기 후면플랜지가 상기 하판조립체 및 상판조립체의 타측단과 일체로 조립되는 제2채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함으로써 해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과제는 상기 장식부재를 판유리와, 상기 판유리의 두께를 보강하여 상기 알판의 두께에 일치시키는 보강판과, 상기 판유리와 보강판 사이에 개입된 장식시트로 구성함으로써 해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과제는 상기 판유리를 비강화판유리와, 상기 비강화판유리 배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된 투명수지필름로 구성함으로서 해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4과제는 상기 알판을 제1채널형 프레임 및 제2채널형 프레임의 채널 폭보다 얇은 두께의 통판과, 상기 통판의 배면 4방 가장자리에 덧대어 통판의 가장자리 두께를 제1채널형 프레임 및 제2채널형 프레임의 채널 폭에 일치시키는 쪽판으로 구성함으로써 해결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채널형 프레임을 웹과 플랜지만을 포함하도록 단순하게 구성함으로써, 가구용 문짝의 프레임 구조를 최소 양의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고, 다양한 표면 장식을 갖는 상판조립체와, 하판조립체와, 장식시트를 미리 제작하여 놓은 뒤, 이들을 조합한 디자인 중 하나를 소비자가 요구한 경우, 이들을 채널형 프레임에 삽입하여 후면플랜지에서 나사 조립하는 것만으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을 완성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의 가구 문짝을 매우 신속하게 새로이 조립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유리를 디자인 소재로 사용하면서도 작업성이 떨어지지 않으며, 문짝 전체의 무게를 경량화함으로써 가구용 미닫이 문짝의 롤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 문짝에 사용되는 상판조립체의 일 실시 예를 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상판조립체에 대한 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도시된 상판조립체를 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a에 도시된 상판조립체에 대한 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 문짝에 사용되는 상판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f는 도 1e에 도시된 상판조립체에 대한 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 문짝에 사용되는 하판조립체의 일 실시 예를 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하판조립체에 대한 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하판조립체를 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2a에 도시된 하판조립체에 대한 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 문짝에 사용되는 하판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를 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f는 도 2e에 도시된 하판조립체에 대한 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가구 문짝에 사용되는 필름배접판유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필름배접판유리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상판조립체 및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하판조립체를 사용한 조립식 가구 문짝을 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조립식 가구 문짝에 대한 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도시된 조립식 가구 문짝을 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d는 도 4a에 도시된 조립식 가구 문짝에 대한 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4e는 도 1e 및 도 1f에 도시된 상판조립체 및 도 2e 내지 도 2f에 도시된 하판조립체를 사용한 조립식 가구 문짝을 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f는 도 4e에 도시된 조립식 가구 문짝에 대한 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4g는 도 4e에 도시된 조립식 가구 문짝을 후면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h는 도 4e에 도시된 조립식 가구 문짝에 대한 후면 조립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판조립체(28a)는 직사각형 알판(27a)의 상부 엣지(edge)(통상 판재에서 두께를 형성하는 면을 판면이 끝나는 면이라는 의미에서 엣지라고 함)에, 웹(13)과 전면플랜지(15)로 이루어진 앵글형 프레임(11)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알판(27a)의 하부 엣지에, 전면플랜지(25) 및 후면플랜지(23)가 웹(21) 상하에 알판(27a)의 두께와 같은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을 나사결합한 것이다.
상기 알판(27a)의 표면 또는 표면과 이면에는 다양한 무늬를 갖는 멜라민 함침지나 멜라민 코팅 원목시트 등이 부착된다. 상기 앵글형 프레임(11)과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은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여 압출 성형한다. 상기 앵글형 프레임(11)의 전면플랜지(15)의 양단은 채널형 프레임(1a, 1b)의 전면플렘지(5)의 폭만큼 따내어, 채널형 프레임(1a, 1b)과의 조립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후면플랜지(23)의 폭은 전면플랜지(25)의 폭보다 넓게 한다. 상기 앵글형 프레임(11)의 웹(13) 폭 또는, 상기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상하 채널 폭은 알판(27a)의 두께에 일치시킨다. 상기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하부 채널로는 후술하는 장식부재(29, 31, 33)의 상단이 삽입된다. 가구 문짝 제조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조립체(28a)를, 표면 디자인을 달리하여 도 1b 또는 도 1d에 도시된 상태로 미리 제작하여 다수 보유하다가,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가구 문짝 디자인의 조합에 사용한다.
도 1e 및 도 1f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판조립체의 상기 알판(27a)은 상기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채널 폭보다 얇은 두께의 통판(39a)과, 상기 통판(39a)의 배면 4방 가장자리에 덧대어 통판(39a)의 가장자리 두께를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채널 폭에 일치시키는 쪽판(41a, 41b)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상판조립체(28b)는 중량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특히 미닫이 문짝으로 사용할 경우, 이송 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가구용 문짝의 내구성도 향상시킨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판조립체(30a)는 상기 상판조립체(28a)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구조를 갖는다. 다만, 알판(27b)의 세로 방향의 길이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조립체(30a)는 직사각형 알판(27b)의 상부 엣지에, 전면플랜지(25) 및 후면플랜지(23)가 웹(21) 상하에 알판(27b)의 두께와 같은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알판(27b)의 하부 엣지에, 웹(13)과 전면플랜지(15)로 이루어진 앵글형 프레임(11)을 나사결합하여서 만들어진다. 상기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상부 채널로는 장식부재(29, 31, 33)의 하단이 삽입된다.
상기 하판조립체(30a)의 알판(27b)의 표면 또는 표면과 이면에도 다양한 무늬를 갖는 멜라민 함침지나 멜라민 코팅 원목시트 등이 부착된다. 상기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앵글형 프레임(11)의 소재 및 구조는 상판조립체(28a, 28b)에서와 같다. 가구 문짝 제조자는 다양한 표면 디자인의 상부조립체(28a, 28b)와 함께 하부조립체(30a)를 도 2b 또는 도 2d에 도시된 상태로 미리 제작하여 다수 보유하다가,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가구 문짝 디자인으로 조합하여 제공한다.
도 2e 및 도 2f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판조립체의 상기 알판(27b)도 상기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하부 채널 폭보다 얇은 두께의 통판(39b)과, 상기 통판(39b)의 배면 4방 가장자리에 덧대어 통판(39b)의 가장자리 두께를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의 하부 채널 폭에 일치시키는 쪽판(41c, 41d)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하판조립체(30b)는 중량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특히 미닫이 문짝으로 사용할 경우, 이송 롤러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가구용 문짝의 내구성도 향상시킨다.
도 4a 내지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문짝은 이렇게 미리 마련된 상판조립체(28a, 28b) 및 하판조립체(30a, 30b)를 장식부재(29, 31, 33)와 함께 제1채널형 프레임(1a, 1c)과 제2채널형 프레임(1b) 사이에 삽입하고 나사(s)만으로 조립하여 완성된다. 따라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디자인의 가구 문짝을 매우 신속하게 새로이 조립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채널형 프레임(1a)과 제2채널형 프레임(1b) 세로방향으로 진행하는 웹(3)과 전면플랜지(5)와 후면플랜지(7)가 채널을 형성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1a)과 제2채널형 프레임(1b)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채널이 내측을 바라보면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은 단순한 구조의 채널형 프레임으로 인하여 채널형 프레임의 성형 소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상판조립체(28a, 28b), 장식부재(29, 31, 33) 및 하판조립체(30a, 30b)와 조립할 수 있다. 도 4e 내지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1a)에는 손잡이(35)를 일체로 성형하고, 손잡이(35) 상하단에는 캡(37)을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후면플랜지(7)의 폭은 상기 전면플랜지(5) 폭보다 더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면플랜지(7)에는 나사공(9)을 다수 형성하고, 후면플랜지(7)에서 알판(27a, 27b)과 채널형 프레임(1a, 1b)을 나사 결합하다.
도 4a 내지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1a)과 제2채널형 프레임(1b)의 채널로는, 하부로부터 상기 하판조립체(30a, 30b)의 양측단과, 장식부재(29, 31, 33)의 양측단과, 상기 상판(28a, 28b)조립체의 양측단이 차례로 삽입되고, 나사(s)에 의하여 상기 후면플랜지(7)가 상기 하판조립체(30a, 30b) 및 상판조립체(28a, 28b)의 양측단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장식부재는 판유리(33)와, 상기 판유리의 두께를 보강하여 상기 알판(27a, 27b)의 두께에 일치시키는 보강판(29)과, 상기 판유리(33)와 보강판(29) 사이에 개입된 장식시트(31)로 구성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유리(33)는 비강화판유리(33a)와, 상기 비강화판유리 배면에 접착제(33b)에 의하여 부착된 투명수지필름(33c)로 구성된다. 상기 판유리(33)를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유리절단칼에 의한 절단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용이한 반면, 가구 문짝의 이송 중이나 사용중 파손될 염려가 없다. 상기 장식시트(31)로는 화초나 수목 등 천연물, 장식이나 모양을 갖는 직물류, 인쇄지, 인쇄필름, 사진 등 다양한 것을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1a, 1b, 1c: 채널형 프레임 3 : 웹(web)
5, 7 : 플랜지(flange) 9 : 나사공
11 : 앵글형 프레임 13 : 웹(web)
15 : 전면플랜지(flange) 17 : 나사공
19 : 이중채널형 프레임 21 : 웹(web)
23, 25 : 플랜지(flange) 27a, 27b, 27c, 27d : 알판
28a, 28b : 상판조립체 29 : 보강판
30a, 30b :하판조립체 31 : 장식시트
33 : 필름배접 판유리 35 : 손잡이
37 : 캡 39a, 39b : 통판
41a, 41b : 쪽판 s : 나사

Claims (4)

  1. 직사각형 알판(27a)의 상부 엣지에, 웹(13)과 전면플랜지(15)로 이루어진 앵글형 프레임(11)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알판(27a)의 하부 엣지에, 전면플랜지(25) 및 후면플랜지(23)가 웹(21) 상하에 알판(27a)의 두께와 같은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을 나사결합하여서 된 상판조립체;
    직사각형 알판(27b)의 상부 엣지에, 전면플랜지(25) 및 후면플랜지(23)가 웹(21) 상하에 알판(27a)의 두께와 같은 폭의 채널을 형성하는 이중채널형 프레임(19)을 나사결합하고, 상기 알판(27b)의 하부 엣지에, 웹(13)과 전면플랜지(15)로 이루어진 앵글형 프레임(11)을 나사결합하여서 된 하판조립체;
    세로방향으로 진행하는 웹(3)과 전면플랜지(5)와 후면플랜지(7)가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로는, 하부로부터 상기 하판조립체의 일측단과, 장식부재(29, 31, 33)의 일측단과, 상기 상판조립체의 일측단이 차례로 삽입되고, 나사에 의하여 상기 후면플랜지(7)가 상기 하판조립체 및 상판조립체의 일측단과 일체로 조립되는 제1채널형 프레임(1a); 및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채널형 프레임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웹(3)과 전면플랜지(5)와 후면플랜지(7)가 형성하는 채널로는, 하부로부터 상기 하판조립체의 타측단과, 장식부재(29, 31, 33)의 타측단과, 상기 상판조립체의 타측단이 차례로 삽입되고, 나사에 의하여 상기 후면플랜지(7)가 상기 하판조립체 및 상판조립체의 타측단과 일체로 조립되는 제2채널형 프레임(1b);을 포함하되,
    상기 장식부재는 판유리(33)와, 상기 판유리의 두께를 보강하여 상기 알판(27a, 27b)의 두께에 일치시키는 보강판(29)과, 상기 판유리(33)와 보강판(29) 사이에 개입된 장식시트(31)로 구성하고,
    상기 판유리는 비강화판유리(33a)와, 상기 비강화판유리 배면에 접착제(33b)에 의하여 부착된 투명수지필름(33c)로 구성하고,
    1 상기 알판(27a, 27b)은 제1채널형 프레임(1a) 및 제2채널형 프레임(1b)의 채널 폭보다 얇은 두께의 통판(39a, 39b)과, 상기 통판(39a, 39b)의 배면 4방 가장자리에 덧대어 통판(39a, 39b)의 가장자리 두께를 제1채널형 프레임(1a) 및 제2채널형 프레임(1b)의 채널 폭에 일치시키는 쪽판(41a, 41b)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구 문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15654A 2010-02-22 2010-02-22 조립식 가구 문짝 KR10113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654A KR101133196B1 (ko) 2010-02-22 2010-02-22 조립식 가구 문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654A KR101133196B1 (ko) 2010-02-22 2010-02-22 조립식 가구 문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283A KR20110096283A (ko) 2011-08-30
KR101133196B1 true KR101133196B1 (ko) 2012-04-09

Family

ID=4493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654A KR101133196B1 (ko) 2010-02-22 2010-02-22 조립식 가구 문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3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21Y1 (ko) * 2014-03-28 2015-01-22 김재우 가구용 패널의 테두리 마감재
CN105587226A (zh) * 2016-02-18 2016-05-18 常熟市金蝙蝠工艺家具有限公司 一种红木框式家具制作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69Y1 (ko) * 2003-04-04 2003-07-04 선진기업 주식회사 붙박이장용 문짝
KR20080022564A (ko) * 2008-02-20 2008-03-11 최충희 가구용 도어 패널
KR100882009B1 (ko) * 2008-03-12 2009-02-04 김병연 가구용 문짝 표면 장식재의 변환장치
KR200449954Y1 (ko) * 2008-04-01 2010-08-24 손정구 테이블 상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069Y1 (ko) * 2003-04-04 2003-07-04 선진기업 주식회사 붙박이장용 문짝
KR20080022564A (ko) * 2008-02-20 2008-03-11 최충희 가구용 도어 패널
KR100882009B1 (ko) * 2008-03-12 2009-02-04 김병연 가구용 문짝 표면 장식재의 변환장치
KR200449954Y1 (ko) * 2008-04-01 2010-08-24 손정구 테이블 상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283A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1485T3 (es) Panel de construcción ligera, sistema de ensamblaje y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 sistema de ensamblaje
US6453638B2 (en) Press molded door with improved reinforcement material and stile structure
US5921044A (en) Display wall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806015B2 (ja) 複合板戸棚
KR101133196B1 (ko) 조립식 가구 문짝
ITPN20130072A1 (it)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un pannello tamburato e pannello tamburato così ottenuto
EP1969967B1 (de) Möbelplatte, insbesondere massivholzplatte
CN205130534U (zh) 门窗建材
JP2016176278A (ja) 透光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建材
KR200416689Y1 (ko) 조립식 문짝
KR200386601Y1 (ko) 가구용 패널
JP2017071948A (ja) フラッシュ構造型ドアパネル
CA2496276C (en) Double skin door apparatus
JP2013087609A (ja) 建築パネル
US20240023709A1 (en) Door for piece of furniture and piece of furniture
JP2003090177A (ja) 木製フラッシュパネル
ITPD20030033U1 (it) Struttura di telaio per infissi, serramenti e simili, e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strutture di telai per infissi, serramenti e simili
KR101021287B1 (ko) 도어 및 도어의 제작방법
CN207179168U (zh) 一种新型铝材结构
CN201341605Y (zh) 可方便更换柜门玻璃的书柜
RO135804A2 (ro) Panou decorativ compozit şi procedeu tehnologic de fabricaţie a acestuia
KR20090002563U (ko) 가구용 측판
TWM488541U (zh) 一種加裝玻璃的門扇結構
CN112360086A (zh) 一种具有组合加固功能的模块式型条安装结构
JP2004143839A (ja) 複合ド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