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981B1 - 홀로그램 캔디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캔디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981B1
KR101132981B1 KR1020030087402A KR20030087402A KR101132981B1 KR 101132981 B1 KR101132981 B1 KR 101132981B1 KR 1020030087402 A KR1020030087402 A KR 1020030087402A KR 20030087402 A KR20030087402 A KR 20030087402A KR 101132981 B1 KR101132981 B1 KR 101132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y
hologram
edible
phenomenon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052A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filed Critical 김시환
Publication of KR2005003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 캔디(Candy)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 캔디는,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캔디 표면 혹은 내부에서 빛의 반짝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므로서, 캔디 자체가 빤작이는 기능을 갖게되어 보석 같은 캔디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장식과 디자인이 가미된 캔디를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홀로그램, 캔디, 돌기, 요철

Description

홀로그램 캔디{The Hologram Candy}
도 1a내지 도 1e는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하는 돌기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내지 도 2c는 홀로그램 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내지 도 3c는 홀로그램 캔디의 다양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홀로그램 캔디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삽입물이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a와 도6b는 홀로그램 캔디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내지 도7d는 몸체 내의 삽입판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다른 식용물에 홀로그램 삽입판을 부착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a와 9b 삽입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다양한 형태의 홀로그램 문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불투명한 캔디를 사용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돌기 20 : 몸체
30 : 반사막 30a : 반사입자
40 : 손잡이 40a : 삽입물
60 : 삽입판 70 : 식용물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 캔디(Candy)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캔디 표면 혹은 내부에서 빛의 반짝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홀로그램 캔디에 관한 것이다.
캔디의 기원은 오래되었으며, 주로 과거에는 먹는 것을 목적으로 캔디가 제조되고 만들어 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캔디가 장식용 혹은 특별한 날을 기념하는 선물용으로 제조되는 사례가 많이 있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생일 선물 혹은 화이트데이 등에 특별한 장식이 들어가는 캔디가 제조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부활절 혹은 할로윈데이를 기념하여 만들어지는 캔디가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캔디는 식용이므로 캔디 자체에 장식을 하기 보다는 포장에 디자인 개념을 도입하여, 고급스럽게 포장을 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특별한 날을 기념하고 장식 등에도 사용되는 캔디 자체를 제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반짝이는 홀로그램 켄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캔디 표면 혹은 내부에서 빛의 반짝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 구조는 반복적으로 형성된 돌기이며, 상기 돌기 표면 혹은 돌기 하부에 식용 가능한 금속막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돌기가 캔디 내부에 형성되거나 캔디 표면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캔디 내부에 홀로그램 현상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 삽입물을 구비하며, 상기 삽입물에 홀로그램 구조가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삽입물은 식용가능하지 않은 재료이다.
또한, 상기 캔디 성분은 설탕, 물엿, 당류 혹은 식용가능한 단맛을 내는 성분이다.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캔디 내부에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는 삽입판을 삽입하며, 상기 삽입판에 지지판 혹은 반사막이 구비되고, 삽입판의 돌기가 형성된 부분과 몸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아울러, 본원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식용가능한 식용물이 구비되고,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미세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한 삽입판이 구비되며, 상기 식용물 표면에 상기 삽입판을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식용물은 초코렛성분, 당류, 탄수화물 성분, 과자, 빵, 유지류 혹은 케익류이고, 상기 삽입판은 반사막 위에 캔디 성분을 코팅하고, 상기 캔디 성분 표면에 미세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캔디 성분은 설탕, 물엿 혹은 당류로 단맛을 내는 성분이다.
또한, 상기 삽입판의 본체 혹은 지지판은 식용필름이다.
본 발명은 홀로그램(hologram) 캔디(Candy)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캔디 표면 혹은 내부에서 빛의 반짝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홀로그램 캔디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미세구조는 반복적으로 형성된 요철 혹은 돌기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은 캔디 내부에 별도의 고형물을 삽입하고 상기 고형물에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하도록한 고형물에 투명한 캔디를 입히므로서, 마찬가지로 빤작임 현상이 발생하는 캔디를 제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a내지 도 1e는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하는 요철의 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는 표면에 돌기를 형성한 홀로그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투명한 재질 의 몸체(20) 표면에 너비 K, 높이 J의 돌기(10)를 반복적으로 형성한다. 그러면 돌기(10)에 입사하는 빛이 돌기(10)에 의하여 굴절 내지는 반사 현상이 발생되어, 빛의 분광 혹은 집중 현상이 발생되고 따라서 관찰되는 각도에 따라 색을 띄게 될 뿐만 아니라 빤작임 현상도 관찰되게 된다. 통상 K와 J의 크기는 5 ㎛(마이크로미터) 이내가 되며, 통상 1~2㎛ 가 가장 적당하다.
도 1b는 홀로그램 효과를 높이기 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돌기(10)바로 아래에 반사막(30)을 형성하므로서 홀로그램 효과를 더 높일 수가 있다. 반사막(30)이 형성되는 위치하는 돌기(10)에서 1 mm 이내로 하는 것이 빛의 효울면에서도 좋다.
또한 본발명은 식용이므로 반사막(30)도 식용 가능한 금속을 사용한다. 즉, 금이나 은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금과 은은 고가의 금속이므로 막의 두께는 수 ㎛(마이크로미터) 이내로 하여 비용을 최소화한다.
도 1c는 배면 반사 홀로그램을 나타내기 위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a와 도 1b는 윗면에 홀로그램을 위한 요철을 형성하였지만 도 1c는 이와는 다르게 배면에 요철을 형성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요철 즉, 돌기(10) 표면에 반사막(30)을 코팅한다. 따라서 홀로그램 현상을 보기 위해서는 반사막(30)이 코팅된 돌기(10)의 반대쪽에서 보아야 한다.
한편, 돌기의 입체적 모형을 도 1d와 도 1e에 나타내었다. 도 1d는 도트(Dot) 모양의 돌기(10)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1e는 스트라입(Stripe) 모양의 돌기(10)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통상 돌기(10)도 몸체(20)와 같이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거나, 몸체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캔디(Candy)를 몸체(20)로 사용하므로 돌기(10)의 재질도 캔디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돌기(10)의 모서리를 각진 형태로 나타내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라운딩 처리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의 돌기 형태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투명하다고 해서 투과도가 아주 높은 것이 아니라 빛이 통과되는 정도, 즉 불투명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a내지 도 2c는 홀로그램 캔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캔디에 형성된 홀로그램 문양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캔디에 홀로그램을 형성할 때, 어떠한 문양이나 디자인을 나타내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해당 문양이 빤작이게 되는 것이다. 도 2a에서는 문양 "I ♡ Y" 가 빤작이게 된다.
통상 캔디(Candy)는 설탕, 물엿, 물 등을 적당량 배합하여 140 ~ 170 ℃ 정도로 가열하여 끓이고, 위에 젖산완충용액 및 향료를 넣는다. 잘 배합이 되면 위 배합물을 몰드(Mold)에 부은 다음 냉각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캔디에 돌기를 형성하여 홀로그램 현상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캔디를 만들기 위해서는 도 1a내지 도 1e에서 설명된 형태의 돌기가 새겨진 몰드(Mold)를 사용하게 된다.
도 2b는 캔디 윗면에 홀로그램 돌기(10)가 형성된 도면이며, 돌기 부위를 확 대하여 원안에 나타내었다. 원안의 도면에서처럼, 돌기(10) 바로 아래 반사막(30)을 형성한다. 반사막은 식용임을 고려해서 금이나 은을 사용한다. 돌기(10)와 막 사이의 거리는 홀로그램 효과를 고려해 1 mm 이내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평편하게 만든 캔디 표면에 금속막을 코팅하고, 그위에 얇게 캔디 원료를 코팅한 다음에 홀로그램 요철이 새겨진 몰드로 눌러주어, 돌기 형상을 만들게 된다.
도 2c는 캔디 아래면에 돌기(10)를 형성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캔디 아래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다시 그위에 금속막을 반사막(30)으로 코팅하였다. 원안에는 돌기(10)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돌기(10) 표면에 반사막(30)이 코팅되었다.
도 3a내지 도 3c는 홀로그램 캔디의 다양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캔디로 형성된 몸체(20) 양면에 홀로그램 구조인 돌기(10)와 반사막(30)이 형성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b와 도 3c는 캔디 내부에 삽입물을 구비하고, 상기 삽입물로 인해서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도면에서처럼 캔디 내부에 요철 형상인 돌기(10)가 형성되고, 돌기가 형성된 경계면에 반사막(30)을 형성한다. 따라서 삽입물은 돌기 형상을 가진 반사막(30)이 된다. 이러한 돌기 구조를 도 3b에서처럼 1 개 층를 형성할 수 있지만, 도 3c에서처럼 2 개 층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을 위해서는 몰드를 사용하여 먼저 돌기(10)가 형성된 하부 몸체(20b)를 만든 다음, 반사막(30)을 코팅하고 그위에 다시 상부 몸체(20a)를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경우는 중간 몸체(20c)가 형성되어, 돌기 구조가 2 개 층이 형성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 4a와 도 4b는 홀로그램 캔디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캔디로 형성된 몸체(20) 중간에 반사 입자(30a)를 삽입한다. 반사 입자도 마찬가지로 식용가능한 금이나 은을 사용한다. 입자 크기도 수 마이크미터(㎛) 정도나 이내의 크기가 된다. 이때 반사막이나 반사입자는 금이나 은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식용가능하고 빛을 반사하는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도 4a는 1 개 층으로 반사 입자(30a)가 삽입된 실시예의 도면이고,도 4b는 2 개층 이상으로 반사 입자(30a)가 삽입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a와 도5b는 삽입물이 구비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a는 손잡이가 달린 삽입물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홀로그램 현상이 나타나도록 돌기와 반사막으로 문양(50) 형성된 삽입물(40a)이 구비되고, 여기에 손잡이(40)이 구비된다. 그리고 도 5b에서처럼 삽입물(40a) 표면에 몸체(20)로서 캔디를 두껍게 입히면 된다. 그러면 홀로그램 현상에 의해 빤작이면서 손잡이가 달린 캔디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삽입물(40a)은 반드시 먹는 성분으로 할 필요는 없다. 단지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어야 하므로, 삽입물(40a) 표면은 투명한 프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식용 캔디에 사용함을 감안하면 포장재질에 쓰이는 페트(P.E.T.)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재질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금속이나 목재 등의 재질 표면에 투명한 프라스틱 재료를 입혀도 되고, 돌기가 형성된 목재나 프라스틱의 재질 표면에 알루미늄 같은 금속을 코팅해도 된다.
혹은 도 1c와 3a의 도면에서처럼 삽입물(40a) 표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금속막을 코팅하거나, 도 1b에서 처럼 삽입물 표면에 금속막을 코팅하고 그 위에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때의 삽입물(40a)은 캔디로 만들어진 몸체를 지지하는 역할이므로, 먹는 성분이 아닌 프라스틱 성분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지지 역할을 하는 삽입물에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은 반드시 돌기 구조가 아니어도 됨은 당연하다. 삽입물 표면 혹은 내부에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기포 등을 형성하여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한 홀로그램 현상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즉, 먹는 성분으로 되어 있지 않고 지지 역할을 하는 삽입물(40a)에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반드시 본 발명에 소개된 돌기 구조를 사용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통상의 홀로그램 형성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a와 도6b는 홀로그램 캔디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캔디 몸체가 상부몸체(20a)와 하부몸체(20b)로 나누어질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캔디 몸체(20a, 20b) 내부에 삽입판(60)을 구비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여기서는 하나의 실시예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언급하였지만, 몸체(20)내에 삽입판(60)을 삽입하는 방법은 다양하여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분리하는 방법이 아닐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캔디 몸체는 설탕, 물엿 등을 주로 사용하나, 당류 혹은 식용 가능하면서 단맛을 내는 재질은, 반드시 사탕류나 물엿류가 아니더라도 사용 가능하다. 이때, 삽입판(60)에 각종 문양이 들어간 홀로그램 형상을 만드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 7a와 도7d는 몸체 내의 삽입판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도 6a에서 나타낸 B-B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부몸체(20a)와 하부몸체(20b) 사이에 홀로그램이 형성된 삽입판(60)이 구비된다. 그리고 삽입판(60)과 몸체(20a, 20b)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다. 이것은 삽입판 표면에 돌기(10)가 형성되므로 돌기와 몸체(20a, 20b) 사이를 이격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도 7b와 같이 돌기(10)가 한쪽에만 형성될 경우 돌기(10)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도 7b에서 아래쪽)에는 공간이 필요없게된다.
도 7b 내지 도 7d는 도 7a에서 A 부분을 확대한 삽입판의 단도면이다.
도 7b에서처럼, 돌기(10)가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c와 도 7d에서와 같이 돌기(10)가 위아래 양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판(61)이 형성되어 홀로그램 돌기(10)와 반사막(30)을 지지해준다.
여기서 지지판은 반드시 단맛을 내는 몸체와 같은 재질일 필요는 없으며, 탄수화물이나 녹말 혹은 초코렛류 같은 다양한 식용재료를 사용해도 된다.
통상 돌기(10)의 크기는 수 마이크로미터(㎛) 이내이지만, 반사나 굴절 현상이외에 회절 효과에 의한 확실한 홀로그램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빛의 가시광선 영역인 0.3 ~ 1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레이저 가공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반사막 역시 수 마이크로 이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지지판(61)을 만들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물론 지지판(61)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없을 수도 있다.
도 7d에서는 돌기가 양쪽에 형성되므로 지지판(61)이 두 개의 반사막(30) 사이에 형성되었다. 이때 지지판(61)이 반으로 분리되어, 위쪽 돌기(도면에서 위쪽에 위치한 돌기(10))와 아래쪽 돌기(도면에서 아래 위치한 돌기(10))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7b의 형태를 2 개 만들어 돌기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도 7d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홀로그램 현상을 위해서 반사막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돌기(10)가 투명한 당류나 사탕, 물엿 등의 투명 재질로 형성되므로 돌기 자체로 홀로그램 현상이 나날 수 있다. 하지만 홀로그램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반사막(30)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다른 식용물에 홀로그램 삽입판을 부착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a는 식용물(70)에 1개의 삽입판(60)을 부착한 도면이고, 도 8b는 판상형태의 식용물(70)에 여러개의 삽입판(60)을 부착한 도면이다.
또한, 도 8c는 식용물(70)의 측면 혹은 윗면에 삽입판(60)을 부착한 도면이다. 여기서 식용물은 초코렛성분, 당류, 탄수화물 성분, 과자, 빵, 유지류 혹은 케익류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움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홀로그램이 형성된 삽입판(60)을 식용물(70)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서, 불투명한 재질인 초코렛, 과자, 빵, 유지 류 혹은 케익류도 홀로그램으로 장식할 수 있게 된다.
도 9a와 9b 삽입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돌기(10) 표면에 반사막(30)이 코팅되었다. 즉 삽입판(60) 본체에 직접 돌기(10)를 형성하고 그위에 반사막(30)을 코팅한 경우이다. 따라서 삽입판(60) 본체는 지지판(61)이 되는 것이다. 도 9a은 한면만 돌기가 형성된 경우이고 도 9b는 양면에 돌기가 형성된 경우이다.
여기서 삽입판(60) 본체 혹은 지지판(61)의 재료로는 탄수화물이나, 녹말 등의 다당류 이외에 식용 가능하면서 얇은 판이나 필름 형상으로 제조 가능한 물질은 원칙적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지방, 다당류, 단백질 뿐 아니라 여기에서 파생된, 셀룰로우스. 폴리만, 알긴산, 중쇄 지방산, 유청 단백질, 대두 단백질, 젤라틴, 키토산, 카제인, 커드란 혹은 어류 단백질 등과 다양한 물질이 사용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의 식용필름을 5 mm 이내 혹은 수마이크로 미터 이상의 두께로 제조한 다음, 홀로그램 원판으로 열 압착을 가해서 돌기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은이나 금 같은 식용 재료를 증착하거나 코팅하여 반사막을 형성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1 mm 이내 혹은 수십 마이크로 정도의 크기가 가장 적당하다.
물론, 식용필름 표면에 반사막 같은 식용재료를 사용하여 1 단계로 먼저 코팅하거나 증착한 다음, 2 단계로 홀로그램 원판으로 열 압착을 가해 돌기를 형성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돌기 표면에 반사막이 코팅된 경우에는 도 7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판(60)과 몸체(20a, 20b) 사이에 일정 공간을 두지 않아도 된다.
도 10a와 도 10b는 다양한 형태의 홀로그램 문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에서처럼, 홀로그램 문양(10)(30)에 구멍(80)을 형성 할 수도 있으며, 도 10b에서처럼 글씨 모양의 홀로그램 문양(10)(30)을 만들 수가 있다. 형성된 문양을 식용 가능한 식용물(70에부착하는 것이다. 도 10b에서 식용물(70)은 껌이다. 즉 홀로그램으로 장식된 합격 껌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색에 대한 언급은 없었으나, 문양 내에서 홀로그램 돌의 크기를 한가지로 하지 않고 다양하게 하므로서 다양한 색을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푸른색을 나타내는 0.4 ㎛(마이크로미터) 크기 내외의 돌기와 붉은색을 나타내는 0.7 ㎛(마이크로미터) 크기 내외의 돌기 및 그린색을 나타내는 0.55 ㎛(마이크로미터) 내외의 돌기를 모두 포함한 문양을 만들어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는 것이다.
도 11a와 도 11b는 불투명한 캔디를 사용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캔디의 다양한 맛을 내기 위해서는 불투명한 캔디를 만드는 경우가 있게 된다. 따라서 홀로그램 돌기가 있는 부분을 시각적으로 가리지 않는 부분은 불투명한 캔디로 만들 수 있음은 당연하다.
홀로그램 문양이 가운데 있을 경우 가장자리를 불투명한 캔디로 만든 실시예의 도면이 11a이다.
그리고 도 11a에서 E-E 의 선으로 절단한 도면이 도 11b 이다. 도면에서처럼 삽입판(60)의 상부와 하부인 상부몸체(20a)와 하부몸체(20b)는 투명한 재질로 하고 주변 몸체(20c)는 불투명한 재질로 한다.
이때, 불투명한 재질이 가능한 주변 몸체는 캔디 성분 뿐 아니라 초코렛이나 초코렛 버터 등의 재료로 채워 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식용필름에 다양한 첨가재나 향료 혹은 기능성 물질들을 첨가하여 상품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테면 잠을 깨우는 물질을 첨가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면 캔디를 먹고 나서 식용 필름을 먹게되면 기능적인 효과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홀로그램 캔디는,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캔디 표면 혹은 내부에서 빛의 반짝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므로서, 캔디 자체가 빤작이는 기능을 갖게되어 보석 같은 캔디를 제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장식과 디자인이 가미된 캔디를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캔디 표면 혹은 내부에서 빛의 반짝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캔디에서,
    상기 미세 구조는 반복적으로 형성된 돌기이고, 상기 돌기 표면 혹은 돌기 하부에 식용 가능한 금속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캔디.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캔디 표면 혹은 내부에서 빛의 반짝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캔디에서,
    캔디 내부에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는 삽입판을 삽입하고, 상기 삽입판에 지지판 혹은 반사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캔디.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투명하게 제작된 캔디 표면 혹은 캔디 내부에 빛의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도록 하는 미세 구조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캔디 표면 혹은 내부에서 빛의 반짝임 현상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캔디에서,
    캔디 내부에 홀로그램 현상이 발생되는 삽입판을 삽입하고, 상기 삽입판의 본체 혹은 삽입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은 식용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캔디.
KR1020030087402A 2003-09-27 2003-12-03 홀로그램 캔디 KR101132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219 2003-09-27
KR20030067219 2003-09-27
KR1020030080369 2003-11-13
KR20030080369 2003-11-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610A Division KR20110089112A (ko) 2011-06-20 2011-06-20 홀로그램 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52A KR20050031052A (ko) 2005-04-01
KR101132981B1 true KR101132981B1 (ko) 2012-04-09

Family

ID=3723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402A KR101132981B1 (ko) 2003-09-27 2003-12-03 홀로그램 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9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1588A (ja) * 1987-03-30 1988-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付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1588A (ja) * 1987-03-30 1988-10-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ホログラム付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052A (ko) 200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70725A1 (en) Edible articles that include edible optical element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AU2012221022B2 (en) Food product with a moulded body
US20060172046A1 (en) Fancy candy edible stickers
KR101132981B1 (ko) 홀로그램 캔디
US20050031752A1 (en) Three-dimensional cake sculpture method and product
FR2640473A1 (fr) Preparation alimentaire bi-dimensionnelle destinee a decorer des preparations alimentaires salees ou sucrees
WO2003005839A2 (en) Edibles containing edible optical elements and methods
KR20110089112A (ko) 홀로그램 캔디
JPS62220149A (ja) 貴金属、宝石等で装飾した食品
JP6506737B2 (ja) 成形食品
RU70752U1 (ru) Штучное кондитерское изделие
CN106413416B (zh) 冷冻/冷藏甜点及其制作方法和装置
KR101132980B1 (ko) 홀로그램 캔디
Begleiter Edible holography: the application of holographic techniques to food processing
RU235888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крашения тор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рашения торта
KR20110089113A (ko) 홀로그램 캔디
JPS61195648A (ja) スナツクチヨコレ−トの製法
RU2168905C1 (ru) Форма для отливки конфет в виде фигурки матрешки
JP7041501B2 (ja) グミキャンディセット
CN113968043A (zh) 一种食品包装盒及食品包装盒的制作方法
KR200166924Y1 (ko) 축하용 롤라이스 케익
JP3017980U (ja) からすみ
KR20240072053A (ko) 외피를 씌운 음식 제조방법과 그 응용
JP2005253340A (ja) ホログラム模様付きチョコレ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成形型
JP2001252017A (ja) 食品装飾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