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260B1 -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260B1
KR101132260B1 KR1020110119998A KR20110119998A KR101132260B1 KR 101132260 B1 KR101132260 B1 KR 101132260B1 KR 1020110119998 A KR1020110119998 A KR 1020110119998A KR 20110119998 A KR20110119998 A KR 20110119998A KR 101132260 B1 KR101132260 B1 KR 101132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lighting
plasma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규
Original Assignee
박범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범규 filed Critical 박범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non-electronic flash apparatus; Non-electronic flash units
    • G03B15/041Separatable flash apparatus; Means for mounting the flash apparatus on the photograph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야간 중 시인성을 가지도록 조명 기능을 제공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빛을 발산하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게 하여 조경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특허문헌 1의 음향장치 기능의 단조로움에서 기타 부가 기능을 더욱 다양화할 수 있도록 카메라가 설치된 영상기록부나 보조적인 조명장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면에 입설되는 본체(11) 내에 플라즈마 발생기(16)가 구비된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빛을 도광하도록 한 도광체(21)가 상기 전원부(10) 상에서 원기둥 형태로 설치된 조명부(20)와; 상기 조명부(20) 상부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31)가 설치된 영상기록부(30)와; 상기 조명부(20) 상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카메라(31)를 고정하며 총모자와 양태(챙)를 형상화 한 양반 갓 형태의 갓 형상부(32); 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CLOSED-CIRCUIT TELEVISION USING PLASMA LIGHTING}
본 발명은 가로변이나 공원, 고궁, 고수부지 등 야외에 설치하여 야간 중 조명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부에 양반 갓을 형상화 한 조형물을 구비하고, 그 하부에는 무선 통신 설비 등의 콘트롤 박스 제어에 의해 조명 밝기를 비롯하여 카메라에 의한 영상 기록, 360°영상 또는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음향 및 보조적 조명 장치가 선택적으로 구비된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공원 등에 설치되는 조명등은 야간 중 시야확보와 방범의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발광물질의 종류에 따라 수은등, 네온등, 형광등, 나트륨등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명등은 전력 소모량이 크고 수명이 짧아서 전구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등, 유지 관리가 번거롭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휘도가 높고 전력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조명등이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나, LED 조명등의 경우, 휘도가 높기 때문에 야간 중 빛을 발하는 광원 기능 외에 별다른 기능이 없고, 시각적으로도 디자인적인 요소가 없이 단조롭기 때문에 그 활용성이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조명등의 단점을 인식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36860호(특허문헌 1)와 같이 야간 중 시인성을 가지도록 조명 기능을 제공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빛을 발산하며, 주변인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음향 기능을 갖춘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가로등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스피커가 구비된 음향부를 갖추고 있으므로 그 외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적용하기 어렵고, 또한 가로등의 최 상부에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상모를 형상화하였으나 상모는 주로 천민이 쓰던 모자였기에, 이를 적용한 가로등을 양반이 생할하던 고택이나 고궁에 설치하는 것은 전통적인 관점에서 보면 적합하지 않다는 측면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6860호(공고일: 2011. 5. 25)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간 중 시인성을 가지도록 조명 기능을 제공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로운 빛을 발산하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게 하여 조경 기능을 가질 뿐 아니라, 특허문헌 1의 음향장치 기능의 단조로움에서 기타 부가 기능을 더욱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360°영상 또는 동영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카메라가 설치된 영상기록부 또는 보조적인 조명장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입설되는 본체(11) 내에 플라즈마 발생기(16)가 구비된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빛을 도광하도록 한 도광체(21)가 상기 전원부(10) 상에서 원기둥 형태로 설치된 조명부(20)와, 상기 조명부(20) 상부에 설치되어 주변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31)가 설치된 영상기록부(30)와, 상기 조명부(20) 상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카메라(31)를 고정하며 총모자와 양태(챙)를 형상화 한 양반 갓 형태의 갓 형상부(32);의 결합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갓 형상부(32)는, 중심에 상기 카메라(31)가 관통 가능한 원형의 중심공(322)이 천공된 원판 형태의 갓 플레이트(321)와, 봉 형태로서 일측 단부가 상기 조명부(2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갓 플레이트(321)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갓 플레이트를 조명부 상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하는 복수 개의 제2지지봉(33)과, 총모자 형상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태 형상부 하단 둘레면에 상기 갓 플레이트(321)가 안착되는 원형의 하부턱(325)이 형성된 갓 머리(324)와, 상기 갓 플레이트(321)의 둘레부에서 상기 갓 머리(324)의 하부턱(325)을 관통하는 체결부재(3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31)의 상단에는 상기 중심공(322)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31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31)가 중심공(322)의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상기 조명부와 갓 형상부 사이에는 스피커(41)를 포함하는 음향부(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기 조명부와 갓 형상부 사이에는 백열등, 수은등, 네온등, 형광등 중 어느 하나인 제2조명등(51)을 포함하는 제2조명부(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로서, 상기 조명부와 갓 형상부 사이에는 시각적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기시(61) 및 청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62)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영상표시기(61)는 360°영상 또는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LCD, LED, OLE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표시기이고, 상기 영상표시기의 외측에 투명 소재의 커버패널(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양태 형상부의 하단면은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6)을 형성하여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원부(10)는, 원형의 본체(11) 외면에 설치된 호 형태의 제어기(70)와, 상기 제어기(70)에 설치되어 비상시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버튼(80)과, 사용되는 전기소모량을 표시하는 전기계량기(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 형태로 설치된 도광체에 플라즈마를 이용한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야간 중 시인성을 가지도록 빛을 발하는 동시에 시각적으로 안정감이 있고 은은한 조명을 통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상단에 양반 갓을 형상화함으로써 전통적인 관점에서 고궁이나 양반들이 기거하던 고택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이 음향부의 음향 기능을 통해 주변인에게 음악을 들려주거나 각종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카메라를 통해 주변을 감시하거나 영상을 기록할 수 있으므로 사고시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고 범죄를 예방할 수 있고, 360°영상 또는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변인에게 뉴스나 스포츠, 각종 미디어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비상시 재난 상황이나 대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조명 외에 다른 조명장치를 부가할 수 있는 등, 그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전원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에서 양반 갓이 형상화 된 영상기록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다양한 변형 형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다양한 변형 형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전원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에서 양반 갓이 형상화 된 영상기록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조명 장치는, 크게 지면에 입설되는 본체(11) 내에 플라즈마 발생기(16)가 구비된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빛을 도광하도록 한 도광체(21)가 상기 전원부(10) 상에서 원기둥 형태로 설치된 조명부(20)와, 상기 조명부(20) 상에 설치된 카메라(31)를 포함하는 영상기록부(30)로 대별된다.
상기 전원부(10)는, 본체(11) 하단에서 외향 돌출되어 지면과 접하도록 한 플랜지(12)와, 상기 본체(11)가 지면 고정되었을 때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2) 상면과 본체(11) 외면에 사이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리브(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 외면에는 내부의 플라즈마 발생기(16)에서 발생하는 고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구(14)가 구비될 수 있고, 또한 본체(11) 상부에도 방열구(15)가 구비될 수 있다.
플라즈마 발생기(16)는, 일반적으로 전자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전자파 안내하는 도파관과, 상기 도파관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상기 도파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전자파를 공진시키기 위한 공진기와, 상기 공진기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진되는 전자파의 전계에 의해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되며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 전구와, 상기 전구의 주변에 설치되고 전원에 의해 상기 전구의 초기 방전을 유도하는 방전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론에서 전자파가 발생되고, 전자파가 도파관을 통해 공진기로 유입되면서 공진된다. 이때 상기 공진기에서 공진되는 전자파에 의해 전구에 충진된 가스가 여자되어 플라즈마 상태로 변환되면서 빛을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플라즈마 발생기(16) 구조와 작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도면은 생략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16) 상부에는 반사갓(17)이 구비되고, 상기 반사갓(17)과 상기 도광체(21)는 커넥터(18)에 의해 밀봉 상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16)에서 발생한 빛은 반사갓(17)을 통해 확산되어 도광체(21) 내부로 조사된다. 이때 상기 도광체(21) 입구에 컬러유리(19)를 설치하는 경우, 컬러 유리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컬러 유리(19)는, 플라즈마 조명등을 사용할 때 마그네트론의 유해 전자파 파장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무선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대의 파장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리 표면에 은(Ag) 또는 이산화주석(SnO2)의 나노 물질을 코팅하여 박막화된 나노코팅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나노코팅층 상면에는 가시광선의 파장대 중 어느 한 영역의 파장대만 투과될 수 있도록 산화탄탈(Ta2O5), 이산화규소(SiO2), 산화티탄(TiO2)에서 택일된 유전체 물질을 코팅하여 컬러필터코팅층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상기 조명부(20)는, 상기 원통형 도광체(21) 주변에 수직하게 설치된 복수 개의 제1지지봉(22)과, 상기 도광체(21)와 제1지지봉(22)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판(23)은 상기 도광체(21)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제1고정홀(231)이 천공되고, 상기 제1고정홀(231) 주변에는 상기 제1지지봉(22)이 관통하도록 복수 개의 제2고정홀(232)이 천공되며, 이와 같은 형태의 지지판(23)은 도광체(21)의 상부와 하부, 그리고 필요에 따라 중앙부에 각각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상기 도광체(21)는, 여러 겹의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압출 성형된 원통형의 투광필름(211)이 위치하고, 상기 투광필름(211) 외면에는 반사필름(212)이 위치하며, 상기 반사필름(212) 외면에는 도광필름(213)이 위치한다.
상기 반사필름(212)은 도광체(21) 내부로 유입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지 않도록 전반사하는 것으로, 이 경우 상기 플라즈마 발생기(16)로부터 유입된 광이 반사필름(212)에 전반사되어 도광체(21)의 내부 공간을 통해 그 상부까지 전달된다.
또한, 상기 도광필름(213)은 도광체(21)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밝기로 면 발광할 수 있게 한 것으로, 가요성을 가지며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에서 선택되는 폴리머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영상기록부(30)는 주변을 영상 혹은 사진으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31)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23)에서 최상부에 위치한 지지판(23)의 중심은 막힘판(23a)이 구비됨으로써 조명부(20)의 빛이 카메라(31)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되게 하여 카메라(31)의 영상 기록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31)는 양반 갓을 형상화 한 갓 형상부(32)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기 갓 형상부(32)는 조명부(20) 상단에서 제2지지봉(33)에 의해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31)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갓 형상부(32)는 양반 갓을 형상화한 것으로, 일반적인 양반 갓은 총모자와 양태(챙)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갓 형상부(32) 역시 총모자 형상부와 양태 형상부로 이루어진 것인데, 이러한 구조에서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 적합한 구조의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과 같이 상기 갓 형상부(32)는, 갓 플레이트(321)와, 상기 제2지지봉(33)과, 갓머리(324) 및 체결부재(323)를 포함한다.
상기 갓 플레이트(321)는 원판 형태로 되고 중심에는 상기 카메라(31)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중심공(32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제2지지봉(33)은 복수 개이고,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전선(W)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관의 봉 형태를 가진다. 또한 제2지지봉(33)의 일측 단부는 상기 조명부(2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갓 플레이트(321)의 하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갓 플레이트(321)가 조명부(20) 상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갓머리(324)는, 총모자 형상부와 양태(챙) 형상부로 이루어지고, 총모자 형상부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양태 형상부 하단 둘레면에는 상기 갓 플레이트(3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진 하부턱(32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31)의 상단에는 상기 중심공(322)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3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갓 형상부(32)와 카메라(31)의 설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조명부(20) 상에 제2지지봉(33)을 매개로 하여 갓플레이트(321)를 설치한 다음, 상기 카메라(31)를 중심공(322)의 위에서 아래로 관통시키면 플랜지(311)가 상기 갓 플레이트(321)의 상단에 걸려서 고정(플랜지(311)의 직경은 중심공(322)의 직경보다 크다)되고, 이후 제2지지봉(33) 중 어느 하나에서 인출한 전선(W)을 상기 카메라(31)와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갓플레이트(321)에 상기 갓머리(324)의 하부턱(325)을 얹은 다음 나사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323)로 상기 갓 플레이트(321)의 둘레부에서 상기 갓 머리(324)의 하부턱(325)을 관통하여 갓플레이트(321)와 갓머리(324)를 고정하여 완성한다.
이때 상기 양태 형상부의 하단면은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경사면(326)이 형성되면 빗물의 총모자 형상부와 양태 형상부의 상면을 타고 흘러내릴 때 경사면(326)을 타고 카메라(3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다양한 변형 형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실시예의 상기 조명부(20)와 갓 형상부(32) 사이에 시각적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기(61) 및 청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62)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61)는 360°영상 또는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표시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만의 DYNASCAN사에서 시판중인 D50816(모델명)과 같이 360도 LED 비디오 디스플레이 제품 또는 그것과 균등한 제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표시기(61)의 액정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영상표시기(61)의 외측에 투명 소재의 커버패널(6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패널(63)은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이 광투과도가 우수한 재질의 합성수지재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62)는 상기 영상표시기(61)에서 표시되는 영상과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고, 비상시에는 비상 사이렌을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기타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등,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원격에 의해 적의 선택하여 각종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10)에서 원형의 본체(11) 외면에는 제어기(7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70)에는 비상시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버튼(80)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전원부(10)의 소정 위치에는 전기소모량을 표시하는 전기계량기(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70)는, 전술한 조명부(20), 영상기록부(30), 디스플레이부(60)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디자인을 고려하여 원형의 본체(11)와 대응하도록 일정 각도 범위에서 호 형태 또는 원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상버튼(80)은 주변에서 비상상황 발생시 누구든지 누룰 수 있게 된 것으로 비상버튼(80)이 작동하면 주변 경찰서나 지구대에 경보음이 발생하는 동시에 해당 영상기록부(30)가 촬영하고 있는 주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형성된 스피커(62)에서 사이렌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비상버튼(80)은 공간 활용성을 고려하여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제어기(7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계량기(90)는 전술한 조명부(20), 영상기록부(30), 디스플레이부(60) 등에서 사용하는 전기소모량을 계측하기 위한 것으로 그 설치 위치에는 제한이 없고, 도시한 것과 같이 제어기(70)의 하부나 측면 또는 후방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명부(20), 영상기록부(30), 디스플레이부(60) 등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설비를 이용하여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바, 이는 공지의 통신수단과 제어수단을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조명부(20)의 외측에는 영상기록부(30)의 카메라(31)가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있음을 알리는 안내표지판(6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표지판(64)의 재질은 스텐인리스(stainless),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비닐 등 부식이 되지 않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에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의 다양한 변형 형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명부(20)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60)에 대체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600)가 형성되고, 상기 영상기록부(30)는 상기 음향부(600) 상단에서 일정 거리 상향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실시예에서 영상표시기(61)를 제외하고 각종 안내방송이나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부(600)만 설치한 것이며, 이 역시 조명부(20) 상단에 설치되는 동시에 영상기록부(30)와 일정 거리 이격 설치하여 카메라(31) 촬영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전원부 11: 본체 12: 플랜지
13: 리브 14, 15: 방열구 16: 플라즈마 발생기 17: 반사갓 18: 커넥터 19: 컬러유리
20: 조명부 21: 도광체 22: 제1지지봉
23: 지지판 211: 투광필름 212: 반사필름
213: 도광필름 231: 제1고정홀 231: 제2고정홀
30: 영상기록부 31: 카메라
32: 갓 형상부 33: 제2지지봉
311: 플랜지 321: 갓플레이트 322: 중심공
323: 체결구 324: 갓 머리 325: 하부턱
326: 경사면 W: 전선
60: 디스플레이부 61: 영상표시기 62: 스피커
63: 커버패널 64: 안내표지판
70: 제어기 80: 비상버튼 90: 전기계량기

Claims (13)

  1. 지면에 입설되는 본체(11) 내에 플라즈마 발생기(16)가 구비된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빛을 도광하도록 한 도광체(21)가 상기 전원부(10) 상에서 원기둥 형태로 설치된 조명부(20)와; 상기 조명부(20) 상에 시각적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기(61) 및 청각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스피커(62)가 구비된 디스플레이부(6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60) 상단에서 일정 거리 상향 이격 설치되고 주변을 촬영 가능한 카메라(31)가 설치된 영상기록부(30)와; 하부에 상기 카메라(31)를 고정하며 총모자와 양태(챙)를 형상화 한 양반 갓 형태의 갓 형상부(32);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영상표시기(61)는 360°영상 또는 동영상 시청이 가능한 LCD, LED, OLE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표시기이고, 상기 영상표시기의 외측에 투명 소재의 커버패널(63)이 더 형성되고,
    상기 양태 형상부의 하단면은 외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진 경사면(326)을 형성하여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며,
    상기 갓 형상부(32)는,
    중심에 상기 카메라(31)가 관통 가능한 원형의 중심공(322)이 천공된 원판 형태의 갓 플레이트(321)와, 봉 형태로서 일측 단부가 상기 영상기록부 또는 음향부 상단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갓 플레이트(321)의 하단에 고정되어 상기 갓 플레이트를 조명부 상단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하는 복수 개의 제2지지봉(33)과, 총모자 형상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태 형상부 하단 둘레면에 상기 갓 플레이트(321)가 안착되는 원형의 하부턱(325)이 형성된 갓 머리(324)와, 상기 갓 플레이트(321)의 둘레부에서 상기 갓 머리(324)의 하부턱(325)을 관통하는 체결부재(323)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31)의 상단에는 상기 중심공(322)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31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31)가 중심공(322)의 위에서 아래로 관통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20)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60)에 대체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부(600)가 형성되고,
    상기 영상기록부(30)는 상기 음향부(600) 상단에서 일정 거리 상향 이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0)는,
    원형의 본체(11) 외면에 설치된 호 형태의 제어기(70)와,
    상기 제어기(70)에 설치되어 비상시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버튼(80)과,
    사용되는 전기소모량을 표시하는 전기계량기(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20), 영상기록부(30), 음향부(600), 제2조명부(50) 중 적어도 하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설비를 이용하여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20) 외측에 영상기록부(30) 설치를 표시하는 안내표지판(6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지판의 재질은 스텐인리스(stainless),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폴리비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KR1020110119998A 2011-06-16 2011-11-17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KR101132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397 2011-06-16
KR20110058397 2011-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2260B1 true KR101132260B1 (ko) 2012-04-02

Family

ID=4614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998A KR101132260B1 (ko) 2011-06-16 2011-11-17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6796B2 (en) 2012-05-23 2018-04-17 Iphenotype Llc Phenotypic integrated social search database and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567A (ko) * 2002-07-10 2004-01-16 주식회사 케이. 씨 전자 광역 가로등 시스템
KR20080079386A (ko) * 2007-02-27 2008-09-01 탁승호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에 의한 복합발전기능을 가지고 원격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가로등
KR100900795B1 (ko) 2008-10-20 2009-06-02 노삼례 가로등 등기구 조립수단 구조
KR101036860B1 (ko) 2010-12-13 2011-05-25 박범규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가로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567A (ko) * 2002-07-10 2004-01-16 주식회사 케이. 씨 전자 광역 가로등 시스템
KR20080079386A (ko) * 2007-02-27 2008-09-01 탁승호 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에 의한 복합발전기능을 가지고 원격제어에 의하여 작동되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발광다이오드가로등
KR100900795B1 (ko) 2008-10-20 2009-06-02 노삼례 가로등 등기구 조립수단 구조
KR101036860B1 (ko) 2010-12-13 2011-05-25 박범규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가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6796B2 (en) 2012-05-23 2018-04-17 Iphenotype Llc Phenotypic integrated social search databas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951B2 (ja) 照明器を有するカメラ構造
TW469419B (en) New led traffic light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20150179031A1 (en) Security device
US7748148B2 (en) Display sign adapted to be backlit by widely spaced light emitting diodes
EP2896776A1 (en) Window structure body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US20100225502A1 (en) Colored LED traffic light display
CN201844217U (zh) 灯具装置
KR101559544B1 (ko) 방범용 cctv 안전표지판
KR20160028614A (ko) 다기능 가로등
JP2008129785A (ja) 誘導標識装置
JP2009151967A (ja) Ledランプ
KR101132260B1 (ko)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방범용 카메라
KR101889718B1 (ko) 블랙박스 및 로고라이트 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101283375B1 (ko) 정보 수집 및 표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통신 방범시스템용 디스플레이 조명장치
KR20160150558A (ko) Led 표시판을 구비한 cctv 감시 카메라 시스템
JP2023052594A (ja) 照明器具
JP2005056689A (ja) 遮音壁用照明装置
KR102176932B1 (ko) 다기능 면발광장치
KR101036860B1 (ko) 플라즈마 조명등을 이용한 가로등
JP2016095816A (ja) 信号灯器
JP2005317348A (ja) 表示装置及び信号灯
JP4384923B2 (ja) 表示灯
KR102288251B1 (ko) 전광판 수단을 갖는 등기구
KR101653056B1 (ko) 광고기능이 구비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