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579B1 -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579B1
KR101131579B1 KR1020107014594A KR20107014594A KR101131579B1 KR 101131579 B1 KR101131579 B1 KR 101131579B1 KR 1020107014594 A KR1020107014594 A KR 1020107014594A KR 20107014594 A KR20107014594 A KR 20107014594A KR 101131579 B1 KR101131579 B1 KR 10113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horses
west nile
pfu
yellow f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2038A (ko
Inventor
토마스 피이. 모나드
주안 아로요
Original Assignee
사노피 파스테르 바이오로직스 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 파스테르 바이오로직스 씨오 filed Critical 사노피 파스테르 바이오로직스 씨오
Publication of KR2010009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25Virus
    • A61K2039/5256Virus expressing foreign prote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24011Flaviviridae
    • C12N2770/24111Flavivirus, e.g. yellow fever virus, dengue, JEV
    • C12N2770/24122New viral proteins or individual genes, new structural or functional aspects of known viral proteins or ge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METHODS OF PREVENTING AND TREATING FLAVIVIRUS INFECTIONS IN ANIMALS}
본 발명은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비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의학적 및 수의학적 설계(settings)와 관련된 소형의, 피복 양성-가닥 (enveloped positive-strand) RNA 바이러스이다. 예를 들면, 플라비바이러스 군인 웨스트 나일(WN) 바이러스는 감염성, 비접촉감염성의 절지동물 매개 바이러스병인 WN 뇌염의 원인이다(Monath et al.,"Flaviviruses,"In Virology, Fields (ed.), Raven-Lippincott, New York, 1996, pp. 961-1034). 이 바이러스는 아프리카, 서아시아, 중동, 유럽의 지중해 지역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미국에서 발견되고 있다. 야생의 조류에서 기생하면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가 인간, 조류, 및 말, 양, 소 및 돼지와 같은 동물을 물면서 바이러스는 전염된다.
1999년, 뉴욕에서 신경계 증후군을 갖는 25마리의 말이 WN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 발견되었다. 이들 말들은 운동 실조를 나타내고, 걷기가 어렵거나, 주먹결절형성(knuckling over), 머리기울임, 근육떨림, 및 일어서지 못하는 등의 증상을 나타냈다. 25마리의 말 중에서, 9마리는 죽거나 안락사되었고, 바이러스 특이 항체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가 이들 말로부터 나온 조직 샘플에서 발견되었다. 생존한 16마리의 말은 모두 회복되었고, 또한 WN 바이러스 항체가가 개발되었다. 그 이후,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성 말의 수치 증가가 확인되었다.
플라비바이러스 단백질은 다기능단백질(polyprotein)을 생산하는 단일의 긴 개방 해독 틀(open reading frame)의 해독(translation)에 의하여 생산되는데, 다기능단백질은 해독 이후에 성숙한 바이러스 단백질을 생성하기 위해 숙주와 바이러스의 단백질 분해효소의 조합(combination)에 의한 복잡한 일련의 해독후 단백질 가수분해 절단(post-translational proteolytic cleavages)을 거친다 (Amberg 등, J. Virol. 73:8083-8094, 1999; Rice, "Flaviviridae", In Virology , Fields(ed.), Raven-Lippincott, New York, 1995, Volume I, p.937).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은 다기능단백질에서 C-prM-E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데, "C"는 캡시드(capsid)를, "prM"은 바이러스 엔벨로프-결합 M 단백질의 전구체를, "E"는 엔벨로프 단백질 (envelope protein)을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 단백질은 다기능단백질의 N 말단 영역에 존재하는 반면에, 비구조 단백질(non-structural proteins; NS1, NS2A, NS2B, NS3, NS4A, NS4B 및 NS5)은 다기능단백질의 C 말단 영역에 존재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비인간 포유동물(예를 들면, 말) 체내에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예를 들면,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비인간 포유동물에게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에 있어서,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의 용도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는 제 1 플라비바이러스(예를 들면, 17D 균주로부터 유래된 황열병 바이러스와 같은 황열병 바이러스)의 캡시드 및 비구조 단백질, 및 제 2 플라비바이러스(예를 들면,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의 prM 및 엔벨로프 단백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몇가지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이하에 논의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치료된 말은 백신접종으로 인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이후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도 예방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웨스트 나일과 같은 말을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예방하는데 있어서 고도로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원에 기술되어 있는 황열병/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키메라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면 황열병 바이러스의 숙주는 매우 특이적이고 영장류에 한정된다. 따라서, 영장류와 간접적으로만 관련이 있는 말은 황열병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 범위 밖이기 때문에,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시험감염에 대한 말의 예방에 있어서, 황열/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키메라의 효험은 놀랄만한 것이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백신 바이러스는 키메라로서, 하나 이상의 다른 바이러스로부터 나온 것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야생형으로의 복귀(reversion) 기회는 배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말과 같은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예를 들면, 웨스트 나일(WN)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발병 위험에 처해 있거나 살아있는 약독화된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의 백신접종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구조 단백질(들)이 제 2 플라비바이러스의 대응되는 구조 단백질(들)로 대체되어 면역원성이 얻어진 플라비바이러스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키메라가 제 2 플라비 바이러스의 prM 및 E 단백질로 prM 및 E 단백질이 교체된 백본(backbone) 플라비바이러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키메라 바이러스는 상기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면역원성이 요구되는 바이러스가 삽입 구조 단백질의 출처인 경우라면, 임의의 바이러스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말과 같은 동물에게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백신접종을 하기 위해,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구조 단백질(예를 들면, prM 및 E 단백질)이 삽입된 황열병 바이러스(YF)와 같은 플라비바이러스 백본으로 구성된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 키메라에서, YF prM 및 E 단백질은 WN의 그것들로 교체되어 있다. 유사하게, 만약 일본뇌염(JE)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원성이 요구된다면, 일본 뇌염 바이러스의 prM 및 E 단백질은 대응되는 백본 단백질 대신에 황열병 바이러스와 같은 백본 플라비바이러스로 삽입될 수 있다. 말에서 병을 유발하고 보호면역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플라비바이러스에는 쿤진(Kunjin), 머레이 밸리 뇌염(Murray Valley encephalitis) 및 도약병 바이러스(Louping ill virus)가 포함된다.
말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동물에는 돼지, 양, 소, 고양이 및 개와 같은 가축 및 사육용 조류가 포함될 수 있다. 말 이외에 구체적인 백신접종의 예로서는, 양이 웨슬스브론 바이러스(Wesselsbron virus) 또는 도약병 바이러스로부터 나온 구조 삽입 단백질을 포함하는 키메라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고, 돼지가 일본 뇌염 바이러스로부터 나온 구조 삽입 단백질을 포함하는 키메라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다.
따라서, 백본 바이러스 또는 구조 단백질 삽입체의 출처로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플라비바이러스의 예에는 헤파시바이러스 속(예를 들면, 헤파티티스 C 바이러스)으로부터 유래된 바이러스 뿐만 아니라; 일본뇌염 바이러스, 뎅기(항원형 1, 2, 3 또는 4), 황열병(예를 들어, YF 17D), 머레이 벨리(Murray valley) 뇌염, 세인트 루이스(St. Louis) 뇌염, 웨스트 나일(West Nile), 쿤진(Kunjin), 로시오 (Rocio) 뇌염, 일헤우스(Ilheus)와 같은 모기 매개 플라비바이러스; 중부 유럽(Central European) 뇌염, 시베리아 뇌염, 러시아 봄-여름 뇌염(Russian Spring-Summer encephalitis), 키아사누 포레스트 질병(Kyasanur Forest Disease), 옴스크 출혈열(Omsk Hemorrhagic Fever), 도약병(Louping ill), 포와산(Powassan), 네기쉬(Negishi), 엡세타로프(Absettarov), 한살로바(Hansalova), 아포이(Apoi) 및 하이프르 바이러스(Hypr virus)와 같은 진드기 매개 뇌염이 포함된다. 삽입 구조 단백질의 출처로 사용될 수 있는 그 밖의 바이러스에는 페스트 바이러스 속(예를 들면, 소 설사 바이러스)으로부터 유래된 바이러스, 및 라사(Lassa), 에볼라 (Ebola), 및 마르버그(Marburg) 바이러스와 같은 다른 바이러스들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것과 같이, 바이러스가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삽입체를 포함하는 황열병 바이러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키메라 바이러스를 만드는 상세한 방법이 예를 들면 미국특허 출원 번호 09/007,664, 09/121,587 및 09/452,638; 국제출원 PCT/US98/03894 및 PCT/US00/32821; 및 Chambers 등의 J. Virol. 73:3095-3101, 1999년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백신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숙련가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적합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신은 적절한 키메라 바이러스로 감염된 세포 배양물로부터 수득된 유체 상태로서 투여되고 제형될 수 있다. 살아있는 약독화된 키메라 바이러스는 102 내지 108, 예를 들면 106 내지 107의 감염단위(예를 들면, 용균반 형성 단위(pfu) 또는 조직 배양물 감염 투약량)를 포함하는 증류수 용액을 0.1 내지 1.0ml의 투약 부피로, 예를 들면, 피하, 근육내 또는 진피내 경로를 통해서 투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구와 같은 점막 경로가 선택될 수도 있다. 투여에 적합한 양의 선택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가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이 양은 예를 들면, 키메라가 투여될 동물의 크기, 형태 및 평소 건강 상태의 많은 요인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백신은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에 처해 있는 동물에게 1차 예방제로서 투여될 수 있다. 백신은 또한 플라비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을 유발함으로써 플라비바이러스-감염 동물을 치료하기 위한 2차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요구되지는 않더라도, 보조제가 키메라 백신의 면역원성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보조제의 선택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실시예]
실험 결과
ChimeriVax-WN의 안정성 및 효과는 말에서 평가되었다. 효과는 시험감염으로부터 얻어진 체액성 면역 반응 및 예방 효과의 관점에서 정의되었다.
동물
11마리의 말이 본 연구에 사용되었고,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말은 본 연구기간 동안 ABSL3 콘테인먼트 빌딩에서 사육되었고 알팔파 헤이(alfalfa hay) 및 혼합된 낟알이 공급되었다. 이하에 동물의 특징 및 처리에 관하여 요약하였다.
성별 나이(year) 처리 소견
EQ1 F 8 2회 백신접종 시험감염으로부터 충분히 예방됨
EQ2 F 14 2회 백신접종 시험감염으로부터 충분히 예방됨
EQ3 CM 9 2회 백신접종 제엽염으로 인해 시험감염 전에 안락사
EQ4 F 16 2회 백신접종 시험감염으로부터 충분히 예방됨
EQ5 F 8 시험감염 모델
발생(development) 104 pfu IT
시험감염 이후 2일째 안락사; WN-관련 질병을 나타내지 않음
EQ6 F 9 시험감염 모델
발생(development) 104 pfu SC;
4일째 CSF 탭
회복 가능한 완화된 WN-관련 질병
EQ7 F 10 시험감염 모델
발생(development) 104 pfu IT
접종 후 20-22일째 실질적인 질병; 24일째 안락사; 뇌염으로 판명
EQ8 F 8 시험감염 모델
발생(development) 105 pfu IT
7일째 심각한 실질적 질병; 뇌염으로 판명
EQ9 CM 6 시험감염 모델
발생(development) 105 pfu IT
8일째 심각한 실질적 질병; 뇌염으로 판명
EQ10 CM 8 시험감염 모델 105 pfu IT 8일째 심각한 실질적 질병; 뇌염으로 판명
EQ11 CM 11 시험감염 대조군 105 pfu IT 8일째 심각한 실질적 질병; 뇌염으로 판명
면역화
4마리 말(EQ1, EQ2, EQ3, 및 EQ4)은 3주 간격으로 ChimeriVax-WN 바이러스로 2회 주입함으로써 면역화되었다. 각 면역화에서, 107 용균반 형성 단위(pfu)의 바이러스 1ml를 왼쪽 어깨 위에 피하 접종하였다.
백신접종된 말의 바이러스혈증은 표준 WN 용균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시료들은 그 자체 및 1:5로 희석한 것에서 두쌍으로 테스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바이러스혈증의 농도가 0 내지 7일 동안 매우 낮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혈증의 최대값은 3 및 4일째 검출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백신접종 후 각 말로부터 채취된 샘플에서 용균반 감소 중화 시험(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를 이용하여 측정된 항체 농도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요컨대, 2마리는 발병하였고 1차 면역화로부터 2주 이내에 10의 80% 감소 역가(reduction titer)를 가졌고, 4마리의 말 모두가 4주째(2차 면역화 1주 후)에 10 내지 20의 값을 가졌다.
말( Equine ) 시험감염 모델의 유효성
WNV를 이용한 말에 대한 모기매개 시험감염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혈증을 가져오지만 실질적인 질병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따라서, WNV의 예방성 면역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합한 시험감염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험감염 바이러스는 WNV NY99(4132)로서, 원래 까마귀로부터 동정되었고 베로 세포(Vero cells)에서 1회 및 C636 세포에서 1회 계대배양되었다. 백신 추가접종 이후에 관찰되는 과민성 반응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바이러스들 추가적으로 BHK-21 세포에서 계대배양하고, 흡착 이후에 FBS 포함 접종물을 세척해내고, 20%의 WNV/SLE-음성혈청반응의 말 혈청을 이용하여 원액을 제조하였다. 이 FBS-제거 제조액은 PBS에서 희석되었고, 말 EQ1, EQ2, EQ4, EQ8, EQ9, EQ10 및 EQ11의 시험감염에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말은 경막내 접종에 의해 시험감염되었다. 이 과정 동안 말들은 자일렌 및 케타민의 혼합물로 마취되었고, 무균 환경 하에서 대조천자(cisternal tap)를 수행하였다. 2ml의 CSF가 회수되었고, 1.0ml의 바이러스가 주입되었다. 모든 경우에서, 상기 과정으로부터 특별한 예가 나타나지 않는다.
시험감염 발병 연구로부터 나온 결과는 하기에 요약되어 있다.
EQ5
이 말은 경막내 경로를 통해 104pfu의 WNV가 접종되었다. 말은 그날 및 그 이후에도 정상으로 나타났으나, 2일째 아침에 눕는 현상 및 미미한 반응이 발견되었다. 말을 안락사시켜 부검하였는데, 뇌의 몇 부위에서는 바이러스가 회수되지 않았다. 이 동물은 전날 밤에 심각하게 악화되고 척수에 심각한 손상을 입었을 수 있는데 부검시에는 조사되지 않았다. 말의 사망은 WNV 감염과 관련되지 않은 것이 명백한 것으로 나타났다.
EQ6
이 말은 피하 경로를 통해 104pfu의 WNV가 접종되었다; 4일 후에, 혈뇌장벽을 가로지르는 경로를 이용하리라는 생각으로 대조천자를 수행하였다. 10일 째 아침에, 말은 현저하게 불안하였고 정상이 아니었지만, 그 날 저녁에 정상 상태로 회복하였다. 그 밖의 임상적인 증상은 시험감염 6주 후까지 동안 관찰되지 않았다. 접종 이후 첫 13일 동안 매일 2회씩 수집된 혈청 시료는 베로 세포 상의 바이러스를 통해 분석되었다- 어떤 바이러스도 임의의 시료로부터 회수되지 않았다. 수집된 혈청에서 PRNT 분석이 접종 당일 및 3주 후에 수행되었다. 이들 시료의 80%(및 90%)의 중화가는 각각 10(<10) 및 40(40)이었다. 말은 사용되기 전에 혈청학적으로 음성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접종일에 80% 역가에서 1:10은 놀라운 것이었다. 이 동물은 WN의 완화된 경우이다.
EQ7
이 말은 경막 내로 104pfu WNV를 접종함으로써 시험감염되었다; 역적정은 투여될 투약량이 2x105 pfu임을 보여주었다. 말이 신경질적이고 초조함을 나타내던 20일째까지는, 질병과 관련한 임상적인 증세는 없었다. 2일 후, 말은 불안, 머리 및 입술 경련, 근육 경직 및 뒷다리 마비 등의 증상으로 악화되었다. 그러나 23일째 아침에 회복되고 엄밀하게 말해서 임상적인 증세들은 현저히 감소하였다. 24일째 질병이 실질적으로 WNV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기 위해 안락사시켰다. 뇌의 조직병리학적 연구는 광범위하게 퍼져 있는 뇌염을 나타내었다. 베로 세포 상에서 용균반 형성을 통해 1 내지 9일까지 2일마다 수집된 혈청 샘플을 바이러스에 관해 분석하였으나 임의의 샘플로부터 바이러스는 동정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부검에서 수집된 CSF, 및 대뇌, 소뇌, 및 뇌간의 균질액으로부터도 바이러스를 동정하지 못했다(10% 현탁액 및 -1 및 -2의 희석액에서 조직을 분석). 0, 7, 14 및 23일째 수집된 혈청의 PRNT가(80 또는 90% 역가)는 <10, <10, 160, 및 160이었다.
EQ8 EQ9
이 말들은 경막 내로 105pfu WNV를 접종함으로써 시험감염되었다; 역적정은 투여될 투약량이 2x105 pfu임을 보여주었다. 두 마리 말이 7일 내지 7.5일 동안 임상적으로 정상 상태로 남았는데, 그 이후에 심각한 질병이 발병되었다(임상적 설명은 각 동물 기록에 있음). 두 말에서 질병의 경로는 모두 동일하고 양자 모두 9일째 안락사시켜 부검하였다. 조직병리학적 연구는 두 말에서 심각한 뇌염을 나타내었다. 접종 이후 매일 2회 수집된 혈청은 베로 세포에서 용균생산을 통해 분석되었다. 바이러스혈증 역가(log10pfu/ml)는 아래와 같이 결정되었다:
Figure 112010042474174-pat00001
부검시에 수집된 CSF, 대뇌, 소뇌, 뇌간 및 두개 경수(cranial cervical cord) 샘플들은 베로 세포상의 바이러스를 통해 분석되었다. EQ8은 뇌간에서 바이러스 흔적(1.5log10pfu/gram)을 갖고, EQ8은 소뇌에서 미량의 바이러스 (1.3log10pfu/gram)을 가지며; 모든 다른 샘플은 음성이었다. 두 마리는 시험감염시에 <10의 PRNT 역가(PRNT titer)를 가졌다. 안락사시에 EQ8 및 EQ9는 순서대로 160 및 <10의 PRNT 역가(90%)를 가졌다.
백신접종된 말 및 대조군의 시험감염
백신접종된 말 EQ1, EQ2 및 EQ4는 1차 면역화 후 정확히 24주 후에 시험감염되었다. 다른 두 마리의 대조군 말도 동시에 시험감염되었다. 모든 시험감염은 105pfu의 WVN(PBS에 희석된 FBS-제거 제조액)을 포함하는 1.0.ml를 경막내로 접종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접종의 역적정은 말이 거의 125,000 pfu의 바이러스를 받았음을 보여주었다.
두 마리 대조군 말(EQ10 및 EQ11)은 바이러스 접종 후 7 내지 8일째 시작된 심각한 질병을 나타내었고 시험감염 후 8.5일 및 10일 째 각각 안락사되었다. 안락사 시점에서, PRNT 항체가는 순서대로 1:40 및 <10이었다. 시험 감염부터 안락사까지의 기간 동안 0.5일 간격으로 수집된 혈청은 베로 세포 상에서의 용균반 형성을 통해 분석되었다; 바이러스혈증 역가(log10pfu/ml 혈청)는 이하의 표에 나타나 있다(8일 이후에 얻어진 EQ11로부터 나온 음성 시료는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112010042474174-pat00002
또한 부검시에 수집된 CSF, 대뇌, 소뇌 및 뇌간 샘플은 베로 세포 상에서 용균 형성에 의해 분석되었다. CSF 샘플로부터 바이러스는 동정되지 않았다. 바이러스의 흔적(0.1ml의 10% 현탁액이 접종된 웰당 1-2개의 용균)은 말 EQ10의 뇌의 세 부위 모두 및 말 EQ11의 뇌간에서 동정되었다. EQ10 및 EQ11의 조직병리학 연구는 넓게 퍼져있는 뇌염을 보여주었다.
두 마리 대조군 말과의 현저한 대조에서, 백신접종된 말 EQ1, EQ2, 및 EQ4는 시험감염 이후 4주 내에 임의의 실질적인 질병의 증세들을 보여주지 않았다. 나아가, 시험감염 후 최초 10일 간의 이들 동물로부터 1일 2회 수집된 임의의 혈청 샘플로부터 바이러스는 동정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28일 째 부검에서 수집된 대뇌, 소뇌, 뇌간 또는 CSF의 샘플로부터도 동정되지 않았다. 동물 뇌의 조직병리학적 분석은 WNV와 관련되지 않은 흔히 있는 몇가지 소견을 제외하고는 손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WNV에 대한 항체들은 바이러스 접종시 및 안락사시에 수집된 CSF에서 분석되었다(EQ1, EQ2, 및 EQ4에서 28일; EQ10에서 8.5일; 및 EQ11에서 10일). 샘플은 1:5, 10 및 20으로 희석하여 분석되었다. 부검시에 말 EQ1으로부터 수집된 샘플은 1:5에서 용균반 계수 결과는 87%의 감소를 나타냈고, EQ4로부터 얻어진 사후 샘플에서는 1:5에서 98%의 감소가 나타났다. 모든 다른 샘플들은 80% 감소에서 <5의 역가를 가졌다.
백신접종에 대한 혈청학적 반응
혈청 샘플에 네 마리의 면역화된 말로부터 보유기간 동안 매주 수집되었고 두 쌍으로 저장되었다. 중화 항체가가 이들 샘플의 부분으로부터 베로 세포 상에서의 표준 용균반 감소 중화 시험을 이용하여 결정되었다. 단지 몇몇 분석만이 바이러스 접종물에서 8%의 인간 혈청을 이용하여 수행되었고,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42474174-pat00003

Claims (10)

  1. 말의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감염 예방용 약물 제조를 위한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의 사용방법으로서, 상기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는 황열병 바이러스 백본을 포함하고, 상기 황열병 바이러스 백본의 하나 이상의 구조 단백질은 대응되는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의 구조 단백질로 대체되며, 상기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의 투약량은 107 용균반 형성 단위(pf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열병 바이러스 백본의 프리-멤브레인 및 엔벨로프 단백질은 상기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의 프리 멤브레인 및 엔벨로프 단백질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황열병 바이러스는 17D 균주로부터 유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키메라 플라비바이러스는 2회 투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피하, 근육내, 점막 또는 진피내 경로를 통해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점막 투여는 경구 투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말은 웨스트 나일(West Nile) 바이러스에 감염되지는 않았으나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에 처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말은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7014594A 2001-10-19 2002-10-21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KR101131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684501P 2001-10-19 2001-10-19
US60/346,845 2001-10-19
PCT/US2002/033795 WO2003063725A2 (en) 2001-10-19 2002-10-21 Methods of preventing and treating flavivirus infection in animal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766A Division KR20040052245A (ko) 2001-10-19 2002-10-21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689A Division KR20120016315A (ko) 2001-10-19 2002-10-21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2038A KR20100092038A (ko) 2010-08-19
KR101131579B1 true KR101131579B1 (ko) 2012-03-30

Family

ID=2766295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766A KR20040052245A (ko) 2001-10-19 2002-10-21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KR1020127000689A KR20120016315A (ko) 2001-10-19 2002-10-21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KR1020107014594A KR101131579B1 (ko) 2001-10-19 2002-10-21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766A KR20040052245A (ko) 2001-10-19 2002-10-21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KR1020127000689A KR20120016315A (ko) 2001-10-19 2002-10-21 동물의 플라비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6878372B2 (ko)
EP (1) EP1441761B1 (ko)
JP (2) JP5164305B2 (ko)
KR (3) KR20040052245A (ko)
AT (1) ATE359816T1 (ko)
AU (1) AU2002365922B2 (ko)
BR (1) BR0213408A (ko)
CA (1) CA2464138C (ko)
CY (1) CY1107439T1 (ko)
DE (1) DE60219658T2 (ko)
DK (1) DK1441761T3 (ko)
ES (1) ES2284984T3 (ko)
IL (2) IL161501A0 (ko)
MX (1) MXPA04003692A (ko)
NZ (1) NZ532385A (ko)
PT (1) PT1441761E (ko)
RU (1) RU2313367C2 (ko)
SI (1) SI1441761T1 (ko)
WO (1) WO2003063725A2 (ko)
ZA (1) ZA2004030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2708B1 (en) 1997-02-28 2005-11-08 Acambis, Inc. Chimeric flavivirus vaccines
US20030148261A1 (en) * 2001-03-12 2003-08-07 Erol Fikrig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West Nile virus polypeptides
ES2439724T3 (es) * 2001-06-01 2014-01-24 Sanofi Pasteur Biologics, Llc Vectores de flavivirus quiméricos
KR101074175B1 (ko) * 2002-01-15 2011-10-14 사노피 파스테르 바이오로직스 씨오 플라비바이러스 백신
US20050002968A1 (en) * 2002-01-15 2005-01-06 Monath Thomas P. Flavivirus vaccines
ATE452900T1 (de) 2002-11-15 2010-01-15 Sanofi Pasteur Biologics Co Impfstoff gegen das west-nile-virus
BRPI0611581B1 (pt) * 2005-06-24 2021-08-03 Intervet International B.V. Flavivírus quimérico inativado, composição imunogênica, e, vacina
WO2007015783A2 (en) * 2005-07-22 2007-02-08 Research Development Foundation Attenuated strains of flaviviruses , and uses thereof
US8821889B2 (en) 2008-08-29 2014-09-02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Inc. West Nile Virus vaccine
WO2010085358A2 (en) * 2009-01-23 2010-07-29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Flaviviruses expressing the prm, e, and ns1 proteins of other flaviviruses and uses thereof
ES2842595T3 (es) 2011-03-14 2021-07-14 Boehringer Ingelheim Animal Health Usa Inc Vacuna contra la rinitis equina
KR101868554B1 (ko) 2016-10-18 2018-06-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브루셀라 어보투스 ba15 변이주 및 이를 포함하는 브루셀라병 예방용 백신 조성물
GB201716222D0 (en) * 2017-10-05 2017-11-22 Univ Leuven Kath Chimeric Flavivirus Vaccines
CN113372441B (zh) * 2018-04-04 2023-03-10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高灵敏度的黄热病毒人源单克隆抗体及其应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4024B1 (en) * 1988-07-14 2001-02-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himeric and/or growth-restricted flaviviruses
ES2153223T3 (es) * 1991-09-19 2001-02-16 Us Health Flavivirus quimericos y/o flavivirus de crecimiento restringido.
CA2282790C (en) * 1997-02-28 2011-04-19 Oravax, Inc. Chimeric flavivirus vaccines
AU1813901A (en) 1999-12-01 2001-06-12 Oravax, Inc Chimeric flavivirus vaccin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rends Mol. Med., Vol. 7, No. 8, pp. 350-35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64138A1 (en) 2003-08-07
JP2010215647A (ja) 2010-09-30
BR0213408A (pt) 2004-11-03
SI1441761T1 (sl) 2007-08-31
US20030129201A1 (en) 2003-07-10
ATE359816T1 (de) 2007-05-15
DE60219658D1 (de) 2007-05-31
KR20100092038A (ko) 2010-08-19
CA2464138C (en) 2013-08-13
RU2313367C2 (ru) 2007-12-27
WO2003063725A3 (en) 2003-10-30
MXPA04003692A (es) 2005-04-08
CY1107439T1 (el) 2012-12-19
IL161501A0 (en) 2004-09-27
AU2002365922B2 (en) 2007-11-22
DE60219658T2 (de) 2008-01-03
EP1441761A2 (en) 2004-08-04
ES2284984T3 (es) 2007-11-16
DK1441761T3 (da) 2007-08-27
EP1441761A4 (en) 2004-12-29
KR20040052245A (ko) 2004-06-22
KR20120016315A (ko) 2012-02-23
NZ532385A (en) 2007-01-26
US6878372B2 (en) 2005-04-12
JP5164305B2 (ja) 2013-03-21
WO2003063725A2 (en) 2003-08-07
EP1441761B1 (en) 2007-04-18
PT1441761E (pt) 2007-07-16
RU2004115107A (ru) 2005-04-20
JP2005516974A (ja) 2005-06-09
ZA200403047B (en) 2005-06-29
IL161501A (en) 2010-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61943B2 (en) Inactivated chimeric vaccin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2010215647A (ja) 動物におけるフラビウイルス感染を予防および治療する方法
US8968996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apid immunization against dengue virus
US20180228887A1 (en) Compositions, methods of administration and uses for trivalent dengue virus formulations
AU2002365922A1 (en) Methods of preventing and treating flavivirus infection in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