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239B1 -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239B1
KR101131239B1 KR1020100035822A KR20100035822A KR101131239B1 KR 101131239 B1 KR101131239 B1 KR 101131239B1 KR 1020100035822 A KR1020100035822 A KR 1020100035822A KR 20100035822 A KR20100035822 A KR 20100035822A KR 101131239 B1 KR101131239 B1 KR 10113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adhesive layer
transparent substrate
vacuum ba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421A (ko
Inventor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239B1/ko
Priority to US12/838,406 priority patent/US20110253307A1/en
Publication of KR2011011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07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 B32B37/00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treatment or provisions in order to avoid deformation or air inclusion, e.g. to improve surface quality to avoid air inclu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60In a particular environment
    • B32B2309/68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터치스크린의 투명기판과 적층부재 간 접착층을 위치시키는 단계, (B)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진공백에 위치시키고, 상기 진공백을 챔버에 위치시키며,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접착층 간, 상기 적층부재와 상기 접착층 간,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상기 챔버 및 상기 진공백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터치스크린과 적층부재를 전면에서 접착할 때 접착층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여 시인성이 향상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공학기술과 정보기술이 발전을 거듭함에 따라 업무환경을 포함한 일상생활에서 전자기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자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 장치들은 개인용 컴퓨터의 용도 확대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서 최근의 소형화, 박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적합한 입력 수단으로 터치스크린이 대두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접촉하는 화면상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접촉 위치에 관한 정보를 입력 정보로 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 제어를 포함한 전자기기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간단하면서도 오조작이 적고 공간 절약이 가능하며, IT 기기와의 연동성이 용이한 점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제한된 휴대용 기기의 크기 내에서 더욱 큰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방식이 더욱 각광받고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스크린과 좌표입력 수단을 통합함으로써 종래의 키입력 방식에 비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개발되는 표시장치는 스크린 사이즈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디스플레이를 적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고하여,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스크린 장치(10)는 터치스크린(11)과 디스플레이(12)가 양면 접착 테이프(13; DAT)를 통해 접착된다. 여기서, 양면 접착 테이프(13)는 터치스크린(11)과 디스플레이(12) 간 외곽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11)과 디스플레이(12)를 상호 접착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는 양면 접착 테이프(13)가 터치스크린(11)과 디스플레이(12) 간 외측에 형성되므로, 터치스크린(11)과 디스플레이(12) 간 내측에 공기층(14)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하부의 디스플레이(12)로부터 표시되는 영상의 투과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11)과 디스플레이(12) 간 공기층(14)을 제거하도록 양면 접착 테이프(13)를 광학 투명 접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로 대체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2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고하여,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2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터치스크린 장치(20)는 터치스크린(21)과 디스플레이(22)가 광학 투명 접착제(23)를 통해 접착된다. 여기서, 광학 투명 접착제(23)는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어 터치스크린(21)과 디스플레이(22) 간 전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21)과 디스플레이(22) 사이에 별도의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고, 이는 투과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져왔다.
그러나,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20)는 터치스크린(21)과 디스플레이(22)를 잘 문지르면서 접착하더라도, 그 사이에 남아있는 공기층 때문에 기포(24)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포(24)는 터치스크린(21)과 광학 투명 접착제(23) 간, 디스플레이(22)와 광학 투명 접착제(23) 간에 발생하며, 기포(24)에 의해 화면상에 얼룩이 생기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2)로부터의 영상이 굴절되고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의 투명기판과 적층부재를 전면 접착할 때, 접착층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제조방법은, (A) 터치스크린의 투명기판과 적층부재 간 접착층을 위치시키는 단계, (B)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진공백에 위치시키고, 상기 진공백을 챔버에 위치시키며,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접착층 간, 상기 적층부재와 상기 접착층 간,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상기 챔버 및 상기 진공백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진공백에 위치시키고, 상기 진공백을 챔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B2) 상기 진공백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접착층 간, 상기 적층부재와 상기 접착층 간,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진공백에 위치시키고, 상기 진공백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B2) 상기 진공백을 챔버에 위치시키고,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접착층 간, 상기 적층부재와 상기 접착층 간,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부재는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부재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부재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는 상기 투명기판과 대향된 다른 투명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A1) 터치스크린의 투명기판과 적층부재 간 접착층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A2)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적층부재를 상기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가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은, 터치스크린과 적층부재를 전면 접착할 때 접착층에 발생되는 기포를 진공백과 챔버를 이용하여 제거하므로 시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디스플레이로부터의 영상이 굴절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적층부재가 디스플레이인 경우 터치스크린과 디스플레이 간 별도의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투과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가열 및 가압하면서 진공백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므로, 기포 내부의 공기가 더욱 신속하게 진공백의 외부로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10)을 포함하고, 윈도우판(120), 디스플레이(130), 제1 접착층(121), 및 제2 접착층(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사용자의 입력을 인가받아 이에 대한 피드백을 디스플레이(130)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 등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대향된 두 장의 투명기판(111)을 갖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110)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한 장의 투명기판(111)을 갖는 경우, 또는 저항막 방식의 경우도 포함한다 할 것이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10)은 두 장의 투명기판(111), 투명전극(112), 및 스페이서(113)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기판(111)은 터치스크린(110)을 보호함과 동시에 투명전극(112)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투명기판(111)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잘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유리(Glas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기판(111)에는 투명전극(112)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전극(112)은 투명기판(111)의 일면에 형성되어, 특정물체의 접촉 또는 접근으로부터 신호를 인지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투명전극(112)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특정물체의 접촉 또는 접근으로부터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눌림 위치의 좌표를 인식하여 원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을 인가하여 고주파를 투명전극(112)의 전면에 퍼지게 한 후, 신체 등이 접촉 또는 접근하면, 투명전극(112)을 전극으로 하고 투명기판(111)을 유전체로하여 소정의 커패시턴스 변화가 발생하고, 제어부(미도시)에서 변형된 파형을 감지하여 접촉 위치, 또는 접촉 발생 여부 등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투명전극(112)은 하부의 디스플레이(130)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고, 도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투명전극(112)은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폴리 아닐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한 전도성 고분자, 또는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112)은 막대형, 마름모형, 육각형, 팔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페이서(113)는 두 장의 투명기판(111)을 접착시키는 동시에, 각각의 투명기판(111)에 형성된 투명전극(112)을 상호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페이서(113)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절연성과 접착성을 모두 겸비한 광학 투명 접착제(OCA)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윈도우판(120)은 일면의 투명기판(111)에 형성되어 터치스크린(110)을 보호하기 위한 부재이다.
여기서, 윈도우판(120)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특정물체로부터 입력을 받는 부분으로 터치스크린(110) 입력부의 외형을 유지한다. 따라서, 윈도우판(120)은 터치스크린(110)을 외력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큰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잘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유리(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윈도우판(120)은 일면의 투명기판(111)에 제1 접착층(121)을 통하여 접착된다. 여기서, 제1 접착층(121)은 윈도우판(120)과 투명기판(111) 간 전면을 접착시킨다. 또한, 제1 접착층(121)은 전면에 형성되어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예를 들어, 광학 투명 접착제(OCA)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타면의 투명기판(111)에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화상을 표시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3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영상을 보여주고,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10)을 터치하였을 때의 반응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수단이다. 디스플레이(130)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se), 또는 CRT(Cathod Ray Tub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0)는 타면의 투명기판(111)에 제2 접착층(131)을 통해 접착된다. 여기서, 제2 접착층(131)은 디스플레이(130)와 타면의 투명기판(111) 간 전면에 형성되므로, 예를 들어, 광학 투명 접착제(OCA)와 같이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A)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과 적층부재 간 접착층을 위치시키는 단계, (B)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 적층부재, 및 접착층을 진공백(140)에 위치시키고 진공백(140)을 챔버(150)에 위치시키며, 챔버(150)의 내부를 가압, 가열하여 투명기판과 접착층 간, 적층부재와 접착층 간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C)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 적층부재, 접착층이 결합된 터치스크린 장치(100)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적층부재란 터치스크린 장치(100)를 제조함에 있어서,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111)에 적층될 수 있는 부재를 통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윈도우판(120), 디스플레이(130), 동일한 터치스크린(110)을 구성하는 대향된 다른 투명기판(111), 투명전극(112), 반사방지층(미도시), 지문방지층(미도시), 또는 다른 터치스크린(미도시) 등이 될 수 있다. 즉, 적층부재는 윈도우판(120)이 되고 접착층은 제1 접착층(121)이 되거나, 적층부재는 대향된 다른 투명기판(111)이 되고 접착층은 스페이서(113)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서, 적층부재가 디스플레이(130)이고 접착층은 제2 접착층(131)인 경우를 설명하겠다. 단,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에서는 윈도우판(120)과 제1 접착층(121)이 생략되고 터치스크린(11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과 디스플레이(130) 간 제2 접착층(131)을 위치시킨다.
이때,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과 디스플레이(130)는 제2 접착층(131)의 접착력으로 인하여 가접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접착되지는 않고 얼라인 마크를 정렬시키는 정도일 수도 있다. 한편, 제2 접착층(131)은 광학 투명 접착제(OCA)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계, 폴리우레탄계, PVC계, 아크릴계 접착제 등과 같이, 열을 가하면 접착력이 생기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과 디스플레이(130) 간 제2 접착층(131)이 위치되면,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과 제2 접착층(131) 간, 및/또는 디스플레이(130)와 제2 접착층(131) 간에는 공기층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여 기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포(132)는 화면상에 얼룩을 남겨 디스플레이(130)의 영상이 사용자에게 깨끗하게 도달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 디스플레이(130), 및 제2 접착층(131)의 적층체를 진공백(140)에 위치시킨다.
이때, 진공백(140)은 공기배출구(141)를 통하여 진공백(140)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진공백(140)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부재이다. 또한, 진공백(140)은 유연한 부재로 구성되어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 디스플레이(130), 및 제2 접착층(131)의 적층체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진공백(140)이 유연한 재료로 구성됨에 따라 리지드한 재료로 구성된 경우에 비하여 필요한 만큼의 공간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에 도달하는 시간 및 에너지가 절감될 수 있다.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 디스플레이(130), 및 제2 접착층(131)의 적층체가 내부에 포함된 진공백(140)을 챔버(150)에 위치시킨다.
이때, 챔버(150)는 가열과 가압이 가능한 장치로서, 진공백(140)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챔버(150)에는 진공백(140)의 공기배출구(141)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오픈부(1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챔버(150)로서 예를 들어, 오토클레이브(Autoclave)를 사용할 수 있다. 오토클레이브는 고온, 고압하에서 합성, 분해, 승화, 추출 등의 화학처리를 수행하는 내열, 내압성 용기로서, 교반 장치, 진동 장치, 그 밖에 회전 장치를 수반하는 것이 많으며, 재질은 저탄소강, 크롬, 몰리브덴 등 합금강이 사용된다. 용기 내의 온도는 150℃ 내지 600℃ 정도이며, 기압은 250 내지 1200atm 정도이며, 5000atm 이상인 것도 있다.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백(14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챔버(150)의 내부를 가압, 또는 가열 및 가압한다.
이때, 챔버(150)의 내부가 가열됨에 따라 진공백(14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고,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과 제2 접착층(131), 및/또는 디스플레이(130)와 제2 접착층(131) 간 형성되어 있는 기포(132)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한편, 진공백(140)의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됨에 따라, 팽창된 기포(132) 내의 공기는 진공백(140)의 공기배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때, 챔버(150)의 내부가 가압되면 진공백(140)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아 부피가 더욱 신속하게 줄어드므로, 진공백(140)에 남아있는 공기는 더욱 빠르게 공기배출구(141)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30)는 터치스크린(110)에 더욱 강력히 밀착하여 접착될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 디스플레이(130), 및 제2 접착층(131)의 적층체인 터치스크린 장치(100)를 진공백(140) 및 챔버(150)로부터 추출한다.
이때, 챔버(150)의 가열 및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진공백(140)의 진공 상태를 해제한 후, 터치스크린 장치(100)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공정에 의해 도 8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100)가 제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110)의 투명기판, 제2 접착층(131), 디스플레이(130)의 적층체를 진공백(140)에 넣고 이를 바로 챔버(150)에 넣은 후, 진공백(140)의 진공 상태와 챔버(150)의 가열, 가압 상태를 동시에 진행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적층체를 진공백(140)에 넣고 진공 상태를 먼저 유지시킨 후 진공백(140)을 챔버(150)에 넣고 가열, 가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터치스크린 111 : 투명기판
112 : 투명전극 113 : 스페이서
120 : 윈도우판 121 : 제1 접착층
130 : 디스플레이 131 : 제2 접착층
132 : 기포 140 : 진공백
141 : 공기배출구 150 : 챔버
151 : 오픈부

Claims (7)

  1. (A) 터치스크린의 투명기판과 적층부재 간 접착층을 위치시키고,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접착층 간, 상기 적층부재와 상기 접착층 간, 또는 이들 모두에 기포가 형성된 단계;
    (B)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진공백에 위치시키고, 상기 진공백을 챔버에 위치시키며,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가열하여 상기 기포의 부피를 커지게 하고, 가압하여 상기 진공백에 남아있는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C)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상기 챔버 및 상기 진공백으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진공백에 위치시키고, 상기 진공백을 챔버에 위치시키는 단계; 및
    (B2) 상기 진공백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접착층 간, 상기 적층부재와 상기 접착층 간,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터치스크린의 상기 투명기판, 상기 적층부재, 및 상기 접착층을 진공백에 위치시키고, 상기 진공백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단계; 및
    (B2) 상기 진공백을 챔버에 위치시키고, 상기 챔버의 내부를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접착층 간, 상기 적층부재와 상기 접착층 간,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된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재는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재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보호하기 위한 윈도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재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는 상기 투명기판과 대향된 다른 투명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터치스크린의 투명기판과 적층부재 간 접착층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A2) 상기 투명기판과 상기 적층부재를 상기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가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00035822A 2010-04-19 2010-04-19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KR10113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22A KR101131239B1 (ko) 2010-04-19 2010-04-19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US12/838,406 US20110253307A1 (en) 2010-04-19 2010-07-16 Method of Manufacturing A Touch Scree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22A KR101131239B1 (ko) 2010-04-19 2010-04-19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21A KR20110116421A (ko) 2011-10-26
KR101131239B1 true KR101131239B1 (ko) 2012-03-30

Family

ID=4478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822A KR101131239B1 (ko) 2010-04-19 2010-04-19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253307A1 (ko)
KR (1) KR1011312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42752B (zh) * 2011-10-15 2018-03-0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具有贴合结构的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CN104040471A (zh) * 2012-10-09 2014-09-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子设备
US20150185524A1 (en) * 2013-12-30 2015-07-0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ouch-screen Display Device
CN106042601A (zh) * 2016-08-16 2016-10-26 昆山铭世特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高效触控屏压合机
CN110190092A (zh) * 2019-05-17 2019-08-30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675080B1 (ko) 2020-03-10 2024-06-1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317A (ja) * 2003-04-25 2004-11-18 Nippon Sheet Glass Spacia Co Ltd ガラスパネルの中間膜圧着方法
KR100951136B1 (ko) * 2009-01-23 2010-04-07 남동식 개인휴대단말기용 압력 방식 터치스크린 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3317A (ja) * 2003-04-25 2004-11-18 Nippon Sheet Glass Spacia Co Ltd ガラスパネルの中間膜圧着方法
KR100951136B1 (ko) * 2009-01-23 2010-04-07 남동식 개인휴대단말기용 압력 방식 터치스크린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53307A1 (en) 2011-10-20
KR20110116421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239B1 (ko) 터치스크린 장치의 제조방법
US8808483B2 (en) Method of making a curved touch panel
KR102330585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JP6177857B2 (ja) 圧力検出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含むスマートフォン
US20110012842A1 (en) Touch panel using tempered glass
JP2011086191A (ja) 電子機器
JP201110043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19355B1 (ko) 터치패널
TW201633070A (zh) 輸入裝置、感測器、鍵盤及電子機器
US9547030B2 (en) Method of recognizing touch
KR20110108703A (ko) 터치스크린
US20110235230A1 (en) Touch screen
KR20120009677A (ko) 촉각 피드백 장치를 갖으며 위치와 힘을 인식하는 터치기기 및 그 제조방법
CN104699302A (zh) 触控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和触控显示装置
KR20110121662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2468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4679314B (zh) 触控显示装置的制作方法
KR101084802B1 (ko) 터치스크린 장치
US20120019486A1 (en)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19386B1 (ko) 터치스크린
CN104090695A (zh) 一种电容触控屏及使用该触控屏的电子设备
EP2169520A2 (en) Touch panel using tempered glass
EP3267242B1 (en) Terminal
KR101148531B1 (ko) 터치스크린
KR101055524B1 (ko) 터치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