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893B1 -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893B1
KR101130893B1 KR1020090113132A KR20090113132A KR101130893B1 KR 101130893 B1 KR101130893 B1 KR 101130893B1 KR 1020090113132 A KR1020090113132 A KR 1020090113132A KR 20090113132 A KR20090113132 A KR 20090113132A KR 101130893 B1 KR101130893 B1 KR 101130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ucket
water
electrode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696A (ko
Inventor
임태규
이철구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to KR102009011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8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가습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가습장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을 이용하여 습공기를 제조하는 가습필터, 및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물에 대한 전기적인 살균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통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모듈 내에 구비되는 살균전극은 상기 물통의 상기 본체 장착시에만 상기 살균모듈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수조에 선택적으로 침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이 장착되는 경우에만 살균모듈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 내에 구비된 살균전극이 회동운동을 통하여 수조에 침지되어 물을 살균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살균을 가능하게 한다.
가습, 살균전극, 회동, 물통, 수조, 탄성체

Description

가습장치{Humid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에 물통이 장착되는 경우에 살균모듈의 살균전극이 수조 내의 물 속에 침지되도록 한 구조로서 물통이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만 살균전극이 살균모듈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수조 내 물을 살균시키는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한 겨울철에 쾌적한 습도 유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가습기 중 증발식 가습기는 일반적인 가습기와 동일한 가습 성능을 유지하거나 또는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고풍량을 낼 수 있는 송풍팬을 갖는다. 상기의 가습기는 특성상 제품 내에 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도물을 사용하여 가습한다.
보통 수도물 자체 내 포함된 잔류염소성분만으로 가습기 수조 내 초기 세균의 98% 이상을 살균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고풍량을 갖는 송풍팬의 경우 동작 시 외부로부터 실내공기가 유입될 때 공기중에 포함된 세균들이 가습기 의 수조 상의 물과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수조의 물은 세균증식이 이루어지며 동시에 초기 수도물에 포함된 잔류염소도 시간이 경과되며 자연적인 감소가 되어 수조부 내 물은 세균증식이 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서 수도물에 함유된 세균의 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몇 십만마리의 개체수로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면역력이 약한 노인이나 어린이 등의 노약자에게 추가적인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가습기는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이용해서 살균작용을 행한 후에 이를 분무 필터로 가습화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습기는 본체 내에 배치되는 수조 내에 살균용 전극을 침지함으로써 수조 내의 가습용 물에 대해 살균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살균용 전극이 상시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하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안전상 문제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살균용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기적인 연결선이 수조 내의 수분과 접하여 전기적인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가 상존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살균모듈의 외관을 이루는 몸 체 내에 구비된 살균전극은 가습장치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이 장착되는 경우에만 회동운동을 통하여 수조에 침지되어 상기 수조 내의 물을 살균시킴으로써 상기 살균전극의 상시적인 노출을 피하여 안전성을 높인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상기 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을 이용하여 습공기를 제조하는 가습필터, 및 상기 수조에 저장되는 물에 대한 전기적인 살균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통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살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모듈 내에 구비되는 살균전극은 상기 물통의 상기 본체 장착시에만 상기 살균모듈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수조에 선택적으로 침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살균모듈은 내외면을 관통하는 회동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회동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레버, 상기 회동레버에 체결되는 전극홀더, 상기 전극홀더에 고정되는 살균전극, 및 상기 회동레버와 상기 전극홀더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상기 본체에의 장착 과정에서 상기 회동레버가 상기 회동홀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회동레버와 연동하는 상기 살균전극이 상기 회동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수조 내부에 침지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이 상기 회동레버와 상기 전극홀더의 연결부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상기 회동레버 측 일면에는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경우에 수직방향으로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극홀더에는 자성체가 부착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자성체에 대응되도록 자력감지센서가 부착되어지며, 상기 자력감지센서의 상기 자성체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전극홀더의 회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가습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이 장착되는 경우에만 살균모듈의 외관을 이루는 몸체 내에 구비된 살균전극이 회동운동을 통하여 수조에 침지되어 물을 살균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살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에서, 상기 살균전극은 물통이 장착되는 경우에만 살균모듈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상시적인 노출을 피하여 안전성을 높인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살균전극 및 자력감지센서에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을 살균모듈에 일체화하여 모듈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전선의 불필요한 걸림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배가하고 있다.
그리고, 살균전극의 침지과정에서 사용되는 탄성체가 비틀림 코일스프링 타입으로 변경되어져 기존의 직선형 스프링 타입이 사용되는 경우에 비해 복원력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습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전방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후방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살균전극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조의 상부 일측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본체에 장착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통의 사시도, 도 7은 물통 장착 전과 후의 살균 모듈의 위치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가습장치(100)는 본체(101), 본체(101) 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110), 본체(101)의 하부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조(120), 수조(120) 상에 공급된 물에 전기적인 살균을 행하는 살균모듈(130), 수조(120) 내에 저장되는 물을 이용하여 습공기를 제조하는 가습필터(150), 및 가습필터(150)의 상부에 배치되어 강제적으로 분무화된 습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송풍팬(16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가습필터(150)에서 형성된 습공기가 송풍팬(160)을 거치면서 고속유동공기의 형태로 본체(101)의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104)를 통해 본체(101)의 외 부로 배출되어진다.
수조(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06)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가습필터(150)는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복수의 원형필터자재를 구비하는데, 상기 원형필터자재는 각각 분리가능하고 친수성 효과를 가지게 하도록 표면처리된 합성수지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각 원형필터부재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하부에는 수조(120)가 삽입 장착되는 수용부(102)가 마련된다. 상기 수용부(102)는 수조(120)의 물통 수용부(122)에 대응하는 제1수용부(102a)와 수조(120)의 필터 수용부(123)에 대응하는 제2수용부(102b)로 이루어진다.
물통(110)은 본체(101) 내에 수직으로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물통(110)은 수조(120)가 본체(101) 내에 결합되는 경우에 물통 수용부(122)에 하부가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내부의 물을 물통 수용부(122) 내로 배출함으로써 수조(120) 내에 항상 일정한 양의 물이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물통(110)의 측면에는 내부의 수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돌출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6)에 대응되도록 본체(101)에 수위창(105)이 마련된다. 돌출부(116)는 물통(110)이 체결되는 경우에 수위창(105)의 내면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수위창(105)을 통해 물통(110)의 수위를 좀더 용이하게 식별하게 한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살균모듈(13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살균모듈(130)은 물통(110)과 기구적으로 연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즉, 물통(110)이 본체(101)에 체결되는 경우에만 살균모듈(130)을 통해 수조(120) 내의 물에 대한 전기적 살균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살균모듈(130)은 내외면을 관통하는 회동홀(132)이 형성된 몸체(131), 회동홀(13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레버(134), 회동레버(134)에 체결되는 전극홀더(140), 전극홀더(140)에 고정되는 살균전극(145), 및 회동레버(134)와 전극홀더(14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136)를 구비한다.
회동레버(134)는 회동홀(132)에 결합되는 중심체(134a)와 상기 중심체(134a)의 외주면에서 일정부분 돌출형성되는 걸림부(134b)로 이루어진다. 회동레버(134)는 몸체(131)의 일측면에 배치되어지고, 전극홀더(140)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부(143)와 결합된다. 즉, 원형 타입의 연결부(143)에는 소정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회동레버(134)의 중심체(134a)에 견고히 결합하게 된다.
여기에서, 물통(110)의 본체(101)에의 장착 과정에서 회동레버(134)가 회동홀(13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회동레버(134)와 연동하는 살균전극(145)이 회동홀(1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몸체(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수조(120) 내부에 침지되어진다. 한편, 회동레버(134)가 장착되는 몸체(131)의 일측면에는 가이드(133)가 형성되어 물통(110)이 본체(101)에 장착되는 경우에 수직방향으로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물통(110)이 본체(101)에 체결 또는 해제되는 과정에서 살균전극(145)의 침지는 탄성체(1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탄성체(136)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이 전극홀더(140)의 연결부(143)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몸체(131)의 타측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탄성체(136)는 회동레 버(134)와 몸체(131)에 각각 그 끝단이 연결되는 코일스프링의 기능을 하게 된다. 물통(110)에 의해 회동레버(134)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전극홀더(140)가 정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에 탄성체(136)에는 역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이 저장되어진다. 여기에서, 상기의 정방향은 물통(110)이 체결되어지는 경우에 회동레버(134) 및 전극홀더(140)의 회전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가 가능한 것으로 상황에 따라 변동이 가능할 것이다.
탄성체(136)가 비틀림 코일스프링의 형태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직선형 스프링 타입에서 계속적인 반복하중을 받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복원력 저하 현상을 저감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내구성을 증가하게 된다.
전극홀더(140)에는 자성체(142)가 내장된 자석홀더(141)가 부설되고, 몸체(131)의 타측면에는 자성체(142)에 대응되도록 자력감지센서(135)가 부착된다. 상기 자력감지센서(135)는 자성체(142)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 전극홀더(140)의 회동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물통(110)이 회동레버(134)를 가압하게 되면 전극홀더(1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자성체(142)는 자력감지센서(135)와 일직선 상에 있지 않고 점점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자력감지센서(135)에서 감지가 불가능하게 된다. 자력감지센서(135)는 이러한 정보를 감지선로(135a)를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함으로써 살균전극(145)이 침지상태인 것을 파악하고 전류를 살균전극(145)으로 흘려보낼 수 있게 한다.
한편, 물통(110)이 본체(101)로부터 해제되면 탄성체(136)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전극홀더(140)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원위치로 회복하게 되므로 이에 따 라 살균전극(145)도 침지상태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살균전극(145)으로 흘려보내지는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살균전극(145)의 일측에는 용접점(145a)이 형성되어 전극봉(146)이 결합된다. 전극봉(146)에 전원 연결선(149)의 연결부분은 별도의 가압도구에 의해 도전커버(147)가 압착가공된다. 도전커버(147)는 '∞'자 형태의 전기전도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진다. 도전커버(147)를 포함한 상기의 압착된 부분에 대해서는 절연튜브(148)가 둘러싸이는 구조로 형성되어 밀착된 상태에서 누전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살균전극(145)은 복수로 설치가 가능하고 각 전극의 간격은 1.0 내지 4.0 mm 정도의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수조(120) 및 물통(110)의 구조에 대해 살핀다. 수조(120)는 외부 몸체를 이루는 케이싱(121), 케이싱(121) 내부의 격막(127)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된 물통 수용부(122), 케이싱(121)의 타측에 형성된 필터 수용부(123)를 구비한다. 필터 수용부(123) 양측에는 U자형의 안착홈(125)이 형성되어 가습필터(15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이 가능하다. 물통(110)은 중공의 하우징(111), 하우징(111)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112), 하우징(111)의 하부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개(113)를 구비한다.
물통 수용부(122)의 하단에는 누름봉(124)이 형성되는데, 상기 누름봉(124)은 물통(110)의 하부단의 마개(113)에 형성된 토출버튼(114)을 가압하여 물통(110) 내에 저장된 물이 물통 수용부(122)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물통(11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가압부(115)는 회동레버(134)의 걸림부(134b)와 원활하게 연동되도 록 걸림부(134b)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살균장치(100)에 물통(11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의 살균전극(145)의 침지과정에 대해 기술한다.
물통(110)이 본체(101)에 장착되기 전에는 본체(101)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극홀더(140)는 살균모듈(130)의 몸체(131) 후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물통(110)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회동레버(134)를 가압하게 되면 전극홀더(140)가 회전하게 되어 살균전극(145)이 제1수용부(102a) 상에 위치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수조(120)를 본체(101) 하부의 수용부(102)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한다. 물이 채워진 물통(110)이 살균모듈(130)에 형성된 가이드(133)에 의해 안내되어 본체(101)에 수직방향으로 체결된다. 물통(110)이 수조(120)의 물통 수용부(122)에 삽입되어져 토출버튼(114)이 누름봉(124)에 의해 가압되어 물이 물통 수용부(122) 및 필터 수용부(123)에 채워진다. 한편, 물통(110)이 장착되면서 회동레버(134)를 가압하면 전극홀더(140)가 회전하게 되어 살균전극(145)이 물통 수용부(122) 상에 위치한다.
가습장치(100)의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작동을 시작하면 살균전극(145)이 물통 수용부(122)에 저장된 물에 대한 전기전인 살균 작용을 실시하게 되고, 살균된 물은 격막(127)의 하부 양단에 형성된 이송홀(126)을 통해 물통 수용부(122)와 필터 수용부(123) 사이를 왕래한다. 이후, 구동모터(106)의 구동에 의해 가습필 터(150)가 회전하면서 필터 수용부(123)에 저장된 물이 분무화된 후에 송풍장치(160)에 의해 배출구(104)로 토출됨으로써 공기중으로 살균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살균장치(100)를 통한 살균수의 분무화 과정이 종료된 후에 물통(110)이 본체(101)로부터 제거되는 경우에는 전극홀더(140)가 탄성체(136)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몸체(131)의 후면에 위치하게 되어 살균전극(145)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살균장치는(100) 물통(110)이 본체(101)에 장착되는 경우에만 물에 대한 살균 작용을 행하는 살균전극(145)이 회동 운동을 통하여 물에 침지되는 과정을 이루게 한다. 이런 구조 하에서는 물통(110)이 체결되어져야만 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살균전극(145)이 외부에 노출되어져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살균전극(145)에 연결되는 전원 연결선(149)이 전극홀더(140) 내에 위치하도록 모듈화함으로써 안정성을 더욱 높이고자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전방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장치의 후방 일측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살균전극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조의 상부 일측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6은 본체에 장착되어 물을 공급하는 물통의 사시도, 및
도 7은 물통 장착 전과 후의 살균 모듈의 위치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가습 장치 101 : 본체
102 : 수용부 102a : 제1수용부
102b : 제2수용부 110 : 물통
111 : 하우징 112 : 손잡이
113 : 마개 114 : 토출버튼
115 : 가압부 120 : 수조
122 : 물통 수용부 123 : 필터 수용부
124 : 누름봉 126 : 이송홀
127 : 격막 130 : 살균모듈
131 : 몸체 132 : 회동홀
133 : 가이드 134 : 회동레버
134a :중심체 134b : 걸림부
135 : 자력감지센서 136 : 탄성체
140 : 전극홀더 141 : 자석홀더
142 : 자성체 143 : 연결부
145 : 살균전극 146 : 전극봉
147 :도전커버 148 : 절연튜브
149 : 전원 연결선 150 : 가습필터

Claims (6)

  1. 물통(110) 및 상기 물통(1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12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101);
    상기 수조(120) 내에 저장되는 물을 이용하여 습공기를 제조하는 가습필터(150); 및
    상기 수조(120)에 저장되는 물에 대한 전기적인 살균이 행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통(110)과 연동되어 작동되는 살균모듈(130);
    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모듈(130)은 내외면을 관통하는 회동홀(132)이 형성된 몸체(131), 상기 회동홀(13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레버(134), 상기 회동레버(134)에 체결되는 전극홀더(140), 상기 전극홀더(140)에 고정되는 살균전극(145), 및 상기 회동레버(134)와 상기 전극홀더(140)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136)를 구비하고,
    상기 살균전극(145)은 상기 물통(110)의 상기 본체(101) 장착시에만 상기 살균모듈(13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수조(120)에 선택적으로 침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100).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110)의 상기 본체(101)에의 장착 과정에서 상기 회동레버(134)가 상기 회동홀(13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회동레버(134)와 연동하는 상기 살균전극(145)이 상기 회동홀(13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수조(120) 내부에 침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10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136)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서 그 일단이 상기 회동레버(134)와 상기 전극홀더(140)의 연결부(143)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몸체(131)에 고정되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10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31)의 상기 회동레버(134) 측 일면에는 가이드(133)가 형성되어 상기 물통(110)이 상기 본체(101)에 장착되는 경우에 수직방향으로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10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홀더(140)에는 자성체(142)가 부착되고, 상기 몸체(131)에는 상기 자성체(142)에 대응되도록 자력감지센서(135)가 부착되어지며, 상기 자력감지센서(135)의 상기 자성체(142)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전극홀더(140)의 회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장치(100).
KR1020090113132A 2009-11-23 2009-11-23 가습장치 KR101130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32A KR101130893B1 (ko) 2009-11-23 2009-11-23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132A KR101130893B1 (ko) 2009-11-23 2009-11-23 가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696A KR20110056696A (ko) 2011-05-31
KR101130893B1 true KR101130893B1 (ko) 2012-03-28

Family

ID=4436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132A KR101130893B1 (ko) 2009-11-23 2009-11-23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8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86A (ko) 2015-06-09 2016-12-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3375B (zh) * 2019-12-10 2021-06-15 张谷应 一种加湿蒸汽纯净的电极式加湿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856A (ja) 2002-11-07 2004-06-03 Hitachi Hometec Ltd 加湿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6856A (ja) 2002-11-07 2004-06-03 Hitachi Hometec Ltd 加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4686A (ko) 2015-06-09 2016-12-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살균장치
KR101695095B1 (ko) 2015-06-09 2017-01-1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696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9451B1 (en) Humidifier
CN101815481B (zh) 生物活化式口腔护理工具
JP2012052700A (ja) 加湿器
JPS61101725A (ja) 加湿器
EP4176741A1 (en) A cartridge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WO2008060089A1 (en) Easy-cleaning ultrasonic humidifier
JP7265265B2 (ja) 超音波加湿器
JP2012052698A (ja) 加湿器
KR101130893B1 (ko) 가습장치
JP2012052699A (ja) 加湿器
EP425896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ensing a wet paper towel providing a sanitization function
JP5486178B2 (ja) 加湿器
JP2013032867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5004173B2 (ja) 加湿装置
JP2013155958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4297185B2 (ja) 歯ブラシ除菌装置
JP5824655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2011137605A (ja) 加湿機
KR101072727B1 (ko) 가습장치
KR20100115079A (ko) 가습기
JP2011217889A (ja) 空気清浄機および電解水ミスト発生器
CN216601649U (zh) 电子烟的消毒盖及其电子烟
KR20100081062A (ko) 가습장치
CN213372669U (zh) 一种带有消毒功能的电动牙刷套装
CN216417041U (zh) 一种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