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773B1 - 노드 배치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 Google Patents

노드 배치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773B1
KR101130773B1 KR1020090119948A KR20090119948A KR101130773B1 KR 101130773 B1 KR101130773 B1 KR 101130773B1 KR 1020090119948 A KR1020090119948 A KR 1020090119948A KR 20090119948 A KR20090119948 A KR 20090119948A KR 101130773 B1 KR101130773 B1 KR 101130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andidate position
determination result
node placement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152A (ko
Inventor
위 자-무
량 위-산
옌 궈 샤
호 즈-샹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Publication of KR2011005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8Network planning tools
    • H04W16/20Network planning tools for indoor coverage or short range network deploy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6Cell enhancers or enhancement, e.g. for tunnels, building sha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노드 배치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이를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노드 배치 장치는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에 각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연결된 MS(mobile station) 수량(amount)에 따라서 BS(base station) 및 RS(relay station)가 어디에 배치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BS 및 RS는 종래 BS 및 RS 배치 방법의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노드, 배치

Description

노드 배치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NODE DISPOSITION APPARATUS, NODE DISPOSI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노드 배치(disposition)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이를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비-투명형(non-transparent) 무선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 배치 후보(candidate)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Mobile Station amount)에 따라 노드를 디스포징(disposing, 배치) 할 수 있는 노드 배치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이를 기록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거리 관점에서, 현재 이용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은 WWAN (Wireless Wide Area Network), WMAN(Wireless Metropolitan Area Network),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luetooth, Infrared(IR)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표준들로 분류될 수 있다. 이 무선 네트워크 표준들 사이에 WLAN 표준들은 가장 흔하게 사람들의 일상 삶-예컨대, 배선의 필요를 제거하는 WLAN APs(access points)에서, 가정 컴퓨터들 등에서 사용되는 WLAN 무선 네트워크 카드 들-에서 사용된다.
유선 네트워크와 비교하여, 무선 네트워크는 배치하는 것이 더 편리하고, 사용에서 더 큰 모빌리티(mobility)를 가지며, 그 와중에,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은 통상적으로 상기 유선 네트워크를 위해 필요한 인력 및 재료의 비용을 드라마틱하게(dramatically)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불안정한 데이터 전송 범위, 빈약한 데이터 전송 안전성, 낮은 데이터 전송 스피드 등과 같은 많은 한계들을 여전히 갖는다.
스페이스(space)에 무선 네트워크를 배치하는 것이 요구될 때,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이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 신호 커버리지가 상기 전체 스페이스를 커버하기에 적합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하여 흔히 많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이 상기 스페이스에 배치된다. 그러나,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배치에 포함된 많은 중요한 문제들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정확하게 그리고 완전하게 배치하는 방법, 및 모든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이 서로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데이터가 상기 스페이스의 어떤 위치에도 전송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모든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이 서로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스페이스에 무선 네트워크 노드를 적절히 배치할 수 있는; 상기 배치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의 수량을 줄일 수 있는;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네트워크 트래픽 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의 수량에 변화가 발생할 때, 새로운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을 배치하고, 그것에 의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상기 효과적인 신호 커버리지를 최대화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들은 본 기술 분야에서 여전히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노드 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드 배치 장치를 위한 노드 배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노드 배치 장치는 저장 유닛 및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유닛은 전기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 각각에 연결된 MS(mobiile station) 수량을 저장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이 상기 연결 MS 수량보다 더 큰지를 판단하고; 제1 BS(base station) 배치 위치로서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 상기 연결 MS 수량로부터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의하여 공유(shared)되는 공통 연결 MS 수량을 제거하고;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수정된 연결 MS 수량이 제1 판단 결과를 생성하기 위하여 0과 등가가 아닌지를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2 BS 배치 위치로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노드 배치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전기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 유닛은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 각각의 연결 MS 수량을 저장한다.
상기 노드 배치 방법은 이하 단계들:(a)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이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보다 더 큰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BS(base station) 배치 위치로서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로부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의하여 공유된 공통 연결 MS 수량을 제거하도록 하는 단계; (d) 제1 판단 결과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하여금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수정된 연결 MS 수량이 0과 등가가 아닌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단계; 및 (e)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2 BS 배치 위치로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노드 배치 장치에 대한 노드 배치 방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노드 배치 장치에 로드될 때(loaded), 상기 전술한 노드 배치 방법은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효과적인 신호 커버리지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의 수 사이를 절충할 수 있도록, BS 또는 RS가 각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에 따라서 어느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의 효과적인 신호 커버리지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너무 많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을 배치하는 것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배치 비용은 상당히 증가하게 될 것이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가 본 청구된 발명의 특징들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및 선호되는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수반하여 이하 단락들에서 설명된다.
이하 설명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 실시예들은 이 실시예들에 설명된 어떤 구체적인 환경,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특유의 구현들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한다기보다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함이다. 이하 실시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본 발명에 관계없는 구성요소는 설명으로부터 생략되며, 첨부된 도면들에 서 개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치수적인(dimensional) 관계들은 단지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설명되는 것이고, 실제 스케일을 제한하지는 않는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난다. 도 1은 비-투명형(non-transparent)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노드 배치(disposition, 디스포지션) 장치(1)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노드 배치 장치(1)은 저장 유닛(Storage unit)(11) 및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13)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 유닛(11)은 전기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에 연결되고, 상기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노드 배치 후보(candidate) 위치(position)(110)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112), 상기 각각의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의 연결 MS 수량들(amounts)(114 및 116) 및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118)를 저장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노드 배치 장치(1)가 적용되는 상기 비-투명형 무선 네크워크가 도 2a에 도시된다. 상기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는 복수의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201, 203, ..., 211) 및 복수의 MS들(310, 303, ...313)을 포함한다. 도 2에서 실선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배치된 하나의 BS 또는 RS가 인접한 MS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점선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배치된 하나의 BS 또는 RS가 인접한 BS 또는 RS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예컨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에 배치된 하나의 BS 또는 RS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203 및 205)에 배치된 BS들 또는 RS들뿐만 아니라 상기 MS(301), MS(303), MS(305), MS(307) 및 MS(309)와 통신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203 및 205)에 배치된 BS들 또는 RS들뿐만 아니라 상기 MS(301), MS(303), MS(305), MS(307) 및 MS(309)는 모두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의 신호 커버리지(coverage) 이내에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 실시예에서, 상기 MS들뿐 아니라 상기 저장 유닛(11)에 저장된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110),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112) 및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118)는 도 2 각각에 도시된 상기 MS들(301, 303, ...,313)뿐만 아니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 및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에 상응한다. 도 2a에 도시된 상기 모든 MS들이 상기 BS들 또는 상기 RS들의 상기 신호 커버리지에 의하여 커버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노드 배치 장치(1)는 이하 과정들을 수행할 것이다.
먼저, 상기 노드 배치 장치(1)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 203, ..., 211) 중 어떤 것이 가장 큰 연결 MS 수량(amount)를 갖는지를 판단한다. 도 2a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 203, ..., 211)의 상기 연결 MS 수량들은 각각 5,2,1,3,2 및 1이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가 가장 큰 연결 MS 수량을 갖는 것으로 판단한다.
달리 말하면, 만일 하나의 BS 또는 RS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에 배치된다면, 그것의 신호 커버리지는 상기 MS들(301, 303, 305, 307 및 309) 모두를 커버할 수 있어 가장 좋은 배치(deployment)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제1 BS 배치 위치로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를 설정하고,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각각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 211)의 상기 각각의 연결 MS 수량로부터 각각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와 공유되는(shared) 공통 연결 MS 수량을 제거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공통 연결 MS 수량들이 제거된 이후의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나타난다. 도 2b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공통 MS 수량들이 제거된 이후에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 ..., 211)의 상기 수정된 연결 MS 수량들은 1,0,1,0 및 0이다. 여전히 0과 등가가 아닌 몇몇의 수정된 연결 MS 수량들이 있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여전히 상기 신호 커버리지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MS들(예컨대, 311 및 313)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판단 결과를 생성하고, 계속해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 ..., 211) 중 어떤 것이 가장 큰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갖는지를 판단한다.
도 2b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 및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 둘 모두 '1'의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가지며, 그래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차후의 과정을 위해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 및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 중 하나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여기서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가 선택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래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가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것이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를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2 BS 배치 위치로서 설정한다.
만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가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예컨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에 위치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역시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를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RS 배치 위치로서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BS는 더 나은 신호 품질을 제공하지만, RS보다 더 고비용이다. 그래서, 이 실시예에서 상기 배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오직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가 BS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RS가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배치될 것이다. 물론, 다른 실시예들에서, 실질적인(practical) 조건들에 따라 BS가 또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단순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그래서 BS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에 배치될 것이다. 일단 상기 BS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에 배치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개별적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 205, 209, 211)의 상기 각각의 연결 MS 수량로부터 개별적으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와 공유되는(shared) 공통 연결 MS 수량을 제거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 2c를 참고하면, 상기 공통 연결 MS 수량들이 제거된 이후의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된다. 도 2c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공통 MS 수량들이 제거된 이후에,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 205, 209, 211)의 상기 수정된 연결 MS 수량들은 각각 1,0,0 및 0이다. 여전히 0과 등가가 아닌 수정된 연결 MS 수량들이 있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여전히 상기 신호 커버리지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MS(예컨대, 313)가 있다고 판단하며, 계속해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 205, 209, 211) 중 어떤 것이 가장 큰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갖는지를 판단한다.
도 2c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는 1과 등가인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가지며, 그래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가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도 2c에 나타나는 경우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해야 하며,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3)를 RS 배치 위치로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노드 배치은 완료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노드 배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배치 장치(1)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또한 아래 방법으로 노드를 배치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한번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가 랜덤하게 선택되면, 상기 노드 배치 장치(1)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가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제3 판단 결과를 생성할 것이다.
예컨대, 도 2b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5)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고, 그래서 상기 제3 판단 결과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가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예컨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5))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부가적으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5)가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노드 배치 장치(1)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는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제2 판단 결과 및 상기 제3 판단 결과에 따라서 각각 RS 배치 위치로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 및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5)를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1)에 배치된 상기 BS는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7) 및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205)에 배치된 상기 RS들을 통하여 상기 MS(301)와 통신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기 노드 배치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배치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노드 배치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장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 유닛은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 각각의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연결 MS 수량 및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저장한다.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는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한다.
게다가, 상기 제2 실시예의 상기 노드 배치 방법은 컴퓨터를 통하여 상기 노드 배치 장치로 로드(load)되어, 그 안에 포함된 복수의 코드들이 수행되면 상기 노드 배치 방법을 달성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모바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네트워크들에 억세스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어떤 다른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의(tangible) 머신-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의 상기 노드 배치 방법은 이하 단계들을 포함한다. 도 3a를 참고하면, 먼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여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연결 MS 수량이 다른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의 연결 MS 수량들보다 크거나 등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01)가 수행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여 가장 큰 연결 MS 수량을 갖는 상기 다른 노드 배치 후보 위치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402)가 수행된다.
만일 401 단계에서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이 상기 다른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의 상기 연결 MS 수량들보다 크거나 등가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여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이 상기 다른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의 상기 연결 MS 수량들 중의 어떤 것과 등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403)가 수행된다. 만일 그렇다면(즉, 등가라면), 다음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여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선택하는 단계(404)가 수행된다.
404 단계가 완료되거나, 403 단계에서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이 상기 다른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의 상기 연결 MS 수량들 중의 어떤 것과 등가가 아니라면, 다음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여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BS 배치 위치로 설정하는 405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여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로부터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의하여 공유되는 공통 연결 MS 수량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수정된 연결 MS 수량을 생성하는 406 단계가 수행된다.
그 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여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수정된 연결 MS 수량이 0과 등가가 아닌지를 판단하는 407 단계가 수행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즉, 등가라면), 동작(operation)을 중단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408)가 수행된다. 반면, 407 단계에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수정된 연결 MS 수량이 0과 등가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가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409)가 수행된다. 만일 그렇다면(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가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면),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410)가 수행된다.
만일 409 단계에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상기 신호 커버리지가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도 3c를 참고하면,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가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411)가 수행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BS 배치 위치로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412)가 수행된다.
만일 411 단계에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가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다음으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413)가 수행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414)가 수행된다.
상기 전술한 단계들에 부가하여, 상기 제2 실시예는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 설명된 모든 동작들 및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는 이 동작들 및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은 쉽게 제1 실시예의 설명에 기초하여 본 기술의 당업자에 의해 쉽게 평가될 것이고, 따라서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에서 상기 효과적인 신호 커버리지 및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의 수 사이를 절충할 수 있도록, BS 또는 RS가 각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연결 MS 수량에 따라서 어느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비-투명형 무선 네트워크의 효과적인 신호 커버리지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너무 많은 무선 네트워크 노드들을 배치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배치 비용이 상당히 증가될 것이다.
상기 개시(disclosure)는 구체적인 기술적 내용들 및 그것에 의한 발명의 특징들에 관련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로부터 벗어남 없이 설명된 상기 개 시들 및 본 발명의 암시들에 기초하여 다양한 수정들 및 대체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수정들 및 대체들은 상기 설명에서 완전히 개시되지 않을지라도, 그것들은 사실상 첨부된 이하 청구항들에서 커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드 배치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비-투명형(non-transparent) 무선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12)

  1.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비-투명형(non-transparent)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노드 배치 후보(candidate)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 각각에 연결된 MS(mobile station) 수량(amount)을 저장하는 노드 배치 장치를 위한 노드 배치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이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보다 더 큰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
    (b)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제1 BS(base station)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
    (c)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으로부터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의하여 공유되는 공통 연결된 MS 수량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수정 연결된 MS 수량을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
    (d)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수정 연결된 MS 수량이 0과 등가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제1 판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제2 BS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드 배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배치 방법은
    (f)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가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지 않는지 판단하여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상기 제2 BS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 배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배치 방법은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가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는지를 판단하여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relay station)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 배치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된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더 저장하고,
    상기 노드 배치 방법은
    상기 (f)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가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되는지를 판단하여 제3 판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제2 판단 결과 및 상기 제3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 배치 위치로 각각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드 배치 방법.
  5. 비-투명형(non-transparent)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 각각에 연결된 MS 수량(amount)을 저장하는 저장 유닛; 및
    전기적으로 상기 저장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이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보다 더 큰지를 판단하고, 제1 BS 배치 위치로서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으로부터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의하여 공유되는 공통 연결된 MS 수량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수정 연결된 MS 수량을 생성하고,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수정 연결된 MS 수량이 0과 등가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제1 판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제2 BS 배치 위치로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노드 배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가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지 않는지를 판단하여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상기 제2 BS 배치 위치로 설정하는 노드 배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가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는지를 판단하여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 배치 위치로 설정하는 노드 배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추가적으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된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저장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가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제2 판단 결과 및 상기 제3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 배치 위치로 각각 설정하는 노드 배치 장치.
  9.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전기적으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연결된 저장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 유닛은 비-투명형(non-transparent) 무선 네트워크의 제1 노드 배치 후보(candidate)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노드 배치 후보 위치들 각각에 연결된 MS 수량(amount)을 저장하는 노드 배치 장치에 대한 노드 배치 방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를 통하여 상기 노드 배치 장치로 로드될 때(loaded), 상기 프로그램은,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이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보다 더 큰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A;
    상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제1 BS(base station)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B;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연결된 MS 수량으로부터 제1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에 의하여 공유되는 공통 연결된 MS 수량을 제거하여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수정 연결된 MS 수량을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C;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상기 수정 연결된 MS 수량이 0과 등가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제1 판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D; 및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제2 BS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E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가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지 않는지 판단하여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F; 및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상기 제2 BS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G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가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커버하는지를 판단하여 제2 판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H; 및
    상기 제1 판단 결과 및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 배치 위치로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I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제1 BS 배치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된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더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2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가 상기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의 신호 커버리지 이내에 위치되는지를 판단하여 제3 판단 결과를 생성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J; 및
    상기 제1 판단 결과, 상기 제2 판단 결과 및 상기 제3 판단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2 노드 배치 후보 위치 및 제3 노드 배치 후보 위치를 RS 배치 위치로 각각 설정하도록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코드 K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090119948A 2009-11-13 2009-12-04 노드 배치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1130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8138577A TWI394479B (zh) 2009-11-13 2009-11-13 節點佈建裝置、節點佈建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TW098138577 2009-1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152A KR20110053152A (ko) 2011-05-19
KR101130773B1 true KR101130773B1 (ko) 2012-03-28

Family

ID=4401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948A KR101130773B1 (ko) 2009-11-13 2009-12-04 노드 배치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94688B2 (ko)
KR (1) KR101130773B1 (ko)
TW (1) TWI394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57726B (zh) * 2016-04-11 2019-05-17 长讯通信服务有限公司 一种pci规划基站选址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910A (ja) 2000-03-03 2001-09-14 Kddi Corp ネットワーク上のノードへのプログラム配置方法
US20090197613A1 (en) 2008-01-31 2009-08-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node in a wireless system
JP2009246654A (ja) 2008-03-31 2009-10-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プログラム、中継ノード位置算出装置及び中継ノード位置算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3855B2 (en) * 2001-09-13 2010-11-30 Network Foundation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broadcasting content to nodes on computer networks
JP3938582B2 (ja) * 2003-02-19 2007-06-27 富士通株式会社 仮想lan構築装置
JP4370995B2 (ja) * 2004-07-26 2009-1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接続態様設定装置及び接続態様設定方法、並びに接続態様制御装置及び接続態様制御方法等
US20060288093A1 (en) * 2005-05-31 2006-12-21 Jefferson Raley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ustom application ordering and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910A (ja) 2000-03-03 2001-09-14 Kddi Corp ネットワーク上のノードへのプログラム配置方法
US20090197613A1 (en) 2008-01-31 2009-08-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node in a wireless system
JP2009246654A (ja) 2008-03-31 2009-10-22 Railway Technical Res Inst プログラム、中継ノード位置算出装置及び中継ノード位置算出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센서 노드 배치",2007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4권 제1호(A) 2007.6, pp. 282~283(2pa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94688B2 (en) 2012-06-05
TW201117634A (en) 2011-05-16
KR20110053152A (ko) 2011-05-19
US20110116445A1 (en) 2011-05-19
TWI394479B (zh) 201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5768B1 (en) Resource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9357473B2 (en) Adaptive wireless access point discovery
KR102221646B1 (ko) 장치 대 장치 통신 방법 및 단말 장치
CN108141817B (zh) 在多无线接入技术(rat)环境下进行公共陆地移动网(plmn)搜索
WO20160036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network access and wireless data traffic
KR102392413B1 (ko) 동기화 신호 전송을 위한 방법과 장치
CN103619054A (zh) 一种网络频段选择方法、装置及路由器
JP7066751B2 (ja) 端末及び基地局
EP383652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EP3541035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channel
CN103298033A (zh) 受限无线接入点的流量控制
US10165502B2 (en) Asynchronous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devices on different networks via a plurality of provider devices
KR101130773B1 (ko) 노드 배치 장치, 노드 배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JP4876140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セルリスト作成方法
KR102396407B1 (ko) 빔 포밍 방식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 관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
KR20200055712A (ko)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JP5953562B2 (ja) 無線中継システム及び無線中継装置
US9801012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location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method
JP4573034B2 (ja) 移動体通信制御装置および近隣セルリスト情報通知方法
JP5947827B2 (ja) 中継装置、接続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41639B1 (ko) 저전력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KR10216966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주파처리 모듈 제어 방법 및 장치
JP6462639B2 (ja) 無線通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580510A (zh) 数据网络的管理方法及装置
US9736750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