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5712A -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5712A
KR20200055712A KR1020207006953A KR20207006953A KR20200055712A KR 20200055712 A KR20200055712 A KR 20200055712A KR 1020207006953 A KR1020207006953 A KR 1020207006953A KR 20207006953 A KR20207006953 A KR 20207006953A KR 20200055712 A KR20200055712 A KR 2020005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layer entity
pdcp layer
ind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440B1 (ko
Inventor
하이 탕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5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2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and access point con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에 따라 PDCP 계층 엔티티의 재확립의 필요 여부를 유연하게 판단하고, PDCP 계층 엔티티의 재확립이 필요하지 않으면 재설정하는 것을 피하므로,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이동 관리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지시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엔티티를 구성하는데 이용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이동하거나,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변화(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마스터 노드 1(Master Node, MN)에서 MN2로 변화하고, 슬레이브 노드 1(Slave Node, SN)에서 SN2로 변화함)하는 경우,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 필요가 있다.
5G 신규 엔알(New Radio, NR) 통신 시스템에서, PDCP 계층 엔티티는 클라우드 측에 배치되고, 즉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가 동일한 PDCP 계층 엔티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PDCP 계층 엔티티의 재확립의 메커니즘은 5G 시스템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성 정보에 따라 PDCP 계층 엔티티의 재확립의 필요 여부를 유연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PDCP 계층 엔티티의 재확립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재설정하는 것을 피하여, 시그널링 오버 헤드를 줄일 수 있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1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이동 관리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해당 구성 정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지시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엔티티를 구성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PDCP 계층 엔티티를 구성하기 위한 지시 정보에 따라,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므로, 단말기 디바이스는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해야할 경우에는 재확립을 진행하고,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재설정을 진행하지 않음으로써,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 필요가 없는 경우 재확립을 진행하는 것에 의해 초래되는 신호 오버 헤드를 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해당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현재 해당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확정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DCP 계층 엔티티가 재확립되는 것을 비밀키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해당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현재 해당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확정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는 것을 비밀키 정보에 의해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일부 또는 전부 네트워크 노드가 변경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지시 정보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압축 알고리즘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암복호 알고리즘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양태의 실현 가능한 방식에 있어서, 해당 방법은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과정 변수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2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실시 방식의 방법의 모듈 또는 유닛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제 3 양태로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와 연결된다. 메모리는 명령어를 기억하기 위해 이용되고, 프로세서는 명령어를 수행하는데 이용되고,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의 제어하에서 상이한 네트워크 요소와 통신하는데 이용된다.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기억된 명령어를 수행하면, 프로세서에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의 방법을 수행시킨다.
제 4 양태로서, 컴퓨터에 상기 제 1 양태 또는 제 1 양태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 하나의 방법을 수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지시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컴퓨터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제 5 양태로서, 명령어가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고, 컴퓨터에서 수행되면 컴퓨터에 상기 각 양태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중 연결 시스템 아키텍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스템 칩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 해결책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 해결책은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LTE와 5G NR의 이중 연결의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NR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특정 지리 영역에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UE 등의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는 GSM 시스템 또는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또는WCDMA 시스템에서의 기지국(NodeB, NB), 또는 LTE 시스템에서의 진화형 기지국(Evolutional Node Base, EB 또는 eNodeB), 또는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에서의 무선 컨트롤러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중계국, 액세스 포인트, 차량용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미래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측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공중 육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10)의 커버리지 내에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이동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120)는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를 가르킬 수 있다. 액세스 단말기는 셀룰러 폰, 무선 전화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 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춘 핸드 헬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장치, 차내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의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디바이스, 또는 미래 진화형 PLMN의 단말기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기지국, 하나의 코어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2 개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해당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기지국의 커버리지 범위 내에 상이한 수량의 단말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인증 서버 기능(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 AUSF) 등의 기타 네트워크 엔티티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이중 연결 시스템 아키텍처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는 두 가지의 상이한 통신 시스템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고, 도 2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LTE와 NR에 동시에 연결되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단말기 디바이스의 MN 노드는 LTE 통신 노드이며, LTE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NR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도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의 SN 노드는 NR 통신 노드이며, LTE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NR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MN 노드는 NR 통신 노드일 수 있고, LTE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NR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단말기 디바이스의 SN 노드는 LTE 통신 노드일 수 있고, LTE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NR 통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 디바이스는 MN 노드에서 마스타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베어러 및 MCG 분할 로드 베어러를 유지하고, SN 노드에서 세컨더리 셀 그룹(Slave Cell Group, SCG) 베어러 및 SCG 분할 로드 베어러를 유지할 수 있다. MCG 베어러가 MN PDCP1, MN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1 및 MN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를 연결하고, MCG 분할 로드 베어러가 MN PDCP2, MN RLC2 및 MN MAC를 연결하고, MCG 분할 로드 베어러가 또한 MN PDCP2, SN RLC3 및 SN MAC를 연결하여, MN PDCP2 및 SN RLC3 사이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SCG 베어러가 SN PDCP1, SN RLC1 및 SN MAC를 연결하고, SCG 분할 로드 베어러가 SN PDCP2, SN RLC2 및 SN MAC를 연결하고, SCG 분할 로드 베어러 또한 SN PDCP2, MN RLC3 및 MN MAC를 연결하여, SN PDCP2와 MN RLC3 사이는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2에서, MN PDCP1 및 MN PDCP2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에 지나지 않고, 실제 배치는 도 2와 동일하게 구별할 필요가 없으며, MN RLC1, MN RLC2 및 MN RLC3도 마찬가지이고, SN PDCP1 및 SN PDCP2도 마찬가지이고, SN RLC, SN RLC2 및 SN RLC도 마찬가지이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중앙 단위(Central Unit, CU) 및 원격 유닛(Distributed Unit, DU)이 분리되어 제공되며, CU 및 DU의 분리는 RLC 계층/MAC 계층/물리(Physics, PHY) 계층의 엔티티를 PDCP 계층 엔티티와 분리하여 배치하고, 즉 RLC 계층/MAC 계층/PHY 계층 엔터티에 대해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가 상이한 엔티티를 가지며, PDCP 계층 엔터티에 대해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가 동일한 엔티티를 가지며, 해당 PDCP 계층 엔티티가 클라우드(서버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다.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MN 및/또는 SN이 변경되는(예를 들어, MN1에서 MN2로 변경되고, SN1에서 SN2로 변경됨) 경우, PDCP 계층의 엔티티가 위치한 물리적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PDCP 계층의 엔티티를 재확립할 필요가 없고, RLC 계층/MAC 계층/PHY 계층의 엔터티가 위치한 물리적 위치가 변경되고, RLC 계층/MAC 계층/PHY 계층의 엔터티를 재확립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통신 방법은 하드웨어 계층, 하드웨어 계층에서 작동하는 운영 체제 계층 및 운영 체제 계층에서 작동하는 응용 프로그램 계층을 포함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해당 하드웨어 계층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 메모리(주기억이라고도 함)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해당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를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운영 체제, 예를 들어, Linux 운영 체제 Unix 운영 체제, Android 운영 체제, iOS 운영 체제 또는 windows 운영 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해당 응용 프로그램 계층은 브라우저, 주소록, 워드 프로세서, 메신저 등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 또는 특징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이용하는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제품"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디바이스, 캐리어, 또는 매체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자기 기억 장치(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 광디스크(예를 들어,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장치(예를 들어,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다양한 기억 매체는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및/또는 기타 기계 판독 가능 매체를 나타낼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라는 용어는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기억, 포함 및/또는 운반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종종 본 명세서에서 교환되어 이용되는 것이 이해된다. 여기서,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을 설명하는 관련 관계의 일종이며, A 및/또는 B와 같이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고, A만 존재하는 것, A와 B가 동시에 존재하는 것, B만 존재하는 것의 세 가지 경우가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설명서의 "/"문자는 전후의 관련 대상은 일종의 '또는'의 관계임을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방법(2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200)은 도 1에 나타낸바와 같은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고,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도 2에 나타낸바와 같은 이중 연결 시스템 아키텍처에 적용될 수 있고, 해당 방법(200)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도 1에 나타낸바와 같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고, CU와 DU의 분리를 실현할 수 있고, 도 2에 나타낸바와 같은 이중 연결 시스템 아키텍처를 갖는 단말기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해당 방법(200)은 다음을 포함한다.
단계 21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이동 관리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구성 정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지시 정보는 PDCP 계층 엔티티를 구성하는데 이용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미리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위치한 위치가 이동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에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PDPC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지시 정보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PDPC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직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지시 정보는 식별 비트이며, 식별 비트가 0의 값을 갖는 경우,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것을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하고, 상기 식별 비트가 1의 값을 갖는 경우,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는 것을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PDPC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암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현재 해당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확정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고, 현재 해당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확정된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또한, PDCP 계층 엔티티의 각각은 고유의 비밀키 정보가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변경 후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즉 재차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위치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SN 노드가 변경(SN1에서 SN2로 전환)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구성 정보 중 지시 정보에 따라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SN2에 대응하는 SCG 베어러(bearer)의 PDCP 계층 엔티티가 클라우드에 배치되는 경우, PDCP 계층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는 변경되지 않고,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는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SN2에 대응하는 SCG 베어러의 PDCP 계층 엔티티가 클라우드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 PDCP 계층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가 변경되고,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는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SN이 변경(SN1에서 SN2로 전환)한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구성 정보 중 지시 정보에 따라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SN2에 대응하는 SCG 베어러의 PDCP 계층 엔티티가 MN 측에 배치되는 경우, 이용되는 비밀키는 MN PDCP 대한 비밀키이며, 이때, SN은 변화하였지만, 해당 PDCP 계층 엔티티의 물리적 위치는 변화하지 않았고, 이때, 단말기 디바이스는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전부가 변경될 수 있고, 이때,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는 비밀키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여부에 의해 확정할 수 있다.
단계 220에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압축 알고리즘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암복호 알고리즘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과정 변수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는 압축 알고리즘의 재설정, 암복호 알고리즘의 재구성 및 과정 변수의 재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압축 알고리즘의 재설정, 암복호 알고리즘의 재구성 및 과정 변수의 재구성을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한 경우, 압축 알고리즘의 재설정, 암복호 알고리즘의 재구성 및 과정 변수의 재구성을 수행할 때 전후의 수행 순서가 없고, 즉, 단말기 디바이스는 압축 알고리즘의 재설정을 먼저 수행할 수 있고, 암복호 알고리즘의 재구성을 먼저 수행할 수 있고, 과정 변수의 재설정을 먼저 수행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고, 단말기 디바이스가 압축 알고리즘의 재설정, 암복호 알고리즘의 재구성 및 과정 변수의 재구성 중 어느 두 가지를 동시에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된 경우에도, 해당 전후의 수행 순서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PDCP 계층 엔티티를 구성하기 위한 지시 정보에 따라,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여, 단말기 디바이스는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재확립을 진행하고,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재확립을 진행하지 않음으로써,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재확립을 진행하는 것에 의한 신호 오버 헤드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변경된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지시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단말기 디바이스에 지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300)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낸바와 같이,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300)는 수신 유닛(310) 및 처리 유닛(320)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310)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의 이동 관리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해당 구성 정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지시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엔티티 구성하는데 이용되며,
처리 유닛(320)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해당 처리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현재 해당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해당 처리 유닛(320)은 구체적으로
현재 해당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일부 또는 전부 네트워크 노드가 변경된 경우, 해당 수신 유닛(310)가 해당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해당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압축 알고리즘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암복호 알고리즘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처리 유닛(320)은 또한 해당 지시 정보에 따라 해당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과정 변수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디바이스(300)는 본 발명의 방법(200)의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300)의 각 부분의 상기 및 기타 동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에 나타낸 방법(20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고,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의 개략 블록도이고, 해당 디바이스(400)는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410),
기타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기(420),
메모리(410)의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하는데 이용되는 프로세서(430)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수행되면, 해당 프로세서(430)는 도 3의 방법(200)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을 실현할 수 있으며,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때, 해당 디바이스(400)는 단말기 디바이스(예를 들어, 휴대 전화)일 수 있다. 송수신기(420)는 프로세서(430)의 구동하에서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30)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논리 디바이스,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 요소 등일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고,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메모리(410)는 읽기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430)에 명령어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410)의 일부는 비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10)는 디바이스 유형의 정보를 더 기억할 수 있다.
송수신기(420)는 주파수 변조 및 복조 기능 또는 상향 변환 및 하향 변환 기능 등의 신호 송신 및 수신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있어서, 방법의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프로세서(430) 내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 회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집적 논리 회로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의 구동하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400)는 칩 또는 칩 그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단계는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한 수행으로 직접 구현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에 의한 수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의 해당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억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해당 기억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430)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하여, 하드웨어와 함께 상술한 방법의 단계를 수행한다. 중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칩(5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의 시스템 칩(500)은 입력 인터페이스(501), 출력 인터페이스(502), 프로세서(503) 및 메모리(504)를 포함하고, 입력 인터페이스(501), 출력 인터페이스(502), 프로세서(503) 및 메모리(504) 사이는 내부 통신 연결 회로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프로세서(503)는 메모리(504)의 코드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코드가 수행되면, 프로세서(503)는 방법의 실시예에서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구현한다. 간결을 위해,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지는 기술 방안의 구체적인 응용 및 설계 제약에 의해 결정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정된 응용 프로그램마다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 및 간결성을 위해 상기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특정 구체적인 동작 과정이 상기 방법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여기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 기능 구분이고, 실제 실현에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퍼넌트를 결합하거나 다른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특징을 무시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거나 또는 설명한 서로 사이의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에 의한 간접적인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형식, 기계적 형식 또는 다른 형식일 수 있다.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고, 유닛으로서 나타내는 구성 요소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물리적 유닛이 아닐 수도 있고, 즉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위치할 수도 있다. 그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은 실시예의 기술 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구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고, 각 처리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유닛은 하나의 유닛에 통합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실현되어 독립형 제품으로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에 기억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본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하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 방안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기억 매체에 기억된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다)에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시키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가 포함된 해당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제품은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할 수 있는 U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임의의 변경 또는 교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14)

  1. 단말기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이동 관리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지시 정보에 따라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현재 상기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는,
    현재 상기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무선 통신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일부 또는 전부 네트워크 노드가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압축 알고리즘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암복호 알고리즘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단말기 디바이스가 과정 변수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수신 유닛과 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에 대한 이동 관리의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성 정보는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 엔티티 구성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할지 여부를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현재 상기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비밀키 정보이며,
    상기 처리 유닛은 현재 상기 PDCP 계층 엔티티의 비밀키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확정된 경우,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디바이스가 액세스하는 일부 또는 전부 네트워크 노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상기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압축 알고리즘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암복호 알고리즘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14.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PDCP 계층 엔티티를 재확립하는 경우, 과정 변수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디바이스.
KR1020207006953A 2017-09-28 2017-09-28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102375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103919 WO2019061137A1 (zh) 2017-09-28 2017-09-28 无线通信的方法和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712A true KR20200055712A (ko) 2020-05-21
KR102375440B1 KR102375440B1 (ko) 2022-03-17

Family

ID=6590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6953A KR102375440B1 (ko) 2017-09-28 2017-09-28 무선 통신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1483695B2 (ko)
EP (2) EP3661312B1 (ko)
JP (1) JP7024067B2 (ko)
KR (1) KR102375440B1 (ko)
CN (2) CN111447610B (ko)
AU (1) AU2017433998B2 (ko)
BR (1) BR112020004794A2 (ko)
CA (1) CA3075835C (ko)
ES (1) ES2907789T3 (ko)
MX (1) MX2020002997A (ko)
RU (1) RU2748163C1 (ko)
SG (1) SG11202002452SA (ko)
TW (1) TW201916656A (ko)
WO (1) WO20190611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433998B2 (en) 2017-09-28 2023-06-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1756485B (zh) * 2019-03-27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定时器、数据包处理方法及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6324A (zh) * 2009-09-18 2011-04-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聚合小区的重配置方法、设备和系统
US20160044639A1 (en) * 2014-08-08 2016-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ordering function at a user equipment in a dual connectivity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180083688A1 (en) * 2016-08-09 2018-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lane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3702A1 (en) * 2017-05-05 2018-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rrc configurations between interworking nodes in dual connectivity
WO2018228057A1 (en) * 2017-06-16 2018-12-20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Bear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88556A1 (en) * 2002-05-17 2007-12-13 Anton Richard 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 Files
US20090055638A1 (en) * 2005-04-21 2009-02-26 Toshihisa Nakano Algorithm update system
US20070242703A1 (en) * 2006-04-12 2007-10-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inding/combining of plural telecommunications functions
KR100938090B1 (ko) 2006-10-19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US20080119188A1 (en) * 2006-11-21 2008-05-22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ciphering algorithm change in a wireless communcations system
KR101392697B1 (ko) * 2007-08-10 2014-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보안 오류 검출방법 및 장치
KR101603624B1 (ko) * 2007-09-28 2016-03-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패킷 데이터 컨버젼스 프로토콜에서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동작
US20090175163A1 (en) * 2008-01-04 2009-07-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establishment
ES2362397T3 (es) * 2008-04-11 2011-07-04 Innovative Sonic Limited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manipular un procedimiento de transferencia.
US8396037B2 (en) 2008-06-23 2013-03-12 Htc Corporation Method for synchronizing PDCP operations after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thereof
CN101925121B (zh) 2009-06-10 2014-03-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分组数据汇聚协议层重建的方法和装置
CN102158303A (zh) * 2010-02-11 2011-08-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上行链路的重建立方法及用户设备
BR112014002435B1 (pt) * 2011-08-02 2021-11-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stema de computação em nuvem, método de divergência de enlace descendente, e nó de portal de rádio em nuvem
CN103533586B (zh) * 2012-07-03 2016-07-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切换过程中的信令交互及层重建的方法和设备
KR101832840B1 (ko) * 2012-07-24 2018-02-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카운터 검사 및 재구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7819546B (zh) * 2012-11-13 202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基站和用户设备
EP2982173B1 (en) * 2013-04-02 2018-05-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cell chang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WO2014161192A1 (zh) 2013-04-03 2014-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的传输方法、通信设备和通信系统
US20140301188A1 (en) * 2013-04-04 2014-10-09 Nokia Siemens Networks Oy Delivery of protocol data units
US9730129B2 (en) 2013-04-12 2017-08-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DCP operation for dual connection
US9015429B2 (en) * 2013-04-18 2015-04-21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fficient hardware implementation of dictionary based lossless compression
US9538371B2 (en) * 2013-07-10 2017-01-03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04519486B (zh) * 2013-09-29 2018-05-04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用于异构网中无线侧密钥更新的方法和系统
ES2759428T3 (es) * 2014-01-28 2020-05-11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cambio de clave de seguridad y equipo de usuario
US9713044B2 (en) * 2014-01-30 2017-07-18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dual-connectivity operation
CN104935413B (zh) 2014-03-19 2019-12-27 夏普株式会社 分组数据汇聚协议pdcp实体及其执行的方法
CN106134240B (zh) * 2014-03-21 2019-12-1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支持多个载波的移动通信系统中发送/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CN104955064B (zh) * 2014-03-28 2019-01-11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在双连接系统中处理用户设备端rlc/pdcp实体的方法与设备
KR20190107170A (ko) 2014-03-28 2019-09-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베어러 관리 장치, 방법 및 통신 시스템
US20170215225A1 (en) * 2014-08-07 2017-07-2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acket data unit at a user equipment in a dual connectivity systme and device therefor
EP3213486B1 (en) * 2014-10-30 2018-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between user equipments
US10869344B2 (en) * 2015-03-19 2020-12-15 Acer Incorporated Method of radio bearer transmission in dual connectivity
WO2016153130A1 (ko) * 2015-03-23 2016-09-29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6304398B (zh) * 2015-05-15 2021-08-27 夏普株式会社 用于重配置数据承载的方法和用户设备
US9986069B2 (en) * 2016-09-28 2018-05-29 Intel Corporation Devices and methods to compress sensor data
WO2018093169A1 (en) * 2016-11-17 2018-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deactivating cells with scalab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ell aggregation
CN108243469B (zh) * 2016-12-23 2021-07-16 夏普株式会社 用户移动性方法和设备
US10664413B2 (en) * 2017-01-27 2020-05-26 Lear Corporation Hardware security for an electronic control unit
US11272391B2 (en) * 2017-02-03 2022-03-08 Apple Inc. Concatenation of service data units above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layer
CN108632810B (zh) * 2017-03-24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终端设备状态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376115B1 (ko) * 2017-08-10 2022-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dcp 버전 변경에 따른 재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9031751A1 (en) * 2017-08-10 2019-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ALIZING A PDCP ENTITY ASSOCIATED WITH A UM RLC ENT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OF
EP3659391B1 (en) * 2017-08-11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erforming bearer type change of a plurality of bearers configured for user equipment
AU2017433998B2 (en) 2017-09-28 2023-06-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26324A (zh) * 2009-09-18 2011-04-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聚合小区的重配置方法、设备和系统
US20160044639A1 (en) * 2014-08-08 2016-02-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ordering function at a user equipment in a dual connectivity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20180083688A1 (en) * 2016-08-09 2018-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plane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3702A1 (en) * 2017-05-05 2018-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rrc configurations between interworking nodes in dual connectivity
WO2018228057A1 (en) * 2017-06-16 2018-12-20 Jrd Communication (Shenzhen) Ltd Beare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75835A1 (en) 2019-04-04
EP3661312B1 (en) 2022-01-19
KR102375440B1 (ko) 2022-03-17
SG11202002452SA (en) 2020-04-29
AU2017433998B2 (en) 2023-06-08
RU2748163C1 (ru) 2021-05-20
TW201916656A (zh) 2019-04-16
US11889582B2 (en) 2024-01-30
CN111447610A (zh) 2020-07-24
EP3661312A1 (en) 2020-06-03
US20230015741A1 (en) 2023-01-19
JP2021502010A (ja) 2021-01-21
CA3075835C (en) 2023-08-15
ES2907789T3 (es) 2022-04-26
WO2019061137A1 (zh) 2019-04-04
CN111447610B (zh) 2021-08-31
EP3661312A4 (en) 2020-08-05
JP7024067B2 (ja) 2022-02-22
BR112020004794A2 (pt) 2020-09-24
AU2017433998A1 (en) 2020-04-02
EP3982695A1 (en) 2022-04-13
MX2020002997A (es) 2020-07-22
US20200162886A1 (en) 2020-05-21
CN110786074A (zh) 2020-02-11
US11483695B2 (en)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06537A1 (en) Policy transmission method, pcf network ele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889582B2 (en) Terminal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o re-establish a PDCP layer entity based on indication received from a network device
JP2021510021A (ja) 無線通信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
EP36914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transmission failure
US11991559B2 (en) Conges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20520575A (ja) 信号を伝送する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機器
KR20200033804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KR20200099159A (ko) 충돌 해결 방법 및 단말기 디바이스
KR20200030031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EP3618522B1 (en)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722989B2 (e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apparatus, and access network apparatus
CN112449346B (zh) 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0529148A (ja) データ複製をサポートする方法、送信側デバイスおよび受信側デバイス
CN109391951B (zh) 承载类型变换的方法和设备
KR20200091452A (ko)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569531B1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JP2022033964A (ja) 輻輳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機器
JP2021522744A (ja) 通信方法及び通信デバイス
KR20210082430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단말 장치 및 저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