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083B1 - 디스캐쳐 - Google Patents

디스캐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083B1
KR101130083B1 KR1020110078049A KR20110078049A KR101130083B1 KR 101130083 B1 KR101130083 B1 KR 101130083B1 KR 1020110078049 A KR1020110078049 A KR 1020110078049A KR 20110078049 A KR20110078049 A KR 20110078049A KR 101130083 B1 KR101130083 B1 KR 101130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entral rod
runner
rotatably connected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화
Original Assignee
최경화
(주)프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화, (주)프리원 filed Critical 최경화
Priority to KR1020110078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6Ring or disc tossing games, e.g. quoits; Throwing or tossing games, e.g. using balls; Games for manually rolling balls, e.g. mar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캐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간격으로 상부걸림쇠와 하부걸림쇠가 설치된 중앙봉과; 상기 중앙봉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소켓과, 상기 중앙봉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상부걸림쇠에 걸림되는 상부런너와, 일단이 상기 상부소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살대와, 상기 상부살대의 중앙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런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보조살대와, 상기 상부살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상부구조물과; 상기 중앙봉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소켓과, 상기 중앙봉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걸림쇠에 걸림되는 하부런너와,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살대와, 상기 하부살대의 중앙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런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보조살대와, 상기 하부살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천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물과; 복수개의 고리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상부살대 타단과 상기 하부구조물의 하부보조살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사슬과; 상단이 상기 중앙봉의 하단에 끼움됨과 아울러 지지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봉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단 외주면에 연결편이 돌출 형성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의하여 관통되어 연결봉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단 외주면에 체결편이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관과,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관의 체결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다리와, 일단이 상기 지지다리의 중앙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봉의 연결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로 이루어진 삼각받침대;로 구성되어,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휴대성과 보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캐쳐{Gathering Appratus of Flying Disc}
본 발명은 디스캐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관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캐쳐에 관한 것이다.
플라잉 디스크(Flying Disc)는 양력에 의하여 공중을 나는 원반형태의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 이러한 플라잉 디스크를 응용한 여러 가지 놀이가 학교체육이나 사회체육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디스캐쳐('디스크골프타겟'이라 불리기도 함)라 불리는 플라잉 디스크 포집기구에 플라잉 디스크를 넣는 디스크골프 게임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디스캐쳐는 그 부피를 축소시키기가 어려워서 보관이나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시켜 보관성과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플라잉 디스크가 부딪혔을 때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내부로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디스캐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는 일정간격으로 상부걸림쇠와 하부걸림쇠가 설치된 중앙봉과; 상기 중앙봉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소켓과, 상기 중앙봉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상부걸림쇠에 걸림되는 상부런너와, 일단이 상기 상부소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살대와, 상기 상부살대의 중앙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런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보조살대와, 상기 상부살대의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상부구조물과; 상기 중앙봉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소켓과, 상기 중앙봉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걸림쇠에 걸림되는 하부런너와,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살대와, 상기 하부살대의 중앙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런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보조살대와, 상기 하부살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천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물과; 복수개의 고리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구조물의 상부살대 타단과 상기 하부구조물의 하부보조살대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사슬과; 상단이 상기 중앙봉의 하단에 끼움됨과 아울러 지지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봉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단 외주면에 연결편이 돌출 형성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의하여 관통되어 연결봉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단 외주면에 체결편이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관과,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관의 체결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다리와, 일단이 상기 지지다리의 중앙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봉의 연결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로 이루어진 삼각받침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슬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고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그 직경이 다른 고리보다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의 상단 외주면에는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앙봉의 하단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ㄱ'자 형태의 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디스캐쳐는 상부런너와 하부런너를 중앙봉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부살대와 상부보조살대 및 하부살대와 하부보조살대 등을 회동시켜 중앙봉의 외측면에 근접되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어서 휴대성과 보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삼각받침대를 중앙봉으로부터 분리시킨 뒤 지지다리를 밀어서 올리면 슬라이딩관이 상승하면서 지지다리와 링크가 연결봉의 외측면에 근접되므로, 부피가 줄어들어 휴대성과 보관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직경이 다른 고리보다 큰 원형의 고리가 사슬에 구비되므로, 플라잉 디스크가 직경이 큰 원형의 고리에 부딪히는 경우 직경이 큰 원형의 고리가 신속히 회전하여 플라잉 디스크가 하부구조물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하부구조물의 내측으로 포집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오므렸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삼각받침대를 오므렸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삼각받침대를 펼쳤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을 오므렸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삼각받침대를 오므렸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의 삼각받침대를 펼쳤을 때의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캐쳐는 플라잉 디스크(Flying Disc)를 포집하기 위한 놀이기구 또는 운동기구로 '디스크골프타겟'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서, 중앙봉(100)과, 상기 중앙봉(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구조물(200)과, 상기 중앙봉(10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구조물(300)과, 상기 상부구조물(200)과 하부구조물(300)을 연결하는 사슬(400)과, 상기 중앙봉(100)의 하단에 설치되는 삼각받침대(50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봉(100)은 상부 일측에 상부걸림쇠(110)가 설치되고, 하부 일측에 하부걸림쇠(12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걸림쇠(110)와 하부걸림쇠(120)는 상기 중앙봉(100)의 내부에 그 일부분이 설치되고 나머지 부분이 중앙봉(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중앙봉(100)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의 형태는 삼각형 형태이다. 이러한 상부걸림쇠(110)와 하부걸림쇠(120)는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중앙봉(100) 내부로 전체가 들어가고,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에 의하여 중앙봉(100)의 외부에 삼각형 형태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봉(100)은 하단 외주면에 'ㄱ'자 형태의 끼움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구조물(200)은 상부소켓(210)과, 상기 중앙봉(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부런너(220)와, 상기 상부런너(220)에 연결되는 상부살대(230)와, 상기 상부살대(230)에 연결되는 상부보조살대(240)와, 상기 상부살대(230)에 설치되는 덮개(25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소켓(210)은 상기 중앙봉(100)에 의하여 관통되고, 동시에 핀이 중앙봉(100)과 상부소켓(210)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중앙봉(100)의 상측 외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런너(220)는 상기 중앙봉(100)에 관통된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상부소켓(210)의 하측에 설치되고, 중앙봉(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상부런너(220)는 상하로 이동하다가 상기 상부걸림쇠(110)에 걸림됨으로써 하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상기 상부살대(230)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데, 일단이 상기 상부소켓(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소켓(21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211)에는 일정한 직경의 와이어(2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삽입홈(211)에 끼움되도록 설치된 와이어(212)에 상부살대(230)의 일단이 관통되어 상부살대(230)가 와이어(212)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부보조살대(240)는 복수개, 즉 상기 상부살대(230)와 같은 개수가 배치되는데, 상기 상부살대(230)의 중앙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런너(2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살대(230)의 외측면에는 'ㄷ'자 형태의 연결팁(231)이 감싸도록 설치되고, 이 연결팁(231)에 상부보조살대(240)의 일단이 핀결합되어 연결팁(231)으로부터 상부보조살대(240)의 일단이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런너(22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런너(220)의 삽입홈(221)에는 일정한 직경의 와이어(2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상부런너(220)의 삽입홈(221)에 끼움되도록 설치된 와이어(222)에 상부보조살대(240)의 타단이 관통되어 와이어(222)로부터 상부보조살대(240)의 타단이 회동된다.
상기 덮개(250)는 접힘이나 구김이 자유로운 천으로 제작되고, 중앙부분이 상기 중앙봉(100)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살대(230)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덮개(250)는 내측에 탄성밴드(251)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탄성밴드(251)가 복수회 절곡되어 끝이 뭉툭해진 상부살대(230)의 타단에 연결됨으로써 상부살대(230)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구조물(300)은 하부소켓(310)과, 상기 중앙봉(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부런너(320)와, 상기 하부런너(320)에 연결되는 하부살대(330)와, 상기 하부살대(330)에 연결되는 하부보조살대(340)와, 상기 하부살대(330)에 설치되는 받침천(3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소켓(310)은 상기 중앙봉(100)에 의하여 관통되고, 동시에 핀이 중앙봉(100)과 하부소켓(310)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중앙봉(100)의 하측 외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런너(320)는 상기 중앙봉(100)에 관통된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하부소켓(310)의 상측에 설치되고, 중앙봉(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하부런너(320)는 상하로 이동하다가 상기 하부걸림쇠(120)에 걸림됨으로써 상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상기 하부살대(330)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는데,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부소켓(31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소켓(310)의 삽입홈(311)에는 일정한 직경의 와이어(3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부소켓(310)의 삽입홈(311)에 끼움되도록 설치된 와이어(312)에 하부살대(330)의 일단이 관통되어 하부살대(330)가 와이어(312)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보조살대(340)는 복수개, 상기 하부살대(330)와 같은 개수가 배치되는데, 상기 하부살대(330)의 중앙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런너(3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기 하부살대(330)의 외측면에는 'ㄷ'자 형태의 연결팁(331)이 감싸도록 설치되고, 이 연결팁(331)에 하부보조살대(340)의 일단이 핀결합되어 연결팁(331)으로부터 하부보조살대(340)의 일단이 회동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런너(320)의 외주면에는 삽입홈(3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런너(320)의 삽입홈(321)에는 일정한 직경의 와이어(3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부런너(320)의 삽입홈(321)에 끼움되도록 설치된 와이어(322)에 하부보조살대(340)의 타단이 관통되어 와이어(322)로부터 하부보조살대(340)의 타단이 회동된다.
상기 받침천(350)은 접힘이나 구김이 자유로운 천으로 제작되고, 중앙부분이 상기 중앙봉(100)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상기 하부살대(330)의 하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받침천(350)은 플라잉 디스크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막아서 플라잉 디스크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에 탄성밴드(351)가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밴드(351)가 복수회 절곡되어 끝이 뭉툭해진 하부살대(330)의 타단에 연결됨으로써 하부살대(330)에 설치된다. 부연하면, 상기 하부살대(330)는 상기 상부살대(230)보다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고, 따라서 상기 받침천(350)은 상기 덮개(250)보다 그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덮개(250)에 맞아서 낙하하는 플라잉 디스크도 받침천(350)으로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사슬(400)은 복수개의 고리(410)가 상하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사슬(400)은 상단이 상기 상부구조물(200)의 상부살대(230) 타단과 상기 하부구조물(300)의 하부보조살대(340)를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사슬(4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고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그 직경이 다른 고리보다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사슬(4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고리 중에서 다른 고리보다 직경이 큰 원형으로 형성되는 고리는 그 직경이 사슬(400) 전체 길이의 20~30% 정도가 되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고리의 장반경보다 5~7배 정도가 되도록 그 직경을 형성시킨다. 이렇게 형성시키면 플라잉 디스크가 직경이 큰 원형의 고리에 충돌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이렇게 직경이 큰 원형의 고리에 플라잉 디스크가 충돌되면 직경이 큰 원형의 고리가 신속히 회전하면서 플라잉 디스크가 받침천(350) 내부로 포집되도록 하여 플라잉 디스크가 하부구조물(3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직경이 큰 원형의 고리가 구비되지 않고, 모두 직경이 작은 동일한 타원형태의 고리로만 사슬(400)이 형성되면 플라잉 디스크가 사슬(400)에 충돌한 후 튕겨져 나가서 받침천(350) 외부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리고, 사슬(400)을 구성하는 고리(410)가 하부보조살대(340) 주위를 감싸는 형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잉 디스크가 사슬(400)에 충돌하면 사슬(400)이 하부보조살대(340)를 타고 안쪽으로, 즉 중앙봉(100) 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플라잉 디스크를 더욱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삼각받침대(500)는 연결봉(510)과, 상기 연결봉(510)에 의하여 관통되는 슬라이딩관(520)과, 상기 슬라이딩관(520)에 연결되는 지지다리(530)와, 상기 지지다리(530)에 연결되는 링크(54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봉(510)은 상단이 상기 중앙봉(100)의 하단에 끼움됨과 아울러 지지단턱(511)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봉(100)의 하단을 지지한다. 이러한 연결봉(510)의 하단 외주면에는 3개의 연결편(512)이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510)의 상단 외주면, 즉 상기 중앙봉(100)에 끼움되는 부분에 해당되는 외주면에는 끼움돌기(513)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봉(510)의 끼움돌기(513)는 상기 중앙봉(100)에 형성된 'ㄱ'자 형태의 끼움홈(130)에 끼움된다. 이렇게 끼움홈(130)이 'ㄱ'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끼움돌기(513)가 끼움홈(130)에 완전히 끼움되면 중앙봉(100)을 잡고 위로 들어올린다 하더라도 중앙봉(100)으로부터 삼각받침대(500)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관(520)은 상기 연결봉(510)에 의하여 관통되어 연결봉(5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연결봉(510)은 상단 외주면에 3개의 체결편(52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다리(530)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관(520)의 체결편(5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지지다리(530)의 일단은 체결편(521)에 핀결합됨으로써 회동된다.
상기 링크(540)는 일단이 상기 지지다리(530)의 중앙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봉(510)의 연결편(5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링크(540)는 일단이 지지다리(530)의 중간부분에 핀결합됨으로써 회동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편(512)에 핀결합됨으로써 회동된다.
100: 중앙봉 110: 상부걸림쇠
120: 하부걸림쇠 130: 끼움홈
200: 상부구조물 210: 상부소켓
211: 삽입홈 212: 와이어
220: 상부런더 221: 삽입홈
222: 와이어 230: 상부살대
231: 연결팁 240: 상부보조살대
250: 덮개 251: 탄성밴드
300: 하부구조물 310: 하부소켓
311: 삽입홈 312: 와이어
320: 하부런너 321: 삽입홈
322: 와이어 330: 사부살대
331: 연결팁 340: 하부보조살대
350: 받침천 351: 탄성밴드
400: 사슬 410: 고리
500: 삼각받침대 510: 연결봉
511: 지지단턱 512: 연결편
513: 끼움돌기 520: 슬라이딩관
521: 체결편 530: 지지다리
540: 링크

Claims (4)

  1. 일정간격으로 상부걸림쇠(110)와 하부걸림쇠(120)가 설치된 중앙봉(100)과; 상기 중앙봉(100)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부소켓(210)과, 상기 중앙봉(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상부걸림쇠(110)에 걸림되는 상부런너(220)와, 일단이 상기 상부소켓(2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살대(230)와, 상기 상부살대(230)의 중앙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런너(2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상부보조살대(240)와, 상기 상부살대(230)의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250)로 이루어진 상부구조물(200)과; 상기 중앙봉(100)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소켓(310)과, 상기 중앙봉(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부걸림쇠(120)에 걸림되는 하부런너(320)와, 일단이 상기 하부소켓(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살대(330)와, 상기 하부살대(330)의 중앙부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런너(3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하부보조살대(340)와, 상기 하부살대(330)의 하측에 설치되는 받침천(350)으로 이루어진 하부구조물(300)과; 복수개의 고리(410)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구조물(200)의 상부살대(230) 타단과 상기 하부구조물(300)의 하부보조살대(340)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사슬(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런너(220)는 중앙봉(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다가 상기 상부걸림쇠(110)에 걸림됨으로써 하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상기 하부런너(320)는 중앙봉(10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하다가 상기 하부걸림쇠(120)에 걸림됨으로써 상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며,
    상기 사슬(4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고리 중에서 하나의 고리는 그 직경이 다른 고리의 장반경보다 5~7배가 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사슬(400) 전체 길이의 20~3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캐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봉(100)의 하단에는 삼각받침대(500)가 더 설치되되,
    상기 삼각받침대(500)는 상단이 중앙봉(100)의 하단에 끼움됨과 아울러 지지단턱(511)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봉(100)의 하단을 지지하고, 하단 외주면에 연결편(512)이 돌출 형성되는 연결봉(510)과;
    상기 연결봉(510)에 의하여 관통되어 연결봉(5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단 외주면에 체결편(521)이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관(520)과;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관(520)의 체결편(5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다리(530)와;
    일단이 상기 지지다리(530)의 중앙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봉(510)의 연결편(512)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5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캐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510)의 상단 외주면에는 끼움돌기(5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앙봉(100)의 하단에는 상기 끼움돌기(513)가 삽입되는 'ㄱ'자 형태의 끼움홈(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캐쳐.
KR1020110078049A 2011-08-05 2011-08-05 디스캐쳐 KR101130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49A KR101130083B1 (ko) 2011-08-05 2011-08-05 디스캐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049A KR101130083B1 (ko) 2011-08-05 2011-08-05 디스캐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083B1 true KR101130083B1 (ko) 2012-03-28

Family

ID=46142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049A KR101130083B1 (ko) 2011-08-05 2011-08-05 디스캐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0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438B1 (ko) 2014-10-01 2015-10-20 (주)프리원 놀이용 원반 캐쳐
KR20170017981A (ko) * 2014-06-13 2017-02-15 이형용 Cctv가 결합된 디스크 골프 바스켓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디스크 골프 영상 촬영 시스템
KR20200091334A (ko) * 2019-01-22 2020-07-30 김수한 미니 원반 게임용 런처세트와 타겟 및 이를 이용한 게임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889U (ko) * 1996-11-06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도난방지용 도어잠금장치
US6776417B1 (en) * 2002-04-16 2004-08-17 Holgate Inc. Disc golf target
US20080153633A1 (en) 2006-12-21 2008-06-26 Disc Golf Association Disc catching device
US20090143175A1 (en) 2001-09-04 2009-06-04 Min Ming Tarng Golfring, golfrisbee, golf disc and golf basket: Swiveling club to launch flying ring and disk or ball to play gol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889U (ko) * 1996-11-06 1998-08-05 박병재 차량의 도난방지용 도어잠금장치
US20090143175A1 (en) 2001-09-04 2009-06-04 Min Ming Tarng Golfring, golfrisbee, golf disc and golf basket: Swiveling club to launch flying ring and disk or ball to play golf
US6776417B1 (en) * 2002-04-16 2004-08-17 Holgate Inc. Disc golf target
US20080153633A1 (en) 2006-12-21 2008-06-26 Disc Golf Association Disc catch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7981A (ko) * 2014-06-13 2017-02-15 이형용 Cctv가 결합된 디스크 골프 바스켓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디스크 골프 영상 촬영 시스템
KR102161815B1 (ko) 2014-06-13 2020-10-05 강한미 Cctv가 결합된 디스크 골프 바스켓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디스크 골프 영상 촬영 시스템
KR101561438B1 (ko) 2014-10-01 2015-10-20 (주)프리원 놀이용 원반 캐쳐
KR20200091334A (ko) * 2019-01-22 2020-07-30 김수한 미니 원반 게임용 런처세트와 타겟 및 이를 이용한 게임시스템
KR102311662B1 (ko) * 2019-01-22 2021-10-13 김수한 미니 원반 게임용 런처세트와 타겟 및 이를 이용한 게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198B2 (en) Ball returning tent net
KR101130083B1 (ko) 디스캐쳐
US7500675B2 (en) Portable disc golf target
US8162318B1 (en) Article tossing game assembly
US8308166B2 (en) Single loop net with pegs
US6554285B2 (en) Disc golf target
US8668603B2 (en) Lightweight tunnel for baseball pitching practice
US10974114B2 (en) Toss game
JP3177399U (ja) 動物捕獲用罠
US20170304701A1 (en) Net structure with a slide hinge apparatus
KR20120087982A (ko) 구기 종목 경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골문 장치
US6494455B1 (en) Flying disc entrapment device
US6776417B1 (en) Disc golf target
US9597568B2 (en) Target for a thrown object with rapid deploy features
US20140171228A1 (en) Throwing and catching practice net
US20130045815A1 (en) Ball Net with Sack
US2744752A (en) Cone-ball game
US20100331094A1 (en) Removable hole cover for golf green
US8322725B2 (en) Half moon type net
JP2012005400A (ja) モグラ捕獲装置
KR200450824Y1 (ko) 투척 게임기구
US20050006846A1 (en) Hoop toss game
CN202435942U (zh) 搜索犬定位能力训练装置
CN204275438U (zh) 吸盘式梅花桩
CN102907380A (zh) 一种防逃逸型底栖动物捕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