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651B1 -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651B1
KR101129651B1 KR1020040106679A KR20040106679A KR101129651B1 KR 101129651 B1 KR101129651 B1 KR 101129651B1 KR 1020040106679 A KR1020040106679 A KR 1020040106679A KR 20040106679 A KR20040106679 A KR 20040106679A KR 101129651 B1 KR101129651 B1 KR 10112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ry time
information
print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771A (ko
Inventor
이재평
강재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651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ink)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시 화상 및 인쇄용지의 특성에 따라 프린트된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Dry Time)을 가변시켜 양질의 화상을 얻거나 인쇄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 명령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인쇄정보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을 매 출력시마다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 드라이 타임, 프린터 드라이버, 비디오 컨트롤러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INTING TIME IN IMAGE FORMING DEVICE}
도 1은 종래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PC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PC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드라이타임 계산모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도 4의 드라이 타임 계산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사용자 PC 110 : 응용 프로그램
120 : 그래픽 엔진 130 : 프린터 드라이버
131 : 드라이타임 계산모듈 132 : 용지타입별 DB
133 : 오브젝트별 DB 134 : 데이터량별 DB
135 : 인쇄모드별 DB 140 : 스풀러
150 : 입출력 포트 200 : 화상형성장치
210 : 비디오 컨트롤러 220 : 엔진 컨트롤러
230 : 현상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ink)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시 화상 및 인쇄용지의 특성에 따라 프린트된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Dry Time)을 가변시켜 양질의 화상을 얻거나 인쇄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확인 및 보관하며 타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문서 형태로 출력하는 가장 보편화된 수단이다.
최근 들어 프린터는 날로 발전하고 있는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 자동화 기기들과 더불어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각각의 사무자동화 기기들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각각의 사무 자동화 기기를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과 설치 공간을 경감시켜주면서 동시에 복합 문서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이 생산, 판매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PC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PC(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11)을 통해 문서나 그래픽 등의 작업을 완료한 후 인쇄 명령을 하게 되면, 운영체제 프로그램인 그래픽 엔진(GDI, 12)의 제어에 의해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 13)에서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인쇄 내용을 화상형성장치(20)가 해석할 수 있는 명령어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명령어는 스풀러(Spooler, 14)를 거쳐 직렬 포트(Serial Port)나 병렬포트(Parallel Port) 또는 네트웍 드라이버(Network Driver)와 같은 입출력 장치(15)를 통해 화상형성장치(20)의 비디오 컨트롤러(21)로 전달되어진다.
이에 따라, 비디오 컨트롤러(21)에서는 전달된 명령어를 해석하여 비트맵(bitmap)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비트맵 데이터는 엔진 컨트롤러(22)에서 화상으로 형성되어 현상부(23)를 통해 실제 인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해당 인쇄 내용을 출력시 인쇄 용지의 특성이나 데이터량, 오브젝트(Object) 등을 고려하지 않고 인쇄 용지에 프린트된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Dry Time)을 일정하게 적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인쇄되는 데이터량이 많을 경우 드라이 타임(dry time)이 짧아 출력된 인쇄 내용이 마르기 전에 다음 장 인쇄물이 출력됨에 따라 인쇄된 내용이 번지게 되는 등 완전한 출력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데이터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드라이 타임(dry time)이 길어져 빠른 인쇄 속도로 인쇄할 수 없게 되어 전체적으로 인쇄 시간이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ink)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시 화상 및 인쇄용지의 특성에 따라 프린트된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Dry Time)을 가변시킴으로써, 양질의 화상을 얻거나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용지 타입 정보, 인쇄 대상 오프젝트 타입 정보, 인쇄 데이터량 정보, 인쇄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별로 각각의 드라이 시간 정보를 설정하고, 인쇄 명령시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용지 타입 정보, 인쇄 대상 오프젝트 타입 정보, 인쇄 데이터량 정보, 인쇄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정보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을 매 화상 데이터 출력시마다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는, 인쇄용지 타입 정보별 시간 정보가 저장된 용지타입별 데이터베이스와, 인쇄대상 오브젝트정보별 시간 정보가 저장된 오브젝트별 데이터베이스와, 인쇄 데이터량 정보별 시간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량별 데이터베이스와, 인쇄모드 정보별 시간 정보가 저장된 인쇄모드별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통한 인쇄 명령시 인쇄용지타입 정보와, 인쇄대상 오브젝트 정보와, 인쇄데이터량 정보와, 인쇄모드 정보에 따른 각각의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최종 드라이 타임을 계산하는 드라이 타임 계산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 타임 계산모듈은, 기설정된 디폴트 드라이 타임에 상기 용지 타입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가산하여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 계산부와, 상기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오브젝트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가산하여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 계산부와, 상기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데이터량별 데이터베이스 저장된 시간정보를 가산하여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 계산부와, 상기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인쇄 모드별 데이터베이스 저장된 시간정보를 가산하여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 계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산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방법에 따르면, 디폴트 드라이 타임 정보 및 인쇄 용지 타입정보, 인쇄 대상 오프벡트 타입 정보, 인쇄 데이터량 정보, 인쇄모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별로 각각의 드라이 타임을 데이터베이스 설정하는 단계; 인쇄 명령시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 용지 타입정보, 인쇄 대상 오프벡트 타입 정보, 인쇄 데이터량 정보, 인쇄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드라이 시간정보와 디폴트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인쇄용지의 드라이 타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인쇄용지 드라이 타임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잉크가 상기 드라이 타임만큼 지연되어 건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드라이 타임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디폴트 드라이 타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용지타입별 드라이 타임을 가산하여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오브젝트별 드라이 타임을 가산하여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데이터량별 드라이 타임을 가산하여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인쇄모드별 드라이 타임을 가산하여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PC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드라이타임 계산모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사용자 PC(100)와 화상형성장치(200)로 구성되어진다.
사용자 PC(100)는 응용 프로그램(110)과, 그래픽 엔진(120)과, 프린터 드라이버(130)와, 스풀러(140)와 입출력 포트(150)로 구성된다.
응용 프로그램(110)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텍스트나, 그래픽 또는 비트맵(bitmap) 이미지 등의 다양한 오브젝트(Object)를 작업하기 위한 프로 그램을 의미한다.
그래픽 엔진(120)은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운영체제 프로그램으로써, 사용자 PC(100)의 커넬 모드(Kernel Mode)에서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즉, 상기 응용 프로그램(110)으로부터 요청된 인쇄요청신호를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130)으로 전달하며, 프린터 드라이버(130)로부터 생성된 명령어가 상기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프린터 드라이버(130)는 상기 그래픽 엔진(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응용 프로그램(110)을 통해 작성된 인쇄 내용을 상기 화상형성장치(200)가 해석하여 인쇄할 수 있는 명령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프린터 드라이버(130)는 인쇄시마다 가변되어지는 드라이 타임을 계산하기 위한 용지타입별 DB(132)와, 오브젝트별 DB(133), 데이터량별 DB(134), 인쇄모드별 DB(135)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DB에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표 1 내지 표 4의 테이블 정보가 각각 저장되어진다.
즉, 프린터 드라이버(130)는 하기에서 설명될 도 3의 드라이타임 계산모듈(131)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인쇄용지타입과, 인쇄대상 오브젝트(Object), 데이터량, 인쇄모드 등을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인쇄 용지에 프린트된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Dry Time)을 계산하게 된다.
일예로, 용지타입별 DB(132)에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용지타입별 테이블 정보가 저장되어질 수 있으며, 이때 시간의 단위는 [초]를 사용한다.
일반용지 두꺼운 용지 얇은 용지 Cotton 용지 봉투 용지
0 -5 +5 -7 +7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인쇄용지가 일반용지인 경우에는 0초, 두꺼운 용지인 경우에는 -5초, 얇은 용지인 경우에는 +5초, Cotton 용지인 경우에는 -7초, 봉투 용지인 경우에는 +7초로 설정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별 DB(133)에는 다음의 표 2와 같은 오브젝트별 테이블 정보가 저장되어질 수 있다.
텍스트 그래픽 비트맵
-5 5 7

즉,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인쇄되어지는 오브젝트가 텍스트인 경우에는 -5초, 그래픽인 경우에는 5초, 비트맵 이미지인 경우에는 7초로 설정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량별 DB(134)에는 다음의 표 3과 같은 데이터량별 테이블 정보가 저장되어질 수 있다.
2000 dot 5000 dot 10000 dot
1 2 3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한 장의 인쇄용지상의 데이터량이 2000 dot인 경우에는 1초, 5000 dot인 경우에는 2초, 10000 dot인 경우에는 3초로 설정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쇄모드별 DB(135)에는 다음의 표 4와 같은 인쇄모드별 테이블 정보가 저장되어질 수 있다.
연함 보통 진함
-1 0 1

즉,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인쇄모드가 "연함" 모드인 경우에는 -1초, "보통" 모드인 경우에는 0초, "진함" 모드인 경우에는 "1초" 로 설정되어질 수 있다.
한편, 드라이타임 계산모듈(131)은 도 3에서와 같이,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 계산부(131a)와,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 계산부(131b)와,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 계산부(131c)와,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 계산부(131d)로 구성되어진다.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 계산부(131a)는 하기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디폴트 타임으로 설정되어 있는 드라이 타임에 인쇄용지 타입별 시간을 더하게 된다.
용지타입별 드라이 타임(Dry time) = 디폴트 드라이 타임 + 인쇄용지 타입별 타임
그리고,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 계산부(131b)는 하기의 수학식 2에서와 같이 상기 용지타입별 드라이 타임에 오브젝트별 타임을 더하게 된다.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Dry time) = 용지타입별 드라이 타임 + 오브젝트별 타임
그리고,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 계산부(131c)는 하기의 수학식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드라이 타임에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을 더하게 된다.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Dry time) =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 + 데이터량별 타임
그리고,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 계산부(131d)는 하기의 수학식 4에서와 같이 상기 제3 드라이 타임에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을 더하게 된다.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Dry time) =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 + 인쇄모드별 타임
결국, 상기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Dry time)이 최종 드라이 타임으로 결정되어지며, 이와 같은 드라이 타임은 매 출력시마다 인쇄용지타입과, 인쇄대상 오브젝트(Object), 데이터량, 인쇄모드 등의 조건에 따라 가변되어 결정되어진다.
이와 같이, 프린터 드라이버(130)를 통해 생성된 인쇄 명령어와 최종 드라이 타임 정보는 상기 그래픽 엔진(120)의 제어에 따라 스풀러(140)로 전달되어진다.
스풀러(140)는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130)으로부터 전달되는 인쇄 명령어와 드라이 타임 정보를 일시적으로 보관한 후 입출력 포트(150)로 전달하게 된다.
입출력 포트(150)는 스풀러(140)로부터 전달되어지는 인쇄 명령어와 드라이 타임 정보를 상기 화상형성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200)는 비디오 컨트롤러(210)와, 엔진 컨트롤러(220)와, 인쇄내용 현상부(230)으로 구성되어진다.
비디오 컨트롤러(210)는 상기 사용자 PC(100)의 입출력 포트(15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인쇄 명령어와 드라이 타임 정보를 해석하여 인쇄 내용을 비트맵(bitmap) 데이터로 생성하게 된다.
엔진 컨트롤러(220)는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210)로부터 생성된 비트맵(bitmap) 데이터를 전달받아 화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인쇄내용 현상부(230)는 상기 엔진 컨트롤러(220)로부터 형성된 화상 데이터 를 실제로 인쇄하여 출력하게 된다.
인쇄내용 출력 후, 출력된 인쇄내용의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은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지연되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110)을 통해 텍스트, 그래픽, 비트맵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를 작업한 후 인쇄 명령(S10)을 하게 되면, 그래픽 엔진(120)의 제어에 따라 프린터 드라이버(131)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인쇄용지타입과, 인쇄대상 오브젝트(Object), 데이터량, 인쇄모드 등을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인쇄용지에 프린트된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Dry Time)을 계산(S20)하게 된다.
이어서, 프린터 드라이버(131)는 드라이 타임이 계산되어지면 상기 그래픽 엔진(120)의 제어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110)을 통해 작성된 인쇄 내용을 화상형성장치(200)가 해석하여 인쇄할 수 있는 명령어를 생성(S30)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린트 드라이버(131)에서 생성되어진 인쇄 명령어와 드라이 타임 정보는 스풀러(140)에서 일시적으로 보관되어진 후 입출력 포트(150)을 통해 화상형성장치(200)의 비디오 컨트롤러(210)로 전송(S40)되어진다.
이에 따라, 비디오 컨트롤러(210)는 상기 사용자 PC(100)의 입출력 포트(150)로부터 전송되어지는 인쇄 명령어와 드라이 타임 정보를 해석(S50)하여 인쇄내용을 비트맵(bitmap) 데이터로 생성하여 엔진 컨트롤러(22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엔진 컨트롤러(220)는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210)로부터 전달된 비트맵(bitmap) 데이터를 화상으로 형성(S60)하여 인쇄내용 현상부(23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쇄내용 현상부(230)에서는 상기 엔진 컨트롤러(220)로부터 전달되는 화상 데이터를 실제로 인쇄(S70)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어서, 화상 데이터 출력 후, 출력된 화상 데이터의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은 상기 비디오 컨트롤러(210)의 제어에 의해 해당 시간만큼 지연(S80)되어지며, 이와 같은 드라이 타임은 매 출력시마다 인쇄용지타입과, 인쇄대상 오브젝트(Object), 데이터량, 인쇄모드 등의 조건에 따라 가변되어 결정되어진다.
도 5는 도 4의 드라이 타임 계산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 타임을 계산하는 과정은 프린터 드라이버(130)에 의해 일정한 시간으로 정해지는 드라이 타임의 디폴트 값(예를 들어 "5초")이 설정(S21)되어지면, 프린터 드라이버(130)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진 인쇄용지의 타입이 일반용지인지를 확인(S22)하게 된다.
확인 결과, 인쇄할 용지가 일반용지인 것으로 확인되면, 프린터 드라이버(130)는 일반용지인 경우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타임 정보가 "0초"이므로 용지타입별 드라이 타임을 계산하지 않고 바로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S24)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인쇄할 용지가 일반용지가 아니고 얇은 용지인 경우라고 가정 하면, 이러한 경우 상술한 표 1에서와 같이 얇은 용지의 경우 타임 정보는 "+5"에 해당하므로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은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디폴트 드라이타임(5) + 용지타입별 타임(+5) = "10초"로 계산(S23)되어진다.
이어서, 상기 S23 과정에서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이 계산되어지면 프린터 드라이버(130)는 상술한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을 계산(S24)하게 된다. 이 때 만약 인쇄대상 오브젝트가 텍스트인 경우라고 가정하면, 텍스트의 타임 정보는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5" 에 해당되므로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은 상기 계산되어진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10) + 오브젝트별 타임(-5) = "5초"로 계산되어진다.
이어서,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이 "5초"로 계산되어진 후, 프린터 드라이버(130)는 상술한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을 계산(S25)하게 된다. 이 때 만약 데이터량이 2000 dot라고 가정하면, 2000 dot에 해당하는 타임 정보는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1초" 에 해당되므로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은 상기 계산되어진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5) + 데이터량별 타임(1) = "6초"로 계산되어진다.
이어서,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이 "6초"로 계산되어진 후, 프린터 드라이버(130)는 상술한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을 계산(S26)하게 된다. 이 때 만약 인쇄모드가 "보통"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타임 정보는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0초" 에 해당되므로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은 상기 계산되어진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6) + 인쇄모드별 타임(0) = "6초"로 계산되어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ink)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시 화상 및 인쇄용지의 특성에 따라 프린트된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Dry Time)을 가변시킴으로써, 양질의 화상을 얻거나 인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에 있어서,
    인쇄용지 타입 정보, 인쇄 대상 오프젝트 타입 정보, 인쇄 데이터량 정보, 인쇄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별로 각각의 드라이 시간 정보를 설정하고, 인쇄 명령시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용지 타입 정보, 인쇄 대상 오프젝트 타입 정보, 인쇄 데이터량 정보, 인쇄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정보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잉크가 건조되기까지 걸리는 드라이 타임을 매 화상 데이터 출력시마다 가변적으로 결정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드라이버는,
    인쇄용지 타입 정보별 시간 정보가 저장된 용지타입별 데이터베이스와,
    인쇄대상 오브젝트정보별 시간 정보가 저장된 오브젝트별 데이터베이스와,
    인쇄 데이터량 정보별 시간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량별 데이터베이스와,
    인쇄모드 정보별 시간 정보가 저장된 인쇄모드별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프로그램을 통한 인쇄 명령시 인쇄용지타입 정보와, 인쇄대상 오브젝트 정보와, 인쇄데이터량 정보와, 인쇄모드 정보에 따른 각각의 시간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최종 드라이 타임을 계산하는 드라이 타임 계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타임 계산모듈은,
    기설정된 디폴트 드라이 타임에 상기 용지 타입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가산하여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 계산부와, 상기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오브젝트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시간정보를 가산하여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 계산부와, 상기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데이터량별 데이터베이스 저장된 시간정보를 가산하여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 계산부와, 상기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인쇄 모드별 데이터베이스 저장된 시간정보를 가산하여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 계산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4.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방법에 있어서,
    디폴트 드라이 타임 정보 및 인쇄 용지 타입정보, 인쇄 대상 오프벡트 타입 정보, 인쇄 데이터량 정보, 인쇄모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별로 각각의 드라이 타임을 데이터베이스 설정하는 단계;
    인쇄 명령시 사용자가 선택한 인쇄 용지 타입정보, 인쇄 대상 오프벡트 타입 정보, 인쇄 데이터량 정보, 인쇄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드라이 시간정보와 디폴트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인쇄용지의 드라이 타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인쇄용지 드라이 타임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잉크가 상기 드라이 타임만큼 지연되어 건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타임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설정된 디폴트 드라이 타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용지타입별 드라이 타임을 가산하여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용지타입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오브젝트별 드라이 타임을 가산하여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오브젝트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데이터량별 드라이 타임을 가산하여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데이터량별 드라이타임에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설정된 인쇄모드별 드라이 타임을 가산하여 인쇄모드별 드라이타임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방법.
KR1020040106679A 2004-12-15 2004-12-15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2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79A KR101129651B1 (ko) 2004-12-15 2004-12-15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679A KR101129651B1 (ko) 2004-12-15 2004-12-15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71A KR20060067771A (ko) 2006-06-20
KR101129651B1 true KR101129651B1 (ko) 2012-03-28

Family

ID=3716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679A KR101129651B1 (ko) 2004-12-15 2004-12-15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4922B2 (ja) * 2013-12-27 2017-04-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スクリーン印刷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8773A (ja) * 1999-01-29 2000-08-08 Nec Shizuoka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030020773A1 (en) * 2001-04-30 2003-01-30 Schantz Christopher A. Environmental factor detection system for inkjet printing
US20030132977A1 (en) * 2000-02-17 2003-07-17 Sharp Kabushiki Kaisha Ink-jet image forming method and ink-jet image form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8773A (ja) * 1999-01-29 2000-08-08 Nec Shizuoka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030132977A1 (en) * 2000-02-17 2003-07-17 Sharp Kabushiki Kaisha Ink-jet image forming method and ink-jet image forming device
US20030020773A1 (en) * 2001-04-30 2003-01-30 Schantz Christopher A. Environmental factor detection system for inkjet prin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771A (ko)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476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US6295134B1 (en) Parallel redundant interpretation in a raster image processor
US99986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01090434A (zh) 图像形成设备及控制该设备的方法
JP452280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462142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101129651B1 (ko)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시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19098580A (ja) 画像形成装置
US9165225B2 (e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0635367B2 (en)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011818A1 (en) Printing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for
US73101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int control program
US84370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image subjected to pseudo-halftone processing
US11741324B1 (en) Methods and printing system for intelligent offline ink estimation
US11663431B1 (en) Methods and printing system for intelligent offline ink estimation
US11727233B1 (en) Methods and printing system for intelligent offline ink estimation
KR10057196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3211745A (ja) プリンタ装置
KR100246457B1 (ko) 프린터의화상데이터출력방법
JP2002373068A (ja) 印刷システム
KR100580253B1 (ko) 프린터의 패턴 사이즈를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방법
US20050134873A1 (en) Post screening handling of multibit raster operations
JP2010181999A (ja)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2017177352A (ja) 印刷制御装置、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299973B1 (ko) 프린터의 밴드 에러 억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