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457B1 - 프린터의화상데이터출력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의화상데이터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457B1
KR100246457B1 KR1019970018885A KR19970018885A KR100246457B1 KR 100246457 B1 KR100246457 B1 KR 100246457B1 KR 1019970018885 A KR1019970018885 A KR 1019970018885A KR 19970018885 A KR19970018885 A KR 19970018885A KR 100246457 B1 KR100246457 B1 KR 100246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image data
memory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3543A (ko
Inventor
민경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8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457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5Halftoning, i.e. converting the picture signal of a continuous-tone original into a corresponding signal showing only two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01Input data handling means
    • G06K15/1817Buf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정된 메모리 내에서 화질을 최적화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인쇄 데이터로부터 문자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문자 데이터이면, 상기 문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자 페이지를 구성하여 밴딩 처리를 수행한 후, 문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토닝 및 해상도 저감을 조합한 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감축하여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따르면,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여 인간의 시감 특성을 적응적으로 고려한 최적의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
본 발명은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 데이터와 문자 데이터가 혼재된 문서를 인쇄함에 있어서, 문자 메모리와 화상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하여 화상 데이터의 양이 화상 처리용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할 시에 하프토닝(halftoning) 및 해상도 저감의 조합 처리를 통해 한정된 메모리 내에서 화질을 최적화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는 컴퓨터가 처리한 결과를 확인·보관하며 타인에게 전달하기 위해 문서 형태로 출력하는 가장 일반적인 수단으로, 복합기, 개인용 컴퓨터, 팩시밀리, 전자식 금전 등록기, 현금 자동 인출기 등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가 되고 있으며, 현재 까지는 데이지 휠방식 프린터, 핀방식 프린터, 잉크젯 방식 프린터 및 레이저 방식 프린터 등이 개발되어 있으며 특히, 잉크젯 프린터와 레이져 프린터가 보급 기종에서 주종을 이루고 있다.
최근 들어, 프린터는 날로 발전의 기로에 있는 사무 자동화에 편승하여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사무 자동화 기기들과 더불어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각각의 사무 자동화 기기들은 각기 고유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고성능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독자적으로 사용되던 각각의 사무 자동화 기기를 일체형으로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과 설치 공간을 경감시켜주면서 동시에 복합 문서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이 생산·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프린터에 있어서, 한정된 메모리 내에서 화질을 최적화한 화상 데이터 출력하는 방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바, 프린터를 도 1과 도 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프린터는, 크게, 윈도우 운영 체계 환경에서 화상 전개시 해당 장치에 대하여 독립적인(장치 독립적인) 그래픽 기능을 제공하는 윈도우 프로그램용 GDI(Window Graphic Device Interface) 프린터와, 기타 일반 프린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 프린터에는 휴렛 패커드사에서 개발한 PCL(Printer Control Language) 프린터와, KS/KSSM 프린터와, 포스트 스크립트(PostScript) 프린터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각각의 프린터에 있어서, 컴퓨터로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에서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의 개략적 블럭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의 일반 프린터에 있어서, 컴퓨터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의 GDI 프린터에 있어서, 컴퓨터와 프린터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프린터는, 먼저, 사용자가 컴퓨터(1)의 응용 프로그램(2)을 이용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원본 파일(화상 데이터)을 작성하고, 작성된 원본 파일을 인쇄하기 위하여 프린터 구동 프로그램(3)에 해당하는 프린터 드라이버(Printer Driver)를 통하여 병렬 포트(4)로 전송한다.
여기서, 해당 프린터가 GDI 프린터인 경우, 프린터 구동 프로그램(3)은 GDI 프린터 구동 프로그램(5)을 사용하게 되며, GDI 프린터 구동 프로그램(5)은 컴퓨터(1)로부터 장치 독립적인 출력 명령을 인가받아 장치 종속적인 출력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 압축기(통상, 'RLE: Run Length Encoding'을 사용함)(6)로 해당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가상 포트(7)를 거쳐 병렬 포트(4)에 전송한다.
프린터(8) 내에 장착된 프린터 컨트롤러(9)는 병렬 포트(4)를 통하여 인가받은 PCL 명령어와 화상 데이터(또는, GDI 프린터에서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폰트(Font) 데이터와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쇄 화상을 전개한 후, 전개된 인쇄 화상을 버퍼 메모리(11)에 임시 저장한다.
버퍼 메모리(11)에 임시 저장된 출력용 원시 화상 데이터(Raw Image Data)는 데이터 송출부(12)를 거쳐 프린터 엔진(13)으로 최종 전송되어 인쇄 동작이 수행된다.
여기서, 도 1에서의 미설명 부호인 14는 프린터(8)의 각종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 패널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의 미설명 부호인 15는 인쇄 페이지를 여러개의 밴드나 조각으로 나누고, 해당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하여 나중에 이들 밴드 또는 조각을 합성하는 밴드 처리부이며, 도면 부호 16∼19는 프린터 컨트롤러(9)에서 제어하는 프린터(8)의 통신 장치와 패널 구동부 및 급지 제어부와 엔진 구동부이다. 또한, 도면 부호 20은 전술한 프린터(8)의 구동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이고, 도면 부호 21은 컴퓨터(1)로부터 전송된 폰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폰트 메모리이며, 도면 부호 22는 프린터(8)의 구동상태를 제어함과 동시에 프린터(1)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전개하는 중앙 처리 장치이다.
한편, 레이져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등 고해상도의 프린터들의 출현에 힘입어 그래픽 화상 데이터와 문자가 혼재된 문서를 인쇄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으나, 레이져 프린터와 같이 페이지 단위로 처리하는 프린터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대용량의 메모리를 필요로 하게 되며, 잉크젯 프린터와 같은 프린터에서도 포스트 스크립트(postscript)와 같은 페이지 기술 언어나 그래픽 전용 언어를 처리하기 위해 대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더욱이, 고화질의 색화상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수십 메가 바이트(mega-byte)의 메모리가 필요함에 따라 필요한 메모리의 양을 줄이기 위해 밴딩 처리 및 화상 압축/복원의 기술 등을 활용하고 있지만, 내장된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에는 화상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인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문자와 화상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 필요 메모리의 양을 줄이기 위해 흑색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문자 메모리와 색문자를 포함한 화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화상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하여 문자 메모리는 흑/백의 상태만을 나타내기 위해 화소당 1비트의 메모리를 할당하고, 밴딩 처리를하여 메모리를 최소화하며, 화상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는 인간의 시감 특성을 고려하여 화상의 크기에 따라 하프토닝 또는 해상도 저감의 조합 처리를 통해 필요 메모리의 양을 최소화함에 따라 한정된 메모리 내에서 최적의 화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컴퓨터에서 작성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에서 인쇄하기 위한 통상적인 프린터 장치의 개략적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일반 프린터에 있어서, 컴퓨터와 프린터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
도 3은 종래의 GDI 프린터에 있어서, 컴퓨터와 프린터 컨트롤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실험적으로 구한 인간의 시감 전달 함수를 도시한 파형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S10 : 데이터 식별 단계 S20 :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
S30 :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 S31 :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S32 :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S33 : 화상 데이터 감축 단계
S40 : 데이터 송출 단계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인쇄 데이터의 문자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는 문자 메모리 및 화상 메모리와, 상기 문자 메모리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프린터 엔진이 장착된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인쇄 데이터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문자 데이터이면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 크기로 이하로 감축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따라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문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자 페이지를 구성하여 밴딩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과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단일 화소에 할당하는 비트를 감축하는 제 1 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하여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경우에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는지를 판단하는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및
상기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면, 상기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감축하는 제 2 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감축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는 하프토닝(halftoning)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화상 감축 처리는 해상도 저감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 크기는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화상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화상 메모리와,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프린터 엔진이 장착된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 크기로 이하로 감축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따라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과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단일 화소에 할당하는 비트를 감축하는 제 1 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하여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경우에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는지를 판단하는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및
상기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면, 상기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감축하는 제 2 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감축 단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는 하프토닝(halftoning)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화상 감축 처리는 해상도 저감 처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 크기는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의 문자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는 문자 메모리 및 화상 메모리와, 상기 문자 메모리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프린터 엔진이 장착된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인쇄 데이터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단계(S10);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S10)의 식별 결과, 상기 문자 데이터이면, 상기 문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자 페이지를 구성하여 밴딩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S20);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S20)의 식별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토닝 및 해상도 저감을 조합한 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감축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S30);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 단계(S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S30)는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S10)의 식별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과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S31);
상기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S31)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해 하프토닝 처리를 수행하여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경우에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는지를 판단하는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S32); 및
상기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S32)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프토닝 처리를 통해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해상도 저감 처리를 수행한 후, 하프토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감축 단계(S3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데이터 식별 단계(S10)에서는 호스트 컴퓨터나 통신로로부터 통신 포트를 통해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인쇄 데이터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식별한다.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S10)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문자 데이터이면, 상기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S20)에서는 상기 문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자 페이지를 구성하여 밴딩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한다.(S21, S22, S23)
한편,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S20)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S30)에서는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해 하프토닝 및 해상도 저감을 조합한 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감축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S31)에서는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과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감축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한다.
반면, 상기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S31)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S32)에서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프토닝 처리를 수행하여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경우에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S32)의 판단 결과,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면, 상기 화상 데이터 감축 단계(S33)에서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프토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제 1 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대상으로 해상도 저감 처리를 수행한 후, 하프토닝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한다.(S33_1, S33_2, S33_3)
여기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통상적인 기술이지만, 본 발명에서 채택하고 있는 하프토닝 처리 및 해상도 저감 처리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하기로 한다.
하프토닝 처리는 점묘법의 일종으로 디더링(dithering) 처리와 더불어 화상 데이터를 문서 형태로 인쇄할 시에 대표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화상 처리 기법인 데, 화상의 계조를 단위 공간 내에 인쇄하는 점의 밀집도를 통해 표현하며, 신문, 서적 등과 같은 대부분의 인쇄물의 인쇄에 대표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인쇄 방식이다. 이를 이용하면, 통상 8비트로 표현되는 화상 데이터의 화소를 1비트의 이진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음에 따라 1/8로 화상 데이터를 감축할 수 있다.
한편, 해상도 저감 처리는 흔히 다운 샘플링(down-sampling)을 통해 구현할 수 있는 신호 처리 기법으로, 다수의 입력에 대하여 하나의 출력을 대응시킴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감축하는 감축 기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적용 예로는 JPEG, MPEG-1, MPEG-2, H. 261, H.263 등과 같은 영상 표준 코덱의 색영상 부호화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해상도를 감축한 후, 복호단에서 감축한 데이터로 부터 동일한 해상도의 영상을 복원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저역 통과 필터를 수행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도 5는 실험적으로 구한 인간의 시감 전달 함수를 도시한 파형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감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근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간의 시감 특성은 화상의 크기가 작을 때는 변별력이 높으므로 고화질의 영상을 필요로 하는 반면에 화상의 크기가 클 때에는 응시 범위가 확대되어 화질에 대한 변별력이 낮아져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더라도 저화질에 대한 거부감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상기 데이터 송출 단계(S40)에서는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 송출하여 문서 형태로 인쇄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여기서, 하프토닝 처리) 및 상기 제 2 화상 감축 처리(여기서, 해상도 감축 처리)를 조합한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여기서, 하프토닝 처리) 및 상기 제 2 화상 감축 처리(여기서, 해상도 감축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를 구성할 수 있음을 주지의 사실임에 따라 이 또한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종속됨은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감축된 데이터의 크기를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이하로 한정하였으나,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제 1 화상 감축 처리(여기서, 하프토닝 처리) 및 상기 제 2 화상 감축 처리(여기서, 해상도 감축 처리)를 통해 최대한 감축한 데이터만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인쇄 데이터의 문자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는 문자 메모리 및 화상 메모리와, 상기 문자 메모리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프린터 엔진이 장착된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인쇄 데이터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문자 데이터이면, 상기 문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자 페이지를 구성하여 밴딩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토닝 및 해상도 저감을 조합한 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감축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따르면,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여 인간의 시감 특성을 적응적으로 고려한 최적의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Claims (7)

  1. 인쇄 데이터의 문자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각각 버퍼링하는 문자 메모리 및 화상 메모리와, 상기 문자 메모리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프린터 엔진이 장착된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인쇄 데이터로부터 상기 문자 데이터 및 상기 화상 데이터를 식별하는 데이터 식별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문자 데이터이면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 크기로 이하로 감축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따라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과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단일 화소에 할당하는 비트를 감축하는 제1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하여 제1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경우에 상기 제1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는지를 판단하는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및 상기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면, 상기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1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제1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메모리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감축하는 해상도 저감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제1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감축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문자 데이터를 대상으로 문자 페이지를 구성하여 밴딩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문자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화상 출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상 감축 처리는 하프토닝(halftoning)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는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
  5. 화상 데이터를 버퍼링하는 화상 메모리와,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도록 프린터 엔진이 장착된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부족 여부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소정 크기로 이하로 감축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 및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 순서에 따라 상기 프린터 엔진으로 송출하는 데이터 송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 처리 단계는, 상기 데이터 식별 단계의 식별 결과, 상기 인쇄 데이터가 상기 화상 데이터이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과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비교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상기 화상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을 초과하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단일 화소에 할당하는 비트를 감축하는 제1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하여 제1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할 경우에 상기 제1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는지를 판단하는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 및 상기 감축 데이터 용량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제1감축 화상 데이터의 양이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 보다 작아지면, 상기 화상 데이터에 상기 제1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제1감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화상 데이터의 화소수를 감축하는 해상도 저감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제1화상 감축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화상 메모리에 저장하는 화상 데이터 감축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상 감축 처리는 하프토닝(halftoning)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크기는 상기 화상 메모리의 용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화상 데이터 출력 방법.
KR1019970018885A 1997-05-16 1997-05-16 프린터의화상데이터출력방법 KR100246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885A KR100246457B1 (ko) 1997-05-16 1997-05-16 프린터의화상데이터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885A KR100246457B1 (ko) 1997-05-16 1997-05-16 프린터의화상데이터출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543A KR19980083543A (ko) 1998-12-05
KR100246457B1 true KR100246457B1 (ko) 2000-03-15

Family

ID=1950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885A KR100246457B1 (ko) 1997-05-16 1997-05-16 프린터의화상데이터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4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32B1 (ko) * 2005-05-20 2007-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제어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543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4016B2 (en) Control apparatus for a scanner/printer
US6177934B1 (en) Server device and image processing device
US7697772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erforming image compression of image data
US75512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different print data formats
US8194258B2 (en) Processing print jobs
US200700860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achine-readable medium
US8054493B2 (en) Optimizing raster operation functions during print job processing
EP0772117A1 (en) Printer driver architecture for reducing band memory
US8339667B2 (en) Optimizing to-be printed objects during print job processing
US2003020219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output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program
US20050157324A1 (en) Multi function peripheral
US6317802B1 (en) System for converting raster image data contained in print data into raster image data having a resolution with which a stencil printer is capable of printing
JP2006044169A (ja)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050191B2 (en) Sub-banding of display list and video buffer for page rendering in a digital signal processor
KR100246457B1 (ko) 프린터의화상데이터출력방법
US20050213142A1 (en) Optimization techniques during processing of print jobs
US7236268B2 (en) Adaptive screening in raster image processing of complex pages
US20040070784A1 (en) Methods, computer media and devices for processing compressed data intended for printing
EP1860545A2 (en) Print control apparatus and print controlling method
US84370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n image subjected to pseudo-halftone processing
US8736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int job in printing platform for determining rotation
KR10057196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71788B1 (ko) 문서의 지정영역을 확대 출력하는 방법
US20050134873A1 (en) Post screening handling of multibit raster operations
KR19990002293A (ko) 프린터의 객체 기반 색정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