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605B1 - 호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호두공급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9605B1 KR101129605B1 KR1020110073634A KR20110073634A KR101129605B1 KR 101129605 B1 KR101129605 B1 KR 101129605B1 KR 1020110073634 A KR1020110073634 A KR 1020110073634A KR 20110073634 A KR20110073634 A KR 20110073634A KR 101129605 B1 KR101129605 B1 KR 101129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nut
- feeder
- mold
- kernels
- bow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 A21C9/081—Charging of baking tins or forms with doug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65G47/14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by means of movement of at least the whole wall of the container
- B65G47/1421—Vibratory movem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호두 알갱이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호두 알갱이를 이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호두 알갱이를 상기 바이브레이터에서 배출시키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 상기 호두 알갱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호두 알갱이를 몰드 안으로 공급하는 피더; 상기 피더를 피벗 운동시켜서 상기 피더 상에 놓여진 상기 호두 알갱이를 상기 몰드로 투하시키는 피더 구동부; 및 상기 몰드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 이송시키는 몰드 구동부;를 포함하여, 추가적인 센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확하게 호두 알갱이를 몰드에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호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몰드의 위치와 호두 알갱이의 공급 시점을 일치시키는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동기화를 이용하여 호두 알갱이를 정확하게 몰드 안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는 호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호두과자 제빵기는 독자적으로 호두 알갱이를 일일이 수동방식으로 공급하고 작동하는 것으로서, 몰드에 호두과자 원료를 투입하고 가열단계에서, 다 구어진 호두과자를 배출하는 과정이 작업자의 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속도로의 휴게소나 역전, 터미널, 놀이공원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수동방식의 호두과자 제빵기를 설치할 경우 호두과자를 대량으로 생산하기에는 역부족인 것은 물론, 모든 과정이 작업자의 손에 의해 진행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많은 인력이 요구되어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었으며 작업자도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속도로 휴게소나 역전, 터미널, 놀이공원 등지에서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호두과자를 구울 수 있도록 자동화된 호두과자 제빵기에 관하여 이미 특허출원된 바 있다(한국특허출원 제10-2008-0058765호,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호두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 중 하기에서 설명되지 않는 도면부호에 대해서 상기 종래기술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호두과자 제빵기(11)에 설치된 몰드(18)에 호두 알갱이(9)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호두알갱이 자동공급장치(1)를 설치한 것으로서, 박스형상으로 내부에는 도면에 미 도시하였으나 이동수단 및 가열수단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수단에 따라 일렬로 연접되게 설치된 다수의 몰드(18)를 제어부(22)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정지 및 이동을 반복하면서 호두 알갱이(9)와 반죽, 내용물을 몰드(18)에 공급할 수 있도록 본체(6) 상부에는 호두알갱이 자동공급장치(1)와 정량투입기가 구비된 반죽통(12) 및 내용물통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빵기(11)의 본체(6) 일측에는 다 구운 호두과자를 몰드(18)에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호두과자 배출용 팔(15)이 설치되고, 본체(6)의 정면에는 호두알갱이 자동공급장치(1)와 제빵기(11)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박스인 제어부(22)가 부착된다.
따라서, 제빵기(11)의 본체(6) 상에 자동으로 이동 및 정지하는 몰드(18)로 반죽 및 내용물을 투입하기 전에 호두알갱이(9)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구조이다.
한편, 호두알갱이(9)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호두알갱이 자동공급장치(1)는 바이브레이션 장치(7), 호두 정 위치 확인 수단(2), 게이트 개폐수단(3), 호두 이동수단(4), 게이트 개폐 구동수단(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이브레이션장치(7)는 본체(6)의 상면에 이동하는 몰드(18)를 방해하지 않게 소정의 높낮이를 갖도록 수직 절곡된 바이브레이션장치 받침대(14)를 설치한다.
바이브레이션장치 받침대(14)의 상부에 부착된 바이브레이션장치(7)는 내부에 담겨진 호두알갱이(9)를 진동에 의해 일렬로 상부 끝단에 위치한 호두 정 위치 확인 수단(2)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바이브레이션장치(7)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내부에 담긴 호두알갱이(9)를 진동에 의해 호퍼(8)를 따라 이동하는 바닥에는 진동판(29)이 설치되고, 내주면에는 진동판(29)의 진동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호두 정 위치 확인수단(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선형으로 호퍼(8)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바이브레이션장치(7)에 내설된 호퍼(8)의 상부 선단에는 진동에 의해 호두알갱이(9)를 몰드(18)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개폐수단(3)에 도달했는지 진입 여부를 감지하는 호두 정 위치 확인수단(2)이 설치된다.
상기 호두 정 위치 확인수단(2)은 바이브레이션장치(7)의 호퍼(8) 상부 끝단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호두알갱이(9)가 게이트 개폐수단(3)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호두 진입 여부 체크센서(미도시)와, 상기 게이트 개폐수단(3)으로 공급된 호두알갱이(9)가 게이트 개폐수단(3)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호두 정 위치 확인수단(2)로 구성된다.
또한, 호두 정 위치 확인수단(2)에 의해 공급된 호두알갱이(9)를 확인한 상태에서 호두알갱이 이동수단(4)으로 공급하는 게이트 개폐수단(3)은 배출 게이트(미도시)를 개폐하여 호두알갱이(9)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개폐수단(3)은 호퍼(8)의 상부 끝단과 연접된 호두 배출용 게이트 박스(32)와, 상기 호두 배출용 게이트 박스(32)의 하부에는 일측이 힌지 체결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배출 게이트와, 상기 배출 게이트의 측면에는 게이트 개폐 구동수단(5)의 작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양단이 서로 연결된 게이트 작동 와이어(17)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 작동 와이어(17)가 당겨져 개방된 배출 게이트를 원위치하기 위해서는 호두 배출용 게이트 박스(32)의 측면과 배출 게이트의 측면에 양단이 고정된 게이트 복원스프링(39)을 설치한다.
상기 게이트 개폐수단(3)을 상하로 개폐하도록 구동하는 게이트 개폐 구동수단(5)은 반죽통(12)의 반죽을 몰드(18)에 공급하는 정량투입기를 구동하는 구동축(23)의 일측 단부에 하부 끝단을 체결하여 회동하는 작동간(24)을 힌지 체결하고, 상기 작동간(24)의 상부 끝단에는 일측을 연결하여 함께 회동하는 링크(25)를 체결한다.
또한, 상기 링크(25)의 타측에는 하부 끝단이 고정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수직바(27)를 고정하고, 상기 수직바(27)의 상부에는 수평 하게 결합하여 일측 단부에는 배출 게이트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게이트 작동 와이어(17)가 체결되며, 타측 단부에는 수직으로 고정봉(40)이 세워진 수평바(28)를 고정한다.
상기 수평바(28)의 고정봉(40)에 끼워져 슬라이드 작동하는 이동블록(26)은 내부에 장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26)의 일측에는 함께 슬라이딩 작동하도록 로드(41)가 부착된다.
상기 로드(41)의 타측 끝단은 호두 이동수단(4)의 호두과자 파이프 고정받침대(19) 측면에 호두과자 배출용 캠(13)이 부착되어 회동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게이트 개폐수단(3)에 의해 공급된 호두알갱이(9)를 몰드(18)로 공급하는 호두 이동수단(4)은 배출 게이트의 하부에 호두 배출 미끄럼틀(10)이 위치하여 호두알갱이(9)가 미끄러지도록 상부를 게이트 개폐수단(3)의 호두 배출용 게이트 박스(32)에 부착한다.
또한, 상기 호두 배출 미끄럼틀(10)의 하부에는 이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호두알갱이(9)를 몰드(18)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바이브레이션장치 받침대(14)의 선단에 부착된 호두과자 파이프 고정받침대(19)를 부착한다.
상기 호두과자 파이프 고정받침대(19)의 내부에는 호두 배출용 깔때기(16)와, 상기 호두 배출용 깔때기(16)의 하부에는 호두 배출파이프(20)와 호두 배출용 튜브(21)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바이브레이션장치(7)와 호두 정 위치 확인수단(2)과 게이트 개폐수단(3)을 제어하는 제어부(22)가 포함된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본체(6) 상에서 자동으로 이동하는 몰드(18)에 호두 알갱이(9)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반죽통(12)에 담겨진 반죽을 공급하기 전에 정지된 상태에서 바이브레이션장치(7)가 진동하면 호퍼(8)를 따라 호두 알갱이(9)가 호두 정 위치 확인수단(2)으로 이동하여 호두 진입 여부 체크 센서(30)와 호두 정 위치 감지 센서(31)에 의해 호두알갱이(9)를 확인한 상태에서 게이트 개폐 구동수단(5)이 구동하여 작동간(24)이 회동하면 링크(25)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수직바(27)와 수평바(28), 로드(41)는 전방으로 함께 당겨지고 호두과자 배출용 캠(13)은 회동한다.
그러면 수평바(28)와 배출 게이트를 연결한 게이트 작동 와이어(17)도 함께 당겨지면서 배출 게이트가 하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잡아당겨 개방하면 호두알갱이(9)는 호두 이동수단(4)의 호두 배출 미끄럼틀(10)을 타고 호두 배출용 깔때기(16)와 호두 배출 파이프(20)와 호두 배출용 튜브(21)를 통해 몰드(18)로 공급된다.
또한, 구동축(23)에 체결된 작동간(24)이 회동하여 원위치하면 슬라이드 작동한 다른 수단들도 순차적으로 원위치함과 동시에 배출 게이트도 게이트 복원 스프링(39)에 의해 당겨져 닫히면 정지된 바이브레이션장치(7)가 진동하여 호두 알갱이(9)를 배출 게이트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작동하고, 호두 정 위치 감지 센서(31)에 의해 호두 알갱이(9)의 진입 여부를 감지하면 바이브레이션장치(7)는 작동이 정지된 초기 상태에서 호두 알갱이(9)를 몰드(18)에 공급하도록 반복 작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호두자동공급장치는 호두 알갱이의 정위치를 인식하기 위해서 2개 이상의 부분에 호두 알갱이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해야 하고, 배출 게이트를 작동하기 위해서 다수개의 스프링 및 링크 구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해지고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호두 알갱이를 공급하는 위치에 몰드가 정확히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공급되는 호두 알갱이가 몰드 밖으로 떨어지고, 몰드에 공급되는 호두 알갱이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서 호두과자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호두 알갱이를 자동적으로 몰드에 공급할 수 있는 호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호두 알갱이의 유무 또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센서를 사용하지 않는 호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몰드의 위치와 호두 알갱이를 공급하는 피더를 기계적으로 동기화시켜서 호두 알갱이를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호두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는, 호두 알갱이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호두 알갱이를 이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호두 알갱이를 상기 바이브레이터에서 배출시키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 상기 호두 알갱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호두 알갱이를 몰드 안으로 공급하는 피더; 상기 피더를 피벗 운동시켜서 상기 피더 상에 놓여진 상기 호두 알갱이를 상기 몰드로 투하시키는 피더 구동부; 및 상기 몰드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 이송시키는 몰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호두 알갱이를 투하하는 피더를 구비함으로써, 전자/전기적인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몰드에 정확하게 호두 알갱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피더는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 하부에 위치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과 상기 피더의 후단부는 중첩될 수 있다.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 일단의 양면에는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피더의 폭 보다 큰 간격을 가지며, 상기 이탈 방지부의 일단은 상기 피더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피더의 후면에는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 또는 상기 피더 중 적어도 한 곳의 상단에는 상기 호두 알갱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홈 또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피더와 인접한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에는 상기 호두 알갱이가 상기 피더의 상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과 상기 피더의 상면 일단 사이는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피더 구동부는 상기 피더의 측면에 형성된 회전핀 및 상기 회전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몰드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의 양단은 볼 조인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호두 알갱이들이 담기는 상부의 그릇 모양의 보울과 상기 보울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울의 가장자리에는 스파이럴(spiral) 또는 나선 형상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경로 중 상기 보울의 상단과 가까운 곳에는 상기 이동 경로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울의 상단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호두 알갱이를 상기 보울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 도어의 하단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폭 조절부의 양쪽에는 상기 이동 경로의 높이가 변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경로는 바닥면과 측벽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측벽면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더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의 전단은 개방되고 후단에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피더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호두 알갱이가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는 호두 알갱이를 몰드에 투입하는 과정 자체를 종래와 달리 호두 자동공급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인력을 최소화 함으로서, 인건비 절감에 따른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는 호두과자에 들어가는 호두 알갱이를 일정크기로 선별하여 사용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는 부가적인 센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호두 알갱이의 위치 또는 유무를 인식하고 몰드에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추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는 하나의 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여 공급되는 호두 알갱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호두 알갱이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바이브레이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호두자동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의 피더에 호두 알갱이가 놓여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의 피더에서 호두 알갱이가 몰드로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의 피더에 호두 알갱이가 놓여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의 피더에서 호두 알갱이가 몰드로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의 피더에 호두 알갱이가 놓여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에 따른 호두공급장치의 피더에서 호두 알갱이가 몰드로 공급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는 제빵기(11)의 한 부분으로서, 호두공급장치(1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종래의 제빵기(11)와 동일하므로 호두공급장치(100)를 제외한 부분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제빵기(11)와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호두공급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는 호두 알갱이(W)를 몰드(18) 안으로 자동으로 투입 내지 낙하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는 각각의 몰드(18) 안으로 호두 알갱이(W)를 하나씩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호두공급장치(100)는 호두 알갱이(W)에 진동을 가하여 호두 알갱이(W)를 이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110), 바이브레이터(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호두 알갱이를 바이브레이터(110)에서 배출시키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 호두 알갱이의 진행 방향을 따라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에 형성되어 호두 알갱이를 몰드(18) 안으로 공급하는 피더(feeder, 130), 피더(130)를 피벗(pivot) 운동시켜서 피더(130) 상에 놓여진 호두 알갱이를 몰드(18)로 투하시키는 피더 구동부(150) 및 몰드(18)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 이송시키는 몰드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호두 알갱이를 투하하는 피더를 구비함으로써, 전자/전기적인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몰드에 정확하게 호두 알갱이를 공급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110)는 호두 알갱이들이 담기는 상부의 그릇 모양의 보울(113, bowl)과 보울(113)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110)는 분말 또는 볼트 등과 같이 작은 물체를 진동에 의해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울(113)에는 호두과자 또는 호두 모양의 빵에 들어가는 호두 알갱이들이 다수개 담겨 있다. 보울(113)에 호두 알갱이들이 담긴 상태에서 상기 진동 생성부에 의해서 진동이 보울(113)에 가해지면 호두 알갱이들은 진동에 의해서 보울(113)의 가장자리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호두 알갱이들이 보울(113)의 가장자리로 잘 이동할 수 있도록 보울(113)의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경사가 낮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브레이터(1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바이브레이터(110)의 일측에 바이브레이터 컨트롤 박스(CP)를 마련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110)의 진동 크기, 진동 주기, 진동 주파수 등을 제어하여 바이브레이터(110)의 작동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 또는 사용자는 바이브레이터 컨트롤 박스(CP)를 통해서 바이브레이터(110)의 운전 조건을 입력하거나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보울(113)의 가장자리에는 스파이럴(spiral) 또는 나선 형상의 이동 경로(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경로(112)를 통해서 호두 알갱이가 보울(113)의 바닥에서부터 보울(113)의 상단(111)에 형성된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이동 경로(112)는 보울(113)의 내측벽을 따라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며, 보울(113)의 바닥에서부터 상단까지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경로(112)는 보울(113)의 바닥에서부터 상단(111)으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는 형태를 가진다.
이동 경로(112)는 바닥면(112a)과 측벽면(112b)으로 형성되는데, 바닥면(112a)은 수평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보울(113)의 가장자리 또는 측벽면(112b)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면(112a)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호두 알갱이가 측벽면(112b)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 경로(112)를 따라 보울(113)의 상단(11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경로(112)는 바닥면(112a)의 경사 뿐만 아니라 바닥면(112a) 폭이 호두 알갱이의 이송에 중요한 요소이다.
보울(113)의 이동 경로(112)는 호두 알갱이를 이송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호두 알갱이의 크기를 선별하는 기능도 한다. 즉, 이동 경로(112)의 폭을 조절함에 따라 특정한 크기의 호두 알갱이만 몰드(18)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경로(112)의 폭 크기에 따라서 일정한 크기를 가진 호두 알갱이들을 몰드(18)에 공급함으로써 호두과자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에 사용되는 바이브레이터(110)의 보울(113)에는 이동 경로(11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를 위해, 이동 경로(112) 중 보울(113)의 상단(111)과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이동 경로(112)에 폭 조절부(114)를 형성할 수 있다. 폭 조절부(114)는 보울(113)의 상단(111)에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플랜지(115)의 하부에서 보울(113)의 반경 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폭 조절부(114)는 플랜지(115)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115a,115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폭 조절부(114)의 일단에는 호두 알갱이와 직접 접촉하여 공급되어야 할 크기 보다 큰 호두 알갱이를 밀어서 보울(113)의 바닥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선별부(114a)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15a,115b)를 풀고 폭 조절부(114)를 보울(113)의 중심을 향해서 밀어 넣거나 외부로 당김으로써 이동 경로(11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폭 조절부(114)가 보울(113)의 중심을 향해서 밀려진 경우에는 보울(113)의 중심 쪽으로 노출된 이동 경로(112)의 폭이 커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호두 알갱이를 공급할 수 있고(도 6의 (a) 참조), 반대로 폭 조절부(114)가 외측으로 당겨진 경우에는 보울(113)의 안쪽으로 돌출된 이동 경로(112)의 폭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작은 호두 알갱이를 공급할 수 있다(도 6의 (b) 참조).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폭 조절부(114)의 길이 방향 양쪽에는 2개의 단차부(ST1,ST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 조절부(114)와 함께 폭 조절부(114)의 양쪽에 이동 경로(112)의 높이가 변하는 단차부(ST1,ST2)를 형성해 둠으로써 비교적 큰 호두 알갱이만 선별적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작은 호우 알갱이는 단차부(ST1,ST2)를 지나면서 즉, 높은 이동 경로에서 낮은 이동 경로로 떨어지면서 이동 경로를 이탈하여 보울(113)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상대적으로 큰 호두 알갱이들만 단차부(ST1,ST2)를 통과하여 몰드(18) 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113)의 상단(111)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호두 알갱이를 보울(113)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도어(117)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보울(113)의 상단(111)에 상하로 움직이는 배출 도어(117)를 설치하고, 배출 도어(117)의 하단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대(116)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 도어(117)는 상단(111)에 고정부재(117a,117b)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재(117a,117b)를 잠금 상태를 풀고 배출 도어(117)를 올려서 열린 간격을 조절하면 그 간격을 통과할 수 있는 호두 알갱이를 받침대(1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도 7의 (b) 참조).
보울(113)에 형성된 이동 경로(112)를 따라서 상단(111)까지 이송된 호두 알갱이는 상단(111)의 외면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된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바이브레이터(110)를 벗어나게 된다. 보울(113)의 상단(111)에 형성된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는 대략 곧게 형성되며, 호두 알갱이가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를 벗어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홈 또는 그루브(groove)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는 "V"자 형상을 가짐을 할 수 있다. 하지만,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에 형성된 홈 또는 그루브는 "V"자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호두 알갱이가 가이드부(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떤 것이든 적용할 수 있다.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는 바이브레이터(110)에 의해서 가진되면서 호두 알갱이를 이송시킬 수 있다.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 하부에는 호두 알갱이를 몰드(18)에 투입하기 위한 피더(130)가 구비될 수 있다.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에서 전달된 호두 알갱이가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피더(130)의 상단 또는 상면에는 홈 또는 그루브 등의 안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피더(13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31)가 "V"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 또는 피더(130) 중 적어도 한 곳의 상단에는 호두 알갱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홈 또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 하부에 피더(130)가 위치하는데, 측면에서 보았을 때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 또는 이탈 방지부(122)의 일단과 피더(130)의 후단부가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와 피더(130)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야 호두 알갱이가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에서 떨어질 때 피더(130)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두 알갱이가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에서 피더(130)의 상면으로 잘 공급되도록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 일단의 양면에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이탈 방지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22)는 피더(130)의 폭 보다 큰 간격을 가지며, 그 일단은 피더(130)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 내지 출구단과 피더(130)의 상면 내지 안착부(131)의 일단(즉, 후단) 사이는 이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 방지부(122)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에서 확장되는 형태로서 가이드부(120)의 일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며, 그 연장된 길이는 피더(130)와 일부 겹칠 정도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이탈 방지부(122)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부(120)의 떨림에 의해 호두 알갱이가 피더(130)의 상면에 정확히 안착되지 않고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폭은 피더(130)의 상단 폭 보다 작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폭은 피더(130)의 폭 보다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더(130)의 폭을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폭 보다 크게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호두 알갱이가 배출 가이드부(120)에서 피더(130)로 전달될 수 있다.
바이브레이터(110)는 제빵기(11)의 본체(6) 상부에 설치된 플레이트(P)에 제공될 수 있으며, 피더(130)는 바이브레이터(11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플레이트(P)의 하단에 고정 설치된 지지프레임(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피더(130)는 지지프레임(140)에 대하여 피벗(pivot) 운동 내지 힌지(hinge) 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40)에 설치될 수 있다. 피더(130)의 상단은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 보다 낮은 상태에서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에서 호두 알갱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40)은 피더(130)를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일종의 기둥과 같은 부재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프레임(140)의 상단에는 피더(130)가 삽입 장착되고 피더(130)가 움직일 수 있는 피더 장착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피더 장착공(141)은 피더(130)의 상면 모양과 유사하게 직사각형 모양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피더 장착공(141)은 피더(13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피더 장착공(141)의 장변 길이는 피더(130)의 장변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피더 장착공(141)에서 피더(130)가 회전할 때 피더 장착공(141)의 전방단과 피더(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서 호두 알갱이(W)가 아래쪽으로 낙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피더(130)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40)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에는 피더(130)의 상부가 삽입되어 피벗 운동하는 피더 장착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피더 장착공(141)은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의 상면에서부터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더(130)는 피더 장착공(141)이 형성된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데, 피더(130) 및 상단(142)의 연결 구조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참조하면, 피더(13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31)의 전단은 개방되어 있으나 후단에는 격벽(13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31)의 후단에 형성된 격벽(132)은 피더(130)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호두 알갱이가 안착부(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착부(131)의 앞쪽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비정상적으로 안착부(131)의 뒤쪽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경우에 안착부(131)에 놓인 알갱이가 안착부(131)의 후단을 통해 낙하하는 것을 격벽(132)이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피더(130)의 후면에는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R)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터(130)의 후면에 곡면부(R)를 형성함으로써, 도 13에서와 같이 피더(130)가 회전하거나 피벗운동을 한 경우에,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과 피더(130)의 후면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잘못 전달된 호두 알갱이가 이 간격을 통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곡면부(R)를 형성함으로써 피더(130)와 지지프레임(140) 사이의 틈으로 호두 알갱이가 빠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피더(130)가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에서 회전하거나 피벗 운동을 하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즉, 피더(130)의 상단과 지지프레임(140) 상단(142)의 상면이 거의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호두 알갱이(W)가 피더(130)의 안착부(131)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130)의 하부가 후방으로 움직이게 되면, 안착부(131)의 전방단은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안착부(131)가 기울어지게 된다. 피더(130)의 하부가 후방으로 더 움직이고 안착부(131)의 전방단이 더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 장착공(141)의 전방쪽에 공간이 생기게 되고 이 공간을 통해서 호두 알갱이가 몰드(18) 안으로 투입될 수 있다.
피더(130)는 그 상단 또는 안착부(131)가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과 평행인 상태에서 호두 알갱이를 전달 받고, 호두 알갱이가 안착된 상태에서 피더 구동부(150)에 의해 피더(130)가 피벗 운동하면서 호두 알갱이를 투하할 수 있다.
피더(130)가 피벗 운동할 때 피더(130)의 상단 내지 안착부(131)에 놓여진 호두 알갱이는 피더 장착공(141)을 통해서 몰드(18) 안으로 투하될 수 있다.
한편, 피더(130) 또는 피더 장착공(141)의 하부에는 호두 알갱이가 몰드(18) 밖으로 낙하하거나 몰드(18) 외부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낙하 통로(19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낙하 통로(191)는 호두 알갱이가 피더(130)의 안착부(131)에서 미끄러지면서 아래쪽으로 떨어질 때 가급적 수직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낙하 경로를 형성해 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낙하 통로(191)의 하부에 몰드(18)가 위치하게 된다. 낙하 통로(191)는 지지프레임(140)에 고정되는 통로 바디(190)를 연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낙하 통로(191)는 수평 상태에서의 피더(130) 상면 또는 안착부(131)의 전단 보다 전방(즉, 앞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더(13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또는 피벗 운동 하게 되면, 안착부(131)의 전방단은 원호를 그리면서 앞쪽으로 튀어나오게 되고, 이 때, 안착부(131)의 전방단은 안착부(131)가 수평일 때 보다 더 앞쪽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낙하 통로(191)는 앞쪽으로 튀어나온 안착부(131)의 전방단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낙하 통로(191)는 수평 상태에서의 피더(130) 상면 또는 안착부(131)의 전단 보다 전방(즉, 앞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피더(130)의 안착부(131)가 대략 수평상태 일 때 피더(130)의 하단부는 안착부(131)의 전방단 보다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130)를 측면에서 보면 대략 한쪽으로 기울어진 평행사변형 모양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피더(130)가 이러한 모양을 가지기 때문에, 피더(130) 내지 피더(130)의 안착부(131)가 수평 상태일 때 낙하 통로(191)는 피더(130), 엄밀히 말하면 피더(130)의 하단부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상태에서 피더(130)의 하단 내지 하단부에 의해서 낙하 통로(191)가 차단되기 때문에, 피더(130)의 하단 내지 하단부는 낙하 통로(19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 또는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에는 피더(130)의 폭방향을 따라 그 양단에는 센싱부(S1,S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에 형성된 피더 장착공(141)의 장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양쪽에는 호두 알갱이 또는 피더(130)의 후단을 감지하는 센싱부(S1,S2)가 형성될 수 있다. 센싱부(S1,S2)는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에 형성되되, 피더 장착공(141)의 장변 길이 방향을 따라 피더(130)의 폭 방향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지지프레임(140)의 상단(14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센싱부(S1,S2)는 피더(130)의 상단 보다 조금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더(130)의 안착부(131)에 호두 알갱이가 놓이면 이 호두 알갱이를 센싱부(S1,S2)가 감지하는데, 센싱부(S1,S2)가 호두 알갱이를 감지하면 바이브레이터(110)의 작동을 일시 중단하여 호두 알갱이가 추가적으로 피더(13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130)가 회전하게 되면 피더(130)의 후단이 상승하게 되고, 상승한 피더(130)의 후단을 센싱부(S1,S2)가 감지하면 바이브레이터(110)의 작동을 일시 중단할 수도 있다.
센싱부(S1,S2)는 호두 알갱이 또는 피더(130)의 후단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로 형성될 수 있고, 센싱부(S1,S2)의 센싱 신호는 호두공급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2) 또는 바이브레이터 컨트롤 박스(CP)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S1,S2)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하여 피더(130)의 안착부(131)에 호두 알갱이가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브레이터(110)가 멈추지 않고 호두 알갱이가 피더(13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 호두 알갱이가 피더(130)에 추가로 전달되는 것은 피더(130)에 의해서 차단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130)의 안착부(131)에 놓인 호두 알갱이를 낙하시키기 위해서 피더(130)가 회전하게 되면 피더(130)의 후단부가 상승하고, 상승한 피더(130)의 후단부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을 막게 된다. 따라서, 피더(130)가 호두 알갱이를 몰드(18)에 투입하는 동안에는 피더(130)의 후단이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출구를 막아서 호두 알갱이가 피더(130)에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호두 알갱이를 몰드(18) 안으로 투하할 때 피더(130)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출구단에서 전달된 호두 알갱이가 피더(130)의 상단 또는 안착부(13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 내지 출구단과 인접한 피더(130)의 일단 즉, 후단은 피벗 운동에 의해 회전하면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일단 내지 출구단을 막아서 호두 알갱이가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에서 피더(130)의 상면 내지 안착부(131)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에 사용되는 피더(130)는 호두 알갱이의 투입하는 기능과 함께 투입하는 동안에는 추가적으로 호두 알갱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더(feeder) 및 스토퍼(stopper)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부재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의 피더(130)는 몰드(18)에 정확하게 호두 알갱이를 공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피더(130)를 작동시키는 피더 구동부와 몰드(18)를 순환 이송시키는 몰드 구동부(200)는 서로 연동되거나 기구적으로 동기화(synchronized)되어 작동된다.
몰드 구동부(200)에 의해 몰드(181)가 피더(130) 또는 낙하 통로(191)의 하부에 위치하면 피더(130)가 호두 알갱이를 몰드(18) 안으로 투입하도록 피더 구동부(150)와 몰드 구동부(200)가 연동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몰드 구동부(200)는 몰드(18)를 일정한 폐순환루프를 따라 순환시키는 구동부인데, 몰드(18) 안으로 호두 알갱이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호두 알갱이가 투입되는 순간에는 몰드(18)이 이송이 중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몰드 구동부(200)는 피더 구동부(150)가 작동할 때에는 몰드(18)의 이송을 중단시킬 수 있다. 피더 구동부(150)가 작동한다는 것은 호두 알갱이를 떨어뜨리기 위해 피더(130)가 회전 내지 피벗 운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피더 구동부(150)가 작동하면 몰드 구동부(200)도 작동을 멈추어서 몰드(18)가 호두 알갱이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게 해야 한다.
피더 구동부(150)는 피더(13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핀(151) 및 일단은 회전핀(151)에 연결되고 타단은 몰드 구동부(200)에 연결되는 연결로드(15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핀(151)에 연결되는 연결로드(154)의 일단에는 제1볼조인트(152)가 형성되고, 몰드 구동부(200)에 연결되는 연결로드(154)의 타단에는 제2볼조인트(1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로드(154)의 양단이 볼조인트(152,153)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로드(154)와 회전핀(151)이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회전핀(151)에는 제1볼조인트(152)에 맞물리는 볼베어링(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 구동부(150)는 몰드(18)를 이송시키는 몰드 구동부(200)와 연동하거나 기구적으로 동기된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몰드 구동부(200)는 전체 몰드 구동부의 일부분으로서, 도시된 몰드 구동부(200)는 몰드(18)를 순환 이송시키기 위해서 작동되는 각종 캠 및 클러치 등을 포함하는 구조와 연동된다.
이와 같이, 피더 구동부(150)가 몰드 구동부(200)와 연동되기 때문에 몰드(18)가 피더(130)의 하부에 위치하면 몰드(18)의 이송을 멈추고 호두 알갱이를 몰드(18) 안으로 공급할 수 있다.
호두 알갱이를 몰드(18)에 공급하기 위해 낙하 통로(191)의 하단에는 플렉시블(flexible)한 튜브(T)가 연결될 수 있고, 튜브(T)의 끝단이 몰드(18)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튜브(T)와 통로 바디(190)의 연결 부위에서 조절이 가능한 볼트(미도시)를 이용하여 튜브(T)와 통로 바디(190)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튜브(T)의 끝단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몰드 구동부(200)에는 호두과자배출부(195)가 동기화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몰드 구동부(200)에 의해서 피더 구동부(150)가 연동하여 호두 알갱이를 몰드(18) 안으로 공급할 때, 호두 알갱이가 공급되는 몰드(18)의 좌측에 있는 몰드(18)에는 호두과자가 있는 상태인데, 피더 구동부(150)가 작동할 때 호두과자배출부(195)도 함께 작동하기 때문에 몰드(18)에서 호두과자를 배출시킬 수 있다. 호두과자배출부(195)의 하단 즉, 호두과자와 직접 접촉하는 부위에는 호두과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바이브레이터(110)에 담긴 호두 알갱이들은 바이브레이터(110)가 작동하여 진동하기 시작하면 보울(113)의 가장자리로 움직이고, 보울(113)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이동 경로(112)를 따라서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까지 움직이게 된다. 이 과정 중에 이동 경로(112)의 폭 크기에 의해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호두 알갱이만 선별하여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까지 보낼 수 있다. 가이드부(120)의 끝단 또는 출구단에 도달한 호두 알갱이는 가이드부(120)의 출구단 하부에 위치하는 피더(130)의 안착부(131)에 놓이게 된다.
피더(130)의 안착부(131)에 놓인 호두 알갱이는 센싱부(S1,S2)에 의해서 감지되고, 센싱부(S1,S2)가 안착부(131)에 호두 알갱이가 있음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22) 또는 바이브레이터 컨트롤 박스(CP)로 보내어서 바이브레이터(110)의 작동을 일시 중단시켜서 호두 알갱이가 추가적으로 안착부(13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몰드 구동부(200)에 의해서 몰드(18)가 호두 알갱이를 공급 받는 위치에 오게 되면 몰드 구동부(200)는 몰드(18)의 이송을 잠시 보류하고, 피더 구동부(150)가 피더(130)를 회전 내지 피벗 운동시켜서 안착부(131)에 놓인 호두 알갱이를 아래쪽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이 때, 몰드 구동부(200)와 피더 구동부(150)는 서로 기계적으로 동기화되어 있기 때문에 호두 알갱이를 공급 받는 위치에 몰드(18)가 오게 되면 피더 구동부(150)가 피더(130)를 회전 내지 피벗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피더 구동부(150)에 의해서 피더(130)가 회전 내지 피벗 운동하게 되면 피더(130)의 후방단이 올려지게 되고 이를 센싱부(S1,S2)에서 감지하면 바이브레이터(110)의 작동을 일시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올려진 피더(130)의 후방단이 호두 배출 가이드부(120)의 출구단을 막기 때문에 뒤이어 오는 호두 알갱이가 안착부(13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두공급장치(100)에는 바이브레이터(110), 피더(130), 센싱부(S1,S2)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 외에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몰드를 이송하는 몰드 구동부와 피더를 움직이는 피더 구동부를 연동시킴으로써 호두 알갱이의 투입위치에 몰드가 위치하면 몰드의 이송을 중단하고 피더를 움직여서 호두 알갱이를 몰드 안으로 정확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피더 그 자체로서 호두 알갱이의 공급 뿐만 아니라 호두 알갱이를 공급할 때 피더 상면에 또 다른 호두 알갱이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피더-스토퍼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호두공급장치 110: 바이브레이터
112: 이동 경로 120: 호두 배출 가이드부
122: 이탈 방지부 130: 피더
131: 안착부 140: 지지프레임
141: 피더 장착공 150: 피더 구동부
154: 연결로드 200: 몰드 구동부
W: 호두 알갱이
112: 이동 경로 120: 호두 배출 가이드부
122: 이탈 방지부 130: 피더
131: 안착부 140: 지지프레임
141: 피더 장착공 150: 피더 구동부
154: 연결로드 200: 몰드 구동부
W: 호두 알갱이
Claims (21)
- 호두 알갱이에 진동을 가하여 상기 호두 알갱이를 이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호두 알갱이를 상기 바이브레이터에서 배출시키는 호두 배출 가이드부;
상기 호두 알갱이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호두 알갱이를 몰드 안으로 공급하는 피더;
상기 피더를 피벗 운동시켜서 상기 피더 상에 놓여진 상기 호두 알갱이를 상기 몰드로 투하시키는 피더 구동부; 및
상기 몰드를 일정한 경로를 따라 순환 이송시키는 몰드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는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 하부에 위치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과 상기 피더의 후단부는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 일단의 양면에는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폭 보다 큰 폭을 가지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피더의 폭 보다 큰 간격을 가지며, 상기 이탈 방지부의 일단은 상기 피더와 중첩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후면에는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 또는 상기 피더 중 적어도 한 곳의 상단에는 상기 호두 알갱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홈 또는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와 인접한 상기 호두 배출 가이드부의 일단에는 상기 호두 알갱이가 상기 피더의 상단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 구동부는 상기 피더의 측면에 형성된 회전핀 및 상기 회전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몰드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의 양단은 볼 조인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브레이터는 호두 알갱이들이 담기는 상부의 그릇 모양의 보울과 상기 보울의 하부에 설치된 진동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울의 가장자리에는 스파이럴(spiral) 또는 나선 형상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 경로 중 상기 보울의 상단과 가까운 곳에는 상기 이동 경로의 폭을 조절하는 폭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의 상단에는 일정 크기 이하의 호두 알갱이를 상기 보울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 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도어의 하단에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받침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부의 양쪽에는 상기 이동 경로의 높이가 변하는 단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경로는 바닥면과 측벽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측벽면을 향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의 전단은 개방되고 후단에는 격벽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은 상기 피더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호두 알갱이가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공급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3634A KR101129605B1 (ko) | 2011-07-25 | 2011-07-25 | 호두공급장치 |
PCT/KR2012/005026 WO2013015530A2 (ko) | 2011-07-25 | 2012-06-26 | 호두공급장치 |
RU2014106940/13A RU2562192C1 (ru) | 2011-07-25 | 2012-06-26 |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грецких орехов |
CN201280036658.7A CN103747684B (zh) | 2011-07-25 | 2012-06-26 | 核桃供应装置 |
JP2014522732A JP5920642B2 (ja) | 2011-07-25 | 2012-06-26 | くるみ供給装置 |
US13/542,038 US9060522B2 (en) | 2011-07-25 | 2012-07-05 | Walnut suppl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3634A KR101129605B1 (ko) | 2011-07-25 | 2011-07-25 | 호두공급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29605B1 true KR101129605B1 (ko) | 2012-03-27 |
Family
ID=4614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3634A KR101129605B1 (ko) | 2011-07-25 | 2011-07-25 | 호두공급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060522B2 (ko) |
JP (1) | JP5920642B2 (ko) |
KR (1) | KR101129605B1 (ko) |
CN (1) | CN103747684B (ko) |
RU (1) | RU2562192C1 (ko) |
WO (1) | WO2013015530A2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778B1 (ko) | 2014-12-31 | 2015-08-26 | 강달중 | 호두공급장치 |
KR102094325B1 (ko) * | 2018-10-16 | 2020-03-27 | 주식회사농심 | 블록스프 투입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173802A1 (en) * | 2012-12-21 | 2014-06-26 | Claudette Marissa Frye | Interchangeable tubular undergarment |
US9442830B1 (en) * | 2014-06-25 | 2016-09-13 | Emc Corporation | Automated test coverage analysis, execution and report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4065Y1 (ko) * | 1992-11-13 | 1995-05-20 | 고한풍 | 제빵기에 있어서 호도알 자동공급장치 |
KR100940818B1 (ko) * | 2009-11-11 | 2010-02-04 | 주식회사 케이 이 엠 | 호두공급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U591174A1 (ru) * | 1975-10-28 | 1978-02-05 | Fedorov Evgenij Yakovlevich | Установка е. .федорова дл производства многослойных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в фольговой оболочке |
SU685268A1 (ru) * | 1978-01-10 | 1979-09-15 | Львовский Ордена Ленина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фет типа "вечерний звон |
DK0476162T3 (da) * | 1990-09-17 | 1994-03-14 | Frisco Findus Ag | Fordelingsindretning |
US6032610A (en) * | 1998-02-18 | 2000-03-07 | Clifford E. Fitch, Jr. | Apparatus for dispensing a quantity of material on a shell |
USRE38478E1 (en) * | 1998-02-18 | 2004-03-30 | Clifford E. Fitch, Jr. | Apparatus for dispensing a quantity of material on a shell |
EP1166633A1 (en) * | 2000-06-27 | 2002-01-02 | Kraft Foods R&D, Inc. | Apparatus for depositing granular food products on moving elements |
JP2007308216A (ja) * | 2006-05-16 | 2007-11-29 | Ntn Corp | 振動式部品供給装置 |
US8393495B2 (en) * | 2007-09-21 | 2013-03-12 | Cretem Co., Ltd. | Dispenser of automatically distributing various shaped tablets in medicine packing machine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
KR100910395B1 (ko) * | 2007-09-21 | 2009-08-04 | (주)크레템 | 로터리형 정제공급기 |
KR101017901B1 (ko) * | 2008-06-23 | 2011-03-04 | 박동우 | 제빵기의 소성판에 호두알갱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
CN101361587B (zh) * | 2008-09-12 | 2010-10-13 | 马新福 | 多道循环式花生剥壳机 |
KR100999801B1 (ko) * | 2008-10-02 | 2010-12-08 | 박동우 | 호두 자동공급장치 |
US20110041706A1 (en) * | 2009-08-19 | 2011-02-24 | Whetstone Jr Henry M | Chocolat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walking beam conveyor and associated methods |
-
2011
- 2011-07-25 KR KR1020110073634A patent/KR1011296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06-26 CN CN201280036658.7A patent/CN10374768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6-26 JP JP2014522732A patent/JP5920642B2/ja active Active
- 2012-06-26 WO PCT/KR2012/005026 patent/WO2013015530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6-26 RU RU2014106940/13A patent/RU2562192C1/ru active
- 2012-07-05 US US13/542,038 patent/US906052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4065Y1 (ko) * | 1992-11-13 | 1995-05-20 | 고한풍 | 제빵기에 있어서 호도알 자동공급장치 |
KR100940818B1 (ko) * | 2009-11-11 | 2010-02-04 | 주식회사 케이 이 엠 | 호두공급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7778B1 (ko) | 2014-12-31 | 2015-08-26 | 강달중 | 호두공급장치 |
KR102094325B1 (ko) * | 2018-10-16 | 2020-03-27 | 주식회사농심 | 블록스프 투입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014106940A (ru) | 2015-08-27 |
WO2013015530A2 (ko) | 2013-01-31 |
CN103747684A (zh) | 2014-04-23 |
US20130025473A1 (en) | 2013-01-31 |
US9060522B2 (en) | 2015-06-23 |
CN103747684B (zh) | 2016-04-20 |
WO2013015530A3 (ko) | 2013-04-04 |
JP2014521331A (ja) | 2014-08-28 |
JP5920642B2 (ja) | 2016-05-18 |
RU2562192C1 (ru) | 2015-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9605B1 (ko) | 호두공급장치 | |
CA2538212A1 (fr) | Systeme modulable de distribution de comprimes pour leur conditionnement dans une bande alveolee | |
JP7013127B2 (ja) | 物品供給装置 | |
US655872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 particulate charge over an article | |
JPH08271327A (ja) | 棒状組合せ計量機 | |
JP6735799B2 (ja) | 米飯盛付装置及び米飯盛付方法 | |
US20160192696A1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uniformly applying various breading and coating materials on food products | |
KR101551249B1 (ko) | 호두과자 제조장치의 호두과자 몰드에 호두를 투입하기 위한 수평왕복식 호두 공급 장치 | |
JP7023591B2 (ja) | 物品供給装置 | |
JP7009070B2 (ja) | 物品規制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物品供給装置 | |
JP2502950B2 (ja) | 組合せ計量方法およびその装置 | |
JP3847256B2 (ja) | 粒状ドライアイスの分配供給装置 | |
WO2020129852A1 (ja) | 組合せ計量装置 | |
KR101017901B1 (ko) | 제빵기의 소성판에 호두알갱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공급장치 | |
JP6759052B2 (ja) | 組合せ秤への物品供給装置 | |
JP2003334006A (ja) | 米飯供給装置 | |
JP3056822B2 (ja) | 選別装置の供給装置 | |
JP5985308B2 (ja) | 組合せ秤 | |
JP6714281B2 (ja) | 原料肉塊の移載装置 | |
US3131090A (en) | Tumbling drum for coating nails having a weighing feeder | |
JP7455478B2 (ja) | 組合せ秤 | |
JP7309564B2 (ja) | 味付け装置及び半製品の供給方法 | |
JPH11333044A (ja) | ボウリング設備のピンセッターへのピン供給装置 | |
JP2023020211A (ja) | 物品供給装置 | |
JP2004020259A (ja) | 組合せ計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