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593B1 -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593B1
KR101129593B1 KR1020090130323A KR20090130323A KR101129593B1 KR 101129593 B1 KR101129593 B1 KR 101129593B1 KR 1020090130323 A KR1020090130323 A KR 1020090130323A KR 20090130323 A KR20090130323 A KR 20090130323A KR 101129593 B1 KR101129593 B1 KR 10112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ransmitter
signal
light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633A (ko
Inventor
허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스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스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스윙
Priority to KR102009013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593B1/ko
Priority to US12/950,531 priority patent/US8208959B2/en
Priority to EP10192008.0A priority patent/EP2338636B1/en
Priority to CN2010105764988A priority patent/CN102119883A/zh
Publication of KR2011007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B23K9/322Head pro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A61F9/065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use of particular optical filters
    • A61F9/067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use of particular optical filters with variabl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장치에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작업시에도 편리하게 무선통신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 또는 절단토치에서 발생되는 광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광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하여 용접광을 검출하는 광검출수단;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스위치: 상기 제어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광검출수단의 검출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고,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의 광투과 농도 및 동작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검출된 광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용접광으로 판단하여 광투과 제어수단을 동작시키는 주제어수단; 및 상기 주제어수단에서 설정된 광투과농도에 따라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를 동작시켜 광투과율을 일정값으로 제어하는 광투과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의 착신신호 및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제2송신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폰에 전달함으로써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제1송신부; 상기 제1송신부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주제어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송신부에 무선 전송하는 제2송신부;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및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주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음성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수단은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해석하여 휴대폰 착신신호로 판단될 경우, 마스크 내측에 형성된 램프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벨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출력수단으로 전송하며,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되어 변환된 사용자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2송신부에 전달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눈부심 방지장치, 무선 통신, 휴대폰, 용접, 절단, 토치, 광검출, 음성

Description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눈부심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눈부심 방지장치에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작업시에도 편리하게 무선통신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 절단 또는 그라인딩 작업을 할 경우 용접자의 눈과 각종유해물질에서의 안전을 위하여 강한빛을 차단하는 용접면을 착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이에 편리하고 안전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용접면이 개발되고 사용되어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눈부심 방지장치를 구비한 보호 마스크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용접 또는 절단 토치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조절하기 위하여 작업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용접광 검출 눈부심 방지장치를 사용한다.
종래의 눈부심 방지장치(2)가 전면부에 구비된 보호 마스크(1)는, 눈부심 방지장치(2)에 포함되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인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5)를 통하여 작업자의 눈으로 인가되는 광의 조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즉, 눈부심 방지장치(2)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포토 다이오드 등의 광 감지센서(4)가 상기 용접 및 절단 토치에서 발생되는 광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서 눈부심 방지장치(2)에 내재되는 제어회로가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5)를 통과되는 광의 조도가 감소되도록 액정표시장치를 어둡게 제어함으로써 보호 마스크(1)를 쓰고 있는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눈부심 방지장치의 전자용접면은 용접작업의 환경에따라 셔터의 농도를 규격에 의한 레벨로 변경 또는 고정된 레벨로 용접자에게 제공되며 용접광에 의한 셔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용접후에 모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용접후 광에 의한 눈부심방지를 위하여 셔터의 지연시간을 가변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셔터동작에 필요한 제어스위치 또는 가변불륨은 여러형태로 장착되고 특정위치에 따라 용접자의 편리함이 제공되며 개발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눈부심 방지장치는, 작업중에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작업환경의 소음으로 인하여 휴대폰 벨소리를 잘 듣지 못하여 특히 긴급시 전화 통화가 어렵고,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하여 작업을 중지한 후 보호 마스크를 벗고 전화통화를 하여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눈부심 방지장치에 무선 통신 기능을 부가하여 작업시에도 편리하게 무선통신 휴대폰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입력 제어에 의한 눈부심 방지장치는, 용접 또는 절단토치에서 발생되는 광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광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하여 용접광을 검출하는 광검출수단;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스위치: 상기 제어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광검출수단의 검출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고,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의 광투과 농도 및 동작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검출된 광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용접광으로 판단하여 광투과 제어수단을 동작시키는 주제어수단; 및 상기 주제어수단에서 설정된 광투과농도에 따라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를 동작시켜 광투과율을 일정값으로 제어하는 광투과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장치에 있어서, 휴대폰의 착신신호 및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제2송신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폰에 전달함으로써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제1송신부; 상기 제1송신부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 호로 변환한 후 상기 주제어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송신부에 무선 전송하는 제2송신부;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및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주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음성입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수단은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해석하여 휴대폰 착신신호로 판단될 경우, 마스크 내측에 형성된 램프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벨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출력수단으로 전송하며,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되어 변환된 사용자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2송신부에 전달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음성정보DB;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정보 DB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앰프; 및 상기 증폭앰프에서 증폭된 음성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쳐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입력 신호처리부(DSP)를 포함할 수 있따.
상기 제1송신부 및 제2송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에 의하면, 작업중에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마스크에서 램프와 알람 및 벨소리를 직접 출력하여 작업환경의 소음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벨소리를 잘 인식할 수 있어 긴급시 전화 통화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 마스크에 형성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하여 바로 전화통화를 할수 있으므로 작업중에도 마스크를 벗지 않고 편리하게 전화통화를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시 휴대폰의 상대방의 전화 전달 내용 또는 통화 내용 등을 저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입력수단(10), 마이크(11), 필터(12), 음성입력 신호처리부(13), 음성출력수단(20), 음성정보DB(21), 증폭앰프(22), 스피커(23), 광검출수단(30), 광센서(31), 주제어수단(40), 광투과 제어수단(50), 눈부심방지 플레이트(51), 제어스위치(60), 램프(70), 전자파 검출수단(80), 전자파감지수단(81), 휴대폰(90), 제1송수신부(91) 및 제2송수신부(100)을 포함한다.
상기 광검출수단(30)은 광센서(3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하여 용접광을 검출하되 특히, 용접 또는 절단 토치에서 발생되는 광을 검출한다.
주제어수단(40)은 제어스위치(60)의 입력 따라 상기 광검출수단(30)의 검출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고,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51)의 광투과 농도 및 동작지연시간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광검출수단(30)에서 검출된 광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용접광으로 판단하여 광투과 제어수단(50)을 동작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주제어수단(40)은 마이컴(micom)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광투과 제어수단(50)은 상기 주제어수단(40)에서 설정된 광투과농도에 따라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51)를 동작시켜 광투과율을 일정값으로 제어한다.
한편, 전자파 감지수단(81)은 상기 용접 또는 절단토치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를 감지하고, 전자파 검출수단(80)은 상기 전자파 감지수단(81)을 통하여 입력되어 공진된 신호가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기준값과 비교된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수단(40)은, 사용자의 제어스위치(60)의 입력 따라 광투과 제어수단(50)을 동작시키되, 상기 전자파 검출수단(80)의 출력으로부터 전자파 신호의 변화를 감시하여 그 동작상태를 제어한다.
한편, 제1송신부(91)는 휴대폰(90)의 착신신호 및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제2송신부(100)에 전송한다. 또한, 제2송신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폰(90)에 전달함으로써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제2송신부(100)는 제1송신부(91)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주제어수단(40)에 전달한다. 또한, 주제어수단(40)으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제1송신부(91)에 전송한다.
상기 주제어수단(40)은 제2송신부(10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해석하여 휴대폰 착신신호로 판단될 경우, 램프(70)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음성출력수단(20)을 통하여 벨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2송신부(100)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출력수단(20)으로 전송한다.
음성출력수단(20)은 상기 주제어수단(40)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성출력수단(20)은, 음성정보DB(21), 증폭앰프(22), 스피커(23)를 구비한다.
음성정보DB(21)는 상기 주제어수단(40)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출력한다. 증폭앰프(22)는 상기 주제어수단(40)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정보 DB(21)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며, 스피커(23)는 상기 증폭앰프(22)에서 증폭된 음성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시킨다.
또한, 음성입력수단(10)은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하며, 이를 위하여 마이크(11), 필터(12), 음성입력 신호처리부(13)를 구비한다.
상기 마이크(11)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고, 필터(12)는 상기 마이크(11)로 입력된 음성을 필터링하며, 음성입력 신호처리부(DSP)(13)는 상기 필터(12)를 거쳐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11)는 용접자의 입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음성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어수단(40)은, 상기 음성입력수단(10)으로 입력되어 변환된 사용자의 디지털 신호를 제2송신부(100)에 전달한다.
제2송신부(100)는 주제어수단(40)으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제1송신부(91)에 전송하고, 제1송신부(91)는 제2송신부(10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폰(90)에 전달함으로써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1송신부(91) 및 제2송신부(100)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작업중에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 마스크에서 램프와 알람 및 벨소리를 직접 출력하여 작업환경의 소음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벨소리를 잘 인식할 수 있어 긴급시 전화 통화를 원활하게 하며, 보호 마스크에 형성된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하여 바로 전화통화를 할수 있으므로 작업중에도 마스크를 벗지 않고 편리하게 전화통화를 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면과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눈부심 방지장치를 구비한 보호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성입력수단 11 : 마이크
12 : 필터 13 : 음성입력 신호처리부
20 : 음성출력수단 21 : 음성정보DB
22 : 증폭앰프 23 : 스피커
30 : 광검출수단 31 : 광센서
40 : 주제어수단 50 : 광투과 제어수단
51 : 눈부심방지 플레이트 60 : 제어스위치
70 : 램프 80 : 전자파 검출수단
81 : 전자파 감지수단 90 : 휴대폰
91 : 제1송수신부 100 : 제2송수신부

Claims (4)

  1. 용접 또는 절단토치에서 발생되는 광으로부터 작업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광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통하여 용접광을 검출하는 광검출수단;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스위치:
    상기 제어스위치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광검출수단의 검출 감도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값을 설정하고,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의 광투과 농도 및 동작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광검출수단에서 검출된 광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 용접광으로 판단하여 광투과 제어수단을 동작시키는 주제어수단; 및
    상기 주제어수단에서 설정된 광투과농도에 따라 눈부심 방지 플레이트를 동작시켜 광투과율을 일정값으로 제어하는 광투과 제어수단;
    휴대폰의 착신신호 및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고,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제2송신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폰에 전달함으로써 음성통화를 수행하는 제1송신부;
    상기 제1송신부에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주제어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송신부에 무선 전송하는 제2송신부;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및
    사용자의 음성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주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음성입력수단을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출력수단은,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저장하고 출력하는 음성정보DB; 상기 주제어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정보 DB에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앰프; 및 상기 증폭앰프에서 증폭된 음성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수단은,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해석하여 휴대폰 착신신호로 판단될 경우, 마스크 내측에 형성된 램프를 점등시킴과 동시에 상기 음성출력수단을 통하여 벨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제2송신부로부터 전송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음성출력수단으로 전송하며, 상기 음성입력수단으로 입력되어 변환된 사용자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2송신부에 전달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며,
    상기 제1송신부 및 제2송신부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입력수단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상기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을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거쳐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입력 신호처리부(DS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4. 삭제
KR1020090130323A 2009-12-24 2009-12-24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KR10112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323A KR101129593B1 (ko) 2009-12-24 2009-12-24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US12/950,531 US8208959B2 (en) 2009-12-24 2010-11-19 Anti-blinding device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EP10192008.0A EP2338636B1 (en) 2009-12-24 2010-11-22 Anti-blinding device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CN2010105764988A CN102119883A (zh) 2009-12-24 2010-12-07 具有无线通讯功能的防盲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323A KR101129593B1 (ko) 2009-12-24 2009-12-24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633A KR20110073633A (ko) 2011-06-30
KR101129593B1 true KR101129593B1 (ko) 2012-03-28

Family

ID=43821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323A KR101129593B1 (ko) 2009-12-24 2009-12-24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08959B2 (ko)
EP (1) EP2338636B1 (ko)
KR (1) KR101129593B1 (ko)
CN (1) CN1021198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1786B2 (en) * 2013-11-21 2019-04-09 Optrel Holding A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ning of an auto-darkening filter in an eye protection device
US20170021444A1 (en) * 2014-04-04 2017-01-26 Trafimet Group S.P.A. Control system for welding systems
KR20170006613A (ko) * 2015-07-09 2017-01-18 주식회사 오토스윙 용접용 전자식 눈 보호장치와 스마트폰의 연동 제어방법
CN105193541A (zh) * 2015-10-19 2015-12-30 国家电网公司 一种多功能的带电作业护目镜
US10688604B2 (en) * 2016-04-05 2020-06-23 Martin H. RIZZO Platform base and stand adjusting device used in combination with a welders shield enclosure and welder's gun and/or torch
EP3363417A1 (de) * 2017-02-16 2018-08-22 optrel Holding AG Blendschutzvorrichtung, insbesondere schweisshelm
USD992828S1 (en) * 2022-02-24 2023-07-18 Lincoln Global, Inc. Welding helme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612A (ko) * 1998-12-29 2000-07-15 허문영 눈부심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97341Y1 (ko) * 2002-09-02 2002-12-11 주식회사 씨큐어테크 핸드폰용 핸즈프리 송수신기를 장착한 헬멧
KR20070008266A (ko) * 2005-07-13 2007-01-17 구승엽 이동 단말용 핸즈프리 장치
KR20070066536A (ko) * 2005-12-22 2007-06-27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음성인식 제어에 의한 눈부심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556C (zh) * 1997-11-24 2004-07-21 能量股份有限公司 含有一次性使用护耳和耳机的工业用防护器材组件
US6070264A (en) * 1999-04-09 2000-06-06 Jackson Products, Inc. Welding helmet having auto-darkening and manually adjustable lens shade control
US6614409B1 (en) * 1999-11-23 2003-09-02 Otos Co., Ltd. Glare shielding device of welding helm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3204282A (ja) * 2002-01-07 2003-07-18 Toshiba Corp 無線通信機能付きヘッドセット、これを用いたコミュニケーション記録システム、およびコミュニケーション制御方式を選択可能なヘッドセットシステム
US8068881B2 (en) * 2002-08-09 2011-11-29 Avon Associates, Inc. Voice controlled multimedia and communications system
US20040096078A1 (en) * 2002-11-15 2004-05-20 Titan Li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ssembled with spectacle frame
CA2433248A1 (en) * 2003-06-17 2004-12-17 Kimihiko Ernst Sato Apparatus to provide wireless headset audio device encased within a form factor of a helmet such as a motorcycle helmet, military helmet, ski or snowboard helmet, outdoor adventure helmet, or construction helmet, or a module which augments any helmet to provide this capability
KR20070002114A (ko) * 2005-06-30 2007-01-05 김태형 다기능 핼멧
CN101088481B (zh) * 2006-06-14 2011-11-16 杨雅琪 具有语音输出的护目镜
US7926118B2 (en) * 2006-12-27 2011-04-19 Illinois Tool Works Inc. Voice control welding/cutting helmet functions and settings
GB2461315B (en) * 2008-06-27 2011-09-14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Noise cancellation system
US20100045928A1 (en) * 2008-08-25 2010-02-25 Tri-Specs, Inc. Fashion eyewear frame that houses circuitry to effect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while providing extraneous background noise cancellation capability
KR101545582B1 (ko) * 2008-10-29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612A (ko) * 1998-12-29 2000-07-15 허문영 눈부심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297341Y1 (ko) * 2002-09-02 2002-12-11 주식회사 씨큐어테크 핸드폰용 핸즈프리 송수신기를 장착한 헬멧
KR20070008266A (ko) * 2005-07-13 2007-01-17 구승엽 이동 단말용 핸즈프리 장치
KR20070066536A (ko) * 2005-12-22 2007-06-27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음성인식 제어에 의한 눈부심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8636A1 (en) 2011-06-29
EP2338636B1 (en) 2014-01-08
CN102119883A (zh) 2011-07-13
US20110159918A1 (en) 2011-06-30
US8208959B2 (en) 2012-06-26
KR20110073633A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593B1 (ko)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눈부심 방지장치
US7110801B2 (en) Voice activated wireless phone headset
US20070140471A1 (en) Enhanced usage of telephone in noisy surroundings
EP1379103B1 (en) Telephone with integrated hearing aid
CN102970423A (zh) 一种手持通讯设备在通话过程中的免提模式切换方法
EP2577988B1 (en) Hands-free unit with noise tolerant audio sensor
JP2009004959A (ja) 携帯端末
EP4125277A1 (en) Whistling sound suppression method, earphon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GB2469796A (en) Wearable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removal reminder
KR101545147B1 (ko) 매너 통화 기능을 포함한 블루투스 스테레오 헤드셋
KR101553398B1 (ko) 헬멧용 블루투스 헤드셋
EP2899993B1 (en) User protection in a multimod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EP1111885B1 (en) Portable telephone outputting a vibration signal as alarm signal
KR20030083317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노이즈 제거장치
JP2001268213A (ja) 音声通信装置
KR20220055625A (ko) 무선통신 중계장치 및 중계방법
KR100304531B1 (ko) 핸드프리전화기자동응답장치
JP6855954B2 (ja) ハウリング防止装置および電話装置
KR100690835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음성통화시 외부잡음 제거방법
JP3024412B2 (ja) 送受話器
JP2001211249A (ja) 音声通信装置
JP2016072644A (ja) 携帯端末
KR200213401Y1 (ko) 차량용 핸드프리 장치
JP2001268212A (ja) 音声通信装置
KR20050087964A (ko) 보청기 겸용 이어마이크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