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385B1 -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385B1
KR101129385B1 KR1020050043614A KR20050043614A KR101129385B1 KR 101129385 B1 KR101129385 B1 KR 101129385B1 KR 1020050043614 A KR1020050043614 A KR 1020050043614A KR 20050043614 A KR20050043614 A KR 20050043614A KR 101129385 B1 KR101129385 B1 KR 101129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ance
subject
zoom
zoom magnification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436A (ko
Inventor
전은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38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은, 줌 배율 변경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AF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현재의 줌 배율 정보 및 포커스 렌즈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궤적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변경된 줌 배율에서의 피사체의 제2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제1거리 및 제2거리 중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를 선택하는 단계; 및 변경된 줌 배율에서 선택된 피사체의 거리를 기준으로 포커스 렌즈 위치로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줌 배율 변경시에 갑작스러운 피사체 거리의 변화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줌 트래킹을 수행한다. 따라서 줌 배율 변경 후에도 항상 정초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줌 배율 변경 후 반셔터(S1) 입력에 의한 AF 수행시에 AF 검색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AF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최근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요구되는 줌의 고배율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고성능 AF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Zoom track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device execut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1과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배율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S11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줌 트래킹(zoom tracking)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음 표 1은 광학 3배줌의 경우 줌 트래킹에 사용되는 렌즈 설계 데이터인 궤적 데이터 테이블(Locus data table)의 예로서, 각 줌단별(0단~7단)로 피사체의 거리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focus step)로 이루어진다.
2000㎜ 400㎜ 350㎜
0단 163 168 189 192
1단 130 139 171 176
2단 96 110 158 166
3단 74 93 159 170
4단 66 91 178 192
5단 67 99 206 222
6단 65 105 234 253
7단 65 114 264 287
종래의 카메라의 줌 트래킹 방법은 표 1의 궤적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표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줌 트래킹 방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궤적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는 종래의 줌 트래킹 방법은 현재의 줌 배율(0~7단)과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참조하여 피사체의 거리를 판단한다. 현재의 피사체 거리에서 줌 배율이 변경된 경우에는 이전 줌 배율의 포커스 렌즈 위치에서 변경된 줌 배율에 해당되는 포커스 렌즈 위치로 렌즈가 이동된다.
예를 들어 현재의 줌 배율이 3단이고 포커스 렌즈 위치가 162 스텝이고, 줌을 망원단(7단)으로 변경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현재 포커스 렌즈 위치가 159스텝과 170스텝의 사이값이므로, 줌 3단에서 피사체의 거리가 400㎜로 판단한다. 그리고 피사체의 거리 400㎜의 줌 7단에 해당되는 포커스 렌즈 위치인 264 스텝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줌 트래킹 방법은 현재 포커스가 맞지 않은 상태에서는 줌 트래킹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전에 포커싱이 안된 상태에서는 현재 피사체 거리에 대한 판단 정보가 정확하지 때문에 변경된 줌 배율에서의 줌 트래킹 역시 정확하지 못하게 된다. 예컨대 현재의 실제 피사체 거리는 2000㎜인데, 줌 배율이 광각(0단)이고 포커스 렌즈 위치가 정초점 상태가 아닌 200 스텝이라고 상정한다. 이 경우에 시스템은 먼저 현재 포커스 스텝을 테이블에서 200 스텝에 가장 가까운 203 스텝, 피사체의 거리 250㎜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줌 배율을 변경하면 250㎜의 포커스 궤적을 따라 렌즈가 이동하게 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줌 트래킹 방법은 현재 포커스가 정확히 맞았다고 하더라도 대상 피사체가 변경되면 줌 트래킹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현재의 줌 배율이 광각(0단)이고 실제 피사체의 거리 2000㎜에 포커스가 정확히 맞은 경우에 포커스 렌즈의 위치는 168 스텝이다. 이 때 사용자가 촬영 대상을 400㎜로 변경한 후 줌 배율을 3단으로 변경하면, 시스템은 먼저 현재 포커스 스텝이 168 스텝이기 때문에 2000㎜ 포커스 궤적을 따라 줌 3단의 93 스텝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 하지만 피사체는 400㎜로 변경되었으므로 줌 트래킹 후에는 포커싱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표 1의 궤적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면, 낮은 줌 배율일수록 포커스 렌즈의 스텝 간격이 치밀하여, 현재의 포커스 렌즈 위치 정보에 의한 피사체 거리의 정확한 판단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낮은 줌 배율에서 큰 줌 배율로 변경시에 포커스 렌즈 스텝의 편차가 더욱 커지게 되기 때문에 포커싱 오류가 더욱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정확성이 개선된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은, (a) 줌 배율 변경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AF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c) 현재의 줌 배율 정보 및 포커스 렌즈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d) 궤적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변경된 줌 배율에서의 피사체의 제2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제1거리 및 상기 제2거리 중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를 선택하는 단계; 및 (f) 변경된 줌 배율에서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거리를 기준으로 포커스 렌즈 위치로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는 패시브 방식에 의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e) 단계는 소정 휘도 이하의 저휘도 환경에서 상기 제1거리가 측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거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액티브 방식에 의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거리 측정 결과가 소정 거리 이상의 원거리인 경우에는 상기 제2거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 단계는 변경된 줌 배율에서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거리에 대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간하여 렌즈를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렌즈부와 필터부를 포함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 안의 렌즈부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SP(7)는 타이밍 회로(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로서의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auto gain control, AGC)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DSP(7)는 CDS-ADC 소자(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4)에는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 및 기타 임시 처리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5)에는 DSP(7)의 동작에 필요한 알고리듬 및 설정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6)에는 사용자의 메모리 카드가 착탈된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LCD 구동부(14)에서 LCD 패널의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되어 칼라 LCD 패널(17)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DSP(7)로부터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는, USB(Universal Serial Bus) 접속부(18) 또는 RS232C 인터페이스(8)와 그 접속부(19)를 통하여 직렬 통신으로써 전송될 수 있고, 비데오 필터(9) 및 비데오 출력부(20)를 통하여 비데오 신호로서 전송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기(13)는, 마이크로폰(MIC)으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DSP(7) 또는 스피커(SP)로 출력하고, DSP(7)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로 출력한다.
사용자 입력부(INP)에는, 셔터 버튼, 모드 선택 버튼, 기능 선택 버튼, 줌 버튼, 방향이동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INP)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기능 수행을 위한 명령을 발생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는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조리개(aperture) 모터(MA)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를 각각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광부(LAMP)에는, 셀프-타이머 램프, 자동-초점 램프, 플래시 대기 램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제어기(12)는 플래시-광량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플래시 제어기(11)의 동작을 제어하여 플래시(15)를 구동한다.
마이크로제어기(12)의 기능은 DSP(7)와 원칩(one chip)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사양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가 삭제되거나, 또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일부 구성요소가 변형되거나, 여러 구성요소의 기능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도 2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의 뒷면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뒤쪽에는, 뷰 파인더(100), 자동초점램프(101), 플래시 상태램프(102), 모드다이얼(103), 광각줌 버튼(104), 망원줌 버튼(105), 5기능버튼(106), 스피커(107), 외부출력단자(108), DC전원입력단자(109), 재생모드버튼(110), LCD 모니터(111), 현재 설정된 촬영정보를 모니터에 표시하거나 LCD모니터를 턴오프/턴온하는 LCD 버튼(112), 수동초점 버튼(113), 일시 정지 버튼(114)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5기능 버튼(106)은 중앙에 메뉴(MENU)진입/확인(OK) 버튼, 상하좌우 방향 버튼을 구비한다. 모니터에 메뉴가 표시된 경우에 상하좌우 방향 버튼은 방향이동이 아닌 특수한 기능 버튼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줌 배율의 변경은 광각줌 버튼(104)과 망원줌 버튼(105)을 누름으로써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여러 기능 버튼들은 그 명칭에서 나타나는 기능 이외에도 두 가지 이상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배율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먼저, 줌 배율 변경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0). 사용자가 예컨대 도 2의 디지털 카메라의 광각줌 버튼(104)과 망원줌 버튼(105)을 누르면 줌 배율 변경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줌 배율 변경신호가 입력되면, AF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한다(S102).
그리고 현재의 줌 배율 정보 및 포커스 렌즈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104). S104 단계 후에 궤적 데이터 테이블(Locus data table)을 참조하여 변경된 줌 배율에서의 피사체의 제2거리를 판단한다(S106).
도면에서는 S102 단계 후에 S104,S106 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와 같이 S102 단계와 S104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어 AF 센서에 의한 제1거리 측정(S102)과 궤적 데이터 테이블 참조에 의한 제2거리 판단(S104)을 병렬적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거리 및 상기 제2거리 중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를 선택한다(S108).
S106 단계 후에 변경된 줌 배율에서 선택된 피사체의 거리를 기준으로 포커 스 렌즈 위치로 렌즈를 이동한다(S110).
전술한 S102 단계 내지 S110 단계에서 거리의 판단 및 포커스 렌즈의 위치 결정은 도 1의 마이크로제어기(12) 또는 DSP(7)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S110 단계는 도 1의 마이크로제어기(12)가 렌즈 구동부(10)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가 광학계(OPS) 안의 줌 렌즈, 포커스 렌즈를 각각 구동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줌 배율 변경신호가 입력되면 AF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S102 단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102 단계는 패시브(passive) 방식 또는 액티브(active) 방식에 의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먼저 AF 센서를 이용한 패시브 방식의 거리 측정방법은 피사체에서 나오는 빛을 받아서 이중상 합치식으로 동작하는 수동(passive) 방식이다. 즉 2개의 광학렌즈에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각각의 수광소자배열(photo sensor array)로 받아서 대비(contrast)신호에 대한 서로 다른 위상차를 가지고 거리를 연산하는 방식이다. 패시브 방식은 피사체에서 나오는 빛을 받아서 AF를 수행하므로 어두운 저휘도의 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S102 단계가 패시브 방식에 의해 제1거리를 측정한 경우에는 소정 휘도 이하의 저휘도 환경에서 측정된 제1거리값은 신뢰할 수 없는 값이 된다. 이러한 저휘도 환경에서 측정된 제1거리는 유효하지 않고, 이 경우에 S108 단계에서는 제2 거리를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소정 휘도보다 높은 휘도 환경에서는 제1거리를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로 선택한다. 저휘도 환경인지의 판단은 광전변환 도 2의 광전변환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신호를 소정의 기준 휘도 신호와 비교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AF 센서를 이용한 액티브 방식의 거리 측정방법은 적외선을 대상 피사체로 발사하여 피사체에 반사된 빛을 수광소자로 받아들여 거리를 측정하는 능동(active) 방식이다. 액티브 방식은 발사하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출력의 한계로 인하여 소정 거리 이상의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에 대하여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S102 단계가 액시브 방식에 의해 제1거리를 측정한 경우에는 그 값이 소정 거리 이상으로 측정된 경우에는 신뢰할 수 없는 값이 된다. 이러한 소정 거리 이상의 제1거리는 유효하지 않고, 이 경우에 S108 단계에서는 제2거리를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제1거리 측정값이 소정 거리보다 작은 경우에는 제1거리를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로 선택한다.
이하에서는 실제 궤적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줌 트래킹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음 표 2는 본 발명의 줌 트래킹에 사용되는 궤적 데이터 테이블(Locus data table)의 예로서, 각 줌단별(0단~7단)로 피사체의 거리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focus step)로 이루어진다.
500㎜ 450㎜ 400㎜ 350㎜
0단 184 186 189 192
1단 163 167 171 176
2단 146 151 158 166
3단 143 150 159 170
4단 158 167 178 192
5단 181 192 206 222
6단 205 218 234 253
7단 231 246 264 287
먼저 사용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망원줌 버튼(도 2의 105)을 입력하여 줌 배율을 망원단(7단)으로 변경(S100)한 경우를 상정한다.
그리고 패시브 방식을 사용하여 AF 센서를 이용한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하고(S102), 제1거리 측정결과가 490㎜ 인 경우를 상정한다.
그리고 줌배율 변경전의 현재 줌 배율이 예컨대 3단이고 포커스 렌즈 위치가 162스텝인 경우를 상정한다(S104). 이 경우 표 2에서 현재 포커스 렌즈 위치가 159스텝(400㎜)과 170스텝(350㎜)의 사이값으로서 159스텝(400㎜)에 가까운 값이므로, 줌 3단에서 피사체의 제2거리를 400㎜로 판단한다(S106).
S106 단계는 궤적데이터 테이블에서 보간법을 적용하여 제2거리값을 판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경우 보간법을 적용하여 162스텝의 제2거리를 400㎜(59스텝)과 350㎜(170스텝)의 사이값인 368㎜로 판단할 수 있다.
제1거리 및 제2거리 중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를 선택하기 위하여 휘도를 측정한다. 측정 결과 저휘도 환경이 아닌 경우에 제1거리 측정결과인 490㎜를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로 선택한다(S108).
표 2를 참조하여, 변경된 줌배율인 망원단(7단)에서 피사체의 거리 490㎜에 해당하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판단한다. 490㎜는 500㎜에 가까운 값이므로 망원단(7단)에서 231스텝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한다(S110).
도 5는 도 3 및 도 4의 S11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보간법을 적용하여 줌 트래킹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S108 단계에서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를 선택한 후에, 보간법을 적용할 것인가를 판단한다(S200).
도 3의 S108 단계의 예에서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가 490㎜로 결정된 경우를 상정한다. 보간법을 적용하지 않는다면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490㎜는 500㎜에 가까운 값이므로 망원단(7단)에서 포커스렌즈의 위치는 231스텝으로 결정된다.
보간법을 적용하면, 망원단(7단)으로 변경한 후의 포커스 렌즈 위치는 231스텝(500㎜)과 246스텝(450㎜)을 보간하여 234스텝으로 결정된다(S202).
그리고 결정된 포커스 렌즈의 위치로 이동한다(S204).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비디오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필름 카메라, 산업용 카메라 등 줌 배율 변경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이미지 처리장치에 적용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에 의하면, 줌 배율 변경시에 갑작스러운 피사체 거리의 변화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줌 트래킹을 수행한다. 따라서 줌 배율 변경 후에도 항상 정초점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줌 배율 변경 후 반셔터(S1) 입력에 의한 AF 수행시에 AF 검색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AF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최근의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에서 요구되는 줌의 고배율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형화, 고성능 AF 기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 표현된 예시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의해 가르침 받은 당업자라면, 다음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목적 내에서 치환, 소거, 병합 등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 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a) 줌 배율 변경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AF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c) 현재의 줌 배율 정보 및 포커스 렌즈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d) 궤적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현재 줌 배율에서의 피사체의 제2거리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제1거리 및 상기 제2거리 중 유효한 피사체의 거리를 선택하는 단계; 및
    (f) 변경된 줌 배율에서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거리를 기준으로 포커스 렌즈 위치로 렌즈를 이동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패시브 방식에 의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소정 휘도 이하의 저휘도 환경에서 상기 제1거리가 측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2거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액티브 방식에 의하여 피사체의 제1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거리 측정 결과가 소정 거리 이상의 원거리인 경우에는 상기 제2거리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변경된 줌 배율에서 상기 선택된 피사체의 거리에 대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간하여 렌즈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처리장치의 줌 트래킹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줌 트래킹 방법을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KR1020050043614A 2005-05-24 2005-05-24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KR10112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614A KR101129385B1 (ko) 2005-05-24 2005-05-24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614A KR101129385B1 (ko) 2005-05-24 2005-05-24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436A KR20060121436A (ko) 2006-11-29
KR101129385B1 true KR101129385B1 (ko) 2012-03-26

Family

ID=3770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614A KR101129385B1 (ko) 2005-05-24 2005-05-24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3650B2 (en) 2014-04-29 2016-11-22 Hanwha Techwin Co., Ltd. Zoom-tracking method performed by imag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2546B1 (ko) 2014-09-30 2018-12-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Af 카메라에 있어서, 최적의 주밍 속도를 찾는 장치 및 방법
JP6659100B2 (ja) * 2015-08-06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214094B1 (ko) 2017-03-21 2021-02-09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트래킹 방법 및 줌 카메라
EP3647848B1 (en) * 2017-06-27 2023-03-15 Sony Group Corporation Interchangeable lens device, image capturing device,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capturing method and program
CN111183383B (zh) * 2017-09-27 2022-02-22 富士胶片株式会社 摄像装置、摄像方法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4241A (ja) 1997-09-02 1999-03-26 Canon Inc ズームレンズ
JP2001021788A (ja) * 1999-07-08 2001-01-2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及び交換レンズ
KR20020033430A (ko) * 2000-10-19 2002-05-06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초점 조절장치 및 전자적 촬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4241A (ja) 1997-09-02 1999-03-26 Canon Inc ズームレンズ
JP2001021788A (ja) * 1999-07-08 2001-01-2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及び交換レンズ
KR20020033430A (ko) * 2000-10-19 2002-05-06 후지 덴끼 가부시키가이샤 자동초점 조절장치 및 전자적 촬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03650B2 (en) 2014-04-29 2016-11-22 Hanwha Techwin Co., Ltd. Zoom-tracking method performed by im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436A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1311C (zh) 自动对焦方法和使用自动对焦方法的数字照相装置
KR101129385B1 (ko) 줌 트래킹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KR10115668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가변적인 노이즈 레벨을사용하는 자동 포커싱 방법
KR100468871B1 (ko) 이차 함수를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100562404B1 (ko) 추가 스캐닝이 수행되는 카메라의 자동 포커싱 방법
JPH0476508A (ja) 撮像装置
KR20100101391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7396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자동 포커싱 방법
KR20100053192A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KR101156684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분할촬영 방법
KR101109593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자동초점조정 방법
KR101156686B1 (ko) 오토 브래킷 디지털 이미지의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156441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28517B1 (ko)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의 자동초점조정 방법
KR101244913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10138740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58036B1 (ko) 아웃포커스 촬영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KR100910773B1 (ko) 이미지 확대 재생방법
KR100468872B1 (ko) 스케일 값 및 그 편차 범위를 제공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그 제어 방법
KR101214154B1 (ko) 이미지를 확대 재생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KR10141780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JP5219670B2 (ja) 光学機器及びレンズ位置検出方法
KR101037939B1 (ko) 디지털 이미지 촬영장치의 자동초점 조정방법
KR10133692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8403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