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7329B1 - 신규한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7329B1
KR101127329B1 KR1020110012788A KR20110012788A KR101127329B1 KR 101127329 B1 KR101127329 B1 KR 101127329B1 KR 1020110012788 A KR1020110012788 A KR 1020110012788A KR 20110012788 A KR20110012788 A KR 20110012788A KR 101127329 B1 KR101127329 B1 KR 101127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ed ginseng
hours
drying
st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890A (ko
Inventor
송규용
박용진
김상겸
김의검
송우용
이충열
Original Assignee
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진 filed Critical 박용진
Priority to KR1020110012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329B1/ko
Publication of KR20110020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횟수의 증숙으로 홍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시드 Rg1, Rb1, Rb2, Rc, Rd, Re 및 흑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시드 Rg2, Rg3, Rh1, Rh2, Rk1, Rg5 등의 사포닌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최종 인삼 제품의 조직이 치밀하며, 뛰어난 항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 신규한 흑홍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은 뛰어난 항암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므로 암 질환 또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prepared by novel method for preparing black-red ginseng}
본 발명은 홍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시드 Rg1, Rb1, Rb2, Rc, Rd, Re 및 흑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시드 Rg2, Rg3, Rh1, Rh2, Rk1, Rg5 등의 사포닌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최종 인삼 제품의 조직이 치밀하며, 뛰어난 항암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 신규한 흑홍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문헌 1] Okamura N. et al., Biol . Pharm . Bull ., 17(2), p.270, 1994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43862 (2005년 8월 1일 출원)
[문헌 3]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472098 (2002년 11월 15일 출원)
[문헌 4] Cha HY et al., Biol Pharm Bull ., 28(9), pp1621-5, 2006
[문헌 5] Kang JS et al., Arch Pharm Res ., 28(3), pp335-342, 2005
[문헌 6] Kordella T et al., Diabetes Forecast , 57(1), pRG5-8, 2004
[문헌 7] Neuberger J et al.,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London and the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49, Suppl 1:I1-21, 2001
[문헌 8] Chung BC et al., Pharmacol Res ., 54(1), pp46-9, 2006
[문헌 9] Huang C. et al., Sichuan Da Xue Xue Bao Yi Xue Ban , 37(1), pp60-2, 2006
[문헌 10] Kim DH et al., Biol Pharm Bull ., 28(10), pp1992-4, 2005
[문헌 11] Sun YX et al., J Agric Food Chem ., 51(9), pp2555-8, 2003
[문헌 12] Qui H et al., Zhonghua Wai Ke Za Zhi , 40(8), pp606-8, 2002
[문헌 13] Schini-Kerth VB et al., Eur J Pharmacol ., 367(1), pp51-7, 1999
[문헌 14] Lee HK et al., Biol Pharm Bull ., 21(1), pp79-80, 1998
[문헌 15] 한성태 외, 약학회지, 흑삼의 인삼 사포닌, 49(6), pp490-494, 2005
[문헌 16] Rubinstein, L.V. et al.,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30, p2418, 1989
[문헌 17] Winston et al., Free Radic Biol Med ., Feb, 24(3), pp480-493, 1998
[문헌 18] Regoli and Winston, Toxicol Appl Pharmacol ., Apr 15, 156(2), pp96-105, 1999
35억 달러 세계 인삼 시장을 잡기 위하여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들이 인삼 관련 신물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금까지 인삼을 기능성 식품으로 표준화해 세계 시장에서 성과를 올리고 있는 기업은 스위스 베링거잉겔하임 산하의 "파머톤사" 뿐이며 국내에서도 인삼에 대한 국가차원의 연구와 벤처업계의 상품화가 속속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홍삼은 약 1,000년 전부터 제조된 역사적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중국 송나라의 서긍이 저술한 고려도경에 홍삼에 대한 기록이 있음), 한의학적 전통제약기술인 수치법에 의해 가공제조된 수치생약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약의 수치목적은 1) 독성 등 부작용의 경감, 2) 생약 성능의 개변과 약효의 증강, 3) 보관이나 저장성의 향상, 4) 맛과 냄새 교정 및 부색 등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삼은 적정한 열처리 공정을 거치는 동안 2차적 성분변환이 일어나 수삼(fresh ginseng)이나 백삼에 존재하지 않는 홍삼 특유의 새로운 약효성분들이 생성되기도 하고, 어떤 활성성분은 함량 증가가 일어난다. 이렇듯 인삼의 가공방법에 따라 인삼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성분이 생성되며 인삼에 비해서 항암작용을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해서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가공 인삼을 개발 할 수 있다(Okamura N. et al., Biol . Pharm . Bull ., 17(2), p.270, 1994).
중국의 경우 백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홍삼에 소량 존재하는 인삼 사포닌인 Rg3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Shenyi' 라는 상품명으로 항암치료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바이오벤처기업 비티진이 공동 개발한 '황삼EX', 남일농장 인삼영농조합이 바이오벤처기업인 그린바이오와 손잡고 제품화한 '팽화홍삼', 남양알로에에서 분사한 유니젠은 최근 미국 UPI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바이오맥스', (주)CJ의 '식스플러스', (주)일동제약의 '황삼'과 같은 여러 종류의 가공인삼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증숙법의 하나인 한약재의 가공방법 중 물과 불을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인 구증구포(九蒸九曝)의 원리(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43862; 2005년 8월 1일 출원, 특허등록 10-0472098; 2002년 11월 15일 출원) 흑삼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아홉 번을 찌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탄화 등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방법에서 제조된 흑삼에서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물질이 검출되었다. 또한 아홉 번을 찌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백삼이나 홍삼에 존재하는 주요 성분인 Rg1, Rb1, Rb2, Re, Rc등과 사포닌이 과도하게 사라지는 단점이 있어 흑삼의 성분 표준화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아홉 번을 찌고 말리는 과정에서 인삼 조직이 변성화되어 조직이 치밀하지 않는 다공질 형태의 품질이 저하된 흑삼이 제조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증숙에 의해서 특이적으로 많이 생성되는 Rg5는 항불안 효과(Cha HY et al., Biol Pharm Bull ., 28(9), pp1621-5, 2006), 뇌기능개선 효과(Kang JS et al., Arch Pharm Res ., 28(3), pp335-342, 2005), 항당뇨 효과(Kordella T et al., Diabetes Forecast , 57(1), pRG5-8, 2004), C형 간염억제 효과(Neuberger J et al.,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London and the British Society of Gastroenterology., 49, Suppl 1:I1-21, 2001) 등, Rg3는 항스트레스 효과(Chung BC et al., Pharmacol Res ., 54(1), pp46-9, 2006), 항암효과(Huang C. et al., Sichuan Da Xue Xue Bao Yi Xue Ban , 37(1), pp60-2, 2006), 간보호 효과(Kim DH et al., Biol Pharm Bull ., 28(10), pp1992-4, 2005), 항산화 효과(Sun YX et al., J Agric Food Chem ., 51(9), pp2555-8, 2003), 신생혈관억제 효과(Qui H et al., Zhonghua Wai Ke Za Zhi , 40(8), pp606-8, 2002), 혈관이완작용(Schini-Kerth VB et al., Eur J Pharmacol ., 367(1), pp51-7, 1999), 혈소판응집억제작용(Lee HK et al., Biol Pharm Bull ., 21(1), pp79-80, 1998)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어 이러한 사포닌이 다량 함유하는 흑홍삼은 위와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9번을 찌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사포닌이 사라지고 발암물질이 검출되는 구증구폭의 원리와 달리, 적은 횟수의 증숙으로 홍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시드 Rg1, Rb1, Rb2, Rc, Rd, Re 및 흑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시드 Rg2, Rg3, Rh1, Rh2, Rk1, Rg5 등의 사포닌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최종 인삼 제품의 조직이 치밀하며, 뛰어난 항암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 신규한 흑홍삼 제조 방법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의 증숙 및 건조를 반복하는 공정을 통하여 홍삼 사포닌인 Rg1, Rb1, Rb2, Rc, Rd, Re와 흑삼 사포닌인 Rg2, Rg3, Rh1, Rh2, Rk1, Rg5 등의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뛰어난 항암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 흑홍삼의 신규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고압의 원리을 이용하여 홍삼 사포닌인 Rg1, Rb1, Rb2, Rc, Rd, Re와 흑삼 사포닌인 Rg2, Rg3, Rh1, Rh2, Rk1, Rg5 등의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뛰어난 항암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 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 흑홍삼의 신규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흑홍삼은 하기와 같이 증숙 및 건조를 반복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3 내지 7년근, 바람직하게는 6년근 인삼을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 후,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12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8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공정; 증숙기에 넣어 예열시간을 제외하고 6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00℃의 온도에서 1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시간 동안 증숙하는 증숙공정;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6 내지 18시간,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공정; 상기 1차 건조, 증숙 및 2차 건조단계를 2 내지 7회,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회, 보다 바람직하게는 5회 반복함으로써 흑홍삼의 수분함량을 14% 이하가 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hs-1' 또는 'hs-3')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흑홍삼은 하기와 같이 고온고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3 내지 7년근, 바람직하게는 6년근 인삼을 초음파 세척기로 세척 후,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12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8시간 건조하는 1차 건조공정; 증숙기에 넣어 예열시간을 제외하고 6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00℃의 온도에서 3 내지 9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시간 동안 증숙하는 1차 증숙공정;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6 내지 18시간, 바람직하게는 9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공정; 0.05 내지 0.45 MPa,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20 MPa의 압력하에 95 내지 155℃,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45℃의 온도에서 30 내지 150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분 동안 증숙하는 2차 증숙공정; 내부 온도를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로 유지하여 8 내지 16시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시간 동안 수분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3차 건조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hs-2' 또는 'hs-4')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홍삼은 음건, 냉동건조 등의 당업계의 통상적인 건조방법을 통하여 건조한 후, 미세입자,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200 ㎛의 입자크기로 분쇄, 분말화하는 공정을 통하여 당업계에 잘 알려진 부형제 또는 담체를 이용하여 환제, 캅셀제, 정제 등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홍삼은 생약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분말, 바람직하게는 약 50~200 ㎛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여 각종제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을 분쇄한 후, 흑홍삼 무게의 약 3 내지 7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배 질량(w/v)의 물을 가하여, 실온에서 3 내지 7시간 방치한 후, 상기 용액 부피의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배(v/v)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가하여,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의 추출물('ch-2', 'ch-3', 'ch-4' 또는 'ch-5')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인삼 자체뿐만 아니라 인삼잎 또는 인삼 꽃봉오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인삼잎과 인삼꽃봉오리는 지금까지 약용으로 사용하지는 않고 그냥 버리거나 사료용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가 향장품 또는 식품의 원료로 사용되어 왔을 뿐이나, 인삼잎 또는 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가열, 가압처리 할 경우 약효가 훨씬 강화되므로 이제까지의 인삼잎과 인삼꽃봉오리의 용도는 물론이고 약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은 기존의 흑삼 또는 홍삼에는 없거나, 극미량으로 존재하던 활성 성분의 함량을 증강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 추출물은 암세포주에서 강한 세포 독성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 추출물은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추출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흑홍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추출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흑홍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암 질환 또는 산화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흑홍삼 또는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인삼은 파낙스(Panax)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고려인삼(Panax ginseng), 화기삼(Panax quinquefolia), 전칠삼(삼칠, 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vietnamensis), 파낙스 엘레가티오르(Panax elegatior), 파낙스 완지아누스(Panax wangianus) 또는 파낙스 피핀라티푸스(Panax bipinratifidus), 바람직하게는 고려인삼(Panax ginseng) 또는 화기삼(Panax quinquefolia)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암 질환은 일반적인 암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간암, 유방암, 위암, 결장암, 폐암, 비소세포성폐암, 골암, 췌장암, 피부암, 두부 또는 경부암, 피부 또는 안구 내 흑색종, 자궁암, 난소암, 대장암, 소장암, 직장암, 항문부근암, 나팔관암종, 자궁내막암종, 자궁경부암종, 질암종, 음문암종, 호지킨병(Hodgkin's disease), 식도암, 소장암, 임파선암, 방광암, 담낭암, 내분비선암, 갑상선암, 부갑상선암, 부신암, 연조직 육종, 요도암, 음경암, 전립선암, 만성 또는 급성 백혈병, 림프구 림프종, 방광암, 신장 또는 수뇨관 암, 신장세포 암종, 신장골반 암종, 중추신경계(CNS; central nervous system) 종양, 1차 CNS 림프종, 척수 종양, 뇌간 신경교종 또는 뇌하수체 선종,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간암 또는 유방암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산화 관련 질환은 비만증, 노화, 당뇨병,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신장질환, 통풍, 고혈압, 간질환, 폐질환, 갑상선 기능항진증, 갑상선 기능저하증, 만성피로증후군, 심장병, 중풍 또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비만증, 노화, 당뇨병,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신장질환 또는 통풍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흑홍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흑홍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2 내지 2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은 기존의 인삼의 용도, 즉 각종 의약품 제제, 한약, 건강식품, 식품, 차, 향장품 등에 효능이 더 강화된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추출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흑홍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추출방법으로부터 제조되는 흑홍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 등이 있다.
또한, 암 질환 또는 산화 관련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은 횟수의 증숙으로 홍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시드 Rg1, Rb1, Rb2, Rc, Rd, Re 및 흑삼의 주성분인 진세노시드 Rg2, Rg3, Rh1, Rh2, Rk1, Rg5 등의 사포닌 성분들을 다량 함유하고, 최종 인삼 제품의 조직이 치밀하며, 뛰어난 항암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물질이 전혀 검출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 신규한 흑홍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기존의 구증구폭의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비교실시예 1의 ch-1의 과산화질산염에 대한 포획능을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실시예 2-1의 ch-2의 과산화질산염에 대한 포획능을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실시예 2-2의 ch-3의 과산화질산염에 대한 포획능을 나타낸 도이고,
도 6은 비교실시예 1의 ch-1의 퍼옥실라디칼에 대한 포획능을 나타낸 도이며,
도 7은 실시예 2-1의 ch-2의 퍼옥실라디칼에 대한 포획능을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실시예 2-2의 ch-3의 퍼옥실라디칼에 대한 포획능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실시예 1. 홍삼 추출물의 제조
6년근 정관장 홍삼 32.75 g를 취하여 분쇄한 후 80%에탄올 1 L를 넣고 4시간 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홍삼 조추출물 9 g를 수득하였고, 이 홍삼 조추출물에 물 300 ml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300 ml을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으며,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300 ml을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추출한 뒤,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홍삼 추출물 1.25 g을 수득하였고(이하 'ch-1'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흑홍삼의 제조
1-1. 증숙 및 건조를 반복하는 방법(고려인삼)
금산에서 재배한 6년근 고려인삼(삼흥사, 한국) 2 kg을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15분간 총 3회 반복해서 세척한 후, 40℃에서 24시간 동안 1차 건조한 다음, 24시간 저온에서 말린 인삼을 증숙기에 넣고 예열시간을 제외하고 95℃에서 6시간 1차 증숙하였고, 열선이 내장된 건조기의 내부온도를 60℃로 유지시킨 후 펜을 돌리면서 인삼을 12시간 동안 2차 건조시켰다.
이와 같은 증숙 및 건조과정을 5회 반복하여 백색의 인삼이 홍색을 거쳐 흑갈색으로 변한 수분함량이 13.8%인 본 발명의 흑홍삼 455 g을 제조하였다(이하 'hs-1'이라 명명함).
1-2. 고온 및 고압에 의한 방법(고려인삼)
금산에서 재배한 6년근 고려인삼(삼흥사, 한국) 2 kg을 초음파 세척기에 넣고 3분간 총 3회 반복해서 세척한 후, 40℃에서 24시간 1차 건조한 다음, 24시간 저온에서 말린 인삼을 증숙기에 넣고 예열시간(증숙기에서 수증기가 세어 나오는 데까지의 시간으로 통상 30여분)을 제외하고 95℃에서 6시간 1차 증숙하였고, 열선이 내장된 건조기의 내부온도를 60℃로 유지시킨 후 펜을 돌리면서 골고루 인삼을 12시간 동안 2차 건조시킨 후, 가압하에(0.12MPa) 118℃에서 90분간 2차 증숙한 다음, 열선이 내장된 건조기의 내부온도를 60℃로 유지시킨 후 펜을 돌리면서 12시간 동안 3차 건조시켜 수분함량이 13.5%인 본 발명의 흑홍삼 473 g을 제조하였다(이하 'hs-2'이라 명명함).
1-3. 증숙 및 건조를 반복하는 방법(화기삼)
금산에서 구입한 5년근 화기삼((주)대덕바이오, 한국) 1 kg을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증숙 및 건조과정을 5회 반복하여 수분함량이 13.7%인 본 발명의 흑홍삼 234 g을 제조하였다(이하 'hs-3'이라 명명함).
1-4. 고온 및 고압에 의한 방법(화기삼)
금산에서 구입한 5년근 화기삼((주)대덕바이오, 한국) 1 kg을 상기 실시예 1-2의 제조방법으로 수분함량이 13.9%인 본 발명의 흑홍삼 231 g을 제조하였다(이하 'hs-4'이라 명명함).
실시예 2.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
2-1. 증숙 및 건조를 반복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홍삼(고려인삼)의 추출물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hs-1 23 g에 100 ml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80% 에탄올 1 L를 가하여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고, 흑홍삼 조추출물 6 g을 수득하였으며, 이 흑홍삼 조추출물에 물 500 ml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500 ml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고,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500 ml를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4회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흑홍삼 추출물 1.56 g을 수득하였고(이하 'ch-2'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2. 고온 및 고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홍삼(고려인삼)의 추출물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hs-2 23 g에 100 ml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80% 에탄올 1 L를 가하여 3시간 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고, 흑홍삼 조추출물 5.5 g을 수득하였으며, 이 조추출물에 물 500 ml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500 ml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고,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500 ml를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4회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흑홍삼 추출물을 2.12 g 수득하였고(이하 'ch-3'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3. 증숙 및 건조를 반복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홍삼(화기삼)의 추출물
상기 실시예 1-3에서 수득한 hs-3 50 g에 100 ml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80% 에탄올 1 L를 가하여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고, 흑홍삼 조추출물 16.7 g을 수득하였으며, 이 조추출물에 물 500 ml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500 ml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고,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500 ml를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4회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흑홍삼 추출물 4.56 g을 수득하였고(이하 'ch-4'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4. 고온 및 고압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홍삼(화기삼)의 추출물
상기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hs-4 50 g에 100 ml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80% 에탄올 1 L를 가하여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여,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고, 흑홍삼 조추출물 17 g을 수득하였으며, 이 조추출물에 물 500 ml을 넣어 현탁시킨 후 에테르 500 ml를 가하여 비극성 물질을 제거하였고, 남아있는 수층에 수포화 부탄올 500 ml를 가하여 인삼에 존재하는 사포닌을 4회 추출한 후 부탄올을 감압농축기로 제거하여 인삼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흑홍삼 추출물 4.98 g 수득하였고(이하 'ch-5'이라 명명함),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흑홍삼 사포닌 성분 분석
흑홍삼 추출물에 존재하는 인삼사포닌의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ch-1, ch-2 또는 ch-3을 20 mg씩 메탄올 1 ml에 녹인 후, 0.45 ㎛ 필터로 여과한 여액을 하기 표 1의 HPLC 분석 조건으로 성분을 분석하였고, 약학회지에 실려 있는 데이터를 인용하여 흑삼의 성분을 분석하였으며(한성태 외, 약학회지, 흑삼의 인삼 사포닌, 49(6), pp490-494, 2005),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컬럼 시세이도 C18 컬럼 (5 ㎛, 1504.6mm)
유량 1 ㎖/min
디텍터 ELSD-LT 디텍터
용매 A; CH3CN : H2O : 5%CH3COOH = 15 : 80 : 5, B; CH3CN : H2O = 80 : 20
0분(0%B), 0-10분(30% B), 10-25분(50% B), 25-40(100% B), 40-50분(100% B), 50-55분(0% B), 55-58분(0% B)
온도 40℃
ch-1(%) 흑삼 추출물(%) ch-2(%) ch-3(%)
Rb1 0.491 0.023(**) 0.278(**) 0.253(**)
Rb2 0.253 0.004(**) 0.132(**) 0.112(**)
Rc 0.225 0.003(**) 0.122(**) 0.132(**)
Rd 0.104 0.147(**) 0.102(**) 0.128(**)
Re 0.272 0.035(**) 0.104(**) 0.109(**)
Rg1 0.363 0.098(**) 0.185(**) 0.210(**)
Rg2 0.042(*) 0.145 0.092(*) 0.088(*)
Rg3 0.061(*) 0.387 0.202(*) 0.234(*)
Rh1 0.053(*) 0.287 0.126(*) 0.134(*)
Rh2 0.042(*) 0.321 0.165(*) 0.169(*)
Rk1 + Rg5 0.053(*) 0.398 0.218(*) 0.225(*)
합계 1.959 1.848 1.726 1.794
(*): ch-1에서 미량으로 존재하는 성분들이 ch-2 및 ch-3에서는 다량 존재함을 나타냄.
(**): 흑삼 추출물에서 미량으로 존재하는 성분들이 ch-2 및 ch-3에서는 다량 존재함을 나타냄.
실험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바와 같이, 홍삼의 주성분은 Rb1, Rb2, Rc, Rd, Re, Rg1이며, Rg2, Rg3, Rh1, Rh2, Rk1+Rg5는 소량으로 존재함을 알 수있었고, 흑삼의 주성분은 , Rg3, Rh1, Rh2, Rk1+Rg5이며 홍삼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사포닌이 추출 과정에서 거의 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서 본 발명의 신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흑홍삼의 경우는 홍삼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Rg2, Rg3, Rh1, Rh2, Rk1+Rg5 뿐만 아니라 흑삼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Rb1, Rb2, Rc, Rd, Re, Rg1까지 다량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흑홍삼은 홍삼 및 흑삼에 존재하는 모든 사포닌이 다량 존재하는 우수한 품질의 제품임을 알 수 있었고, 홍삼 및 흑삼의 장점만을 모두 갖춘 가공인삼으로 향후 흑홍삼의 성분을 표준화할 때 매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흑홍삼의 조직 분석
본 발명의 흑홍삼의 조직이 얼마나 치밀한지 알아보기 위해, 그 단면을 구증구포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과 비교해 보았다(도 1 및 도 2 참조).
실험 결과, 구증구포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은 아홉 번을 찌고 말리는 과정에서 조직이 변성을 일으켜 다공질 형태였지만 실시예 1-1의 hs-1 또는 실시예 1-2의 hs-2는 다공질 형태가 아닌 매우 치밀한 조직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발암성물질 검출여부 측정
흑홍삼의 발암성물질 검출여부를 공주대학교 약물남용연구소에 분석을 의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발암성물질 hs-1에서 검출된 양(ppm) hs-2에서 검출된 양(ppm) hs-3에서 검출된 양(ppm) hs-4에서 검출된 양(ppm)
벤조피란
(Benzo(a)pyrene)
0 0 0 0
피란(Pyrene) 0 0 0 0
나프탈렌(Naphthalene) 0 0 0 0
1-메틸나프탈렌 (1-Methylnaphthalene) 0 0 0 0
2-메틸나프탈렌
(2-Methylnaphthalene)
0 0 0 0
안트라센(Anthracene) 0 0 0 0
크라이센(Chrysene) 0 0 0 0
아카나피틸렌
(Accanaphthylene)
0 0 0 0
아카나피탈렌
(Accanaphthalene)
0 0 0 0
페난트란(Phenanthrene) 0 0 0 0
디벤젠트라센
(Dibenz(a,h)anthracene)
0 0 0 0
벤조플로란센
(Benzo(b)fluoranthene)
0 0 0 0
벤조플로란센
(Benzo(k)fluoranthene)
0 0 0 0
플로린(Fluorene) 0 0 0 0
실험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홍삼에서는 벤조피란을 포함한 14가지의 발암성물질들이 전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ch-2, ch-3, ch-4 및 ch-5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 MTT 법(Rubinstein, L.V. et al., Correlation of screening data generated with a tetrazolium assay (MTT) versus a protein assay (SRB) against a broad panel of human tumor cell line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30, p2418, 1989)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MCF-7(유방암 세포주, ATCC) 및 SK-Hep-1(간암 세포주, ATCC)을 10% FBS가 첨가된 RPMI1640으로 5% CO2, 37℃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트립신-EDTA를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용기로부터 분리하였고, 1x104의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다음, 비교실시예 1의 ch-1, 실시예 2-1의 ch-2, 실시예 2-2의 ch-3, 실시예 2-3의 ch-4 또는 실시예 2-4의 ch-5를 농도별로 계대 희석하여 웰당 100 ㎕씩 분주하였으며, 이를 48시간 배양한 후 MTT(5 mg/ml)를 10 씩 넣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PBS(phosphate-buffered solution)로 세척하였고, 세척한 플레이트에 DMSO 100 ㎕를 넣고 상온에서 20분 동안 방치한 후 ELISA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을 100%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세포 사멸률을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1010289185-pat00001
시료 IC50 (㎍/ml)
MCF-7 SK-Hep-1
비교실시예 1의 ch-1 75.51 183.33
실시예 2-1의 ch-2 21.54 62
실시예 2-2의 ch-3 20.29 60
실시예 2-3의 ch-4 30.53 76
실시예 2-4의 ch-5 25.71 71
실험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실시예 1의 ch-1이 MCF-7에 대한 세포독성이 75.51 ㎍/ml인 것과 비교하여, 실시예 2-1의 ch-2 또는 실시예 2-2의 ch-3의 MCF-7에 대한 세포독성은 각각 20.29 또는 21.54 ㎍/ml로 비교실시예 1의 ch-1에 비해서 3배 정도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암세포주인 SK-Hep-1에 대해서도 실시예 2-1의 ch-2 또는 실시예 2-2의 ch-3이 비교실시예 1의 ch-1에 비해서 약 3배 정도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실시예 2-3의 ch-4과 실시예 2-4의 ch-5의 MCF-7에 대한 세포독성은 각각 30.53 및 25.71 ㎍/ml로 비교실시예 1의 ch-1에 비해서 약 2.5배 정도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암세포주인 SK-Hep-1에 대해서도 실시예 2-3의 ch-4 또는 실시예 2-4의 ch-5가 비교실시예 1의 ch-1에 비해서 약 2.5배 정도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흑홍삼 추출물은 기존의 홍삼 추출물에 비해 약 2.5배 내지 3배 정도의 항암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옥시라디칼 소거능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ch-2 또는 ch-3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함으로써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TOSC(총 옥시라디칼 소거능) 분석법(Winston et al., Free Radic Biol Med ., Feb, 24(3), pp480-493, 1998; Regoli and Winston, Toxicol Appl Pharmacol ., Apr 15, 156(2), pp96-105, 1999)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20 mM 농도의 ABAP(2,2'-아조비사미디노프로판, 시그마사)를 35에서 자발적으로 붕괴시켜 퍼옥실 라디칼을 발생시켰고, 70 microM의 SIN-1(시그마사)을 자발적으로 붕괴시켜 과산화질산염을 발생시켰으며, 발생된 퍼옥시 라디칼 및 과산화질산염은 반응액에 0.2 mM 농도로 존재하는 KMBA(a-케토--메티올부티르산, 시그마사)과 반응하여 에틸렌 가스를 발생시켰고, 비교실시예 1의 ch-1, 실시예 2-1의 ch-2 또는 실시예 2-2의 ch-3과의 반응에 따른 에틸렌 가스 검출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옥시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비교실시예 1의 ch-1, 실시예 2-1의 ch-2 또는 실시예 2-2의 ch-3을 0.0125, 0.025, 0.05 또는 0.1 mg/ml의 농도로 물과 희석하여 최종 용량이 1 ml가 되도록 만든 다음, 고무로 된 셉텀(rubber septum)으로 밀폐된 10 ml의 용기에 넣었고, 반응용기의 헤드 스페이스 내부 공기 200 ㎕를 취하여 헤드-스페이스 법(head-space technique)으로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건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 gas chromatography)를 수행하였고, 바이알(Vial)의 에틸렌 가스(ethylene gas) 정량을 위해 바이알 안의 공기를 가스 밀폐된(gas-tight) 주사기로 150 ㎕ 취하여 가스 밀폐된(gas-tight) 주사기로 취하여 인젝터(injector)에 주입하였으며, 이로부터 얻은 그래프(도 3 내지 도 8 참조)로부터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TOSC값을 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내었다.
컬럼(column) 포로팩 N 컬럼(poropack N column)
측정기(detector) FID(flame ionizing detector)
온도 (temperature) 오븐 60℃, 인젝터 180℃, 디텍터 180℃
유속(flow rate) 30 mL/min
주입 부피(injection volume) 20 ㎕
이동상(mobile phase) 헬륨
Figure 112011010289185-pat00002
과산화질염에 대한 소거능
시험군
TOSC 값 특정 TOSC 값 (TOSC/mg)
비교실시예 1의 ch-1 농도 (mg/ml) 0.0125 0.025 0.05 0.1 336±8
TOSC 값 3.7 9.2 17.5 34.4
실시예 2-1의 ch-2 농도 (mM) 0.0125 0.025 0.05 0.1 817±40
TOSC 값 8.7 21.8 40.2 47.3
실시예 2-2의 ch-3 농도 (mM) 0.0125 0.025 0.05 0.1 826±39
TOSC 값 9.4 22.4 40.8 48.2
퍼옥실라디칼에 대한 소거능
시험군 TOSC 값 특정 TOSC 값 (TOSC/mg)
비교실시예 1의 ch-1 농도 (mg/ml) 0.0125 0.025 0.05 0.1 377±14
TOSC 값 4.0 11.2 19.8 37.6
실시예 2-1의 ch-2 농도(mM) 0.0125 0.025 0.05 0.1 731±32
TOSC 값 9.3 20.2 36.4 56.3
실시예 2-2의 ch-3 농도 (mM) 0.0125 0.025 0.05 0.1 782±26
TOSC 값 9.7 21.0 38.9 59.0
실험결과, 상기 표 6 및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1의 ch-2 및 실시예 2-2의 ch-3은 퍼옥실 라디칼(peroxyl radicals)에 대한 특정 TOSC값이 약 817 내지 826 TOSC/mg로 비교실시예 1의 ch-1이 약 336 TOSC/mg인 것과 비교하여 약 2.5배가 높았고, 실시예 2-1의 ch-2 및 실시예 2-2의 ch-3은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에 대한 특정 TOSC값이 약 731 내지 782 TOSC/mg로 비교실시예 1의 ch-1이 약 377 TOSC/mg인 것과 비교하여 약 2.1배가 높았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흑홍삼 추출물은 퍼옥실 라디칼 및 과산화질산염에 대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며, 특히 홍삼에 비해 약 2 내지 3배 정도의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 당 2마리씩의 동물에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흑홍삼 추출물을 1 g/kg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이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 g/kg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 g/kg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상기 흑홍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1의 hs-1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2의 hs-2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2-1의 ch-2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2-2의 ch-3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 ?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3의 hs-3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4의 hs-4 1000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
비오틴 10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염화마그네슘 24.8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2-3의 ch-4 100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3)

  1. 6년근 고려인삼(Panax ginseng) 또는 화기삼(Panax quinquefolia)을 세척 후,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공정; 증숙기에 넣어 75 내지 100℃의 온도에서 2 내지 6시간 동안 증숙하는 증숙공정;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9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공정; 상기 1차 건조공정, 증숙공정 및 2차 건조공정을 5회 반복함으로써 흑홍삼의 수분함량을 14% 이하가 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증숙 및 건조를 반복하여 흑홍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수득된 흑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암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2. 6년근 고려인삼(Panax ginseng) 또는 화기삼(Panax quinquefolia)을 세척 후, 35 내지 55℃의 온도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1차 건조공정; 85 내지 10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증숙하는 1차 증숙공정; 50 내지 70℃의 온도에서 9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2차 건조공정; 0.10 내지 0.20MPa의 압력하에 110 내지 145℃의 온도에서 60 내지 120분 동안 증숙하는 2차 증숙공정; 내부 온도를 50 내지 70℃로 유지하여 10 내지 14시간 동안 수분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는 3차 건조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고압의 원리을 이용한 흑홍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수득된 흑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방암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홍삼을 분쇄하여 흑홍삼 질량의 3 내지 7배(w/v)의 물을 가하여 3 내지 7시간 동안 방치하고, 상기 용액 부피의 1 내지 20배(v/v)의 에탄올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된 흑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또는 유방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0110012788A 2011-02-14 2011-02-14 신규한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12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88A KR101127329B1 (ko) 2011-02-14 2011-02-14 신규한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88A KR101127329B1 (ko) 2011-02-14 2011-02-14 신규한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579A Division KR101082181B1 (ko) 2007-05-31 2008-05-30 신규한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890A KR20110020890A (ko) 2011-03-03
KR101127329B1 true KR101127329B1 (ko) 2012-03-29

Family

ID=4392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788A KR101127329B1 (ko) 2011-02-14 2011-02-14 신규한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3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18B1 (ko) 2002-09-11 2005-06-28 한국파낙스제조(주) 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
KR100529475B1 (ko) 2002-11-15 2005-11-21 김항종 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
KR100543862B1 (ko) 2005-08-01 2006-01-23 (주) 흑삼코리아 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418B1 (ko) 2002-09-11 2005-06-28 한국파낙스제조(주) 흑미삼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흑미삼
KR100529475B1 (ko) 2002-11-15 2005-11-21 김항종 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
KR100543862B1 (ko) 2005-08-01 2006-01-23 (주) 흑삼코리아 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890A (ko)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2181B1 (ko) 신규한 흑홍삼 및 이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54253B1 (ko) 신규한 흑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89950B1 (ko) 신규한 홍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071851B1 (ko) Rg3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777189B1 (ko)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 제조방법
JP2017197574A (ja) 認知機能障害の予防及び/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1625474B1 (ko) 진세노사이드 알에이치4의 대량 제조방법
KR101281710B1 (ko) 엉겅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090096225A (ko) 자초추출물로부터 분리되는 시코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0020A (ko) 벤조피란과 같은 발암성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신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68249B1 (ko)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인삼엽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항노화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127329B1 (ko) 신규한 흑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44991B1 (ko) 흑인삼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0781571B1 (ko) 신규한 흑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090128725A (ko) 일본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4351B1 (ko)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149190B1 (ko) 베타아밀로이드 독성을 저해하는 그령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82173B1 (ko) 흑인삼꽃봉오리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및 흑삼꽃봉오리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080056651A (ko) 흑화기삼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20130080644A (ko)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192641B1 (ko) 흑삼 추출물 및 흑삼에서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48471B1 (ko) 라리아 큐네폴리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68522A (ko) 맥문동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KR101440855B1 (ko) 솔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공지화합물을 함유하는 암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16291A (ko) 신규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신규흑삼 및 이의 추출물을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