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937B1 -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937B1
KR101126937B1 KR1020090109814A KR20090109814A KR101126937B1 KR 101126937 B1 KR101126937 B1 KR 101126937B1 KR 1020090109814 A KR1020090109814 A KR 1020090109814A KR 20090109814 A KR20090109814 A KR 20090109814A KR 101126937 B1 KR101126937 B1 KR 101126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gel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027A (ko
Inventor
홍순형
김윤경
정용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109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9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먼저, 녹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시켜 녹말-겔을 형성한다. 상기 녹말-겔을 200 ℃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산화 안정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산화 안정화된 상기 녹말-겔을 700 ℃ 내지 1500 ℃ 의 온도에서 탄화시켜 비표면적이 320 m2/g 내지 480 m2/g 인 다공성 탄소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Anode active material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대체로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리튬이차전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은 고에너지의 용량 특성이 필요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튬이차전지의 응용 분야는 휴대 단말기의 지속적인 진화에 맞추어 고성능 전지 분야 및 자동차 동력원 분야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부응하여 이들 분야에서 개선을 요구되는 과제들이 여전히 많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재료로는 대체로 탄소 재료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탄소 재료가 (1) 대부분의 금속 산화물 및 고분자 재료 보다 비용량이 높고, 산화환원 전위가 높은 성능을 보이며, (2)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여 리튬 합금보다 사이클링 성능이 좋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재료는 초창기의 경우, 피치계 탄소 재료를 사용하여 비용량이 200mA/g 이하였으나, 최근에는 흑연계 탄소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330mA/g 내외의 비용량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리튬이차전지는 음극 재료에 따라 비용량이 변화하고, 낮은 비용량을 갖는 음극 재료를 채용할 경우에 전지의 비에너지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비용량을 갖는 다양한 전극 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최근의 연구에서, J.Maier (Adv. Funct. Mater. 2007, 17, 1873) 등은 실리카를 템플릿으로 이용한 탄소 모노리스(monoliths)를 제조한 바 있다. S.H.Yoon (Carbon, 2004, 42, 21)등은 탄소 섬유를 고온 흑연화 처리하여 탄소 음극 활물질로 적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용량을 가지면서 안정적인 사이클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음극 활전극 재료에 대한 요청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출원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서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비표면적을 가지는 다공성 탄소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측면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우선 녹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시켜 녹말-겔을 형성한다. 상기 녹말-겔을 200 ℃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산화 안정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산화 안정화된 상기 녹말-겔을 700 ℃ 내지 1500 ℃ 의 온도에서 탄화시켜 비표면적이 320 m2/g 내지 480 m2/g 인 다공성 탄소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시켜 녹말-겔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수용액을 100 ℃ 내지 150 ℃ 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상온으로 냉각하여 상기 수용액을 녹말-겔로 변환시키는 과정 및 상기 변환된 녹말-겔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녹말-겔을 200 ℃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산화 안정화시키는 과정은 상압의 산소 분위기인 노(furnace)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진행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 안정화된 상기 녹말-겔을 700 ℃ 내지 1500 ℃ 의 온도에서 탄화시켜 비표면적이 320 m2/g 내지 480 m2/g 인 다공성 탄소를 형성하는 과정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노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진행하여 메조 포어를 가지는 다공성 탄소를 형성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우선, 나노구조물 및 녹말이 혼합된 수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혼합 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하여 상기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녹말-겔을 형성한다. 상기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상기 녹말-겔을 200 ℃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산화 안정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산화 안정화된 상기 녹말-겔을 700 ℃ 내지 1500 ℃ 의 온도에서 탄화시켜 다공성 탄소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재료를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구조물은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나노막대, 나노리본 및 나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은 녹말의 탄화를 통하여 비표면적이 320 m2/g 내지 480 m2/g 인 다공성 탄소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천연고분자인 녹말의 탄화과정을 통하여 균일한 크기의 메조포어를 가지는 다공성 탄소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균일한 크기의 메조포어를 가지는 다공성 탄소를 전지의 음극활물질로 적용함으로써, 전지의 충방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여기서 개시되는 일요부(subject matter)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및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은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되고 구성되고 결합되고 도안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10 단계에서, 녹말(starch)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녹말은 복수의 포도당이 축합 반응을 통해 결합된 형태의 다당류이며, 일 예로서, 쌀, 옥수수, 감자, 밀 등에 포함되어 있는 천연고분자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용액이라는 용어가 의미하는 것은, 용액 내의 물 분자가 상기 녹말의 주위를 포위하여 녹말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정도로 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가리킨다. 상기 녹말은 상기 수용액에 대하여 불용성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녹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은 상기 녹말이 수용액 내에 분산된 형태로 수용액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가루(powder) 형태의 녹말을 소정 량의 물(H2O) 속에 도입함으로써 녹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준비할 수 있다.
120 단계에서, 상기 수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하여 녹말-겔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하여 녹말-겔을 형성하는 과정은 먼저, 상기 녹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100 ℃ 내지 150 ℃ 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열공정을 진행하고, 이후에 상온으로 냉각하여 상기 수용액을 녹말-겔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녹말-겔을 건조시켜 상기 녹말-겔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녹말-겔을 건조시키는 과정은 상온에서 수분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녹말-겔을 건조시키는 과정은 탈수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열처리 환경 속에서 진행될 수 있다.
130 단계에서, 상기 녹말-겔을 산화 안정화시킨다. 상기 산화 안정화 공정은 200 ℃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산화 안정화 공정은 상압의 산소 분위기의 노(furnace)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녹말-겔을 산화 안정화시키는 과정은 이후에 녹말의 탄화 공정이 진행될 때, 높은 온도의 열공정에 의해 녹말의 구조가 급격하게 변형되거나 파괴되 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본 산화 안정화 공정이 탄화 공정시에 균일한 메조 포어를 갖는 다공성 탄소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예비 공정이라 판단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기 산화 안정화 공정 온도가 200℃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산화 안정화 효율이 떨어지며, 상기 산화 안정화 공정 온도가 300℃ 를 초과할 경우, 녹말-겔의 산화 안정화 효과의 균일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한다.
140 단계에서, 상기 산화 안정화된 녹말-겔을 탄화시켜 다공성 탄소를 형성한다. 상기 산화 안정화된 녹말-겔을 탄화시키는 공정은 상기 산화 안정화된 녹말-겔을 700 ℃ 내지 1500 ℃ 의 온도 범위에서 열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산화 안정화된 녹말-겔을 탄화시키는 공정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노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열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 분위기는 일례로서, 질소(N2) 가스 또는 아르곤(Ar) 가스와 같은 희가스(noble gas) 분위기일 수 있다. 상기 탄화 공정을 통해 약 10nm 의 크기를 메조 포어를 포함하며 비표면적이 320 m2/g 내지 480 m2/g 인 다공성 탄소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고비표면적을 가지는 다공성 탄소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적용될 때, 전해질과 전극 사이에서 리튬이온의 전도를 보다 원활하게 함으로써, 전지의 충방전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상기 고비표면적을 가지는 다공성 탄소가 형성되는 과정에 있어서, 녹말 겔 내에 존재하는 결정질 부분이 탄화과정을 거쳐 탄소로 변환되며, 녹말 겔 내의 비정질 구조 부분이 열분해되어 메조 포어로 변화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산화 안정화 공정을 미리 거친 녹말-겔은 고온에서의 탄화 과정에서 녹말의 구조가 급격하게 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아서, 균일한 메조 포어를 갖는 고비표면적의 다공성 탄소로 변환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도 2는 본 출원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210 단계에서, 나노구조물 및 녹말이 혼합된 수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나노구조물은 일례로서,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나노막대, 나나리본 또는 나노필름일 수 있다. 상기 나노구조물은 전기적 전도성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 또는 나노와이어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나노구조물은 상기 나노구조물이 내부에 분산되어 형성되는 나노복합재료의 기계적 강도 또는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수용액은 탄소나노튜브 및 녹말이 상기 수용액 내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220 단계에서, 상기 수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하여 상기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녹말-겔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수 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하여 상기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상기 녹말-겔을 형성하는 과정은 먼저, 상기 나노구조물 및 상기 녹말을 포함하는 혼합 용액을 100 내지 150 ℃ 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열공정을 진행하고, 이후에 상온으로 냉각하여 상기 수용액을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녹말-겔로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변환된 녹말-겔을 건조시켜 상기 녹말-겔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녹말-겔을 건조시키는 과정은 상온에서 수분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녹말-겔을 건조시키는 과정은 탈수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열처리 환경 속에서 진행될 수 있다.
230 단계에서, 상기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녹말-겔을 산화 안정화시킨다. 상기 산화 안정화 공정은 200 ℃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산화 안정화 공정은 상압의 산소 분위기의 노(furnace)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녹말-겔을 산화 안정화시키는 과정은 이후에 녹말의 탄화 공정이 진행될 때, 높은 온도의 열공정에 의해 녹말의 구조가 급격하게 변형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미리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240 단계에서, 상기 산화 안정화된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녹말-겔을 탄화시켜 다공성 탄소 및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재료를 형성한다. 상기 산화 안정화된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녹말-겔을 탄화시키는 공정은 상기 산화 안정화된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녹말-겔을 700 ℃ 내지 1500 ℃ 의 온도 범위에서 열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화 공정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노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열공정을 진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 분위기는 일례로서, 질소(N2) 가스 또는 아르곤(Ar) 가스와 같은 희가스(noble gas) 분위기일 수 있다. 상기 탄화 공정을 통해 약 10nm 의 크기를 메조포어를 포함하며, 비표면적이 320 m2/g 내지 480 m2/g 인 다공성 탄소와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재료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나노구조물은 상기 형성된 나노복합재료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방법에 의해 형성된 나노복합재료가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적용될 때, 전도성 나노구조물로 인해 전자 전도도가 향상되고, 다공성 탄소 구조로 인해 리튬이온의 전도가 보다 원활해짐으로써, 전지의 충방전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서의 다공성 탄소를 도시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의 (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탄소를 10K 배율로 관찰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며, 도 3의 (b)는 (a)에 도시된 다공성 탄소의 탄소 입자(A)의 일부분(A1)을 100K의 배율로 관찰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공성 탄소는 약 5um 내외의 직경을 가지는 탄소 입자(A)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a)에 도시된 탄소 입자(A)는 내부에 약 10nm 크기의 미세한 기공인 메조 포어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다공성 탄소는 다량의 메조 포어를 함유하고 있으며, 비표면적은 320 m2/g 내지 480 m2/g 의 범위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의 여러 실시 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다공성 탄소를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적용한 실시 예를 기재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출원의 여러 실시예들의 다공성 탄소를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적용하는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 내용 자체가 하기 실시 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탄소를 음극활물질로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의 충방전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공지의 2016 코인 구조의 하프 셀(Half Cell)을 제조하였다. 먼저,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음극 활물질로 제조된 다공성 탄소를 아세틸렌 블렉(Acetylene black, AB) 및 폴리비닐린데인 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와 각각 85:5:10의 비율로 섞어 음극을 제조하였다. 대응 전극으로는 리튬 호일을 이용하였으며, 전해액으로는 1M LiPF6 이 함유되어 있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디메틸 카보네이트(DMC)을 사용하였다.
실험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하프 셀에서 리튬이차전지의 충방전용량을 측정하였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다공성 탄소를 음극 활물질로 적용한 리튬이차전지의 충방전 현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다공성 탄소를 음극 활물질로 적용한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튬이차전지의 전압을 0V 내지 3V 사이에서 인가하여, 전 지가 충전 및 방전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한 번의 충전 또는 방전이 일어날 때마다 (이를 1사이클로 칭함), 전지의 충방전용량이 측정될 수 있다. 도 4의 X 축은 충전 또는 방전이 일어나는 동안 발생하는 비용량(Specific Capacity)을 도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측정된 충방전 사이클에 따른 비용량 특성은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에서 윗쪽 그래프는 방전 사이클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비용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아래쪽 그래프는 충전 사이클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비용량을 보여주고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튬이차전지는 두번째 방전 사이클에서 약 350mAh/g 의 비용량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20 사이클에서의 방전특성을 관찰하면, 초기 방전용량의 90% 이상의 비용량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형성된 음극 활물질을 채용하는 리튬이차전지는 우수한 수준의 방전용량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음극 활물질인 다공성 탄소가 가지고 있는 리튬이온 전도 특성에서 기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공성 탄소는 종래의 흑연이나 피치계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와는 달리, 환경친화적이고 저비용 천연고분자인 녹말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탄소에 기계적 강도 및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나노구조물을 용이하게 첨가할 수 있어, 탄화 공정의 제어를 통해 고비표면적을 및 고전기전도도를 가지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활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서의 다공성 탄소를 도시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다공성 탄소를 음극 활물질로 적용한 리튬이차전지의 충방전 현상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다공성 탄소를 음극 활물질로 적용한 리튬이차전지의 수명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11)

  1. (a) 녹말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시켜 녹말-겔을 형성하는 과정;
    (b) 상기 녹말-겔을 200 ℃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산화 안정화시키는 과정; 및
    (c) 상기 산화 안정화된 상기 녹말-겔을 700 ℃ 내지 1500 ℃ 의 온도에서 탄화시켜 비표면적이 320 m2/g 내지 480 m2/g 인 다공성 탄소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a) 과정은
    상기 수용액을 100 ℃ 내지 150 ℃ 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상온으로 냉각하여 상기 수용액을 녹말-겔로 변환시키는 과정; 및
    상기 녹말-겔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b) 과정은
    상압의 산소 분위기인 노(furnace)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진행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c) 과정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노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진행하여 메조 포어를 가지는 다공성 탄소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5. (a) 나노구조물 및 녹말이 혼합된 수용액을 준비하는 과정;
    (b) 상기 혼합 용액을 가열한 후에 냉각하여 상기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녹말-겔을 형성하는 과정;
    (c) 상기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상기 녹말-겔을 200 ℃ 내지 300 ℃ 의 온도에서 산화 안정화시키는 과정; 및
    (d) 상기 산화 안정화된 상기 녹말-겔을 700 ℃ 내지 1500 ℃ 의 온도에서 탄화시켜 다공성 탄소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재료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물은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나노막대, 나노리본 및 나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인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b) 과정은
    (b1) 상기 수용액을 100 내지 150 ℃ 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에 냉각하여 상기 수용액을 녹말-겔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c) 과정은
    상압의 산소 분위기인 노(furnace)에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진행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d) 과정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의 노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진행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제조 방법.
  10. 삭제
  11. 녹말의 탄화를 통하여 형성된 비표면적이 320 m2/g 내지 480 m2/g 인 다공성 탄소; 및
    나노튜브, 나노와이어, 나노막대, 나노리본 및 나노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나노구조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KR1020090109814A 2009-11-13 2009-11-13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26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14A KR101126937B1 (ko) 2009-11-13 2009-11-13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14A KR101126937B1 (ko) 2009-11-13 2009-11-13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27A KR20110053027A (ko) 2011-05-19
KR101126937B1 true KR101126937B1 (ko) 2012-03-20

Family

ID=4436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814A KR101126937B1 (ko) 2009-11-13 2009-11-13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9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3380A (zh) * 2016-03-04 2016-06-01 中国科学院新疆理化技术研究所 一种锂离子电池淀粉基多孔硬炭负极材料的制备方法
KR20170008056A (ko) 2015-07-13 2017-01-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965773B1 (ko) 2018-12-11 2019-04-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986680B1 (ko) 2017-12-22 2019-06-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00083808A (ko) 2018-12-28 2020-07-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실리콘-탄소 복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027328A (ko) 2021-03-02 2021-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031218A (ko) 2019-09-11 2021-03-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009B1 (ko) 2012-04-26 2014-08-12 강윤규 이차전지 음극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8606B1 (ko) 2018-02-22 2020-02-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17384323B (zh) * 2023-12-12 2024-03-08 成都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淀粉基前驱体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olid State Ionics 180 (2009) pp1429-1432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056A (ko) 2015-07-13 2017-01-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05633380A (zh) * 2016-03-04 2016-06-01 中国科学院新疆理化技术研究所 一种锂离子电池淀粉基多孔硬炭负极材料的制备方法
KR101986680B1 (ko) 2017-12-22 2019-06-0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965773B1 (ko) 2018-12-11 2019-04-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00083808A (ko) 2018-12-28 2020-07-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실리콘-탄소 복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10031218A (ko) 2019-09-11 2021-03-1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210027328A (ko) 2021-03-02 2021-03-1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27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937B1 (ko) 리튬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Gao et al. Energy storage applications of biomass-derived carbon materials: batteries and supercapacitors
Xie et al. Sn@ CNT nanopillars grown perpendicularly on carbon paper: a novel free-standing anode for sodium ion batteries
JP659910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負極材料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負極活物質層用組成物、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N106816595B (zh) 一种锂离子电池用氮掺杂碳包覆三氧化二铁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He et al. Advanced LiTi 2 (PO 4) 3/C anode by incorporation of carbon nanotubes for aqueous lithium-ion batteries
KR102389113B1 (ko) 이산화탄소로부터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기반 음극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배터리용 탄소기반 음극
Li et al. Formation mechanism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biomass carbon for excellent 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Zhang et al. N, S co-doped porous carbon nanospheres with a high cycling stability for sodium ion batteries
CN102623677A (zh) 一种高容量二氧化钼/碳负极材料的制备方法
Zhang et al. Synthesis of coal tar pitch-derived heteroatom-doped porous carbon materials for aqueous zinc-ion hybrid supercapacitors
Panto et al. Electrospun C/GeO2 paper-like electrodes for flexible Li-ion batteries
WO2023173772A1 (zh) 硬碳负极材料的制备方法和应用
Wang et al. Facile synthesis of boron-doped porous carbon as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with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
Liu et al. Three-dimensional NaTi2 (PO4) 3@ C microsphere as a high-performance anode material for advanced sodium-ion batteries
CN115385323A (zh) 杂原子掺杂生物质衍生硬碳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454815A (zh) 负极复合材料、负极、电子化学装置和电子装置
CN108172760A (zh) 一种纸复合电极及其制备方法
Li et al. Kinetically well-matched porous framework dual carbon electrodes for high-performance sodium-ion hybrid capacitors
Wang et al. A solvothermal pre-oxidation strategy converting pitch from soft carbon to hard carbon for enhanced sodium storage
Zhang et al. Achieving in-situ hybridization of NaTi2 (PO4) 3 and N-doped carbon through a one-pot solid state reaction for high performance sodium-ion batteries
Yu et al. Wheat straw cellulose amorphous porous carbon used as anode material for a lithium-ion battery
CN108383099B (zh) 一种利用蜂巢制备钠离子电池负极材料的方法
Chen et al. Necklace-like carbon nanofibers encapsulating MoO2 nanospheres with Mo–C bonding for stable lithium-ion storage
CN114335531A (zh) 一种硫掺杂硬碳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