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693B1 - 씨엔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 Google Patents

씨엔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693B1
KR101126693B1 KR1020110112091A KR20110112091A KR101126693B1 KR 101126693 B1 KR101126693 B1 KR 101126693B1 KR 1020110112091 A KR1020110112091 A KR 1020110112091A KR 20110112091 A KR20110112091 A KR 20110112091A KR 101126693 B1 KR101126693 B1 KR 10112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ng
container
vehicle
gas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현
Original Assignee
최동현
(주)남경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현, (주)남경씨에스 filed Critical 최동현
Priority to KR1020110112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60K15/07Mounting of tanks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006Gas tanks
    • B60K2015/03019Filling of ga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2015/03542Mounting of the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측에 밀폐박스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트렁크 룸의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누출의 점검이 용이하고, 누출 가스의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트렁크룸에 엔진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상기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의 연료배출포트에 CNG 연료용기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의 연료주입포트에 배관의 연결을 통해 접속되어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밸브는 차량의 바닥에 위치되어 누출가스가 외부로 직접 배기되도록 하고, 상기 안전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된 연료 충전구가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에 CNG 연료용기내의 충전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씨엔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Charging and piping system of fuel tank for CNG vehicle}
본 발명은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측에 밀폐박스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스누출의 점검이 용이하고, 누출 가스의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 연료 차량은 천연가스(CNG)연료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압의 연료용기내에 수용하고 이를 감압시켜 엔진에 공급 연소시켜 동력을 얻게 된다. 국내 승용차량의 경우 CNG 연료용기를 트렁크 룸에 탑재시킨다. 이때 차량의 충돌시 안전을 고려하여 후미에서 일정 거리를 두도록 하고 있다. 즉, 차량 충돌시 후미가 일정량 밀리고 들어오더라도 CNG 연료용기로 접근되지 않도록 하여 폭발 안전에 대비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CNG 연료용기를 차폭방향인 옆으로 뉘워놓고 사용한다. 이때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측에는 가스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박스가 설치되고, 이 밀폐박스에는 충전구, 안전밸브, 압력게이지 및 배관이 설치된다. 이때 충전구는 CNG 연료를 보충하기 위해 사용되고, 안전밸브는 충전시 설정 압력을 넘지 않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압력게이지는 CNG 연료용기내의 압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와 같이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측에는 가스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박스가 설치되어 있어 트러크 룸의 공간이 협소해진다. 또한 밀폐박스로 인해 그 내부 부속품들의 가스 누출여부를 직접 확인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특1998-078768호(CNG차량의 연료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는 CNG가 충진된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에 연료파이프로 연결되어 연료를 감압시키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퓨얼레일로 구성된 CNG차량용 연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는 내부압력의 증가 시 첵밸브가 개폐되고 이때 방출되는 연료를 재저장할 수 있는 보조연료탱크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연료탱크에는 내부압력의 증가 시 연료를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릴리프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보조연료탱크는 필요 시 상기 레귤레이터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연료탱크 및 보조연료탱크에는 잔존 연료량을 파악하기 위한 압력센서가 부착되고, 잔존 연료량을 판단하여 연료게이지 및 연료부족램프를 구동하거나 적절한 시기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압력센서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자제어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CNG차량의 연료장치를 제공한다
이 배경기술의 경우에는 연료탱크 내부의 압력 증가를 방지하고, 잔존 연료량을 체크하고 보조연료탱크로부터의 연료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량의 트렁크룸 공간내에서의 CNG 연료의 배관 시스템 구조나 가스 누출에 대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0-0063466호(액화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공급 장치)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534913호(CNG 차량용 가스충전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측에 밀폐박스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트렁크 룸의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누출의 점검이 용이하고, 누출 가스의 신속한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트렁크룸에 엔진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상기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의 연료배출포트에 CNG 연료용기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의 연료주입포트에 배관의 연결을 통해 접속되어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밸브는 차량의 바닥에 위치되어 누출가스가 외부로 직접 배기되도록 하고,
상기 안전밸브와 배관을 통해 연결된 연료 충전구가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에 CNG 연료용기내의 충전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트렁크룸에 엔진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상기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의 연료배출포트측에 CNG 연료용기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의 연료주입포트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CNG 연료용기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압력게이지와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 및 연료 충전구를 상호 직열되게 설치하고,
상기 압력게이지와 안전밸브 및 연료 충전구를 CNG 연료용기의 전방측에 위치시켜 밀폐 박스내에 설치시킴과 동시에 밀폐 박스에 누출 가스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충전구는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에 위치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트렁크룸에 엔진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상기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의 연료배출포트측에 CNG 연료용기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이 연결되고,
CNG 연료용기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밀폐박스로 감싸진 압력게이지가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의 연료주입포트측에 연결되고,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 및 연료 충전구가 상기 압력게이지에 직열 연결되되, 상기 안전밸브는 차량의 바닥에 위치되어 누출가스가 외부로 직접 배기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구는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에 위치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가스실린더 밸브에는 시동의 온/오프 했을 때 일정 온도가 올라가야만 개폐 동작하는 전자밸브가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는,
연료주입포트와 용기접속포트 및 연료배출포트를 갖는 밸브 몸체와;
조작방향에 따라 용기접속포트를 개폐하는 수동핸들과;
엔진의 시동 온/오프 했을 때 일정 온도가 올라가야만 연료배출포트를 개폐하는 전자밸브와;
CNG 연료용기내의 과압을 제거하여 설정압을 유지하는 가연성 안전밸브와;
CNG 연료용기내에 온도 변화로 급격한 압력 상승시 작동하는 파열판과;
용기접속포트와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 사이에서 누출되는 가스 연료를 밸브 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밸브 몸체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기통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기통로의 입구에는 용기접속포트에 끼워넣어진 고무패킹이 밀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밸브 몸체에는 배기통로에서 누출된 미량의 가스 연료를 배기시키기 위해 누출가스배기용 주름관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은 CNG 연료용기의 주입구측에 밀폐박스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하여 트렁크 룸의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누출의 점검이 용이하다.
또한, 안전밸브, 압력게이지 및 충전구를 CNG 연료용기의 전방측 밀폐 박스내에 설치함으로써 가스 누출에 따른 점검 및 연료 충전이 용이해진다. 더욱이 충전구를 분리하여 차량의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충전실에 설치될 경우 연료주입이 편리해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가스실린더 밸브에 가스 누출을 막기 위해 설치된 고무 패킹이 있는 쪽에서 가스가 누출될 경우 별도의 배관을 통해 신속히 배출됨으로써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a는 도 1에서 엔진룸의 평면에서 본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의 구성도.
도 2b는 제 1실시 예에 적용되는 압력게이지가 설치된 가스실린더 밸브의 구성도.
도 3a,3b,3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밸브가 설치된된 가스실린더 밸브의 정면도 및 좌,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로서 엔진룸의 정면에서 본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서 엔진룸의 평면에서 본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의 구성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실시 예>
제 1실시 예에 따른 차량(1)의 엔진에 공급되는 점검이 용이한 CNG 연료공급장치는 도 1 내지 도 2b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룸(12)에 엔진(2)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20)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된다. CNG 연료용기(20)는 고압용기로 제작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트렁크 룸(12)의 후방에서 CNG 연료용기(20)를 보았을 경우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가 우측에 위치되도록 하였으나 그 반대 방향인 좌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에는 가스실린더 밸브(30)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어 있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가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패킹(35)이 가스실린더 밸브(30)와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 사이에 설치된다.
가스실린더 밸브(30)는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CNG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주입포트(32a)와 CNG 연료용기(20)에 접속되는 용기접속포트(32b) 및 엔진(2)으로 CNG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배출포트(32c)를 갖는 밸브 몸체(32)가 구비된다. 밸브 몸체(32)에는 회전 조작방향에 따라 용기접속포트(32b)를 개폐하는 수동핸들(34)과 수동핸들(34)의 반대쪽에는 엔진(2)의 시동 온(on)/오프(off) 했을 때 일정 온도가 올라가야만 연료배출포트(32c)를 개폐하는 전자밸브(36)가 설치된다. 또한 밸브 몸체(32)에는 CNG 연료용기(20)내의 과압을 감지 제거하는 가연성 안전밸브(38)가 설치된다. 또한 밸브몸체(32)에는 CNG 연료용기(20)내에 온도 변화로 급격한 압력 상승시 그 압력을 제거하도록 파열 작동하는 파열판(37)이 설치된다. 또한 밸브 몸체(32)에는 용기접속포트(32b)와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 사이에서 누출되는 가스 연료를 밸브 몸체(32)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배기통로(39)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배기통로(39)의 입구(39a)는 유입구 포트(32a)의 주변에 형성되고 그의 출구(39b,39c)는 연료주입포트(32a)와 연료배출포트(32c)의 주변에 연통되어 상호 연통되어져 있고, 배기통로(39)의 입구(39a)에는 용기접속포트(32b)에 끼워넣어진 고무패킹(35)이 밀착되어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고무 패킹(35)은 테이퍼 원통형으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에서 누출되는 미량의 가스 연료가 고무패킹(35)과 밸브몸체(32)가 밀착되어 있는 부분을 통과하게 되면 밸브몸체(32)의 배기통로(39)를 경유하여 신속히 배기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여기서 만일 배기통로(39)에서 누출된 미량의 가스 연료는 그의 입,출구를 감싸서 접속된 누출가스배기용 주름관(200)에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트렁크 룸내에 가스 남아 있지 않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배출포트(32c)에 CNG 연료용기(20)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40)이 연결된다. 이때 엔진측 연료공급관(40)은 트렁크룸(12)을 통과하여 엔진측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주입포트(32a)에 배관(52)의 연결을 통해 접속되어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50)가 설치된다. 이 안전밸브(50)는 CNG 연료용기(20)내의 압력을 검출하여 과충전압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전기적으로 온/오프 작동하여 관로를 개폐시킨다. 이때 안전밸브(50)는 가스실린더 밸브(30)에 가까지 설치되거나 도 2a와 같이 차량의 바닥에 위치시켜 만일에 대비한 미량의 누출가스가 외부로 직접 배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안전밸브(50)에 배관(54)을 통해 연료 충전구(60)가 연결되어 있다. 연료 충전구(60)의 연료 충전시 입구를 개방되고 그렇치않으면 입구를 폐쇄되는 형태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2a와 같이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5)에 위치시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트렁크 도어를 열면 압력게이지(70)가 확인되고 연료 충전구(60)를 통해 충전 압력을 확인하여 가면서 CNG 가스연료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연료주입실(5)에는 개폐 가능한 충전용 도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가스실린더 밸브(30)에는 전자밸브(36)에 대체하여 도 2b와 같이 CNG 연료용기(20)내의 충전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압력게이지(70)는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용기접속포트(32b)의 유로에 연결되어 압력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실시 예의 장치는 수동핸들(34)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충전구(60)를 통해 CNG 연료가 주입되면 가스실린더 밸브(30)를 통해 CNG 연료용기(20)로 충전된다. 이때 압력게이지(70)에 충전 압력이 나타난다. 여기서 과충전압이 발생되면 안전밸브(50)는 닫혀 더 이상의 충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편, 차량의 시동이 온 상태가 된 후 일정 온도에 도달되면 닫혀있던 전자밸브(36)가 열리고 연료배출포트(32c)가 개방되어 연료 공급이 엔진(2)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중간에 도시안된 감압장치를 통해 엔진측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실시 예의 장치는 별도의 밀폐박스가 제거되므로 밀폐 박스가 제거된 부피만큼 더 큰 용량의 "CNG 연료용기(20)"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차량의 주행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고 충전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밀폐박스가 제거되어 직접 가스누출의 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더욱이 고무패킹(35)을 통과한 배기통로(39)가 가스실린더 밸브(30)에 구비되어 누출가스배기용 주름관(200)을 통해 누출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 안전성이 향상된다.
<제 2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 예는 밀폐박스가 CNG 연료용기의 전방에 위치하여 설치됨으로서 가스 누출의 점검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제2 실시 예에서 제1실시 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2실시 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룸(12)에 엔진(2)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20)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30)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배출포트(32c)측에 CNG 연료용기(20)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40)이 연결된다.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주입포트(32a)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CNG 연료용기(20)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압력게이지(70)와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50) 및 연료 충전구(60)가 상호 직열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때 안전밸브(50)는 연료 충전구(60)와 압력게이지(70)의 사이에 연결된다.
이때 압력게이지(70)와 안전밸브(50) 및 연료 충전구(60)가 밀폐 박스(100)내에 위치되고, 밀폐 박스(100)에는 누출 가스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120)이 접속된다. 배기관(120)은 트렁크룸(12)의 바닥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밀폐박스(100)에는 개폐 가능한 박스도어(102)가 설치된다. 밀폐박스(100)는 CNG 연료용기(20)에 직간접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박스 도어(102)는 밀폐박스(1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불연성의 투명한 재질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는 밀폐박스(100)가 CNG 연료용기(20)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으나 중앙을 벗어나 어느 한쪽으로 이동하여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가스실린더 밸브(30)에는 엔진 시동의 온(on)/오프(off) 했을 때 일정 온도가 올라가야만 연료 배출포트(32c)를 개폐 동작하는 전자밸브(36)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실시 예의 장치는 제 1실시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충전된다. 단지, 충전을 위해 박스도어(102)가 열리는 것이 다를 뿐이다.
제 2실시 예의 경우에는 밀폐 박스(100)가 CNG 연료용기(20)이 전면측에 위치하여 다음과 같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즉, CNG 연료용기(20)의 측방에서 밀폐 박스가 제거됨으로 그 만큼의 공간이 더 생겨 CNG 연료용기(20)를 더 큰 용량의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밀폐박스(100)가 구석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넓은 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가스누출의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 2실시 예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트렁크 도어를 열지 않고 충전을 할 수 있도록 충전구(60)를 차량의 외부측 예로, 도 2와 같이 별도의 연료주입실(5)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제 3실시 예>
또한, 본 발명은 제 3실시 예로서 도 6과 같이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제 3실시 예의 경우에도 제1 및 제 2실시 예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트렁크룸(12)에 엔진(2)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20)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30)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배출포트측에 CNG 연료용기(20)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40)이 연결되고, CNG 연료용기(20)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밀폐박스(100)로 감싸진 압력게이지(70)가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주입포트측에 연결된다,
이때 밀폐박스(100)에는 제2실시 예의 도 4와 같이 누출 가스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120)이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50) 및 연료 충전구(60)가 압력게이지(70)에 직열 연결되되, 안전밸브(50)는 차량의 바닥에 위치되어 누출가스가 외부로 직접 배기되도록 하고, 충전구(60)는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5)에 위치하여 설치된다.
이같이 제 3실시 예의 경우에도 CNG 연료용기(20)의 측방에 밀폐박스가 제거되어 제거됨으로 그 만큼의 공간이 더 생겨 CNG 연료용기(20)를 더 큰 용량의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압력게이지(70)만을 감싸고 있는 밀폐박스(100)가 구석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CNG 연료용기(20)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어 가스누출의 검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20: CNG 연료용기
30: 가스실린더 밸브
32a: 연료주입포트
32b: 용기 접속포트
32c: 연료배출포트
35: 고무 패킹
40: 엔진측 연료공급관
50: 안전밸브
60: 충전구
70: 압력게이지
200: 누출가스배기용 주름관

Claims (8)

  1. 차량의 트렁크룸(12)에 엔진(2)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20)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상기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30)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배출포트(32c)에 CNG 연료용기(20)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40)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주입포트(32a)에 배관의 연결을 통해 접속되어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50)가 설치되되, 상기 안전밸브(50)는 차량의 바닥에 위치되어 누출가스가 외부로 직접 배기되도록 하고,
    상기 안전밸브(50)와 배관을 통해 연결된 연료 충전구(60)가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5)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에 CNG 연료용기(20)내의 충전압력을 나타내는 압력게이지(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2. 차량의 트렁크룸(12)에 엔진(2)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20)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상기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30)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배출포트측에 CNG 연료용기(20)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40)이 연결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주입포트에 연결된 배관을 통해 CNG 연료용기(20)의 전면측에 위치되는 압력게이지(70)와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50) 및 연료 충전구(60)를 상호 직열되게 설치하고,
    상기 압력게이지(70)와 안전밸브(50) 및 연료 충전구(60)를 CNG 연료용기(20)의 전방측에 위치시켜 밀폐 박스(100)내에 설치시킴과 동시에 밀폐 박스(100)에 누출 가스연료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120)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충전구(60)는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5)에 위치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4. 차량의 트렁크룸(12)에 엔진(2)측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CNG 연료용기(20)가 차폭 방향으로 탑재되고,
    상기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에 가스실린더 밸브(30)가 나사 결합으로 기밀되게 접속되고,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배출포트측에 CNG 연료용기(20)내의 CNG연료가 엔진측으로 공급되도록 엔진측 연료공급관(40)이 연결되고,
    CNG 연료용기(20)의 전면측에 위치하여 밀폐박스(100)로 감싸진 압력게이지(70)가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의 연료주입포트측에 연결되고,
    일정한 충전압에 도달되면 관로를 차단하는 안전밸브(50) 및 연료 충전구(60)가 상기 압력게이지(70)에 직열 연결되되, 상기 안전밸브(50)는 차량의 바닥에 위치되어 누출가스가 외부로 직접 배기되도록 하고, 상기 충전구(60)는 차량의 외부 측면에 형성시킨 연료주입실(5)에 위치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에는 시동의 온/오프 했을 때 일정 온도가 올라가야만 개폐 동작하는 전자밸브(36)가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실린더 밸브(30)는,
    연료주입포트(32a)와 용기접속포트(32b) 및 연료배출포트(32c)를 갖는 밸브 몸체(32)와;
    조작방향에 따라 용기접속포트(32b)를 개폐하는 수동핸들(34)과;
    엔진의 시동 온/오프 했을 때 일정 온도가 올라가야만 연료배출포트(32c)를 개폐하는 전자밸브(36)와;
    CNG 연료용기(20)내의 과압을 제거하여 설정압을 유지하는 가연성 안전밸브(38)와;
    CNG 연료용기(20)내에 온도 변화로 급격한 압력 상승시 작동하는 파열판(37)과;
    용기접속포트(32b)와 CNG 연료용기(20)의 주입구 사이에서 누출되는 가스 연료를 밸브 몸체(32)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밸브 몸체(32)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기통로(39)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39)의 입구(39a)에는 용기접속포트(32b)에 끼워넣어진 고무패킹(35)이 밀착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32)에는 배기통로(39)에서 누출된 미량의 가스 연료를 배기시키기 위해 누출가스배기용 주름관(200)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G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KR1020110112091A 2011-10-31 2011-10-31 씨엔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KR10112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91A KR101126693B1 (ko) 2011-10-31 2011-10-31 씨엔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091A KR101126693B1 (ko) 2011-10-31 2011-10-31 씨엔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693B1 true KR101126693B1 (ko) 2012-03-16

Family

ID=4614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091A KR101126693B1 (ko) 2011-10-31 2011-10-31 씨엔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6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731A (ja) 2000-11-30 2002-06-11 Suzuki Motor Corp 車両用燃料配管構造
KR20020077764A (ko) * 2001-04-03 2002-10-14 (주)모토닉 가스연료 차량의 연료탱크용 통합밸브
KR20090006400U (ko) * 2007-12-24 2009-06-29 (주) 에이에프에스 천연가스차량용 연료탱크의 실링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6731A (ja) 2000-11-30 2002-06-11 Suzuki Motor Corp 車両用燃料配管構造
KR20020077764A (ko) * 2001-04-03 2002-10-14 (주)모토닉 가스연료 차량의 연료탱크용 통합밸브
KR20090006400U (ko) * 2007-12-24 2009-06-29 (주) 에이에프에스 천연가스차량용 연료탱크의 실링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856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age in hydrogen tank of hydrogen fuel cell vehicle
JP5792259B2 (ja) 蓄圧システムおよび蓄圧システムの動作方法
US5868120A (en) Fuel vapor management system for motor vehicles
CN107709745B (zh) 蒸发燃料处理装置的诊断装置
US9222446B2 (en) Fuel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US20120079873A1 (en) Large leak diagnostic tool for a sealed fuel system in a vehicle
CN108224084B (zh) 用于测量罐内调节器的高压的系统
CN103228898A (zh) 用于车辆的蒸发性及再加燃料排放控制的系统
KR100831567B1 (ko) 연료전지차량용 연비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40126701A (ko) 가스 차단 밸브를 테스트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KR101126693B1 (ko) 씨엔지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충전 배관시스템
KR101371969B1 (ko) 연료 탱크를 미리 비울 필요 없이도 제거될 수 있는 차량용 lpg 연료 탱크 내부에 수용된 펌프 어셈블리
KR20180095984A (ko) 연료전지 시스템 고압용기 압력센서 고장 진단 방법
KR102090104B1 (ko) 냉매주입장치
US10727507B2 (en) Fuel cell system including rupture part between hydrogen supply valve and hydrogen shut-off valve
CN107618361B (zh) 双燃料车辆的lpg储罐冷却系统
RU2657841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баллонов с компримированным природным газом
CN207088987U (zh) 汽车燃油箱密封装置及汽车
US11015551B2 (e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evice
JP6715563B2 (ja) 密閉タンクシステム
NL2010693C2 (en) Adaptor, assembly of an adaptor and accessory plate and kit for fitting a lpg fuel system for liquid injection in a car.
KR101651500B1 (ko) 차량용 증발 제어 시스템
KR200310213Y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벤트밸브 테스터기
RU2670861C9 (ru) Контейнер
KR100342614B1 (ko) 제어 밸브를 장착한 브리더 관을 가진 연료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