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639B1 -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639B1
KR101126639B1 KR1020110051795A KR20110051795A KR101126639B1 KR 101126639 B1 KR101126639 B1 KR 101126639B1 KR 1020110051795 A KR1020110051795 A KR 1020110051795A KR 20110051795 A KR20110051795 A KR 20110051795A KR 101126639 B1 KR101126639 B1 KR 10112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expeller
air
dental handpie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김용원
임중연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1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5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 A61C1/05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turbine drive with means for preventing suction effect in turbine after deactivation of the driv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2Air-blowing devices, e.g. with means for he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썩백현상이 발생될 때 헤드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익스펠러의 송풍력에 의해 강제 배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헤드 케이싱 내부에 구동용 공기를 공급받아 임펠러를 회전시키면서 치료를 행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임펠러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케이싱 내로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송풍력에 의해 강제 배출시키는 익스펠러와, 공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배출방향으로만 구동용 공기의 흐름을 허용하고 역류는 차단하는 썩백 방지용 체크밸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 PIECE WITH SUCK BACK PREVENTION EXPELLER}
본 발명은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썩백현상이 발생될 때 헤드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익스펠러의 송풍력에 의해 강제 배출하도록 한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등의 의료 시술시 사용되는 치과용 핸드피스는 압력수 또는 구동용 공기를 분사하여 필요부위를 세척하는 기구로서 용도별로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결호스들을 통하여 공기튜브 또는 냉각수튜브와 연결된다.
하지만 이같은 핸드피스에서는 구동용 공기의 공급을 정지한 후에도 임펠러는 관성에 의하여 회전을 유지한다. 이때 구동용 공기의 공급은 정지되어 있으므로, 임펠러와 함께 회전이동 하는 구동용 공기는 공기배출호스로 보내진다. 따라서 헤드 내의 일부 또는 전체가 진공상태가 된다. 그 결과, 버어와 같은 공구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주변에 위치한 외부 이물질, 예컨대, 환자의 타액이나 혈액, 치아 등의 절삭분이 헤드의 간극을 통하여 헤드 내로 흡입되어 축적되곤 한다. 그리고 이로 인해 다른 환자와의 교차감염이 발생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야기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썩백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치과용 핸드피스는, 헤드(11)와, 헤드부(15)에 형성된 챔버(11a)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버어(13) 등의 기구와 결합된 임펠러(12)와, 임펠러(12)를 향하여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구(61) 및 임펠러(12)에 공급된 구동용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62)와, 냉각수 공급구(63) 및 냉각수를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구((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기술에 의한 핸드피스는 구동용 공기가 헤드(11) 내부의 챔버(11a)로 공급되다가 중단되는 운전 정지 순간에 일순간 임펠러(12)의 회전 관성으로 인해 챔버(11a)에 공급되었던 구동용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급기구(61) 및 배기구(62)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챔버(11a)에 음압 또는 진공압이 걸리면서 환자의 타액이나 혈액, 치아 등의 절삭분이 헤드(11)의 간극을 통하여 헤드 (11)내로 흡입되어 축적된 후 다른 환자와의 교차감염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썩백현상이 발생될 때 헤드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익스펠러의 송풍력에 의해 강제 배출하도록 한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는, 헤드 케이싱 내부에 구동용 공기를 공급받아 임펠러를 회전시키면서 치료를 행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송풍력에 의해 강제 배출시키는 익스펠러를 구비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익스펠러는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익스펠러는 이물질을 차단 가능하도록 원판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로 구비되어 회전시 송풍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원판형 몸체의 후측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원판형 몸체의 후측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익스펠러는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는 고리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로 구비되어 회전시 송풍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익스펠러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버어 등의 공구를 체결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의 전측과 후측에는 각각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케이싱과 연결되어 구동용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관에는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는 운전시에는 개방되어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고,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정지시에는 순간적으로 폐쇄되어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임펠러와 익스펠러가 설치된 공간인 챔버를 구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를 개방해주는 전방캡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를 개방해주는 후방캡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는 익스펠러에 의해 진공압에 의한 썩백현상이 발생되려고 할 때 썩백 현상을 억제하고, 익스펠러의 송풍력에 의해 유입되려는 외부 이물질을 강제 배출할 수 있으므로 교차감염의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익스펠러가 이물질을 길목에서 도중 차단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운전이 정지될 때 순간적으로 구동용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가 구비되어 썩백현상 자체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케이싱이 몸체부와, 전방캡, 후방캡으로 분리된 분할구조로 이루어져 임펠러 및 익스펠러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썩백 방지 기능을 갖는 치과용 핸드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가 적용된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익스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익스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9a 및 도 9b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에서 변형된 형태의 익스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는 헤드 케이싱(110) 내부에서 송풍력을 발휘하여 진공압에 의한 썩백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헤드 내로 유입되려는 각종 외부 이물질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익스펠러(14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익스펠러(140)와 더불어, 공기 배출관(162)에 설치되어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는 운전시에만 개방되어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고 있다가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정지시에는 구동용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가 더 설치되어 썩백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처럼 익스펠러(140)에 의해 썩백현상을 방지하는 한편, 헤드 케이싱 내로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송풍력에 의해 강제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유입되려는 경향의 이물질에 대해서는 길목에서 도중 차단하는 더스트 커버(dust cover) 기능에 의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 배출관(162)에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가 설치되어 썩백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환자들간의 교차감염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구성을 각 구성요소별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가 적용된 전체 시스템을 먼저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가 적용된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100)가 적용된 전체 시스템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100)를 중심으로 기동용 공기 및 냉각수 분사용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탱크(190a)가 기동용 공기 공급관(161)과 연결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냉각수 분사용 공기 공급관(164)과도 연결되어 있고 냉각수를 제공하기 위한 냉각수 탱크(190b)가 냉각수 공급관(163)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100)는 공기 배출관(162)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기동용 공기 공급관(161), 냉각수 공급관(163), 냉각수 분사용 공기 공급관(164)에는 각각 공기 또는 냉각수의 흐름 및 공급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펌프들(191,192,193)이 각각 설치된다.
한편, 주목할 점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기 배출관(162)에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가 설치된다는 점이다. 상기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는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간단히 구비된다. 하지만 그 역할에 있어서는 고질적인 썩백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차후에 부가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구성을 상기 익스펠러(140),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를 중심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익스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는 헤드의 외부를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구동용 공기에 의해 회전하면서 버어(130) 등의 공구들을 회전시키는 임펠러(120)와, 썩백방지와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의 익스펠러(140)와,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150a,15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10)은 헤드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챔버(111a)가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챔버(111a)에는 임펠러(120)와 익스펠러(140)가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120)를 지지해주는 한 쌍의 베어링(150a,150b)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120) 및 익스펠러(140)의 설치, 베어링(150a,150b)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110)은 몸체부(110a)를 비롯하여 챔버(111a)를 개방해주는 전방캡과(110b) 및 후방캡(110c)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후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챔버(111a)에는 임펠러(120)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용 공기를 공급하는 구동용 공기 공급관(161)과 상기 임펠러(120)를 거친 구동용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관(162)이 연결된다.
상기 익스펠러(140)는 이미 전술된 것처럼 진공압에 의한 썩백현상을 억제하는 한편 송풍력에 의해 헤드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려는 외부 이물질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익스펠러(140)는 상기 챔버(111a)에서 임펠러(120)의 샤프트(121)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는다. 상기 익스펠러(140)의 형태를 살펴보면 도 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중심이 샤프트(121)에 끼워지는 결합공(143)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면 다른 부위는 빈틈없이 막혀있는 원판형 몸체(141)와 그 후측 표면에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142)로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익스펠러(140)는 일차적으로는 회전시 상기 블레이드(142)가 발생시키는 송풍력에 의해 외부로부터 챔버(111a)에 유입되려는 각종 이물질들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것은 물론, 이차적으로는 상기 원판형 몸체(141)에 의해 이물질의 유입을 길목에서 도중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수 있는 점은 상기 익스펠러(140)의 경우 버어(130) 등의 공구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 임펠러(120)로부터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받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모터와 같은 추가적인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익스펠러(140)가 상기 임펠러(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전방으로 송풍력을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간단히 상기 블레이드(142)가 꺾인 방향을 맞추어주기만 하면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142)는 상기 익스펠러(140)의 원판형 몸체(141) 후측 표면이 아니라 전측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베어링(150a,150b)은 볼베어링으로서 상기 임펠러(120)를 전측과 후측에서 지지한다. 이를 위해 전측에 위치한 베어링(150a)은 상기 임펠러(120)의 전측으로 형성된 샤프트(121)와 후측에 위치한 베어링(150b)은 상기 임펠러(120)의 후측으로 형성된 샤프트(122)와 결합된다.
상기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는 상기 공기 배출관(162)에 설치되며,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는 평소 운전시에는 개방되어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허용한다. 하지만,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운전 정지시에는 순간적으로 폐쇄되어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완벽하게 차단해준다. 이로써, 기동용 공기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임펠러(120)의 관성 회전으로 인해 기동용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관(162)으로 빠져나가면서 발생되는 진공압 형성으로 인한 썩백현상이 근원적으로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 시스템 전체를 총괄하는 제어기에 제어를 받고 기동용 공기를 공급하는 펌프(191)와 연동되어서 운전 정지시에만 기동하여 폐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버어(130)는 핸드피스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공구들 중 하나에 불과하며, 이러한 공구는 상기 임펠러(120)의 샤프트(121) 전단부에 형성된 체결공(121a)에 끼워져 체결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전술된 구성요소들 외에도 각종 너트 및 볼트 등의 체결부품 등 다양한 세부 구성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그러한 부품들은 과감하게 생략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헨드피스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먼저, 도 9a는 평소 운전시 핸드피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을 때의 상태이다. 이때는 구동용 공기가 구동용 공기 공급관(161)을 통해 챔버(111a)에 유입된 후 공기 배출관(162) 및 배출구(163)를 통해 배출되면서 임펠러(12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임펠러(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버어(130)도 회전한다.
이처럼 핸드피스가 작동하는 평소 운전시에는 상기 임펠러(120)의 샤프트(121)에 결합된 익스펠러(140)가 함께 회전하면서 송풍력을 전방으로 발생시킨다. 이때에는 상기 익스펠러(140)가 임펠러(120)의 구동으로 인해 강하게 회전하고는 있지만 그 회전 여부를 떠나 이물질이 헤드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후, 도 9b는 운전 정지시 핸드피스의 작동이 멈추면서 구동용 공기의 공급이 중단된 순간의 상태를 보여준다. 이 순간에는 챔버(111a)에 구동용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지만 회전하던 임펠러(120)는 관성으로 인해 계속 회전하면서 챔버(111a)에 있던 구동용 공기 중 일부가 공기 배출관(162)으로 빠져나가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챔버(111a)에 진공압이 형성되기 쉽다.
이처럼 챔버(111a)에 진공압이 형성되려는 상황에서는 외부와의 기압차로 인해 외부의 이물질들이 헤드 케이싱(110)의 내부로 빨려들어가는 경향을 갖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일차적으로 임펠러(120)가 관성에 의해 회전하면 익스펠러(140)도 함께 회전하면서 진공압의 형성을 억제하는 한편 송풍력을 발생시켜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려는 외부 이물질을 강제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이차적으로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익스펠러(140)의 몸체(141)가 길목에서 도중 이물질을 차단해준다. 이로써, 외부 이물질이 케이싱(110) 내부로 유입되어 축적되는 일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과용 핸드피스를 재작동시키더라도 외부 이물질이 헤드 케이싱(110) 내부에 축적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그 다음 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앞선 환자의 병균이 옮아가면서 발생하는 교차감염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된 익스펠러(140) 뿐만 아니라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의 동작으로 인해 전술된 진공압에 의한 썩백현상도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공기 배출관(162)에 설치된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170)가 평소 운전시에는 개방된 상태로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허용해주지만,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운전 정지시에는 순간적으로 폐쇄되어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완벽하게 차단해주기 때문이다. 이로써, 기동용 공기의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 임펠러(120)의 관성 회전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썩백현상 및 교차감염의 우려가 근원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에서 변형된 형태의 익스펠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핸드피스에는 변형된 형태의 익스펠러(24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변형된 형태를 갖는 익스펠러(240)는 상기 임펠러(120)의 샤프트(121)에 결합되기 위해 중앙에 결합공(243)이 형성된 고리형 몸체(241)와, 상기 몸체(2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342)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형태의 익스펠러(240)의 경우 역시 진공압을 억제하는 썩백방지 기능과 이물질을 차단하는 더스트 커버(dust cover) 기능을 원활히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110a,110b,110c : 케이싱 111a : 챔버
112 : 격벽 120 : 임펠러
121 : 샤프트 130 : 버어\
140,240 : 익스펠러 142,242 : 블레이드 150a,150b : 베어링 170 :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

Claims (12)

  1. 헤드 케이싱 내부에 구동용 공기를 공급받아 임펠러를 회전시키면서 치료를 행하는 치과용 핸드피스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전방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싱 내로 유입되려는 이물질을 송풍력에 의해 강제 배출시키는 익스펠러를 구비하되,
    상기 익스펠러는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이물질을 차단 가능하도록 원판형 몸체와, 상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로 구비되어 회전시 송풍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원판형 몸체의 후측 표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5. 삭제
  6. 삭제
  7. 제1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익스펠러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공구를 체결하는 체결공이 형성된 샤프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전측과 후측에는 각각 상기 임펠러를 지지하는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케이싱과 연결되어 구동용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관에는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는 운전시에는 개방되어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허용하고, 기동용 공기가 공급되지 않는 정지시에는 순간적으로 폐쇄되어 기동용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썩백 방지용 차단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임펠러와 익스펠러가 설치된 공간인 챔버를 구비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를 개방해주는 전방캡과, 상기 몸체부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챔버를 개방해주는 후방캡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12. 삭제
KR1020110051795A 2011-05-31 2011-05-31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KR10112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95A KR101126639B1 (ko) 2011-05-31 2011-05-31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795A KR101126639B1 (ko) 2011-05-31 2011-05-31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639B1 true KR101126639B1 (ko) 2012-03-27

Family

ID=4614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795A KR101126639B1 (ko) 2011-05-31 2011-05-31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6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39B1 (ko) * 2014-03-21 2015-05-11 두나미스덴탈 주식회사 볼의 구속력을 이용한 플랫타입 치과용 핸드피스
WO2019182169A1 (ko) * 2018-03-19 2019-09-26 주식회사 아폴로니아 치과용 기구 오염방지유닛, 이를 구비한 치과용 시술기구 및 세척액 공급장치
KR20210047640A (ko) 2019-10-22 2021-04-30 두나미스덴탈 주식회사 구동용 공기의 우회분사에 의한 치과용 핸드피스의 썩백 방지 방법 및 우회분사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시스템
CN115006013A (zh) * 2021-03-03 2022-09-06 况永刚 牙科微型齿轮磨钻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634A (en) * 1995-08-11 1998-07-21 Kaltenbach & Voigt Gmbh & Co. Medical, in particular dental turbine handpiece
JP3208345B2 (ja) * 1997-02-25 2001-09-10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エアータービンハンドピース
JP3672781B2 (ja) * 1999-12-03 2005-07-20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空気駆動回転切削器
KR20070115988A (ko) * 2005-03-22 2007-12-06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세이사쿠쇼 핸드피스 및 그 썩백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634A (en) * 1995-08-11 1998-07-21 Kaltenbach & Voigt Gmbh & Co. Medical, in particular dental turbine handpiece
JP3208345B2 (ja) * 1997-02-25 2001-09-10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エアータービンハンドピース
JP3672781B2 (ja) * 1999-12-03 2005-07-20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空気駆動回転切削器
KR20070115988A (ko) * 2005-03-22 2007-12-06 가부시키가이샤 모리타 세이사쿠쇼 핸드피스 및 그 썩백 방지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739B1 (ko) * 2014-03-21 2015-05-11 두나미스덴탈 주식회사 볼의 구속력을 이용한 플랫타입 치과용 핸드피스
WO2019182169A1 (ko) * 2018-03-19 2019-09-26 주식회사 아폴로니아 치과용 기구 오염방지유닛, 이를 구비한 치과용 시술기구 및 세척액 공급장치
KR20210047640A (ko) 2019-10-22 2021-04-30 두나미스덴탈 주식회사 구동용 공기의 우회분사에 의한 치과용 핸드피스의 썩백 방지 방법 및 우회분사 구조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시스템
CN115006013A (zh) * 2021-03-03 2022-09-06 况永刚 牙科微型齿轮磨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39B1 (ko) 썩백 방지 익스펠러를 구비한 치과용 핸드피스
MXPA05006704A (es) Pieza de mano dental.
AU2008293452B2 (en) Disposable dental handpiece
US5507642A (en) Dental turbine drive
KR101861877B1 (ko) 에어 터빈 핸드피스
WO2008014693A1 (fr) Dispositif anti-rétrosuction d'outil à main à turbine haute vitesse jetable pour fraise dentaire
JP2009102979A (ja) 圧送式トイレ装置
JPH0716499B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US7264543B2 (en) Device for cutting free the colon of a slaughter animal
JP3795722B2 (ja) 医療用切削器械及び医療用切削器械用シール部材
JP2636966B2 (ja) カッター付下水管用水中ポンプ
US2857671A (en) Dental grinding instrument
KR20090014928A (ko) 수중펌프
CN209743180U (zh) 一种低液位清水泵
KR101998620B1 (ko) 외장형 세퍼레이터를 갖는 건식 석션장치
JP3213159B2 (ja) 歯科用ハンドピース
CN201714711U (zh) 防堵污水泵
KR20120117339A (ko) 썩백방지를 위한 치과용 핸드피스
KR20190037555A (ko) 치과 및 의료용 핸드피스 세척 에어스프레이 젠더
KR101900197B1 (ko) 치과 및 의료용 핸드피스 세척 겸용 오일주입장치
JP2006076501A (ja) ウォータージェット推進機
JP3122310B2 (ja) 小型流体駆動タービンハンドピース
JP2004041687A (ja) 介護用洗浄装置
JPH11216655A (ja) 水噴射式グラインダー
US20230172699A1 (en) Method of preventing suckback of dental handpiece by bypass injection of driving air and dental handpiece system having bypass inj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